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948B1 -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948B1
KR101670948B1 KR1020150175795A KR20150175795A KR101670948B1 KR 101670948 B1 KR101670948 B1 KR 101670948B1 KR 1020150175795 A KR1020150175795 A KR 1020150175795A KR 20150175795 A KR20150175795 A KR 20150175795A KR 101670948 B1 KR101670948 B1 KR 101670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vertisement
content
us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꿈많은청년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꿈많은청년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꿈많은청년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04M3/4878Advertisement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03Interconnection between telephone networks and data networks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신호를 제1 정보에 매칭시키고, 상기 단말기 사용자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제1 정보에 추가하여 제3 정보로 서버에 저장하는 제1 저장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3 정보를 근거로 음성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전송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3 정보를 근거로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전송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광고에 표시된 식별번호로서, 광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CONTENTS PROVIDING METHOD AND COMTENTS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고를 본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광고 대상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은 휴대폰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휴대폰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은 휴대폰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기능, 인터넷 기능 또는 리모콘 기능 등이 일부 추가되며,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와 터치스크린 등, 사용에 편리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온라인 뱅킹 또는 게임 등을 실행하는 단말기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아울러,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해 표준화된 형식 또는 전용 운영 체제(OS)를 갖추기도 한다.
현재 스마트폰 보급의 활성화로 광고상에 QR코드를 표기하여 해당 광고에 대한 정보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QR코드를 즉석에서 찍으면 웹페이지로 접속하게 하거나, 앱설치 화면으로 넘어 갈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오프라인 물건에 대한 구매도 QR코드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에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동하는 버스광고나 화면의 전환이 빨리 이루어지는 영상매체의 경우 화면을 찍어야 하는 QR코드로는 사용이 불가하며, 일반적인 광고에도 초점을 맞춰야 하고, 스마트폰 내에 QR코드 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 등 사용법이 불편하다.
이러한 서비스와 별도로 하나의 전화번호에 발신자에게 동일한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하나의 전화번호별로 모든 발신자들에게 동일한 메시지를 보내므로 천편일률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장에서는 몇 번을 전화해도 동일한 문자메시지 내용으로 지루하고, 광고주 입장에서도 몇 번을 전화해도 동일한 문자메시지 내용은 비용적인 낭비가 아닐 수 없다.
현재 온라인 광고로 인해 유입되는 사용자에 대한 매체 경로, 시간, 성향 등의 개별적인 파악은 용이한 편이다.
하지만 오프라인 광고의 효율성은 점차 떨어지고 있으며, 개개인의 위치, 시간, 각 광고의 효율성, 매체별 효율성을 파악하는데는 너무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 광고과 오프라인 광고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보다 효율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광고를 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광고 대상물에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신호를 제1 정보에 매칭시키고, 상기 단말기 사용자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제1 정보에 추가하여 제3 정보로 서버에 저장하는 제1 저장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3 정보를 근거로 음성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전송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3 정보를 근거로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전송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광고에 표시된 식별번호로서, 광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는, 상기 광고와 관련된 웹페이지 링크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광고가 노출된 특정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는 상기 특정지역에 인접한 WIFI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무료로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연결 인증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된 콘텐츠를 근거로 상기 제3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제2 저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지역에서 데이터 연결요청이 기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면, 상기 데이터 연결요청 회수에 상응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송이 지연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면, 음성신호를 전송하고 호연결을 끊는 단계 및 호연결되었던 상기 단말기에 다운로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신호는 특정위치에 설치된 광고표지판에 표시된 광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호신호가 수신되면, 음성신호를 전송하고 호연결을 끊은 후, 호연결되었던 상기 단말기에 상기 광고와 관련된 다운로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포함된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호신호는 특정위치에 설치된 광고표지판에 표시된 광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광고 표지에 표시된 식별번호로 전화만 하면, 광고 대상물에 접근이 가능하므로, 광고 대상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광고를 본 사용자의 연령, 지역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체계적으로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이후에 광고 대상물마다 보다 효과적인 광고 수단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광고표지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석부를 구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변경부를 구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면도에 표시된 기능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각의 기능은 전용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광고표지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광고 표지판은 특정 내용을 광고하고 있으며, 광고 표지판에 광고와 관련한 링크번호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링크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광고와 관련된 웹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해당 광고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번호는 일종의 식별번호가 될 수 있다. 링크번호는 광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링크번호는 광고마다 그 번호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광고라도 광고의 형식이나 광고가 부착된 위치에 따라 링크번호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가 버스 정류소의 표지판에 게시되더라도, 그 지역이 서울인지 아니면 경기도인지에 따라 각각 다른 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광고의 형식이 달라지면 식별번호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V광고를 통한 경우나 버스 정류소의 표지판에 표시하는 광고는 각각 다른 식별번호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서버(150)가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정보 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호신호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150)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스마트 워치 등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50)는 호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연결되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콘텐츠 제공 서버(150)는 제어부(151), 제1 정보식별부(152), 제2 정보저장부(153), 제3 정보저장부(154), 음성메시지부(155), 콘첸츠파일부(156), 데이터연결부(157), 변경부(170) 및 분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서버(150)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서버들은 상기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51)는 통상적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1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1)는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1 정보식별부(152)는 제1 정보에 대한 DB(Database)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정보는 광고에 표시된 식별번호, 식별번호와 관련된 광고의 내용에 관한 정보, 식별번호와 관련된 광고가 표시된 매체에 관한 정보, 식별번호와 관련된 광고가 표시된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호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콘텐츠 제공 서버(150)와 연결되면, 제1 정보식별부(152)는 호신호에 포함된 식별번호를 근거로 호신호를 제1 정보에 매칭시킨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호신호가 들어오면, 호신호가 어떤 광고에 대한 것인지 판단한 후에 제1 정보와 호신호를 서로 대응시킨다.
제2 정보식별부(153)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들과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DB(Database)를 구비한다. 제2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들의 전화번호,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기종, 현재 발신 또는 접속 위치, 콘텐츠 제공 서버(150)에 접속 유무 및 접속 회수, 현재 접속 위치와 가까운 WIFI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 사용자가 무료로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연결 인증수단,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발신한 위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연결된 기지국 정보 등을 포함한다.
제3 정보식별부(154)는 제1 정보에 제2 정보를 추가하여 제3 정보로서 저장한다. 그리고, 제2 정보를 근거로 제1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제3 정보로 저장한다. 이로써, 제3 정보는 광고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광고에 접근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정보식별부(154)는 사용자에게 콘텐츠가 전송되면 이를 근거로 제3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저장한다.
음성 메시지부(155)는 제1 정보 또는 제3 정보를 근거로 음성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음성메시지는 서버(150)를 통해 단말기(110)로 전송된다.
콘텐츠 파일부(156)는 제3 정보를 근거로 콘텐츠를 생성하여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광고와 관련된 웹페이지 링크 또는 광고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파일부(156)는 제3 정보를 근거로 콘텐츠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에게 보다 적절한 접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는 사용자의 특정위치에 인접한 WIFI 정보 또는 사용자가 무료로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연결 인증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연결부(157)는 이동통신 단말기(110)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받으면, 단말기(11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를 전송시 제3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연결 경로에 데이터 트래픽이 초과되면, 다른 연결 경로를 통해 서버(150)와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서로 연결시킨다.
또한, 데이터 연결부(157)는 특정지역에서 데이터 연결요청이 기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면, 데이터 연결요청 회수에 상응하여 콘텐츠의 전송을 지연시킨다. 예를 들어, 1초 후에 사용자의 단말기(110)로 콘텐츠를 전송하던 것을 데이터 연결요청 회수가 늘어나면 그에 상응하여 콘텐츠를 30초 후에 전송시킬 수도 있다. 또한, 콘텐츠 자체의 전송을 지연시킬 수도 있지만, 해당 연결 경로에서 데이터의 시간당 전송률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변경부(170)는 음성 메시지, 콘텐츠 또는 송신음을 변경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분석부(160)는 제1 내지 제3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및 광고에 대해서 분석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방법은 제1 저장단계(210), 제1 전송단계(220), 제2 전송단계(230) 및 제2 저장단계(240)를 포함한다.
제1 저장단계(210)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를 통해 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호신호를 제1 정보에 매칭시키고, 상기 단말기(110) 사용자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제1 정보에 추가하여 제3 정보로 서버(150)에 저장한다. 제1 정보는 광고가 노출된 특정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는 광고에 표시된 식별번호, 식별번호와 관련된 광고의 내용에 관한 정보, 식별번호와 관련된 광고가 표시된 매체에 관한 정보, 식별번호와 관련된 광고가 표시된 위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의 전화번호, 현재 접속 위치,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 유무 및 접속 회수, 현재 접속 위치와 가까운 WIFI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가입한 요금제, 사용자가 무료로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연결 인증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제3 정보는 제1 정보에 제2 정보가 병합된 채로 업데이트 및 저장된다.
제1 전송단계(220)에서는 제3 정보를 근거로 음성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이로 인해, 실시간으로 서로 다른 음성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전송단계(230)에서는 제3 정보를 근거로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광고와 관련된 웹페이지 링크 또는 광고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상기 특정지역에 인접한 WIFI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무료로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연결 인증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무료로 광고 대상물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송단계(230)에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서버(150)에 연결되면, 해당 광고에 관한 웹페이지에 접근하거나 해당 광고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게 된다.
제2 저장단계(240)에서는 전송된 콘텐츠를 근거로 제3 정보를 갱신하여 서버(150)에 저장하게 된다. 이로 인해, 광고에 접근한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광고에 접근한 사용자의 수에 따라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지역에서 데이터 연결요청이 기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면, 데이터 연결요청 회수에 상응하여 콘텐츠의 전송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특정 데이터 연결 경로에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지역에서 데이터 연결요청이 기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면, 데이터 연결부는 다른 데이터 연결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광고를 본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이를 통해 광고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광고를 본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광고에 표시된 식별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누른다(a 및 b). 통화버튼의 누름에 따라 호신호가 발생되고, 호신호에 대응하여 전화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150)에 연결된다. 서버(150)에 연결되면 생성된 음성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음성메시지는 "전화를 끊으시면 링크로 연결됩니다"라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c). 사용자가 전화를 끊으면 서버(150)는 사용자에게 다운로드 링크가 포함된 콘텐츠를 전송한다(d). 사용자가 다운로드 링크를 터치하면, 서버(150)가 데이터 연결요청에 의해 연결 경로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e).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석부(160)를 구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석부(160)는 콘텐츠 발송 통계분석 모듈(161), 유입 지역 분석 모듈(162) 및 유입 매체 분석 모듈(163)을 포함한다. 분석부(160)는 세부 구성요소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발송 통계분석 모듈(161)은 제3 정보식별부(154)에 연결되어 제3 정보를 근거로 콘텐츠의 발송 회수에 대한 통계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 지역 분석 모듈(162)은 제3 정보식별부(154)에 연결되어 광고를 본 사용자가 유입되는 특정지역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 매체 분석 모듈(163)은 제3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가 표시된 유입 매체에 대한 정보들을 분석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변경부(170)를 구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변경부(170)는 음성 메시지 설정 모듈(171), 콘텐츠 설정 모듈(172), 송신음 설정 모듈(173)을 포함한다. 변경부(170)는 제3 정보식별부(154)에 연결되어 제3 정보를 근거로 음성 메시지를 변경하거나 콘텐츠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송신음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메시지 설정 모듈(171)은 사용자마다 다른 음성메시지를 생성할 것을 설정하거나, 사용자의 접속 회수나 접속 지역에 따라 다른 음성메시지를 생성할 것을 설정할 수 있다. 콘텐츠 설정 모듈(172)도 사용자, 사용자의 접속 회수 및 사용자의 접속 지역을 근거로 서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할 것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음 설정 모듈(173)도 사용자, 사용자의 접속 회수 및 사용자의 접속 지역을 근거로 서로 다른 송신음을 제공할 것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신호가 수신되면, 서버가 상기 호신호를 제1 정보에 매칭시키고, 상기 단말기 사용자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제1 정보에 추가하여 제3 정보로 저장하는 제1 저장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3 정보를 근거로 음성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전송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3 정보를 근거로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전송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전송된 콘텐츠를 근거로 상기 제3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제2 저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광고에 표시된 식별번호로서, 광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번호는 상기 광고를 접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광고에 접근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3 정보로 저장하는 정보식별부와, 상기 제3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성 메시지를 변경하거나 상기 콘텐츠의 내용을 변경하는 변경부 및 상기 제3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광고와 관련된 웹페이지 링크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광고가 노출된 특정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특정지역에 인접한 WIFI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무료로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 연결 인증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특정지역에서 데이터 연결요청이 기 설정된 회수를 초과하면, 상기 데이터 연결요청 회수에 상응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50175795A 2015-10-06 2015-12-10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1670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148 2015-10-06
KR20150140148 2015-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948B1 true KR101670948B1 (ko) 2016-10-31

Family

ID=5744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795A KR101670948B1 (ko) 2015-10-06 2015-12-10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9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8537A (ja) 2013-07-10 2015-01-29 インボディ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InBody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5177345A (ja) 2014-03-14 2015-10-05 Sdsマーケティング株式会社 電子メールを利用した広告宣伝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177346A (ja) 2014-03-14 2015-10-05 Sdsマーケティング株式会社 電子メールを利用した広告宣伝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176344A (ja) 2014-03-14 2015-10-05 Sdsマーケティング株式会社 電子メールを利用した広告宣伝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8537A (ja) 2013-07-10 2015-01-29 インボディ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InBody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5177345A (ja) 2014-03-14 2015-10-05 Sdsマーケティング株式会社 電子メールを利用した広告宣伝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177346A (ja) 2014-03-14 2015-10-05 Sdsマーケティング株式会社 電子メールを利用した広告宣伝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176344A (ja) 2014-03-14 2015-10-05 Sdsマーケティング株式会社 電子メールを利用した広告宣伝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4856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JP6263648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内容表示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ショートメッセージ表示決定方法及び装置
US8526405B2 (en) Routing network requests based on requesting device characteristics
US20130252595A1 (en) Data communication
CN109152094B (zh) 用于终端的无线网络连接方法
CN107181755B (zh) 一种办公平台的身份识别方法、装置及系统
US9204278B2 (en) Data toll subsidy management
KR20160008552A (ko) 선택하여 호출하기 기능을 가진 웹 플랫폼
US20180144377A1 (en) Traffic Routing Optimizer
CN105408887A (zh) 逆向号码查找
JP2010103964A (ja) ウィジェット型通話待ち受け画面提供システム
KR101801210B1 (ko) 전화번호와 연관된 url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111898B1 (ko)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웹 컨텐츠에 대한 패킷 데이터의 사용을 절감하는 서버 시스템
KR101670948B1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
CN110708238A (zh) 用于处理信息的方法和装置
RU259658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активации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нициирования связи
US20160150080A1 (en) A url transmission system and means thereof
CN114025317A (zh) 多媒体资源的传播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US11113723B1 (en) Explicit user history input
CN105681054A (zh) 智能聚合内容及语音输入的免流量app系统及方法
EP3222030A1 (en) Telecommunications call augmentation system
RU2008144421A (ru) Упрощенный доступ к службам сообщений
KR20130062305A (ko) Cti 기반의 앱 다운로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30025006A (ko)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CN114172964B (zh) 内容分发网络的调度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