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237A -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237A
KR20140050237A KR1020120116347A KR20120116347A KR20140050237A KR 20140050237 A KR20140050237 A KR 20140050237A KR 1020120116347 A KR1020120116347 A KR 1020120116347A KR 20120116347 A KR20120116347 A KR 20120116347A KR 20140050237 A KR20140050237 A KR 20140050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milk
custom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소리
정운태
Original Assignee
홍소리
주식회사 썬더디에스
정운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소리, 주식회사 썬더디에스, 정운태 filed Critical 홍소리
Priority to KR102012011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0237A/ko
Publication of KR20140050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은 고객 정보를 등록하고,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생성하는 대리점 단말기, 대리점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와 배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 및 서버로부터 배달 정보를 수신하는 배달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EDICATED-MILK DELIVERY}
본 발명은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리점 단말기, 서버, 배달원 단말기를 사용하여 정확하고 용이하게 우유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IT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업종 분야에 전자화된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유 배달과 관련된 시장에서는 여전히 낙후된 관리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우유 배달 관리 시스템에서는 우유 배달 대리점에서 각각의 배달원에 대한 배달 리스트를 매일 종이로 출력하여 배달원들에게 나누어 주고, 배달원들은 수령한 배달 리스트를 참조하여 당일 배달을 완료한다. 상술한 방식을 통해 우유 배달을 관리하는 경우, 매일 출력해야 하는 배달 리스트의 종이 낭비가 우려되고, 비 또는 눈이 많이 오는 악천후에서 배달을 해야 하는 경우 배달 리스트의 분실 또는 손상이 우려되며, 배달 중간에 배달 리스트의 내용이 수정되어야 하는 경우 수정이 불가능하다. 또한, 배달원들은 우유 배달 장소의 주소가 적힌 배달 리스트만을 보고 배달을 해야 하므로, 해당 지역에 대한 배달원이 부득이한 사유로 결근하는 경우 또는 해당 지역에 대한 배달원이 교체되는 경우에는 해당 지역에 대한 배달이 숙달되지 않은 배달원이 배달을 수행하게 되므로, 배달을 완료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정확하지 못한 배달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현재 우유 배달 관리 시스템에서는 배달원이 고객의 거주지 등의 장소에 우유를 투입함으로써 배달이 완료되는데, 일반적으로 고객이 직접 수령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 장소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배달이 완료되므로, 고객이 정확한 배달을 의심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배달원은 배달 완료 여부 또는 고객으로부터의 배달 관련 요청 사항을 배달 리스트 등의 종이에 수기로 기입하여 관리하게 되고, 해당 기입 내용에 기초하여 비용을 청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들이 수기로 이루어지는 현재 우유 배달 관리 시스템은 정확도가 매우 떨어지며, 효율성 측면에서도 큰 불리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이로 이루어진 배달 리스트가 아닌 배달원 단말기를 사용하여 배달 리스트를 확인하고 배달을 수행할 수 있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배달 장소에 대한 주소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지형 지물에 대한 정보 및 구체적인 배달 물품 정보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정확하고 용이하게 우유를 배달할 수 있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수기로 이루어지는 배달 완료 여부 및 우유 배달에 대한 비용 청구 부분을 배달원 단말기를 사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은 고객 정보를 등록하고,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생성하는 대리점 단말기, 대리점 단말기로부터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및 서버로부터 배달 정보를 수신하는 배달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은 대리점 단말기에서 고객 정보를 등록하고,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서버에서 배달 정보를 저장하고, 배달 정보를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배달원 단말기에서 수신한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종이로 이루어진 배달 리스트가 아닌 배달원 단말기를 사용하여 배달 리스트를 확인하고 배달을 수행할 수 있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배달 장소에 대한 주소 정보뿐만 아니라 주변 지형 지물에 대한 정보 및 구체적인 우유 투입 장소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정확하고 용이하게 우유를 배달할 수 있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수기로 이루어지는 배달 완료 여부 및 우유 배달에 대한 비용 청구 부분을 배달원 단말기를 사용하여 자동화할 수 있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배달원 단말기의 개략적인 UI(user interface)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의 배달원 단말기와 고객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100)은 대리점 단말기(10), 서버(20) 및 배달원 단말기(30)를 포함한다.
대리점 단말기(10)는 우유 배달을 총괄하는 우유 배달 대리점에 배치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고정 단말기일 수 있다. 대리점 단말기(10)가 고정 단말기인 경우, 데스크탑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리점 단말기(10)가 고정 단말기로서 데스크탑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나, 대리점 단말기(10)는 이동 단말기로서 랩탑 등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100)에 대리점 단말기(10)가 하나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하나의 우유 배달 대리점에 복수의 대리점 단말기(10)가 포함될 수도 있다.
대리점 단말기(10)는 우유 배달 대리점에 배치되어, 고객 정보를 등록하고,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생성한다. 고객 정보는 우유를 음용하는 고객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고객 명, 고객 주소 등을 포함하는 우유 음용 고객의 신상 정보, 해당 고객이 음용하는 우유 종류 및 개수, 우유 배달 관련 고객 요청 사항, 고객 선호 우유, 대리점 유의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객 정보는 고객 주소, 음용 우유 개수 및 종류 등과 같이 우유 배달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정보 및 고객 선호 우유, 고객에 대한 대리점 유의 사항 등과 같이 실질적인 우유 배달과는 무관하게 고객 관리 측면에서 요구되는 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대리점 단말기(10)가 고객 정보를 등록하는 것은 우유 배달 대리점 직원이 특정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를 대리점 단말기(10)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특정 고객이 직접 작성한 고객 정보를 우유 배달 대리점에서 승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대리점 단말기(10)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생성한다. 배달 정보는 배달원과 공유가 필요한 정보로서, 상술한 다양한 고객 정보 중 우유 배달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대리점 단말기(10)는 배달원의 안전하고 정확한 우유 배달을 위해 고객 정보 중 우유 배달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정보를 배달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배달 정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대리점 단말기(10)는 등록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소요량을 발주할 수 있다. 소요량은 해당 날짜에 우유 배달 대리점에서 필요로 하는 우유 개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배달 집계 수량 및 유효 재고량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대리점 단말기(10)는 고객 정보 및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로컬 데이터 베이스나 원격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대리점 단말기(10)가 사용할 수 있는 로컬 데이터 베이스 또는 원격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는, 예를 들어, 오라클(Oracle), 디베이스(dBASE), 디비투(DB2), 사이베이스(Sybase), 엠와이시퀄(mySQL), 엠시퀄(mSQL), 오디비씨(ODBC), 마이크로소프트 액세스(MS Access), 에스큐엘 서버(SQL Server) 또는 인포믹스(Infomix) 중 하나일 수 있다.
서버(20)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100)을 총괄하여 관리하는 서버(20)를 의미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버(20)를 하나의 모듈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하에서 설명될 서버(20)의 다양한 기능은 복수의 모듈에서 실행되고, 해당 복수의 모듈이 관리 서버(2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리점 단말기(10)는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하고, 서버(20)는 해당 정보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 정보는 우유를 음용하는 고객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우유 배달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정보 및 우유 배달과는 무관하게 고객 관리 측면에서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하고,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는 고객 정보 중 우유 배달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배달원 단말기(30)는 우유 배달원이 우유 배달 시에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배달원 단말기(30)는 서버(20)로부터 전송 받은 배달 정보를 저장하여 배달 여부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배달원 단말기(30)가 이동 단말기인 경우, 휴대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거나 이들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부속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배달원 단말기(30)는 상술한 기존의 단말기가 아닌 우유 배달 전용으로 별도로 생산된 단말기이거나, 이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부속 장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달원 단말기(30)가 스마트폰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100)에 배달원 단말기(30)가 하나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복수의 배달원이 채용되어 복수의 배달원 단말기(3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서버(20)는 배달 정보를 배달원 단말기(30)로 전송하고, 배달원 단말기(30)는 서버(20)로부터 배달 정보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달 정보는 고객 정보 중 우유 배달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배달 정보는 배달 구역 정보, 배달 주소 정보, 배달 예정 정보, 배달 확인 정보, 메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 정보 중 배달 구역 정보는 해당 배달원이 담당하는 배달 구역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행정 구역 단위 중 읍, 면, 동 등을 포함하는 장소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배달 정보 중 배달 예정 정보는 해당 고객에 대한 배달 예정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고객 A는 해당 날짜에 우유를 음용할 수도 있고, 고객 B는 해당 날짜에 우유를 음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배달 예정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고객의 해당 날짜에 대한 배달 예정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배달 정보 중 배달 확인 정보는 해당 고객에 대한 배달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서 우유가 배달된 시간 정보나 당일의 배달이 마감 처리된 시간 정보를 의미한다. 배달 정보 중 메모 정보는 해당 배달원에 대한 특이 정보, 해당 배달원이 배달하는 해당 고객에 대한 특이 정보 등 우유 배달 시 해당 배달원이 참고해야 하는 사항, 해당 배달원이 주의해야 하는 사항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배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배달 구역 정보, 배달 예정 정보, 배달 확인 정보 및 메모 정보로 분류하였으나, 이들은 서로 통합되거나 분리되어 다양한 수의 정보 형태로 저장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배달 정보 중 배달 주소 정보는 해당 우유 음용 고객의 주소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위경도 좌표값 또는 행정 주소를 포함하는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달 주소 정보는 부가 주소 정보, 우유 투입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주소 정보는 이정표를 사용하여 배달 장소를 안내하는 정보이고, 우유 투입 정보는 배달 장소에서의 우유 투입 위치를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다. 배달 정보 및 배달 정보를 통한 우유 배달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배달원 단말기의 개략적인 UI(user interface) 이다.
배달원 단말기(30)는 표시부(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31)는 배달원에게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LCD, OLED 등의 다양한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에에서는, 표시부(31)는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배달 정보는 배달 리스트를 포함하고, 배달 리스트는 배달 순서, 배달 수량, 배달 물품 및 배달 생략 고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 물품은 해당 고객에게 배달될 특정 우유 제품을 의미하고, 배달 수량은 특정 우유 제품의 수량을 의미할 수 있다. 배달 생략 고객은 배달 리스트에 포함되어는 있으나, 해당 날짜에 배달을 생략하는 고객을 의미할 수 있다. 대리점 단말기(10)는 배달 정보에 포함된 배달 구역 정보, 배달 주소 정보, 배달 예정 정보, 배달 확인 정보 및 메모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 순서를 정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들을 서버(2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원 단말기(30)는 배달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원의 배달 경로를 최소화하는 배달 순서를 정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배달 예정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 경로를 최소화함과 함께 주문 개수가 많은 고객에 대한 배달을 우선하여 배달원의 배달 노력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배달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종래의 우유 배달 관리 시스템에서는 매일 우유 배달 대리점에서 해당 배달원이 배달하여야 하는 배달 리스트를 정리하여 종이로 출력하였고, 출력된 배달 리스트에 기초하여 배달원은 배달을 수행하였다. 이에, 배달원은 항상 종이 형식으로 된 배달 리스트를 소지하며 배달을 진행하여야 하였으므로, 배달원은 배달 시에 항상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대리점 단말기(10)에서 배달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20)에 전송하고, 서버(20)에서는 각각의 배달원 단말기(30)에 배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배달원은 자신의 배달원 단말기(30)에 전송된 배달 정보를 참조하여 배달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배달 리스트를 매일 출력해야하는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배달원이 별도의 배달 리스트를 항상 소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또한 제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달원이 배달을 개시하는 경우, 배달원 단말기(30)의 표시부(31)에는 배달 리스트가 표시된다. 배달원 단말기(30)의 표시부(31)에 표시되는 배달 리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달원의 배달 노력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최적의 배달 순서가 반영된 배달 리스트일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배달원은 홍길동, 김철수, 박영희의 순서로 배달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술한 배달 순서에서 홍길동에 대한 배달은 완료되고, 배달원이 다음 배달 고객인 김철수에게 배달을 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배달 리스트는 고객명, 고객 주소, 지도 정보, 내비게이션 정보, 메모 정보, 배달 완료 여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달원 단말기(30)의 표시부(31)에는 배달 리스트가 표시되고, 각각의 고객에 대한 고객명, 고객 주소, 배달 물품 및 배달 수량, 배달 완료 여부와 함께 지도 정보, 네비게이션 정보, 메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클릭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홍길동에 대한 배달이 완료되었으므로, 배달 완료 여부 정보가 체크된 반면, 김철수 및 박영희에 대한 배달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배달 완료 여부 정보가 체크되지 않는다. 배달원은 홍길동에 대한 배달을 완료하고, 배달 순서에 따라 김철수에게 배달을 수행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아이콘인 “NAVI”를 클릭할 수 있다. 배달원이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배달원 단말기(30)의 표시부(31)에는 김철수에게 배달을 하기 위한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지도가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글 네비게이션 또는 네이버 네비게이션 등 이미 상용화된 다양한 네비게이션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배달원 단말기(30)의 표시부(31)에 표시된 네비게이션 지도를 사용하여 배달원은 해당 고객 주소 근방에 도착할 수 있다. 다만, 네비게이션 지도를 사용한 길 안내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에서는 추가적인 지도 정보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한다.
도 3에서는 배달원이 배달원 단말기(30)를 통해 특정 고객에게 우유를 배달하는 상황에서, 배달원 단말기(30)의 표시부(31)를 통해 특정 고객의 주소 정보를 전달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배달원이 우유를 배달해야 하는 배달 주소는 “E” 건물로 가정한다. 즉, 배달원이 김철수에게 배달하는 상황에서, 배달원이 우유를 배달해야 하는 김철수 고객의 고객 주소는 “E” 건물로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달원은 김철수에 대한 배달을 수행하기 위해 김철수의 주소 정보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아이콘인 “MAP”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고, “MAP” 아이콘을 클릭한 후 배달원 단말기(30)의 표시부(31) 나타나는 화면은 도 3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배달원 단말기(30)는 배달 주소 정보에 포함된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 장소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소 정보에는 위경도 좌표값 또는 행정 주소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배달원 단말기(30)는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 장소인 “E” 건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원 단말기(30)는 배달 주소 정보에 포함된 부가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 장소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 주소 정보는 이정표를 사용하여 배달 장소를 안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달원 단말기(30)는 배달 주소인 “E” 건물을 안내하기 위해 이정표인 “XXX로” 및 “B” 건물을 사용하여, “E” 건물이 “XXX로를 기준으로 B 맞은편 2번째 건물”에 해당한다는 안내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배달원 단말기(30)는 배달 주소 정보에 포함된 우유 투입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 장소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유 투입 정보는 배달 주소에서의 구체적인 우유 투입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가정집에 우유 배달이 이루어지는 경우, 고객은 배달되는 우유가 우유 배달 가방에 넣어지는 방식을 선호할 수도 있고, 우편함에 넣어지는 방식을 선호할 수도 있으며,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 숨겨지는 방식을 선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우유 투입 위치는 고객이 선호하는 다양한 우유 투입 방식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배달원에게 고객이 선호하는 우유 투입 방식 및 위치에 정확히 우유를 배달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배달원은 배달 장소에 도착하고 배달을 완료한 경우, 배달원은 배달원 단말기(30)를 사용하여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배달원 단말기(30)를 사용한 배달 성공 여부 확인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원이 특정 고객에 대한 배달을 완료한 경우, 배달원 단말기(30) 상에서 특정 고객에 대한 배달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입력할 수 있고, 특히, 배달원 단말기(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성공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배달원이 해당 날짜의 모든 고객에 대한 배달을 완료한 경우, 배달원 단말기(30) 상에서 해당 날짜의 배달이 마감되었다는 것을 입력할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날짜의 모든 고객에 대한 배달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배달원 단말기(30)가 GPS 모듈 등을 통해 자기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경우라면, 배달원 단말기(30)가 특정 고객의 고객 주소에 도착하는 경우, 특정 고객에 대한 배달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수도 있다. 배달원 단말기(30)를 사용하여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상술한 방법들 이외의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주소 정보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달 장소를 안내할 수 있기는 하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고, 주소 정보만으로 배달원이 배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소 정보가 위경도 좌표값을 포함하는 경우, 위경도 좌표값에 따른 배달 주소 표시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주소 정보가 행정 주소를 포함하는 경우, 배달 장소가 복잡한 도심이나 시골, 농촌 등에 위치하면 단순히 행정 주소만을 참조하여 배달원이 배달은 수행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주소 내에서도 고객은 본인의 편의를 위해 특정 위치에 우유를 배달하거나, 특정 방식을 사용하여 우유를 배달하는 것을 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배달원 단말기(30)를 통해 배달원에게 위경도 좌표값 또는 행정 주소만을 가지고 배달 장소를 안내하는 것이 아니고, 이정표를 사용하여 배달 장소를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배달원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우유를 배달 장소에 배달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선호 배달 방식 및 위치가 포함된 우유 투입 정보를 사용하여 고객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우유 배달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우유 배달 관리 시스템에서는 배달원의 인수인계를 대비한 체계가 준비되지 않았으며, 결근자 및/또는 퇴사자 발생 시 데이터 백업이 정확히 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100)에서는 대리점 단말기(10)에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일괄 생성 및 등록하고, 해당 고객 정보와 배달 정보를 서버(20)를 통해 배달원 단말기(30)에 전송하는 구성을 채택하여, 배달원이 변경되더라도 해당 배달원에게 정확히 배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배달 구역에 배정된 경험이 없는 배달원이라 하더라도, 배달 정보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배달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설명의 편의 상, 도 1에 도시된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의 도면에 나타낸 각 엘리먼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엘리먼트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200)은 대리점 단말기(10), 서버(20), 배달원 단말기(30) 및 고객 식별 매체(40)를 포함한다. 고객 식별 매체(40)는 배달 장소에 부착되는 전자 매체이다. 고객 식별 매체(40)는 배달 성공 여부 및/또는 고객의 배달 변경 요청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식별 매체로서, RFID 태그(41) 또는 QR 코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식별 매체(40)를 사용한 배달 성공 여부 및/또는 고객의 배달 변경 요청 확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를 함께 참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의 배달원 단말기와 고객 식별 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객 식별 매체(40)는 RFID 태그(41) 및 QR 코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원은 배달 장소에 도착하고 배달을 완료한 경우, 배달원 단말기(30)와 고객 식별 매체(40)와의 통신을 통해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원 단말기(30)는 고객 식별 매체(40)의 RFID 태그(41)와 통신하여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고객 식별 매체(40)의 QR 코드(42)를 인식하여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배달 성공 여부가 확인된 경우, 도 2의 배달원 단말기(30)의 표시부(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 확인이 체크될 수 있다. 배달원 단말기(30)가 고객 식별 매체(40)의 인식을 통해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하면, 배달원 단말기(30)는 실시간이나 당일 배달 업무를 종료하는 마감 시간에 배달 성공 여부를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20)는 대리점 단말기(1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대리점 단말기(10)에서는 각각의 배달원의 배달 성공 여부 또는 배달 사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배달원 단말기(30)는 고객 식별 매체(40)의 인식을 통해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저장할 수 있다. 배달원 단말기(30)는 고객 식별 매체(40)의 RFID 태그(41)와 통신하여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저장할 수 있고, 고객 식별 매체(40)의 QR 코드(42)를 인식하여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달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달 리스트에서 “MEMO”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고, 배달원 단말기(3)을 고객 식별 매체(40)와 통신하도록 하여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저장할 수 있다.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이 저장된 경우, 도 4의 배달원 단말기(30)의 표시부(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 사항 저장이 체크될 수 있다. 배달원 단말기(30)가 고객 식별 매체(40)를 통해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저장하면, 배달원 단말기(30)는 실시간으로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20)는 대리점 단말기(1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대리점 단말기(10)에서는 실시간으로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대리점 단말기에서 고객 정보를 등록하고,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생성한다(S60). 대리점 단말기에서 고객 정보를 등록하고,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도 1 내지 도 5의 대리점 단말기에서 고객 정보를 등록하고,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생성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S61). 배달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것은 도 1 내지 도 5의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서버에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저장하고,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한다(S62). 서버에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저장하고,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은 도 1 내지 도 5의 서버에서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저장하고, 고객 정보 및 배달 정보를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배달원 단말기에서 수신한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수행한다(S63). 배달을 수행하는 것은 배달 주소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부가 주소 정보를 사용하거나 우유 투입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달을 수행하는 것은 배달원 단말기를 사용하여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고객 식별 매체에 포함된 RFID 태그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원 단말기에서 수신한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수행하는 것은 도 1 내지 도 5의 배달원 단말기에서 수신한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수행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고객 식별 매체에 포함된 RFID 태그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고객의 변경 요청 정보를 배달원 단말기에 저장한다.
이어서, 배달원 단말기에 색인, 저장된 배달 확인 정보 및 고객의 변경 요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64). 배달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배송 성공 확인 정보와 고객의 변경 요청 정보는 서버를 통해 대리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배달 성공 여부 및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저장 및 전송하는 것은 도 1 내지 도 5의 배달 성공 여부 및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저장 및 전송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대리점 단말기
20: 서버
30: 배달원 단말기
31: 표시부
40: 고객 식별 매체
41: RFID 태그
42: QR 코드
100, 200: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Claims (18)

  1. 고객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생성하는 대리점 단말기;
    상기 대리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객 정보 및 상기 배달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배달 정보를 수신하는 배달원 단말기를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정보는 상기 고객 정보 중 배달원과 공유가 필요한 정보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점 단말기는 등록된 상기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소요량을 발주하고, 상기 소요량은 배달 집계 수량 및 유효 재고량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정보는 배달 구역 정보, 배달 주소 정보, 배달 예정 정보, 배달 확인 정보 및 메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주소 정보는 위경도 좌표값 또는 행정 주소를 포함하는 주소 정보, 부가 주소 정보 및 우유 투입 정보를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주소 정보는 이정표를 사용하여 배달 주소를 안내하는 정보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투입 정보는 배달 주소에서의 우유 투입 위치를 안내하는 정보인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정보는 배달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달 리스트는 배달 순서, 배달 수량, 배달 물품 및 배달 생략 고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배달 장소에 배치되는 고객 식별 매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객 식별 매체는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RFID 태그 또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원 단말기는 상기 고객 식별 매체의 RFID 태그 또는 상기 QR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저장하고, 상기 변경 사항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대리점 단말기로 전송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11. 대리점 단말기에서 고객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배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객 정보 및 상기 배달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배달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배달 정보를 배달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달원 단말기에서 수신한 상기 배달 정보에 기초하여 배달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정보는 배달 구역 정보, 배달 주소 정보, 배달 예정 정보, 배달 확인 정보 및 메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주소 정보는 위경도 좌표값 또는 행정 주소를 포함하는 주소 정보, 부가 주소 정보 및 우유 투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달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배달 주소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주소 정보는 이정표를 사용하여 배달 주소를 안내하는 정보고,
    상기 배달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 주소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투입 정보는 배달 주소에서의 우유 투입 위치를 안내하는 정보고,
    상기 배달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우유 투입 정보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원 단말기를 사용하여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고객 식별 매체에 포함된 RFID 태그 또는 QR 코드를 사용하여 배달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고객 식별 매체에 포함된 RFID 태그 또는 QR 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고객 정보의 변경 사항을 상기 배달원 단말기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 사항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대리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우유 전용 배달 관리 방법.
KR1020120116347A 2012-10-19 2012-10-19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0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347A KR20140050237A (ko) 2012-10-19 2012-10-19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6347A KR20140050237A (ko) 2012-10-19 2012-10-19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237A true KR20140050237A (ko) 2014-04-29

Family

ID=5065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6347A KR20140050237A (ko) 2012-10-19 2012-10-19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02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814A (ko) 2015-03-13 2016-09-22 유한회사 동감 식료품 배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126938A (ko) * 2016-06-28 2016-11-02 전대연 스마트 청구서앱 시스템
KR101972376B1 (ko) * 2018-01-23 2019-04-25 주식회사 프레시코드 신선식품 배송경로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814A (ko) 2015-03-13 2016-09-22 유한회사 동감 식료품 배달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126938A (ko) * 2016-06-28 2016-11-02 전대연 스마트 청구서앱 시스템
KR101972376B1 (ko) * 2018-01-23 2019-04-25 주식회사 프레시코드 신선식품 배송경로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6631B2 (en) Identity verification and data management system
EP3196817B1 (en) Presenting information for a current location or time
US8010463B2 (en) Method, system, carrier server and mobile device for shipping a package without the shipper being required to apply a shipping label
US8452713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freight vehicles and loads
US20140278105A1 (en)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20190034873A1 (en) Method for providing real time package tracking and package delivery security
US20140279652A1 (en) Point of sale systems and methods
CN108701413A (zh) 在实时合乘馈送中验证接取时间
CN106022535A (zh) 配送路线的自动生成方法及系统
US201301319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ptimized mapping and travel
US11074614B2 (en) GPS mapping of outdoor advertisement
KR20200112266A (ko) 배송 서비스 시스템
US20130315042A1 (en) Geo-normalization of Calendar Items
JP202008650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車両への広告配信方法
US2017037226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ggregating Excess Carrier Capacity
KR101344498B1 (ko) 맞춤형 영업활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업활동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0237A (ko) 우유 전용 배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094158B (zh) 提示装置以及提示方法
US202000200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and control method
AU2018262456B2 (en) Dynamic support information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US202103267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assenger transportation on commercial vehicles
KR20200112265A (ko) 배송 서비스 시스템
KR102262840B1 (ko) 코드 송장을 사용하는 방문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12178A1 (en) Parcel delivery system and method
KR20130035259A (ko) 주문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