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220A -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220A
KR20140052220A KR1020120117818A KR20120117818A KR20140052220A KR 20140052220 A KR20140052220 A KR 20140052220A KR 1020120117818 A KR1020120117818 A KR 1020120117818A KR 20120117818 A KR20120117818 A KR 20120117818A KR 20140052220 A KR20140052220 A KR 20140052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call signal
call
signal ev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정
Original Assignee
윤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정 filed Critical 윤현정
Priority to KR102012011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220A/ko
Publication of KR2014005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04M3/4878Advertisement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 상태에 따른 광고 화면 노출 시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상태에 따른 본연의 통화 기능인 각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다이나믹하게 배치하여 본연의 통화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 등을 제어함으로써, 광고의 효율성 및 고객(이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광고 장치에 있어서,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노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및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Advertisement Apparatus Using Display and Application Controlling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를 통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상태에 따른 광고 화면 노출 시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상태에 따른 본연의 통화 기능인 각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다이나믹하게 배치하여 본연의 통화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 등을 조정함으로써, 광고의 효율성 및 고객(이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의 일예로 스마트폰(Smart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통화 대기 시간 등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영상 또는 이미지 등으로 이루어진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공개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종래기술은 스마트폰의 통화 발신 대기 상태에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단말기가 스마트폰 운영체제를 통하여 통화 발신시도를 감시하여, 발신시도가 있으면 통화 발신 대기 상태에 스마트폰 광고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구동된 스마트폰 광고 응용프로그램이 광고를 표시할 수 있게 하며, 이 광고에서 상품을 구매하거나 상품의 세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스마트폰 단말기에서 스마트폰 광고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이용자가 광고를 볼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선호하는 광고 분야를 선택하도록 하여, 원하는 광고만을 볼 수 있게 하며, 이용자의 성별, 연령, 지역, 직업의 정보를 입력받아 광고주가 선호하는 이용자층을 선택하여 광고를 집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용자가 광고를 조회한 횟수와 시간, 광고에서 상품 구매 페이지나 세부 정보 페이지로 이동한 횟수를 계산하여, 점수로 환산하고 이 점수는 스마트폰의 유료 응용프로그램을 구매하거나 기타 다른 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이버머니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2 종래기술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사용자 및 서비스 컨텍스트 정보 기반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무선인터넷 대비 가입자의 서비스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화면을 보다 효과적인 광고 매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유무선 인터넷에서 대기화면서비스 및 부가광고를 신청하고, 신청 시 사용자의 선택과 사용자 및 대기화면서비스 단위로 수집된 관련 컨텍스트 정보 기반으로 대기화면서비스 내 개별화된 부가광고를 제공하며, 대기화면서비스 내 부가광고에 대한 양방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통한 실시간 대화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대기화면 내 세부적인 부가광고 노출방법은 대기화면 전체화면 영상광고, 대기화면서비스 내 키워드 광고, 대기화면서비스 내 컨텐츠 광고, 대기화면서비스 가입자 대상 설문 광고, 사용자 체험 광고, 대기화면서비스 내 배너 광고 등이 있다.
그리고 제 3 종래기술은 전화 통화 대기시간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형태의 광고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가 소정 사용자에게 전화를 걸게 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특징에 따라 통화대기 시간에 멀티미디어 형태의 광고정보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가 소정 사용자에게 전화를 걸게 되는 경우 다양한 CM송 및 소정 정보(매장 위치 약도 등)를 통화대기 시간에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에게 비용대비 거의 100% 해당하는 높은 도달율을 가진 광고효과를 제공하며, 전화사용자에게는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통신 사업자에게는 부가 광고사업 및 사업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광고정보 데이터베이스(DB)의 멀티미디어 형태의 광고정보는, 성별, 연령대별, 시간대별, 위치별로 1차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1차 분류된 멀티미디어 형태의 광고정보는 카테고리별로 2차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광고 화면 노출 시 수신거부, 다이얼, 스피커폰, 녹음기, 음소거, 수/발신 정보, 및 통화 종료 버튼 등과 같은 각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그에 따라 이용자가 본연의 통화 기능을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단순히 통화 대기 상태에 따라 단순한 형태의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각종 광고 영역과 각 영역별로 차별화된 광고 화면을 동적으로 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 상태에 따른 광고 화면 노출 시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상태에 따른 본연의 통화 기능인 각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다이나믹하게 배치하여 본연의 통화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 등을 제어함으로써, 광고의 효율성 및 고객(이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통화 대기 상태에 따른 광고 노출 방식과 달리, 통화 대기 광고 영역, 통화 중 광고 영역, 통화 종료 광고 영역, 잠금/잠금해제 광고 영역, 및 벨소리 광고 영역 등의 다양한 각종 광고 영역으로 광고 영역을 확장하고, 다양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광고 노출 화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System Application), 및 광고 컨텐츠를 분리 제어(Control)하여 다이나믹한 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광고 노출 방식을 생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광고 장치에 있어서,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노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및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를 감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기 위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잠금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통화 정보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통화 정보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광고 방법에 있어서,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는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노출 화면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단계; 및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단계의 제어에 따라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를 감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호출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잠금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는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통화 정보의 재배치를 제어하는 통화 정보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광고 장치에,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는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노출 화면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단계; 및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단계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단계의 제어에 따라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를 감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호출 단계를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잠금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는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 단계를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통화 정보의 재배치를 제어하는 통화 정보 제어 단계를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통화 상태에 따른 광고 화면 노출 시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상태에 따른 본연의 통화 기능인 각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다이나믹하게 배치하여 본연의 통화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 등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라 광고의 효율성 및 고객(이용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통화 대기 상태에 따른 광고 노출 방식과 달리, 통화 대기 광고 영역, 통화 중 광고 영역, 통화 종료 광고 영역, 잠금/잠금해제 광고 영역, 및 벨소리 광고 영역 등의 다양한 각종 광고 영역으로 광고 영역을 확장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광고 노출 화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System Application), 및 광고 컨텐츠를 분리하여 제어함으로써, 다이나믹한 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광고 노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주가 저렴한 비용으로 특정 타겟층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는 관심이 있는 광고 영역에 대하여 기 정해진 방식으로 광고를 보면서 수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일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버 및 단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위한 일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상세 설명을 위한 일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정보 등록 및 광고 노출 기록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및 광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상태 화면 광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화면 광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벨소리 광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의 일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는,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예 : 스마트폰),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망, 인터넷,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여 방화벽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해주는 DMZ(demiliterization zone), 및 광고 서비스를 위한 각종 서버가 위치하는 내부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네트워크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단말 장치(예 : 스마트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광고 플랫폼 어플리케이션(Mobile Advertisement Platform Application)이 탑재되어 수행되고, 내부망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 관리 기능, 제어 기능, 및 빌링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서버(예 : 인증 서버,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컨텐츠 관리 시스템 서버 등)와 데이터베이스가 위치하고 있다.
이때, 모바일 광고 플랫폼 어플리케이션(Mobile Advertisement Platform Application)은 단말 장치가 구글 스토어나 애플의 앱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또는 서버 측으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또 다른 방식(배포 등)으로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버 및 단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버 및 단말 장치는, 크게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자 환경을 제공하는 서버(22), 광고주가 자발적으로 광고 유형을 선택하고, 광고 결과를 조회하며, 과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Client Application)을 탑재하고 있는 광고주 단말 장치(21), 및 각종 광고를 시청하는 대가(예 : 포인트, 사이버머니 등)를 지급받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4, User Application)과 공지의 스마트폰 운영 체계(25)를 탑재하고 있는 수/발신 단말 장치(23, 스마트폰)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22)의 운영자 환경은 데이터 계층으로 컨텐츠(Contents) 데이터, 개인 정보 데이터, 고객 분석 통계 데이터, 빌링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컨텐츠(Contents) 관리, 개인 정보 관리, 고객 관리, 빌링 관리 기능 등을 포함하며,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계층으로 운영자 화면과 통계 분석 화면 등을 포함하고, 그 외에 보안 기능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광고주 단말 장치(21)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광고주에게 광고 등록 화면, 광고 조회 화면, 및 통계 조회 화면 등을 제공한다.
그리고 수/발신 단말 장치(23, 스마트폰)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4, 모바일 광고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통화 화면 광고(수신 화면 광고, 발신 화면 광고, 통화 중 화면 광고, 통화 종료 화면 광고), 벨소리 광고(벨소리를 광고 음원으로 변경), 잠금 화면 광고(잠금 화면 자체가 광고 이미지), 잠금 해제 화면 광고(잠금 화면 해제 시 광고 이미지), 및 하이퍼텍스트(인터랙티브) 광고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양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발신 단말 장치(23, 스마트폰)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4)은 스마트폰 운영 체계(25)와 연동하여 음성통화 발신, 음성통화 수신, 음성통화 중, 음성통화 종료, 영상통화 발신, 영상통화 수신, 영상통화 중, 및 영상통화 종료 등과 같은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 외에도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운영 체계와 연동하여 통화 시작, 다이얼, 전화부, 통화 거절, 음소거, 스피커폰, 통화 종료, 녹음기, 및 메시지 등과 같은 통화 중 어플리케이션 호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전화받기, 수신 거절, 수신 거절 메시지, 및 통화 종료 등과 같은 통화 기능을 제어한다.
그리고 사용자 어플리케이션(24)은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능, 컨텐츠 제어 기능, 광고 저장부, 개인 프로파일(My Profile), 개인 빌링(My Billing), 커피규레이션(Configuration),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빌링 데이터베이스 등을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광고 노출)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상세 설명을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는,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노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32, Display Controller),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3, Application Controller), 및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 제어부(34, Contents Controller)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고 장치는, 잠금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부(3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광고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기 위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부(36)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광고 장치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통화 정보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통화 정보 제어부(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 요소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는, 스마트폰 운영 체계와 연동하여 음성통화 발신, 음성통화 수신, 음성통화 중, 음성통화 종료, 영상통화 발신, 영상통화 수신, 영상통화 중, 및 영상통화 종료 등과 같은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한 후에 그 확인 결과(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를 디스플레이 제어부(32),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3), 및 컨텐츠 제어부(34)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32)는 디스플레이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 등을 제어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제어부(32)는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화면 레이아웃의 종류를 결정한다. 이때, 화면 레이아웃의 종류로는 음성통화 발신 화면, 음성통화 수신 화면, 음성통화 중 화면, 음성통화 종료 화면, 영상통화 발신 화면, 영상통화 수신 화면, 영상통화 중 화면, 및 영상통화 종료 화면 등이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제어부(32)는 결정된 화면 레이아웃의 종류에 따라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광고 노출 위치는 전체 화면 중 상단 위치, 중단 위치, 또는 하단 위치로 결정하고, 광고 화면 사이즈는 전체 화면 사이즈의 2/3 크기, 3/4 크기, 또는 4/5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는 화면 레이아웃의 종류에 따라 미리 매칭시켜 저장해 두었다가 화면 레이아웃의 종류가 결정되면 상응하는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를 바로 읽어오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발신 화면에 대해서는 광고 노출 위치는 상단 위치, 광고 화면 사이즈는 전체 화면 사이즈의 3/4 크기로 미리 결정하여 저장해 둔 후에, 화면 레이아웃의 종류가 음성통화 발신 화면으로 결정되면 기 저장된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를 확인하여 광고 노출 위치를 상단 위치로, 광고 화면 사이즈를 전체 화면 사이즈의 3/4 크기로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3)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상태에 따른 본연의 통화 기능인 각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다이나믹하게 재배치하여 본연의 통화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3)는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재배치해야 할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결정한다. 이때,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로는 음성통화 발신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App. UI), 음성통화 수신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 음성통화 중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 음성통화 종료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 영상통화 발신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 영상통화 수신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 영상통화 중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 및 영상통화 종료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 등이 있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3)는 결정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해당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다이나믹하게 재배치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재배치 위치는 전체 화면 중 상단 위치, 중단 위치, 또는 하단 위치로 결정하고,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재배치 화면 사이즈는 전체 화면 사이즈의 1/3 크기, 1/4 크기, 또는 1/5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재배치 위치 및 재배치 화면 사이즈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미리 매칭시켜 저장해 두었다가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가 결정되면 상응하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재배치 위치 및 재배치 화면 사이즈를 바로 읽어오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발신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App. UI)에 대해서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재배치 위치는 하단 위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재배치 화면 사이즈는 전체 화면 사이즈의 1/4 크기로 미리 결정하여 저장해 둔 후에,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가 음성통화 발신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App. UI)로 결정되면 기 저장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재배치 위치 및 재배치 화면 사이즈를 확인하여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재배치 위치를 하단 위치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재배치 화면 사이즈를 전체 화면 사이즈의 1/4 크기로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어부(34)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고, 부가적으로 상기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부(35)로부터의 잠금 해제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컨텐츠 제어부(34)는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노출해야 할 광고 컨텐츠의 종류를 결정한다. 이때, 광고 컨텐츠의 종류로는 발신 대기 광고, 수신 대기 광고, 통화 중 광고, 통화 종료 광고, 및 벨소리 광고 등을 광고 컨텐츠가 있다. 이후, 컨텐츠 제어부(34)는 결정된 광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해당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 음성통화 발신 이벤트를 전달받은 경우 발신 대기 광고를 위한 광고 컨텐츠를 결정하고 해당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각 광고 컨텐츠는 미리 단말 장치(예 : 스마트폰)의 광고 저장부에 광고 컨텐츠의 종류와 매칭시켜 저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텐츠 제어부(34)는 상기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부(35)로부터 전달받은 잠금 해제 이벤트에 따라 잠금 해제 광고를 위한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부(35)는, 스마트폰 운영 체계와 연동하여 잠금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고, 잠금 해제 이벤트의 감지 결과를 컨텐츠 제어부(34)로 전달한다.
그리고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부(36)는 광고 노출을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예를 들어 화면 하단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면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하여 그 확인 결과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 여기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로는 통화 시작, 다이얼, 전화부, 통화 거절, 음소거, 스피커폰, 통화 종료, 녹음기, 및 메시지 등이 있다.
그리고 통화 정보 제어부(37)는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신호 이벤트(예: 음성통화 중 이벤트, 영상통화 중 이벤트 등)에 따라 스마트폰 운영 체계로 통화 정보(예 : 통화 상대방 이름, 통화 상대방 전화번호 등)를 요청하여 전달받으면 해당 통화 정보가 기 정해진 위치에 디스플레이(재배치)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화 정보 제어부(37)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31)로부터 음성통화 중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중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스마트폰 운영 체계로 해당하는 통화 정보(예 : 통화 상대방 이름, 통화 상대방 전화번호 등)를 요청하고 그에 따라 스마트폰 운영 체계로부터 통화 정보를 전달받은 후에, 전달받은 통화 정보(예 : 텍스트 형태의 통화 상대방 이름, 통화 상대방 전화번호 등)가 부가적으로 구비된 별도의 통화 정보 노출 화면(예 : 광고 노출 화면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노출 화면 사이 또는 광고 노출 화면 상단 또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노출 화면 하단에 위치할 수 있음)에 디스플레이(재배치)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통화 정보가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별도의 통화 정보 노출 화면이 아닌 광고 노출 화면 상이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노출 화면 상의 기 정해진 위치에 디스플레이(재배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통화 대기 광고 영역, 통화 중 광고 영역, 통화 종료 광고 영역, 잠금/잠금해제 광고 영역, 및 벨소리 광고 영역 등의 다양한 각종 광고 영역으로 광고 영역을 확장하고, 각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광고 노출 화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System Application), 및 광고 컨텐츠를 분리 제어(Control)하여 다이나믹한 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광고 노출 방식을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전체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 장치의 스마트폰 운영 체계는 전원이 온(ON)되면(401) 광고 응용 프로그램(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동을 요청한다(402). 그에 따라, 광고 응용 프로그램이 시작되어(403), 광고 서버로 최신 광고 정보의 업데이트를 요청한다(404). 그에 따라, 광고 서버는 개인 정보와 매칭된 광고 컨텐츠를 광고 응용 프로그램으로 다운로드하여 준다(405). 그러면,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다운로드받은 광고 컨텐츠를 저장한다(406). 여기서, 광고 서버는 개인별로 광고 컨텐츠를 관리하고, 개인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한편,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통화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407) 통화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종료하거나 잠금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420)으로 진행하고, 통화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마트폰 운영 체계로 이를 통보하며, 그에 따라 스마트폰 운영 체계는 이벤트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408). 이러한 이벤트 대기 상태에서 통화 신호가 감지되면(409) 스마트폰 운영 체계는 통화 신호 이벤트를 광고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달한다(410).
그러면,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여 그 종류를 확인하여(411), 음성통화 수신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수신 이벤트이면 수신 화면(수신 대기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노출시키고(412), 음성통화 발신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발신 이벤트이면 발신 화면(발신 대기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노출시키며(413), 음성통화 중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중 이벤트이면 통화 중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노출시키고(414), 음성통화 종료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종료 이벤트이면 통화 종료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노출시킨다(415).
이후,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있는지를 확인하여(416)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없으면 종료하거나 잠금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420)으로 진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있으면 해당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인터랙티브 광고를 노출시킨다(417).
한편,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가 음성통화 수신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수신 이벤트이면 수신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노출시키는 과정(412)으로 진행함과 함께, 벨소리 광고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418) 벨소리 광고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412" 과정만 수행하고, 벨소리 광고가 설정되어 있으면 "412" 과정을 수행함과 함께 벨소리 광고를 수행한다(419).
한편, 잠금 상태인 경우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잠금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420) 잠금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종료하거나 잠금 화면 해제 이벤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고, 잠금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으면 잠금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노출시킨다(421).
한편, 스마트폰 운영 체계는 잠금 화면 해제가 감지되면(422) 잠금 화면 해제 이벤트를 광고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달한다(423). 그에 따라,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잠금 화면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면 잠금 해제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424) 잠금 해제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종료하거나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잠금 해제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으면 잠금 해제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노출시킨다(425).
이후,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있는지를 확인하여(426)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없으면 종료하거나 통화 신호 이벤트가 감지되는지 확인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있으면 해당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인터랙티브 광고를 노출시킨다(427).
전술한 바와 같이 광고가 노출되면,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노출 광고에 대한 빌링을 수행한다(428). 예를 들어,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광고 서버로 광고 횟수 및 광고 조회 시간 등을 전달하고(429), 광고 서버는 그에 대한 점수(또는 포인트)를 계산하여 광고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달한다(430). 그리고 광고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광고 서버로 사이버머니 전환을 요청하면(431), 광고 서버는 점수(또는 포인트)를 사이버머니로 전환하여 광고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달한다(43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정보 등록 및 광고 노출 기록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고객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에 개인 정보(Profile)를 등록한다(501). 그러면, 고객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는 연령, 성별, 지역, 관심 분야 등에 따라 개인별로 고객 프로파일을 관리한다.
그리고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고객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고객 프로파일에 따라 그 고객에게 맞는 광고 컨텐츠를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한다(502).
그리고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광고 노출이 있으면 빌링을 위하여 광고 노출 횟수, 광고 노출 시간 등을 통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503).
그리고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통계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광고 서버로 사이버머니 적립 또는 전환을 요청하고(504), 그에 따라 광고 서버로부터 사이버머니 적립 또는 전환 결과를 수신한다(50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및 광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스마트폰 운영 체계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가 감지되면(601)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한다(602).
상기 확인 결과(602),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가 음성통화 수신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수신 이벤트 또는 음성통화 발신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발신 이벤트와 같은 수신 또는 발신관련 이벤트이면 수신 또는 발신 화면(수신 또는 발신 대기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서 노출시키고(603) 광고 노출 기록 과정(608)으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 결과(602),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가 음성통화 중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중 이벤트이면 통화 중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서 노출시키고(604) 광고 노출 기록 과정(608)으로 진행한다.
상기 확인 결과(602),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가 음성통화 종료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종료 이벤트이면 통화 종료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서 노출시킨다(605).
이후,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있는지를 확인하여(606)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없으면 광고 노출 기록 과정(608)으로 진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있으면 해당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인터랙티브 광고를 노출시키고(607) 광고 노출 결과(광고 노출 횟수, 광고 노출 시간 등)를 개인별 통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608).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상태 화면 광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현재 상태가 잠금 상태인 경우 개인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잠금 화면 광고(잠금 대기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701).
상기 확인 결과(701), 잠금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리턴하고, 잠금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으면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잠금 화면(잠금 대기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서 노출시키고(702) 광고 노출 결과(광고 노출 횟수, 광고 노출 시간 등)를 개인별 통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703).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화면 광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스마트폰 운영 체계로부터의 잠금 화면 해제 이벤트가 감지되면(801) 개인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잠금 해제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802).
상기 확인 결과(802), 잠금 해제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리턴하고, 잠금 해제 화면 광고가 설정되어 있으면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잠금 해제 화면에 상응하는 광고를 광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서 노출시킨다(804).
이후,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있는지를 확인하여(804)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없으면 광고 노출 기록 과정(806)으로 진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인터랙티브 광고 호출이 있으면 해당 웹사이트로 이동하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인터랙티브 광고를 노출시키고(805) 광고 노출 결과(광고 노출 횟수, 광고 노출 시간 등)를 개인별 통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806).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벨소리 광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광고 응용 프로그램은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가 음성통화 수신 이벤트 또는 영상통화 수신 이벤트이면, 즉 수신 이벤트가 감지되면(901) 개인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벨소리 광고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902).
상기 확인 결과(902), 벨소리 광고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미디어 사운드를 음소거하고 벨소리를 재생하며(905), 벨소리 광고가 설정되어 있으면 벨소리 사운드를 음소거하고 미디어 음향(광고 음향)을 재생한 후에(903) 광고 노출 결과(광고 노출 횟수, 광고 노출 시간 등)를 개인별 통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904).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통화 상태에 따른 광고와 잠금 화면 설정에 따른 광고, 벨소리 광고, 및 인터랙티브 광고 등 다양한 광고를 사용자 선호 환경에 맞게 선택하도록 하며, 또한 기존의 단순 문자나 이미지 광고를 다양한 멀티미디어(동영상, 이미지, 음원 등) 형태의 광고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는 다양한 이벤트(통화 화면 광고, 벨소리 광고, 잠금 화면 광고 등), 디스플레이 방식, 광고 화면 제어 방식을 상호 연결하여 조합하여, 대상에 따라 차별화되고 세분화된 광고를 진행하고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최소의 금액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와 광고주 모두 광고 방식을 자유로이 선택함으로써 불필요하고 강제적인 광고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고객)를 대상으로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송출함으로써 개인 광고가 가능하다. 또한, GPS 등을 이용하여 위치 기반 광고(예 : 현재 위치의 인근 음식점, 이벤트 등의 정보 광고)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1 :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 32 : 디스플레이 제어부
33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34 : 컨텐츠 제어부
35 :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부 36 :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부

Claims (28)

  1. 광고 장치에 있어서,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노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및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컨텐츠 제어부
    를 포함하는 광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를 감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기 위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부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어플리케이션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전체 화면 중 기 설정된 일부 화면에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광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잠금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부는,
    단말 장치의 운영 체계와 연동하여 잠금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고, 잠금 해제 이벤트의 감지 결과를 상기 컨텐츠 제어부로 전달하는, 광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상기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잠금 해제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광고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의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통화 정보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통화 정보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정보 제어부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단말 장치의 운영 체계로 통화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으면 해당 통화 정보가 기 정해진 위치에 디스플레이(재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광고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는,
    단말 장치의 운영 체계와 연동하여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한 후에 상기 확인된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및 상기 컨텐츠 제어부로 전달하는, 광고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화면 레이아웃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화면 레이아웃의 종류에 따라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를 제어하는, 광고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재배치해야 할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해당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재배치하는, 광고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노출해야 할 광고 컨텐츠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광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해당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광고 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장치는,
    통화 대기 광고, 통화 중 광고, 통화 종료 광고, 잠금 화면 광고, 잠금 해제 화면 광고, 벨소리 광고, 및 인터랙티브 광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광고 장치.
  14. 광고 방법에 있어서,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는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노출 화면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단계; 및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단계의 제어에 따라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를 감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호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잠금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는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 단계는,
    단말 장치의 운영 체계와 연동하여 잠금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고, 잠금 해제 이벤트의 감지 결과를 상기 컨텐츠 제어 단계로 전달하며,
    상기 컨텐츠 제어 단계는,
    상기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잠금 해제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광고 방법.
  18.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통화 정보의 재배치를 제어하는 통화 정보 제어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정보 제어 단계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단말 장치의 운영 체계로 통화 정보를 요청하여 전달받으면 해당 통화 정보가 기 정해진 위치에 디스플레이(재배치)되도록 제어하는, 광고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는,
    단말 장치의 운영 체계와 연동하여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된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를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어 단계로 전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광고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광고를 노출하기 위한 화면 레이아웃의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화면 레이아웃의 종류에 따라 광고 노출 위치 및 광고 화면 사이즈를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광고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단계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재배치해야 할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해당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재배치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광고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 단계는,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노출해야 할 광고 컨텐츠의 종류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광고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해당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광고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방법은,
    통화 대기 광고, 통화 중 광고, 통화 종료 광고, 잠금 화면 광고, 잠금 해제 화면 광고, 벨소리 광고, 및 인터랙티브 광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광고 방법.
  25. 프로세서를 구비한 광고 장치에,
    통화 신호 이벤트를 감지하는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노출 화면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배치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단계; 및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상응하는 광고 컨텐츠가 상기 광고 노출 화면에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 단계
    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 단계의 제어에 따라 배치되어, 어플리케이션 호출 이벤트를 감지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호출 단계
    를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잠금 해제 이벤트를 감지하는 잠금 해제 이벤트 감지 단계
    를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8. 제 2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신호 이벤트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통화 신호 이벤트에 따라 통화 정보의 재배치를 제어하는 통화 정보 제어 단계
    를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117818A 2012-10-23 2012-10-23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52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818A KR20140052220A (ko) 2012-10-23 2012-10-23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818A KR20140052220A (ko) 2012-10-23 2012-10-23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220A true KR20140052220A (ko) 2014-05-07

Family

ID=5088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818A KR20140052220A (ko) 2012-10-23 2012-10-23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2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150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티피코리아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150A (ko) * 2017-06-05 2018-12-13 주식회사 티피코리아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4080B2 (en) Call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7953211B2 (en) Automated ringback update system
US8890927B2 (en) Visual telephon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140002379A (ko) 전자 장치를 위한 인터넷 기반 ars 시스템 및 방법
JP2016102968A (ja) 広告管理装置及び情報通信端末用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エア
CN106572270B (zh) 来电附加信息的呈现方法、系统、附加信息平台及客户端
US20130094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al tone and a ring tone
US8451992B2 (en) Multimedia call platform
US201202955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a media file and targeted advertisements upon receipt of a phone call
KR100966704B1 (ko) 광고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
CA24889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outing requests
KR20140052220A (ko) 디스플레이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 장치 및 그 방법
CN102870439A (zh) 数字音乐的获取方法及装置
US20160156784A1 (en) Dynamic telephone number allocation management
KR20120024296A (ko) 착신번호를 이용한 타겟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30032027A (ko)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휴대 단말기
US20160150080A1 (en) A url transmission system and means thereof
KR101396928B1 (ko) 무료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165414B1 (ko) 광고통화서비스 시스템
KR20130014775A (ko) 복합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장치, 복합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복합 콘텐츠 서비스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1933309A (zh) 通信系统中为用户提供提示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10000947A (ko) 영상 통화 블로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670948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00001222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유료전화 서비스 제공방법
KR20100026812A (ko) 발신화상영역에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