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283A -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283A
KR20140049283A KR1020120115349A KR20120115349A KR20140049283A KR 20140049283 A KR20140049283 A KR 20140049283A KR 1020120115349 A KR1020120115349 A KR 1020120115349A KR 20120115349 A KR20120115349 A KR 20120115349A KR 20140049283 A KR20140049283 A KR 20140049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net
type
wax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932B1 (ko
Inventor
조현대
금종필
정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115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93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림성 및 흐름성이 향상되면서 번짐이 방지된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왁스 7 내지 10중량%, 오일 40 내지 55중량%, 파우더 3 내지 7중량% 및 색소 3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망의 크기가 50 내지 100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발림성 및 흐름성이 우수하면서 라인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액상 및 고상 화장료가 갖는 장점을 모두 구비하여, 화장료, 특히 아이라이너로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of Jar type having Nets}
본 발명은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림성 및 흐름성이 향상되면서 번짐이 방지된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이라이너(eyeliner) 화장료는 눈의 가장자리에 선을 표현하도록 도포하는 것으로, 눈의 형태를 확실하게 아름답게 두드러져 보이게 하는 화장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이다.
이러한 아이라이너(eyeliner) 화장료에는 왁스(wax),납(wax) 류 등의 고형상 유분, 유기변성 점도 광물, 무물 규산 등의 겔화제, 유색 안료, 타카테루성 안료,체질 분체 등의 분체, 및 유용성 수지, 피막 형성 폴리머 에멀션(polymer emulsion) 등의 피막 형성제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아이라이너는 유제(Emulsion)형태의 아이라이너로서 부착력 및 내수성이 약하여 움직임이 많고, 수분을 많이 접하는 눈 주위에는 적용하기에 부적당하며 피막이 수분에 접촉하면 재유화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유화제를 필요로 하는 왁스 및 불용성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수상부에 쉘락(shellac) 용액을 첨가한 아이라이너가 개발되었는데 내수성, 부착력 및 지속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나 쉘락 용액의 분리를 막기 위해서 점도를 높여야만 하므로 사용할 때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유제 아이라이너는 라인성 및 발림성은 좋으나 흐름이나 지속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수용성 수지에 안료를 분산시킨 필러블(peelable) 형태의 아이라이너도 개발되었는데, 부착력과 내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여 피막 제거시 한 개의 피막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수용성 수지에 포함된 모노머(monomer)에 의한 피부 트러블(trouble)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왁스를 주성분으로 하고 적당량의 계면활성제와 안료를 함유하고 있는 케익형의 아이라이너가 개발되어 있으나 물을 첨가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상당히 번거롭다.
펜슬(Pencil) 형태의 아이라이너는 왁스에 다량의 안료를 분산시킨후 압출, 성형하여 펜슬 형태로 만든 제품으로 구입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잘 발리며 다른 형태에 비해 부작용도 적으나 화장이 매끄럽지 못하고, 민감한 눈 부위에 사용할 때 자극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고형 화장료는 발수력과 지속력은 우수하나 라인의 선명함과 발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오일 케익 제형의 아이라이너는 오일 함량이 50 내지 60중량%인 것이 일반적이고, 오일 함량 50중량%이하로 제조할 때에는 별도로 고안된 장치가 필요로 한다. 이 제형의 경우 오일 함량이 많으므로 내수성, 사용의 간편성은 우수하나, 오일의 번짐, 번들거림의 단점으로 인해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액상 화장료와 고형 화장료의 중간 물성을 가지며 발림성 및 흐름성이 향상되면서 번짐이 방지된 망이 있는 자르(jar)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왁스 7 내지 10중량%, 오일 40 내지 55중량%, 파우더 3 내지 7중량% 및 색소 3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망의 크기가 50 내지 100 mesh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발림성 및 흐름성이 우수하면서 라인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액상 및 고상 화장료가 갖는 장점을 모두 구비하여, 화장료, 특히 아이라이너로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를 모눈종이에 8cm 씩 10번씩 그렸을 때의 흑색도 및 신축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자르 타입 화장료의 망의 신축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왁스 7 내지 10중량%, 오일 40 내지 55중량%, 파우더 3 내지 7중량% 및 색소 3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장료를 이루는 성분들을 특정한 조합비로 조합하고 화장료를 망이 있는 자르 타입으로 제조함으로써 기존의 액상 및 고상 화장료가 가지는 장점을 수득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안되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특정한 조성비를 가지며 망의 크기를 50 내지 100 mesh의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화장료의 발림성 및 흐름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라인성 및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왁스는 화장료의 흐름정도, 즉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함되며, 이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세레신, 카니우바왁스, 비즈왁스, 칸데릴라왁스, 합성왁스 및 오조케라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7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만일 7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 화장료의 경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10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 경도가 너무 높아져 라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오일은 화장료의 발림성 및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사용되며, 이의 종류로는 이소도데칸,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티콘,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와 같은 합성오일 및 식물성 오일을 들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0 내지 55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며, 오일이 40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 고온 유동도가 떨어져 제품의 표면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나타나며, 55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제품의 표면 상태는 개선되지만, 제형이 액상으로 되어 오일감이 증가되고 사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파우더는 화장료의 번짐 방지 및 건조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탈크, 실리카, 마이카, 나이론-12, 실리카디메틸실릴레이트 등의 무기분체 및 유기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파우더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 내지 7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며, 파우더의 양이 3중량% 미만일 경우 유동성과 오일감의 개선효과가 적고, 그 사용량이 7중량%를 초과할 경우 피복력이 과도하여 색상에 제한을 받고, 색상표현력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흑색도 등의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아이런옥사이드, 카본 블랙과 같은 무기안료 및 유기안료를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5중량%, 세레신 3.5중량%, 이소도데칸 20중량%, 트리메틸실록시실릴케이트 17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4.4중량%, 탈크 5중량%, 실리카 0.1중량% 및 카본 블랙 35중량%가 포함된하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망이 있는 자르 타입 화장료는 사용목적에 따라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파우더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메이컵베이스, 리퀴드 파운데이션, 크림파운데이션의 베이스 메이컵(Base Makeup)과 아이섀도, 파우더블러쉬,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의 색조 화장료, 특히 아이라이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망(net 또는 mesh)의 크기가 50 내지 100 mesh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75mes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의 신축성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L1 및 L2는 각각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잡아당기기 전의 망의 너비(L1) 및 양쪽으로 잡아당긴 망의 너비(L2)이다.
망의 적정 신축성은 150 내지 200%로서 본 발명에 제조된 화장료의 망은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양호한 신축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예로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자르 타입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 때 망의 크기는 75mesh로 조정하였다.
Ingredient 함량(%)
polyethylene 5%
Ceresin 3.5%
Isododecane 20%
Trimethylsiloxysilicate 17%
Cyclopentasiloxane 14.4%
Talc 5%
Silica 0.1%
Iron Oxides 35%
수득된 화장료의 경도, 녹는점, 라인성 및 신축성(texture)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체크사항
경도 16
녹는점 55℃
Line check 대체적으로 양호함
신축성 흑색도 및 발림 양호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라이너를 모눈종이에 8cm 씩 10번씩 그렸을 때의 흑색도 및 신축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또한, 신축성은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할 수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학식 1에서 L1은 잡아당기기 전의 망의 너비이며, L2는 양쪽으로 잡아당긴 망의 너비이다.
본 발명에 제조된 화장료의 망의 신축성은 150 내지 200%로서 양호한 신축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자르 타입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 때 망의 크기는 75mesh로 조정하였다.
Ingredient 함량(%)
polyethylene 4%
Ceresin 8%
Isododecane 13%
Trimethylsiloxysilicate 17%
Cyclopentasiloxane 22.4%
Talc 0.5%
Silica 0.1%
Iron Oxides 35%
수득된 화장료의 경도, 녹는점, 라인성 및 신축성(texture)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체크사항
경도 160
녹는점 84℃
Line check 끊겨지면서 발림
신축성 부드럽게 발리는 사용감이 떨어짐
<비교예 2>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자르 타입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 때 망의 크기는 75mesh로 조정하였다.
Ingredient 함량(%)
polyethylene 2%
Ceresin 1%
Isododecane 20%
Trimethylsiloxysilicate 17%
Cyclopentasiloxane 37.15%
Talc 0.5%
Silica 0.1%
Iron Oxides 22.25%
수득된 화장료의 경도, 녹는점, 라인성 및 신축성(texture)을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체크사항
경도 4
녹는점 44℃
Line check 골이 지게 발림
신축성 부드럽게 발리나 끝부분 흑도가 약함
<비교예 3>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자르 타입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 때 망의 크기는 75mesh로 조정하였다.
Ingredient 함량(%)
polyethylene 4.5%
Ceresin 3%
Isododecane 20%
Trimethylsiloxysilicate 17%
Cyclopentasiloxane 18.4%
Nylon powder 2%
Silica 0.1%
Carbon black 35%
수득된 화장료의 경도, 녹는점, 라인성 및 신축성(texture)을 측정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체크사항
경도 10
녹는점 48℃
Line check 골이 지게 발림
신축성 흑색도는 양호함
<비교예 4>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자르 타입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 때 망의 크기는 75mesh로 조정하였다.
Ingredient 함량(%)
polyethylene 5%
Ceresin 9%
Isododecane 20%
Trimethylsiloxysilicate 17%
Cyclopentasiloxane 3.9%
Nylon powder 10%
Silica 0.1%
Carbon black 35%
수득된 화장료의 경도, 녹는점, 라인성 및 신축성(texture)을 측정하여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체크사항
경도 40
녹는점 68℃
Line check 쉽게 일직선으로 그려지지 않음
신축성 사용시 너무 지저분하게 발림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화장료에 대해 발림성과 흐름성, 라인성, 신축성 및 경도 형성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균 연령 30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10명씩 5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4에서 제조된 화장료와 일반화장료 공법에 따른 화장료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각 매우 우수한 경우 A, 우수한 경우 B, 보통인 경우 C, 나쁜 경우 D, 아주 나쁜 경우 E로 하여 평가하여 평균 치를 산술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발림성 A B C D E
흐름성 B E A C D
라인성 A C B E D
신축성 A C D E B
경도 형성 B A D E C
상기 표 1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의 경우 발림성, 흐름성, 라인성 뿐만 아니라 신축성도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발림성 및 흐름성이 우수하면서 라인성 및 신축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액상 및 고상 화장료가 갖는 장점을 모두 구비하여, 화장료, 특히 아이라이너로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9)

  1.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왁스 7 내지 10중량%, 오일 40 내지 55중량%, 파우더 3 내지 7중량% 및 색소 3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망의 크기가 50 내지 100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 폴리에틸렌, 세레신, 카니우바왁스, 비즈왁스, 칸데릴라왁스, 합성왁스 및 오조케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이소도데칸,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티콘,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가 탈크, 실리카, 마이카, 나이론-12 및 실리카디메틸실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가 아이런옥사이드, 카본 블랙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5중량%, 세레신 3.5중량%, 이소도데칸 20중량%, 트리메틸실록시실릴케이트 17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4.4중량%, 탈크 5중량%, 실리카 0.1중량% 및 카본 블랙 3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의 크기가 75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의 신축성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하며, 15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L1은 잡아당기기 전의 망의 너비(L1)이고,
    L2는 양쪽으로 잡아당긴 망의 너비(L2)이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아이라이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115349A 2012-10-17 2012-10-17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147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349A KR101474932B1 (ko) 2012-10-17 2012-10-17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349A KR101474932B1 (ko) 2012-10-17 2012-10-17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283A true KR20140049283A (ko) 2014-04-25
KR101474932B1 KR101474932B1 (ko) 2014-12-19

Family

ID=5065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349A KR101474932B1 (ko) 2012-10-17 2012-10-17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53A (ko) 2014-07-21 2016-02-0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브러시 건조 방지 기능이 구비된 망이 있는 jar 타입 화장품 용기세트
CN112120967A (zh) * 2020-05-08 2020-12-25 广州桃花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用于吸附磁性假睫毛的磁性眼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446B1 (ko) * 2019-03-08 2021-07-12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0322B4 (de) * 2002-08-31 2004-08-26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Lipidhaltige Zubereitung, und deren Verwendung
KR101157218B1 (ko) * 2012-01-11 2012-07-03 한국콜마 주식회사 메이크업 셋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253A (ko) 2014-07-21 2016-02-0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브러시 건조 방지 기능이 구비된 망이 있는 jar 타입 화장품 용기세트
CN112120967A (zh) * 2020-05-08 2020-12-25 广州桃花里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用于吸附磁性假睫毛的磁性眼线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932B1 (ko)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363B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6779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7783B1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CN105916490B (zh) 唇部用化妆品组合物
KR20190080447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474932B1 (ko)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JPH0346444B2 (ko)
KR20130001586A (ko)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를 함유한 수분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3335B1 (ko) 고체 타입의 유중수형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2300109A (ja) メイクアップ用皮膚化粧料組成物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1554B1 (ko) 고융점 및 고광택 성능을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6031A (ko) 유중수 유화물을 바인더로 사용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의제조방법
KR20200030849A (ko) 커버력 및 발림성이 우수한 스틱형 메이크업 조성물
KR101472315B1 (ko) 헥토라이트, 미세 분쇄 안료를 함유하는 크림형태의 아이라이너 화장료 조성물
KR102260049B1 (ko) 실리콘 복합 오일을 포함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1912B1 (ko)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4299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4418B1 (ko) 성형성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