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009A - 3d 간판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3d 간판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009A
KR20140049009A KR1020147004494A KR20147004494A KR20140049009A KR 20140049009 A KR20140049009 A KR 20140049009A KR 1020147004494 A KR1020147004494 A KR 1020147004494A KR 20147004494 A KR20147004494 A KR 20147004494A KR 20140049009 A KR20140049009 A KR 20140049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ed
layer
signboard
main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싱후아 셴
Original Assignee
우 지앙 유 씽 메탈 아트 데코레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 지앙 유 씽 메탈 아트 데코레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우 지앙 유 씽 메탈 아트 데코레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4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combined operations or combined techniques, e.g. welding and stitch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86Special effects
    • G09F2013/189Three dimensional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74Separate cutting of separate sheets or we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일종의 3D 간판 및 그 제작방법에 있어서, 그 간판은 서로 연결되는 상층 유닛과 하층 유닛을 포함하되, 상층 유닛은 3D 간판의 표식형태를 구현하는 본체부(1)를 포함하며, 하층 유닛은 본체부(1)와 연결되는 측벽(3)을 포함하며, 측벽(3)은 본체부(1)를 지지하는 캐비티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본체부(1)과 측벽(3) 사이에는 또한 연결부(2)가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부(2)는 적층하여 설치되는 단차층을 여러층 포함하며, 각 단차층은 서로 연결되는 상측 단차판과 하측 단차판을 포함한다. 이 간판은 입체감이 강하고, 식별되기 쉬우며, 또한 제작방법 공정이 간단하다.

Description

3D 간판 및 그 제작방법{THREE-DIMENSIONAL SIGNBOARD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고용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3D 간판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시의 표지판 표식 조명기술에 있어서, 낮에는 미려한 금속 표지판으로 되고, 밤에는 입체감이 강한 발광 금속 표지판으로 되며, 또한 내구성이 강한 것이 도시 표지판 표식의 발전추세이다. 현재 이 분야에서는 보통 전통적인 볼록형 표지판, 평면형 표지판, 금속 케이싱 광반사 표지판, 금속 케이싱 평면발광 표지판 및 유기유리재료 정면발광 표지판 등을 일반용 발광 표지판 표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런 종류의 제품은 낮에는 시각효과가 낮고, 형태가 단일하며, 밤에는 입체감이 약하고, 미관이 떨어지는 등 결점이 존재한다. 또한, 관찰자가 표지판 표식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예를 들면 표지판 표식이 비교적 높은 건물 위에 설치되어 있을 때, 또는 관찰자가 먼 곳에서 표지판 표식을 식별할 때, 그 밝기가 낮거나 또는 집중 밝기가 떨어지므로 관찰자가 정확하게 식별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지판 표식의 낮 시각효과, 입체감, 내구성 및 야간 표식표시효과를 제고시키며, 야간 원거리 식별할 때의 표지판 표식의 식별정확도를 한층 제고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종 3D 간판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상층 유닛과 하층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상층 유닛은 상기 3D 간판의 표식형태를 구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층 유닛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캐비티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과 측벽 사이에는 추가로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적층하여 설치되는 단차층을 여러층 포함하며, 각 단차층은 서로 연결되는 상측 단차판과 하측 단차판을 포함하는 3D 간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여러층의 단차층 중, 하층에 위치한 단차층의 상측 단차판 가장자리는 이와 연결되는 상층 단차층의 하측 단차판 가장자리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층 단차층의 사이즈는 이와 연결된 상층 단차층의 사이즈에 비례하여 확대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의 표면은 평면, 곡면 또는 릿지모양의 볼록면이며, 그 표면은 밀봉모양, 혹은 그 위의 일부 또는 전부 구역이 투각모양으로 설치되며, 상기 측벽과 연결부는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그 표면은 각각 밀봉모양, 혹은 그 위의 일부 또는 전부 구역이 투각모양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의 저부에는 장착판이 설치되고, 장착판 위에는 발광소자가 안착된다.
본 발명의 또한 일종 상술한 3D 간판에 의한 제작방법에 있어서,
S1: 간판 디자인에 기초하여, 사이즈 비례 요구를 만족하는 간판 본체부 및 이와 연결되는 최상층 단차층의 목재 또는 PVC 발포 시트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와,
S2: 상기 최상층 단차층의 금형에 대해 구역을 획분하여,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역 부재가 되도록 획분하며, 상이한 마크로 각 구역부재를 표기하는 단계와,
S3: 본체부 위 및 최상층 단차층의 각 구역부재 표면 위에 각각 탁본재료를 피복하여, 본체부 전개 유닛과, 최상층 단차층의 각 구역부재가 대응하는 평면 전개 유닛을 얻고, 각 평면 전개 유닛 위에 이와 서로 대응하는 구역부재와 동일한 마크를 각각 표기하는 단계와,
S4: 제작하고자 하는 간판 중의 연결부의 단차층 수와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 전개 유닛을 단계 S3의 탁본재료 사이즈에 비례하여 축소 시키고; 축소 후의 평면 전개 유닛에 대해 손질을 진행하여, 각 평면 전개 유닛이 마크에 따라 연결 성형된 후 최상층 단차층의 금형 형태과 유사해지도록 하는 단계와,
S5: 상술한 축소 및 손질 후의 평면 전개 유닛을 기초로 하여 절단하고 블랭킹하며, 절단 후의 판재 위에 평면 전개 유닛과 대응하는 마크를 각각 표기하며, 동시에 본체부에서 필요로 하는 판재를 절단하는 단계와,
S6: 간판 디자인에 기초하여, 본체부 판재와 단차층의 각 구역부재가 대응하는 판재를 마크순서에 따라 용접을 진행하여, 상층 유닛의 3D 간판 표식형태 본체부와 연결부 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S7: 측벽과 서로 연결되는 최저층 단차층의 저부 가장자리 사이즈에 기초하여, 측벽에 사용되는 판재로부터 필요한 길이 및 너비의 측벽 판재를 절단하며, 측벽 판재와 최저층 단차층을 용접하여 3D 간판 전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간판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가 단차층을 여러층 포함할 경우, 각 단차층의 구역부재가 대응하는 평면 전개 유닛은 각각 단계 S3의 탁본재료 사이즈에 비례하여 축소 된다.
여기서, 상기 탁본재료는 포스트잇 또는 접착지이다.
여기서, 상기 용접 방법은 아르곤 아크 용접, 전기 용접, 알루미늄 용접 또는 납땜이다.
여기서, 투각 모양으로 설치된 본체부 또는 단차층에 대응되는 평면 전개 유닛 위에 개구 처리를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유기 유리판 재료를 사용하며, 상기 단차층과 측벽은 금속재료를 사용한다.
상술한 기술방안에 의해 제공되는 간판에 있어서 간판의 형태는 본체부로 나타내고, 적층된 단차층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설치하여 본체부와 측벽을 연결시키며, 측벽에 의해 연결부를 지지함으로써 간판의 입체감을 강화시키며;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연결부와 측벽을 제작함으로써 간판이 낮에는 표시효과가 더 좋아지고 또한 내구성이 강해지도록 하며; 간판의 야간표시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해 측벽의 하부에 발광소자가 안착되어 있는 장착판을 설치했고, 투광재료를 사용하여 본체부를 제작하였으며, 연결부와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 구역에 개구하여 광선이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간판의 윤곽을 뚜렷하게 했으며, 이로써 그 식별효과가 더 정확해지도록 했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적층된 단차층은 하나의 금형만 제작하고, 각층 단차층 사이즈를 금형에 기초하여 대응하게 축소시키며, 판재에서 필요한 원자재를 절단해 용접 성형하기만 하면 되는데, 이는 제작공정을 단축시키고, 재료를 절약하며 제작된 간판은 미관이 더욱 아름답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3D 간판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3D 입체글자의 간판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각종 규칙 또는 불규칙적인 패턴형태의 간판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는 3D 입체글자를 예로 간판의 구체적 구조를 소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간판의 구조 모식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영어 대문자 R의 일종의 아트폰트를 예로 간판을 제작하며, 이 간판은 상층 유닛과 하층 유닛을 포함하되, 상층 유닛과 하층 유닛은 용접에 의해 연결되며, 상층 유닛은 간판 중 문자의 각 필획형태를 구현하는 본체부(1)를 포함하며; 하층 유닛은 본체부(1)와 연결되는 측벽(3)을 포함하며, 측벽(3)은 본체부(1)를 지지하는 캐비티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간판의 입체감을 강화시키기 위해 본체부(1)와 측벽(3) 사이에는 연결부(2)가 설치되며, 연결부(2)는 계단모양으로, 적층하여 설치되는 단차층을 여러층 포함하며, 각층의 단차층은 서로 연결되는 상측 단차판과 하측 단차판을 포함하며, 상, 하측 단차판은 조합되어 횡단면이 릿지모양에 근사한 단차층을 형성하는데, 릿지모양이란 두 개의 경사면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최종적으로 횡단면이 삼각형에 접근하도록 구성된 구조를 말한다.
간판의 입체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여러층의 단차층 중 본체부(1)에 연결되는 단차층을 최상층 단차층으로 표기하고, 측벽(3)과 연결되는 단차층을 최저층 단차층으로 표기하며, 최상층 단차층의 사이즈가 제일 작고, 최저층 단차층의 사이즈가 가장 크며, 최상층 단차층과 최저층 단차층 사이에 위치한 단차층은 사이즈가 서로 연결되는 바로 윗층의 단차층의 사이즈에 대해 일정하게 비례하여 확대된다.
간판를 다양화시키기 위해 본체부(1)의 표면은 평면, 곡면 또는 릿지모양의 볼록면으로 설치되며; 본체부(1)의 표면은 밀봉형태, 혹은 일부 또는 전부 구역이 투각형태로 설치되어도 되며; 간판의 시각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본체부(1)는 적당한 색의 기판, 예를 들면 유기 유리 등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기판 위에 각종 패턴을 스프레이, 스크린 인쇄한다. 측벽(3)과 연결부(2)의 표면도 밀봉형태, 혹은 그 위의 일부 또는 전부 구역이 투각형태로 설치되며, 간판의 강도 및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측벽(3)과 연결부(2)는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상술한 투각형태로 설치되는 표면은 그 위의 투각패턴이 임의의 형태, 예를 들면 삼각형, 다각형, 격자무늬, 하트모양 등 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간판의 구조는 한자, 영어문자, 아라비아 숫자 등 및 특수부호, 패턴 등의 3D 입체제작에 응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간판을 사용해 야간표식효과를 강화시키기 위해 측벽(3)의 저부에는 장착판을 설치하였으며, 장착판 위에는 발광소자를 설치하였는데, 발광소자는 LED 광원, 네온등 또는 백열등 중의 한가지 또는 몇가지 일 수 있으며, 발광소자의 파워, 색상 및 발광소자 밝기의 조절에 대한 제어에 의해, 간판의 발광성능이 다양화될 수 있으며, 더 아름답게보이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에 따른 간판의 제작방법을 제공하였으며, 본 실시예의 방법은 본체부와 측벽 사이에 적층된 단차층을 갖는 간판의 제작에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영어대문자 R의 일종의 아트폰트를 예로 간판의 제작방법을 소개하는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S1: 간판 디자인에 기초하여, 사이즈 비례요구를 만족하는 간판의 본체부 및 이와 연결되는 최상층 단차층의 목재 또는 PVC발포 시트 금형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 PVC발포시트 또는 기계로 제작된 목공판 등 쉽게 변형되지 않는 금형재료를 사용하여 간판의 본체부 및 최상층 단차층을 갖는 R자 모형을 제작하며, 모형의 사이즈는 실제로 필요한 간판의 사이즈와 일정하게 비례된다.
S2: 상기 최상층 단차층의 금형에 대해 구역을 획분하여,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역부재가 되도록 획분하며, 상이한 마크로 각 구역부재를 표기한다.
S3: 본체부 위 및 최상층 단차층의 각 구역부재 표면 위에 탁본재료를 각각 피복하여, 본체부 전개 유닛과, 최상층 단차층의 각 구역부재가 대응하는 평면 전개 유닛을 얻고, 각 평면 전개 유닛 위에 이와 서로 대응하는 구역부재와 동일한 마크를 각각 표기한다.
구체적으로, 포스트잇 또는 접착지를 탁본재료로 사용한다.
S4: 제작하고자 하는 간판 중의 연결부의 단차층 수와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 전개 유닛을 단계 S3의 탁본재료 사이즈에 비례하여 축소 시키고; 축소 후의 평면 전개 유닛에 대해 수식을 진행하여, 각 평면 전개 유닛이 마크에 따라 연결 성형된 후 최상층 단차층의 금형 형태과 유사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평면 전개 유닛을 단계 S3의 사이즈 비례에 따라 확대하는 것을 예로 들면, 확대한 후, 확대된 평면 전개 유닛에 대해 마지막 작업 및 절단을 하되 각 평면 전개 유닛이 마크에 따라 연결 성형된 후 그 형태가 최상층 단차층의 금형 형태와 유사하도록 하고 단지 사이즈만 확대되도록 하며, , 특히 평면 전개 유닛 중 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측을 적당히 절단하며, 또한 각 평면 전개 유닛의 이음새 부위에 대해 적당히 절단하여, 각 평면 전개 유닛이 연결된 후 연결부위가 금형에 상응하여 변형되지 않고, 모양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작된 연결부는 단차층이 위로부터 아래로 점차 확대되며; 상술의 평면 전개 유닛을 단계 S3의 사이즈비례에 따라 축소하면 제작된 연결부는 단차층이 위로부터 아래로 점차 축소된다.
연결부가 여러층의 단차층을 갖는 간판에 대해 단계 S4의 절차를 반복할수 있고, 평면 전개 유닛을 단계 S3의 사이즈 비례에 따라 확대시키고, 적당히 손질을 진행하여 각층의 단차층과 대응하는 평면 전개 유닛을 얻는다. 중간 단차층의 각 구역부재가 대응하는 평면 전개 유닛에 대해 손질을 진행할 때, 최종적으로는 마크에 따라 연결 성형된 단차층의 상측 가장자리와 이 층의 단차층과 연결되는 상층 단차층의 저부 가장자리의 사이즈가 매칭될 수 있도록 하여, 두 층의 단차층을 규칙적으로 연결 성형시켜야 하며, 중간 단차층 저부 가장자리의 사이즈가 이 층의 단차층과 연결되는 하층 단차층의 상부 가장자리의 사이즈와 매칭될 수 있도록 하여, 두 층의 단차층을 규칙적으로 연결 성형시킬 수 있다.
S5: 상술한 축소 및 손질 후의 평면 전개 유닛을 기초로 절단하고 재료를 투하하며, 절단 후의 판재 위에 평면 전개 유닛과 대응하는 마크를 각각 표기하며, 동시에 본체부에 필요로 하는 판재를 절단한다.
S6: 간판 디자인에 기초하여, 본체부 판재와 단차층의 각 구역부재가 대응하는 판재를 마크순서에 따라 용접을 진행하여, 상층 유닛의 3D 간판 표식형태의 본체부와 연결부 전체를 형성한다.
S7: 측벽과 서로 연결되는 최저층 단차층의 저부 가장자리 사이즈에 기초하여, 측벽에 사용되는 판재로부터 필요한 길이 및 너비의 측벽 판재를 절단하며, 측벽 판재와 최저층 단차층을 용접하여 3D 간판 전체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간판의 각 구성부재 간의 용접방법은 아르곤 아크 용접, 전기 용접, 알루미늄 용접 또는 납땜 등이다. 각 구성부재가 용접 성형되기 전 또는 후에, 투각모양으로 설치된 본체부 또는 단차부가 대응하는 평면 전개 유닛 위에 개구 처리를 진행하는데, 개구의 형태는 원형, 삼각형, 다각형, 격자무늬, 하트모양 등이다. 또한, 간판이 내구성을 갖추도록, 단차층과 측벽은 금속재료를 사용하고, 본체부는 유기 유리판 재료 또는 투광도가 비교적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투광성을 증가시킨다.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판의 형태는 본체부로써 나타내고, 적층된 단차층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설치하여 본체부와 측벽을 연결시키며, 측벽에 의해 연결부를 지지함으로써 간판의 입체감을 강화시키며;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연결부와 측벽을 제작하여 간판이 낮에는 표시효과가 더 좋아지고 또한 내구성이 강해지도록 하며; 간판의 야간표시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해 측벽의 하부에 발광소자가 안착되어 있는 장착판을 설치했고, 투광재료를 사용하여 본체부를 제작하였으며, 연결부와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 구역에 개구하는 것에 의해 광선이 투과되도록 하여 간판의 윤곽을 뚜렷하게 표시했으며, 이에 의해 그 식별효과가 더 정확해지도록 한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적층된 단차층은 하나의 금형만 제작하여, 각층 단차층 사이즈를 금형에 기초하여 대응하게 축소시키고, 판재에서 필요한 원자재를 절단해 용접 성형하기만 하면 되는데, 이는 제작공정을 단축시키고, 재료를 절약하며 제작된 간판은 미관이 더욱 아름답다.
위의 서술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일 뿐,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여러 가지 개량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개량 및 변형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간판은 간판의 형태를 본체부로써 나타내고, 적층된 단차층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설치하여 본체부와 측벽을 연결시키며, 측벽에 의해 연결부를 지지함으로써 간판의 입체감을 강화시키며;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연결부와 측벽을 제작하여 간판이 낮에는 표시효과가 더 좋아지고 또한 내구성이 강해지도록 하며; 간판의 야간표시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해 측벽의 하부에 발광소자가 안착되어 있는 장착판을 설치했고, 투광재료를 사용하여 본체부를 제작하였으며, 연결부와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 구역에 개구하는 것에 의해 광선이 투과되도록 하여 간판의 윤곽을 뚜렷하게 표시하며, 이에 의해 그 식별효과가 더 정확해지도록 한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적층된 단차층은 하나의 금형만 제작하며, 각층 단차층 사이즈를 금형에 기초하여 대응하게 축소시키며, 판재에서 필요한 원자재를 절단해 용접 성형하기만 하면 되는데, 이는 제작공정을 단축시키고, 재료를 절약하며 제작된 간판 미관이 더욱 아름답다.
1 : 본체부 2 : 연결부
3 : 측벽

Claims (10)

  1. 3D 간판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상층 유닛과 하층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상층 유닛은 상기 3D 간판의 표식형태를 구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층 유닛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캐비티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과 측벽 사이에는 추가로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적층하여 설치되는 단차층을 여러층 포함하며, 각 단차층은 서로 연결되는 상측 단차판과 하측 단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층의 단차층 중, 하층에 위치한 단차층의 상측 단차판 가장자리는 이와 연결되는 상층 단차층의 하측 단차판 가장자리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층 단차층의 사이즈는 이와 연결된 상층 단차층의 사이즈에 비례하여 확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간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표면은 평면, 곡면 또는 릿지모양의 볼록면이며, 그 표면은 밀봉형태, 혹은 그 위의 일부 또는 전부 구역이 투각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측벽과 연결부는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그 표면은 각각 밀봉형태, 혹은 그 위의 일부 또는 전부 구역이 투각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간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저부에는 장착판이 설치되고, 장착판 위에는 발광소자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간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3D 간판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S1: 간판 디자인에 기초하여, 사이즈 비례요구를 만족하는 간판 본체부 및 이와 연결되는 최상층 단차층의 목재 또는 PVC발포시트 금형을 제작하는 단계와,
    S2: 상기 최상층 단차층의 금형에 대해 구역을 획분하여,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역부재가 되도록 획분하며, 상이한 마크로 각 구역부재를 표기하는 단계와,
    S3: 본체부 위 및 최상층 단차층의 각 구역부재 표면 위에 탁본재료를 각각 피복하여, 본체부 전개 유닛과, 최상층 단차층의 각 구역부재가 대응하는 평면 전개 유닛을 얻고, 각 평면 전개 유닛 위에 이와 서로 대응하는 구역부재와 동일한 마크를 각각 표기하는 단계와,
    S4: 제작하고자 하는 간판 중의 연결부의 단차층 수와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 전개 유닛을 단계 S3의 탁본재료 사이즈에 비례하여 축소 시키고; 축소 후의 평면 전개 유닛에 대해 손질을 진행하여, 각 평면 전개 유닛이 마크에 따라 연결 성형된 후 최상층 단차층의 금형 형태와 유사해지도록 하는 단계와,
    S5: 상술한 축소 및 손질 후의 평면 전개 유닛을 기초로 절단하고 재료를 투하하며, 절단된 후의 판재 위에 평면 전개 유닛과 대응하는 마크를 각각 표기하며, 동시에 본체부에 필요로 하는 판재를 절단하는 단계와,
    S6: 간판 디자인에 기초하여, 본체부 판재와 단차층의 각 구역부재가 대응하는 판재를 마크순서에 따라 용접을 진행하여, 상층 유닛의 3D 간판 표식형태의 본체부와 연결부 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S7: 측벽과 서로 연결되는 최저층 단차층의 저부 가장자리 사이즈에 기초하여, 측벽에 사용되는 판재로부터 필요한 길이 및 너비의 측벽 판재를 절단하며, 측벽 판재와 최저층 단차층을 용접하여 3D 간판 전체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간판의 제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단차층을 여러층 포함하되, 각 단차층의 구역부재가 대응하는 평면 전개 유닛은 단계 S3의 탁본재료 사이즈로 비례축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간판의 제작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탁본재료는 포스트잇 또는 접착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간판의 제작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방법은 아르곤 아크 용접, 전기 용접, 알루미늄 용접 또는 납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간판의 제작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투각모양으로 설치된 본체부 또는 단차부가 대응하는 평면 전개 유닛 위에 개구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간판의 제작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유기 유리판 재료를 사용하며, 상기 단차층과 측벽은 금속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간판의 제작방법.
KR1020147004494A 2011-07-22 2012-07-20 3d 간판 및 그 제작방법 KR201400490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2072157A CN102254486B (zh) 2011-07-22 2011-07-22 三维标识牌及其制作方法
CN201110207215.7 2011-07-22
PCT/CN2012/078916 WO2013013596A1 (zh) 2011-07-22 2012-07-20 三维标识牌及其制作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009A true KR20140049009A (ko) 2014-04-24

Family

ID=4498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494A KR20140049009A (ko) 2011-07-22 2012-07-20 3d 간판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237872A1 (ko)
EP (1) EP2736032B1 (ko)
JP (1) JP5997271B2 (ko)
KR (1) KR20140049009A (ko)
CN (1) CN102254486B (ko)
CA (1) CA2842727C (ko)
RU (1) RU2613867C2 (ko)
WO (1) WO20130135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825A (ko) * 2014-05-14 2015-11-24 윤옥진 광고판
KR20150130820A (ko) * 2014-05-14 2015-11-24 윤옥진 광고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4486B (zh) * 2011-07-22 2013-07-17 吴江宇星金属工艺装潢有限公司 三维标识牌及其制作方法
CN102592509B (zh) * 2011-12-06 2013-09-04 吴江宇星金属工艺装潢有限公司 三维标识牌及其制作方法
CN104175273B (zh) * 2013-05-28 2016-06-08 胡厚飞 具有立体浮凸字体的手工具
US20170110038A1 (en) 2015-10-14 2017-04-20 James A. Guertin Lumineye
CN110517604A (zh) * 2019-07-25 2019-11-29 安徽子午线标识标牌工程有限公司 立体发光标识牌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13823B (da) * 1966-02-28 1969-04-28 P Naessil Reklameskilt.
US3675355A (en) * 1970-01-19 1972-07-11 Glass Lab Co Molding strip
JPH0181344U (ko) * 1987-11-24 1989-05-31
US4970816A (en) * 1990-01-11 1990-11-20 Everbrite Electric Signs, Inc. Roof sign
JPH0816254A (ja) * 1994-07-01 1996-01-19 Hitachi Ltd 空気流量試験用の定負圧制御装置
US6722065B2 (en) * 2001-10-31 2004-04-20 Gemini, Inc. Illuminated indicia enclosures
JP2004038129A (ja) * 2002-07-07 2004-02-05 Takeshi Sano 表示体
EP1489584A1 (en) * 2003-06-19 2004-12-22 Alrec Sign & Display B.V. Illuminable sign
US7162821B2 (en) * 2003-06-20 2007-01-16 Identity Group, Inc. Illuminated sign
CN2643437Y (zh) * 2003-08-22 2004-09-22 饶志伟 双色立体发光字
EP1615194A1 (en) * 2004-07-07 2006-01-11 Signnovation International Dinxperlo B.V. Method for producing a box sign
WO2006119617A1 (en) * 2005-05-10 2006-11-16 Branislav Kovacevic Monolithic illuminated element
US7467486B2 (en) * 2006-05-22 2008-12-23 Kaoh Andy K F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the appearance of a neon sign
CN201522812U (zh) * 2009-08-15 2010-07-07 无锡爱迪信光电科技有限公司 大功率led吸塑字
CN101656032B (zh) * 2009-09-11 2011-01-12 张克强 一种多层立体套色发光字及其制作工艺
US20110271569A1 (en) * 2010-05-10 2011-11-10 Nelson Charles R Display with multi-faceted illumination effect
CN201853448U (zh) * 2010-11-05 2011-06-01 张祥锋 一种发光立体字牌专用边条
CN102081887B (zh) * 2010-12-31 2014-02-12 吴江宇星金属工艺装潢有限公司 一种三维立体金属字及其制作方法
CN202110728U (zh) * 2011-07-07 2012-01-11 沈兴华 三维标识牌
CN202178027U (zh) * 2011-07-22 2012-03-28 吴江宇星金属工艺装潢有限公司 三维标识牌
CN102254486B (zh) * 2011-07-22 2013-07-17 吴江宇星金属工艺装潢有限公司 三维标识牌及其制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825A (ko) * 2014-05-14 2015-11-24 윤옥진 광고판
KR20150130820A (ko) * 2014-05-14 2015-11-24 윤옥진 광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42727C (en) 2020-01-07
US20140237872A1 (en) 2014-08-28
CN102254486A (zh) 2011-11-23
EP2736032A4 (en) 2015-08-26
JP2014521129A (ja) 2014-08-25
JP5997271B2 (ja) 2016-09-28
EP2736032A1 (en) 2014-05-28
RU2613867C2 (ru) 2017-03-21
CN102254486B (zh) 2013-07-17
WO2013013596A1 (zh) 2013-01-31
CA2842727A1 (en) 2013-01-31
EP2736032B1 (en) 2020-03-18
RU2014103179A (ru)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9009A (ko) 3d 간판 및 그 제작방법
CN102081887B (zh) 一种三维立体金属字及其制作方法
CN102592509B (zh) 三维标识牌及其制作方法
CN202058395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434161U (zh) 三维标识牌
CN202120543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110728U (zh) 三维标识牌
CN201984757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093768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178027U (zh) 三维标识牌
CN201946253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196556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1975035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110765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120541U (zh) 一种标识牌
CN202434134U (zh) 三维标识牌
CN202110729U (zh) 一种三维标识牌
CN201984756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1910214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189521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120545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110762U (zh) 标识牌
CN201984758U (zh) 一种三维立体字及使用该三维立体字的灯具
CN202178029U (zh) 三维标识牌
CN103325304A (zh) 具有复合结构屏面的马赛克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