KR20140052712A -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 - Google Patents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712A
KR20140052712A KR1020120119157A KR20120119157A KR20140052712A KR 20140052712 A KR20140052712 A KR 20140052712A KR 1020120119157 A KR1020120119157 A KR 1020120119157A KR 20120119157 A KR20120119157 A KR 20120119157A KR 20140052712 A KR20140052712 A KR 20140052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member
pipe
piping
spiral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주) 영남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영남메탈 filed Critical (주) 영남메탈
Priority to KR102012011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712A/ko
Publication of KR20140052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for joints between metal and plastic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배관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나선관을 상호 연결 접속시킴으로써, 적용 환경에 맞는 재질의 배관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배관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나선관을 상호 연결 접속시키는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에 있어서, 패킹부재 몸체의 내주면 중앙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상기 금속배관이 연결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나선관이 연결 접속되는 제2 접속부로 각각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구획벽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 2접속부 측으로 밀폐관이 수평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속부의 내주면에 다수의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Packing member for heterogeneous material pipe}
본 발명은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벽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배관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나선관을 상호 연결 접속시킴으로써, 적용 환경에 맞는 재질의 배관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는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의 금속배관을 사용하게 되고, 지하에서는 폴리염화비닐(PVC), 고무 등을 주원료로 하여 기체와 유체를 필요로 하는 곳에 공급하거나 배수 및 급수 등에 다용도로 사용되도록 시공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의 나선관을 사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금속배관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나선관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파이프 커플링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파이프 커플링은 연결된 금속 배관이나 나선관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거나 내부에서 이송되는 유체 또는 기체의 압력변화에 따라 파이프 커플링으로부터 탈관되지 않도록 압착시켜 이송되는 유체가 누수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은 복수개의 파이프의 연결부 외주연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패킹부재와, 상기 패킹부재의 외주연을 감싸는 금속재 재킷과, 상기 재킷의 양단부에 마련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개재되는 지지봉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봉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과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재킷과 상기 패킹부재가 파이프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하여 파이프의 연결부로부터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이프의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배관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유체가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패킹부재에 의해 배관을 감싸도록 함에도 불구하고 나선관에 개재된 섬유재의 심재(나선관 절단 시 노출됨)로 고압의 유체가 유입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재질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관을 상호 연결 접속시키도록 복수개의 접속부로 형성되며, 특히 나선관을 패킹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체결 고정시키고 나선관의 내주면을 밀폐관에 밀착시키고 측면을 구획벽에 밀착시킴으로써, 나선관의 심재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미리 차단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배관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나선관을 상호 연결 접속시키는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에 있어서, 패킹부재 몸체의 내주면 중앙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상기 금속배관이 연결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나선관이 연결 접속되는 제2 접속부로 각각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구획벽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 2접속부 측으로 밀폐관이 수평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속부의 내주면에 다수의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는, 재질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관을 상호 연결 접속시키도록 복수개의 접속부로 형성되며, 특히 나선관을 패킹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체결 고정시키고 나선관의 내주면을 밀폐관에 밀착시키고 측면을 구획벽에 밀착시킴으로써, 나선관의 절단면이 유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절단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심재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미리 차단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배관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나선관을 상호 연결 접속시키는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에 있어서, 패킹부재 몸체의 내주면 중앙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상기 금속배관이 연결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나선관이 연결 접속되는 제2 접속부로 각각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구획벽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 2접속부 측으로 밀폐관이 수평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속부의 내주면에 다수의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접속부의 내주면과 밀폐관 사이에 형성된 접속홈은 상기 나선관의 두께와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는 고무재질이면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배관(1)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나선관(2)을 상호 연결 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는, 패킹부재 몸체(3)의 내주면 중앙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획벽(31)에 의해 상기 금속배관(1)이 연결 접속되는 제1 접속부(32)와 상기 나선관(2)이 연결 접속되는 제2 접속부(33)로 각각 분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접속부(33)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구획벽(31)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 2접속부(33) 측으로 밀폐관(34)이 수평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속부(33)의 내주면에 다수의 나선홈(331)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31)은 상기 패킹부재 몸체(3)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속부(32)와 제2 접속부(33)를 각각 분할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 접속부(32)는 상기 금속배관(1)이 연결 접속되는 공간을 의미하고, 상기 제2 접속부(32)는 상기 나선관(2)이 연결 접속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제2 접속부(33)의 내주면과 밀폐관(34) 사이에는 나선관(2)이 삽입되도록 접속홈(35)이 밀폐관(34)의 형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상기 접속홈(35)은 상기 나선관(2)의 두께와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홈(35)을 통해 삽입되어 연결 접속되는 나선관(2)은 절단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심재(미도시)에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구획벽(31)의 벽면에 면접될 때까지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관(34)은 상기 금속배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금속배관(1)을 밀폐 지지함은 물론, 상기 나선관(2)이 접속홈(35)에 연결 접속되면서 상기 나선관(2)의 내주면이 밀착되어 상기 나선관(2)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밀폐관(34)의 길이는 상기 패킹부재 몸체(3)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의 사용 시 상기 밀폐관(34)의 내주면에 금속 재질의 슬리브(4)를 설치하여 금속배관(1)과 나선관(2)의 연결상태에서 패킹부재의 밀폐관(34)을 지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와 나선관(2)이 연결된 상태에서 리테이너(5)를 나선관(2)에 결합시켜 상기 패킹부재의 일측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패킹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는 재질이 서로 다른 금속배관(1)과 나선관(2)을 상호 연결 접속시키도록 복수개의 접속부가 형성되며, 특히 나선관(2)을 패킹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체결 고정시키고 나선관(2)의 내주면을 밀폐관(34)에 밀착시키고 측면을 구획벽(31)에 밀착시킴으로써, 나선관(2)의 심재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미리 차단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금속배관(1)과 나선관(2)의 측면이 서로 면접되어 연결 접속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상기 금속배관(1)의 일부가 나선관(2)의 내부에 인입되도록 구성되고, 특히 상기 금속배관(1)과 나선관(2) 사이에 구비되는 밀폐관(34)에 의해 밀폐 지지함으로써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금속배관
2 : 나선관
3 : 패킹부재 몸체
31 : 구획벽
32 : 제1 접속부
33 : 제2 접속부
331 : 나선홈
34 : 밀폐관
35 : 접속홈
4 : 슬리브
5 : 리테이너

Claims (2)

  1.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배관(1)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나선관(2)을 상호 연결 접속시키는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에 있어서,
    패킹부재 몸체(3)의 내주면 중앙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획벽(31)에 의해 상기 금속배관(1)이 연결 접속되는 제1 접속부(32)와 상기 나선관(2)이 연결 접속되는 제2 접속부(33)로 각각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부(33)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구획벽(31)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제 2접속부(33) 측으로 밀폐관(34)이 수평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속부(33)의 내주면에 다수의 나선홈(3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33)의 내주면과 밀폐관(34) 사이에 형성된 접속홈(35)은 상기 나선관(2)의 두께와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
KR1020120119157A 2012-10-25 2012-10-25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 KR20140052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57A KR20140052712A (ko) 2012-10-25 2012-10-25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157A KR20140052712A (ko) 2012-10-25 2012-10-25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12A true KR20140052712A (ko) 2014-05-07

Family

ID=5088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157A KR20140052712A (ko) 2012-10-25 2012-10-25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7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2856C9 (ru) Фитинг для системы защиты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330452B1 (ko) 배관연결용 플랜지
UA100130C2 (ru) Нарезное соединение, которое содержит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ин нарезной элемент с торцевой кромкой дл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трубы
PL2047169T5 (pl) Integralny zespół rury i łącznika z polimerowego materiału i sposób jego wytwarzania
US20090136286A1 (en) Entry Boot
US11448351B2 (en) Pipe coupling seal assembly
CN105518368A (zh) 双软管装置
CN102317668A (zh) 具有移动密封件的流体输送回路元件
KR101732065B1 (ko) 파이프 수밀용 패킹부재
US11002396B2 (en) Rigid entry fitting for flexible pipe
KR20180132318A (ko) 파이프 구조체
US10683957B2 (en) Pipe connecting joint
JPH09144969A (ja) 管接続用差し込み継手
KR20140052712A (ko) 이질재료 배관용 패킹부재
KR20180129145A (ko) 배관 밀봉용 충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조립체
KR101412600B1 (ko) 기밀 및 수밀 탐지기능을 구비한 하수관
KR101732074B1 (ko) 투명관체의 유격구조가 형성된 유체 공급관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KR20120001146A (ko) 누수 탐지관
US10161548B2 (en) Pipe coupler
JPH0545729B2 (ko)
KR20120001147A (ko) 복수의 씰링을 구비한 누수 탐지관
JP5819665B2 (ja) 多層管用継手
JP2009257544A (ja) 管継手保護カバー、及び管継手保護構造
KR200469324Y1 (ko) 튜브방수패킹이 구비된 합성수지 나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