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356A -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 Google Patents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356A
KR20140052356A KR1020120118381A KR20120118381A KR20140052356A KR 20140052356 A KR20140052356 A KR 20140052356A KR 1020120118381 A KR1020120118381 A KR 1020120118381A KR 20120118381 A KR20120118381 A KR 20120118381A KR 20140052356 A KR20140052356 A KR 20140052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haft
cylinder
outer circumferential
elastic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국현
Original Assignee
박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국현 filed Critical 박국현
Priority to KR102012011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356A/ko
Publication of KR2014005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각종 장치에 사용되는, 특히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감과 안정성을 높인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터치팁이 구비되어 있으며,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의 코어 샤프트; 상기 코어 샤프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하는, 속이 비어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의 탄성 실린더; 상기 탄성 실린더의 일측에 접촉하며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속이 비어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의 이동 실린더; 및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을 상하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 실린더를 상기 코어 샤프트의 일정한 지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TOUCH-PEN HAVING ADJUSTABLE CIRCUMFERENC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각종 장치에 사용되는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감과 안정성을 높인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노트북, 모니터 등에는 화면을 가볍게 터치하여 기기들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터치 신호의 감지 방식에 따라 크게 감압식 터치스크린과 정전식 터키스크린으로 나누어진다.
감압식 터치스크린은 여러 개의 층중에서 중간에 형성된 공기층이 터치에 의한 압력으로 맞닿으면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구동하는 방식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터치 신호의 인식률이 떨어지고 터치감이 둔하다는 단점이 있어 근래에는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인체 등에 흐르는 미세 전류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로 인식하고 구동하는 방식으로, 터치 신호의 인식률이 높으며 반응시간이 빠르고 터치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멀티 터치도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데,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터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터치펜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감압식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터치펜의 구조나 형태는 제한이 없고 내부에 전자 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굵기를 가늘게 형성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터치펜은 도전성 물질이 포함된 고무캡과 인체에 흐르는 미세 전류를 전도하기 위한 금속재질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특성상 굵기를 두껍게 형성할 수밖에 없어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감압식 터치펜이든 정전식 터치펜이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장치에 장착하는 등으로 터치펜을 휴대하기 위해서는 그 굵기를 가늘게 형성하는 것이 보통인데, 근래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터치펜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종래 고무캡과 금속성 몸체로 이루어지는 터치펜을 대신하여 가늘고 긴 몸체 내부에 전자 장치를 구비하여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터치펜도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터치펜과 같이 터치펜의 굵기를 가늘게 형성하는 경우 휴대성은 높아지지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립감이 떨어져서 사용감과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6621호는 접었을 때에는 두께가 얇은 구조이어서 각종 휴대용 장치에 장착하여 보관하기 용이하고, 펼치게 되면 두께가 커져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쥐고서 사용할 수 있는 터치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6621호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펜은 얇은 두께의 터치펜 내부에 여러 개의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복잡한 기계적 구조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여 실제로 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6621호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펜은 내부 공간이 각종 기계적 장치로 채워져 있어 근래 들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사용될 수 있는 정전식 터치펜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자 장치를 위한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종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터치펜에 있어서 그 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소에는 굵기를 가늘게 유지하여 각종 휴대 장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휴대성을 높이며 사용자가 터치펜을 사용하고자 하는 때에는 굵기를 두껍게 유지하여 손가락으로 단단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감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은, 일측에 터치팁이 구비되어 있으며,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의 코어 샤프트; 상기 코어 샤프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하는, 속이 비어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의 탄성 실린더; 상기 탄성 실린더의 일측에 접촉하며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속이 비어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의 이동 실린더; 및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을 상하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 실린더를 상기 코어 샤프트의 일정한 지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코어 샤프트의 내부는 각종 전자 장치가 구비될 수 있도록 중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실린더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확장슬릿을 형성하여 보다 용이하게 팽창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 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외피를 형성하고 있으며,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그립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 실린더의 외주면을 덮으며 장착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으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일측 절개부가 타측 절개부의 상면을 따라 진입하여 상하로 겹쳐져 있으며, 상기 탄성 실린더의 팽창에 의하여 둘레가 증가한 후 원래의 겹쳐진 형태로 수축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확장 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확장 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외피를 형성하고 있으며,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그립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 실린더의 타측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 샤프트의 타측과 접하며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이동 실린더의 타측에 삽입되며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의 상면에 형성되며 일측은 수직면을 이루고 있으며 타측은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있는 제1걸림턱과, 상기 탄성바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의 높이보다 낮으며 일측은 수직면을 이루고 있으며 타측은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있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이동 실린더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이 모두 돌출될 수 있는 제1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턱이 돌출될 수 있는 제2걸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 실린더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이동 실린더의 타측에 삽입된 부분에 횡 방향으로 형성된 내장홈과, 상기 내장홈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며 원판의 상면에 반구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이동 실린더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반구가 돌출될 수 있도록 걸림홀이 형성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상기 내장홈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장홈 각각에 상기 스프링과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태에 따라 터치펜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두께가 팽창할 수 있는 탄성 실린더를 이용하여 터치펜을 구성함으로써, 평소 휴대시에는 굵기가 가는 형태를 유지하여 휴대성이 높으며 사용시에는 굵기가 두꺼운 형태를 유지하여 사용감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비어있는 코어 샤프트를 이용하여 터치펜을 구성함으로써,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터치펜을 구현하는 경우에도 코어 샤프트의 내부 공간에 각종 전자 장치를 구비할 수 있어 정전식이든 감압식이든 상관없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구비한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구비한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실린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 실린더와 그립패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 실린더와 그립패드의 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구비한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은 일측에 터치팁(310)이 구비되어 있는 막대 형상의 코어 샤프트(300)와, 상기 코어 샤프트(300)의 일측 외주면에 장착되는 탄성 실린더(200)와, 상기 코어 샤프트(300)의 타측 외주면에 장착되는 이동 실린더(100)와, 상기 탄성 실린더(20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그립패드(230)와, 상기 이동 실린더(10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코어 샤프트(300)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터치펜의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 단면을 사각형으로 형성하거나 기타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사용하기 위한 터치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각종 전자 장치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샤프트(300)의 일측에는 터치스크린과 직접 접촉하는 터치팁(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팁(310)은 정전식 또는 감압식 방식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타 여러 가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코어 샤프트(300)의 일측 외주면에는 탄성 실린더(200)가 장착되는데, 상기 탄성 실린더(200)가 상기 코어 샤프트(300) 일측 바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 샤프트(300) 일측 단부 외주면을 따라 일정 높이의 단턱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코어 샤프트(300)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탄성 실린더(200)에 바로 인접하여 이동 실린더(100)가 장착되는데, 상기 이동 실린더(100)는 상기 코어 샤프트(300)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실린더(100)를 상기 코어 샤프트(300) 일측 방향으로 밀어 내리는 경우, 상기 이동 실린더(100)가 상기 탄성 실린더(200)에 길이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탄성 실린더(200)가 외측으로 팽창하게 된다.
상기 탄성 실린더(200)는 상기 이동 실린더(100)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길이 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면 외측으로 팽창하고 차후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여러 가지 재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탄성 실린더(200)를 구성하였는데, 상기 코어 샤프트(30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는 확장슬릿(210)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슬릿(210)은 상기 탄성 실린더(200)가 길이 방향으로 압력을 받을 때 틈이 벌어지면서 인접한 상기 확장 슬릿 사이의 상기 탄성 실린더(200) 각 부분의 중심부가 외측으로 상승하면서 전체적인 둘레가 팽창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 실린더(100)의 타측에는 이동 실린더(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400)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턱과 걸림홈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즉, 상기 고정부재(400)를 상기 코어 샤프트(300)와 접하여 상기 고정부재(4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바(440)와 상기 코어 샤프트(300)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바(43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탄성바(430)의 상면에 각각 제1걸림턱(410)과 제2걸림턱(420)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1걸림턱(410)과 제2걸림턱(420)은 상기 코어샤프트의 일측을 바라보는 하부측은 수직면을 형성하고 있고 반대쪽 상부측은 완만한 곡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제2걸림턱(420)은 상기 제1걸림턱(410)에 비하여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 실린더(100)의 타측 외주면에는 제1걸림홈(110)과 제2걸림홈(1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걸림홈(110)은 상기 제1걸림턱(410)과 제2걸림턱(420)이 모두 돌출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걸림홈(120)은 상기 제2걸림턱(420)만이 돌출될 수 있도록 작은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도 2(a)에 보이는 바와 갈이 상기 이동 실린더(100)의 제1걸림홈(110) 하부에 제1걸림턱(410)이, 제2걸림홈(120)에는 제2걸림턱(420)이 위치하여 있으며, 도 2(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실린더(1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걸림홈(110)에 상기 제1걸림턱(410)과 제2걸림턱(420)이 모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걸림턱(410)과 제2걸림턱(420)이 모두 상기 제1걸림홈(110)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턱(410)을 누르게 되면, 상기 탄성 실린더(20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 실린더(100)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 다시 도 2(a)와 같은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 샤프트(300)와 고정부재(400)가 분리되어 개별적인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코어 샤프트(300)와 고정부재(400)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400)의 다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이동 실린더(1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실린더(10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외주면을 가지는 원형의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횡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내장홈(4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장홈(450)에는 스프링(470)과 원판의 상면에 반구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460)가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이동 실린더(100)에는 상기 걸림돌기(460)의 반구가 돌출될 수 있되 상기 걸림돌기(460)의 원판은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걸림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도 3(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홀(130)이 상기 내장홈(45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돌기(460)가 상기 이동 실린더(100)의 내주면에 막혀 돌출되지 않게 되며, 도 3(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실린더(10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걸림홀(130)과 내장홈(450)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460)가 상기 걸림홀(130)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이동 실린더(1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460)가 상기 걸림홀(130)을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460)를 누르게 되면 상기 탄성 실린더(20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 실린더(100)가 상부로 밀려 올라가 다시 도 3(a)와 같은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코어 샤프트(300)와 고정부재(400)가 분리되어 개별적인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코어 샤프트(300)와 고정부재(400)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내장홈(450)을 상기 고정부재(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2개 이상 형성하고, 각각의 내장홈(450)에 상기 걸림돌기(460)와 스프링(470)을 장착하여 상기 이동 실린더(100)의 위치를 다각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 실린더(200)가 외측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적당한 두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 실린더(200)의 외주면에는 고무와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는 그립패드(23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였을 때 사용감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
아울러,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실린더(200)의 외주면에 확장 실린더(220)를 더 구비하여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부분이 원통 형태를 유지하면서 팽창과 수축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확장 실린더(220)는 여러 형태로 형성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측 절개부와 하측 절개부가 상하로 교차 진입하여 겹쳐져 있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평상시에는 도 4(a)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 실린더(220)는 내측으로 수축하려는 힘을 가지고 상기 탄성 실린더(200)를 압박하고 있거나, 상측 절개부와 하측 절개부가 일정 부분 겹쳐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을 가지고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 실린더(100)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탄성 실린더(200)가 팽창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 4(b)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 실린더(220)는 상기 탄성 실린더(200)로부터 팽창력을 전달받아 상측 절개부와 하측 절개부가 이동하면서 확장되어 전체적으로 둘레가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 상기 이동 실린더(10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탄성 실린더(200)에 가해지는 횡 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 실린더(200)는 수축하고 되고 상기 확장 실린더(220)에 가해지는 팽창력도 사라져 다시 도 4(a) 및 도 5(a)와 같은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확장 실린더(220)의 절개면은 수직면으로 형성하는 것보다는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절개면의 상단면 쪽이 상측 절개부가 되고 하단면 쪽이 하측 절개부가 되어 절개면이 만났을 때 자연스럽게 상측 절개부가 상부로, 하측 절개부가 하부로 각각 들어가서 전체적으로 수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확장 실린더(220)의 외주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그립패드(230)를 형성하여 사용감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확장 실린더(220)의 다른 실시예게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 실린더(220)는 단면이 원형이 아니라 팔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즉, 평상시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 실린더(220)의 절개된 2개의 변이 겹쳐져 있어 칠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상기 탄성 실린더(200)가 팽창하게 되는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이 이루고 있는 각도가 증가하면서 절개된 2변이 맞닿게 되어 팔각형 형태로 확장하게 되고 전체적인 둘레가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확장 실린더(220)의 외주면에 상기 그립패드(230)를 형성하여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이동 실린더
110 - 제1걸림홈 120 - 제2걸림홈
130 - 걸림홀
200 - 탄성 실린더
210 - 확장슬릿 220 - 확장 실린더
230 - 그립패드
300 - 코어 샤프트 310 - 터치팁
400 - 고정부재
410 - 제1걸림턱 420 - 제2걸림턱
430 - 탄성바 440 - 지지바
450 - 내장홈 460 - 걸림돌기
470 - 스프링

Claims (9)

  1. 일측에 터치팁이 구비되어 있으며,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의 코어 샤프트;
    상기 코어 샤프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하는, 속이 비어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의 탄성 실린더;
    상기 탄성 실린더의 일측에 접촉하며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속이 비어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의 이동 실린더; 및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면을 상하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 실린더를 상기 코어 샤프트의 일정한 지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샤프트의 내부는 각종 전자 장치가 구비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린더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확장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외피를 형성하고 있으며,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그립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린더의 외주면을 덮으며 장착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을 이루고 있으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일측 절개부가 타측 절개부의 상면을 따라 진입하여 상하로 겹쳐져 있으며, 상기 탄성 실린더의 팽창에 의하여 둘레가 증가한 후 원래의 겹쳐진 형태로 수축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확장 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확장 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외피를 형성하고 있으며,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그립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 실린더의 타측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 샤프트의 타측과 접하며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이동 실린더의 타측에 삽입되며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바와, 상기 탄성바의 상면에 형성되며 일측은 수직면을 이루고 있으며 타측은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있는 제1걸림턱과, 상기 탄성바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의 높이보다 낮으며 일측은 수직면을 이루고 있으며 타측은 완만한 곡면을 이루고 있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 실린더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이 모두 돌출될 수 있는 제1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턱이 돌출될 수 있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 실린더의 타측에 삽입된 부분에 횡 방향으로 형성된 내장홈과, 상기 내장홈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며 원판의 상면에 반구가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 실린더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반구가돌출될 수 있도록 걸림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상기 내장홈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장홈 각각에 상기 스프링과 걸림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KR1020120118381A 2012-10-24 2012-10-24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KR20140052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81A KR20140052356A (ko) 2012-10-24 2012-10-24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81A KR20140052356A (ko) 2012-10-24 2012-10-24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356A true KR20140052356A (ko) 2014-05-07

Family

ID=5088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381A KR20140052356A (ko) 2012-10-24 2012-10-24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3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29B1 (ko) * 2017-08-11 2019-02-12 임경해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KR20190130270A (ko) * 2018-05-14 2019-11-22 이재훈 개선된 터치스크린용 펜
KR102159278B1 (ko) * 2019-08-27 2020-09-23 주식회사 뉴로공간 집게형 멀티 터치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029B1 (ko) * 2017-08-11 2019-02-12 임경해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KR20190130270A (ko) * 2018-05-14 2019-11-22 이재훈 개선된 터치스크린용 펜
KR102159278B1 (ko) * 2019-08-27 2020-09-23 주식회사 뉴로공간 집게형 멀티 터치펜
WO2021040326A1 (ko) * 2019-08-27 2021-03-04 주식회사 뉴로공간 집게형 멀티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0867B2 (en)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a method for removing a stylus therefrom and a method for making a case for a tablet shaped device
US9116560B1 (en) Touch pen with haptic feedback
TWI524251B (zh) 電容式手指導航模組及其製作方法
KR20140052356A (ko) 굵기 조절이 가능한 터치펜
KR20170005019A (ko) 전자 장치
JP2008517734A5 (ko)
KR101234453B1 (ko) 스타일러스 터치펜
KR100996664B1 (ko) 고정형 마우스
US20120327043A1 (en) Stylus capable of being applied in various touch panels
CN103869880B (zh) 电子设备及其键盘
EP3068629B1 (en) Writing device, particularly capacitive pencil, for affixing graphic signs such as drawings and writings of various kind with variable inclinations on to tactile screens or touch screens
CN103561965A (zh)
US10517369B2 (en) Draw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rawing apparatus
KR20170028961A (ko) 위치 지시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2940A (ko) 터치 펜
KR200473019Y1 (ko)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20170153721A1 (en) Active stylus
KR101639526B1 (ko) 지압바가 부착된 의자
KR101045680B1 (ko) 정전기식 스타일러스
WO2014016453A1 (es) Tira capacitiva, un dispositivo para interactuar con pantallas tactiles capacitivas
CN208655471U (zh) 一种按键结构
KR101136096B1 (ko) 가상 키보드의 키버튼 구분장치
CN110851002A (zh) 一种电容触摸式电磁笔及其使用方法
KR20140115081A (ko) 정전식 터치펜
CN209916088U (zh) 一种眼睑撑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