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754A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754A
KR20140048754A KR1020120115065A KR20120115065A KR20140048754A KR 20140048754 A KR20140048754 A KR 20140048754A KR 1020120115065 A KR1020120115065 A KR 1020120115065A KR 20120115065 A KR20120115065 A KR 20120115065A KR 20140048754 A KR20140048754 A KR 20140048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ar cover
support
support memb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0673B1 (en
Inventor
정재준
임장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673B1/en
Publication of KR2014004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7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6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a frame which is arrang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includes a guide rib defining the battery mount area on the rear surface; a rear cover which covers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and forms a battery hall inside; a battery which is fitted in the battery mount area through the battery hall; and a support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guide rib or the rear over to contact and support the battery.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ing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more ductile than the guide rib or the rear cover.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면서 영상 및 음성 통화,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의미한다.Th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carry video, voice calls,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최근에는, 통화 기능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이 추가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폰과 같은 최신 휴대용 단말기는 기존의 휴대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구비하며,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과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Recently, smart phones, which are intelligent terminals having added computer support functions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are rapidly spreading. The latest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has a relatively large screen compared to a conventional mobile phone, and has the advantage of selecting various functions and menus using a touch screen method.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1 is a rear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and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the line I-I of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1)의 배면에는 배터리(3)가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3)는 프레임(4)의 배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의 배면에는 리어 커버(2)가 장착되고, 상기 리어 커버(2)의 내측에는 상기 배터리(3)가 끼워지는 배터리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2)의 배면에는 배터리 커버(1)가 안착되어, 상기 배터리(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1 to 3, the battery 3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 and the battery 3 is se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4. A rear cover 2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4, and a battery hole in which the battery 3 is fitted is formed inside the rear cover 2. In addition, a battery cover 1 is se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2 to prevent the battery 3 from being separated.

상세히, 상기 리어 커버(2)에 형성되는 배터리 홀의 가장자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3)의 측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3)의 측면과 직접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홀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리어 커버(2)의 내측면에는 접촉 돌기(5)가 돌출 형성된다. In detail, the edges of the battery holes formed in the rear cover 2 are roun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ide portions of the battery 3 as shown, so that they directly contact the side surfaces of the battery 3. In addition, a contact protrusion 5 protrudes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cover 2 forming an edge of the battery hole.

종래의 리어 커버(2)의 경우, 상기 배터리 홀의 측면 가장자리면과 상기 배터리(3) 간에는 조립 공차를 두지 않음으로써, 배터리의 전극이 분리되어 발생하는 파워 다운(power down) 현상을 방지하고, 배터리가 충격에 의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ar cover 2, there is no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side edge surface of the battery hole and the battery 3, thereby preventing a power down phenomenon caused by separation of the electrodes of the battery, To prevent separation by impact.

이와 같이, 배터리 홀과 배터리 간 조립 공차가 없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에 비틀림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접촉 돌기(5)와 배터리가 접촉되는 지점에서 마찰로 인한 삐걱거리는 이상 소음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제품의 감성 품질이 저하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고급스러움이 훼손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re is no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battery hole and the battery, when the torsion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a squeaking abnormal noise due to friction occurs at a point where the contact protrusion 5 i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As a result, the emotional quality of the product may be degraded and the luxury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impa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가해지는 비틀림에 의하여 배터리와 프레임 사이에 마찰로 인한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prevent abnormal noise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battery and the frame due to the twist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놓이고, 배면에 배터리 장착 영역을 정의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배면을 덮고, 내측에 배터리 홀이 형성되는 리어 커버; 상기 배터리 홀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 장착 영역에 끼워지는 배터리; 및 상기 가이드 리브 또는 상기 리어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를 접촉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 리브 또는 상기 리어 커버보다 연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module; A fram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having a guide rib formed on the rear surface to define a battery mounting area; A rear cover covering a rear surface of the frame and having a battery hole formed therein; A battery fitted to the battery mounting region through the battery hole; And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guide rib or the rear cover to contact and support the battery,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ductility than the guide rib or the rear cov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배터리와 직접 접촉한 상태로 배터리를 지지하는 연성 재질의 지지 부재가 별도로 제공됨으로써, 프레임과 배터리 간 조립 공차를 충분히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since a support memb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supports the battery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ttery is separately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frame and the battery can be sufficiently set.

둘째, 프레임과 배터리 사이에 조립 공차가 존재함으로써, 단말기에 비틀림이 가해지더라도 마찰로 인한 이상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n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frame and the batter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bnormal noise due to the friction does not occur even if the torsion is applied to the terminal.

세째, 지지 부재가 배터리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배터리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배터리가 저절로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Third, since the support member firmly supports the batter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attery from being separated by itself in the state where the battery cover is separated.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배터리 커버와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 배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완제품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C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횡단면도.
도 11은 지지 부재가 장착된 부분의 확대 사시도.
1 is a rear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II of Fig. 1;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battery cover and the battery removed.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B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finished state cut along the line II-II of FIG.
Figure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of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where a support member is moun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 모듈(15:도 7 참조)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의 전면에 놓이는 윈도우 글래스(11)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의 배면에 놓이는 프레임(14)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과 윈도우 글래스(11)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런트 커버(12)와,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프런트 테코(13)와, 상기 프레임(14)의 배면에 안착되는 배터리(18)와, 상기 프레임(14)의 배면에 놓이는 리어 커버(16)와, 상기 리어 커버(16)의 하단에 놓이는 안테나 모듈(17), 및 상기 리어 커버(16)와 배터리(18)를 덮는 배터리 커버(19)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모듈(17) 내부에는 안테나 뿐만 아니라 스피커 모듈이 함께 장착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15 (see FIG. 7), a window glass 11 plac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15, and the display. A frame 14 placed on the back of the module 15, a front cover 12 surrounding the edges of the display module 15 and the window glass 11, and a front teco surrounded by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cover 12. 13, a battery 18 se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14, a rear cover 16 plac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14, and an antenna module placed on a lower end of the rear cover 16. 17) and a battery cover 19 covering the rear cover 16 and the battery 18. The antenna module 17 is equipped with a speaker module as well as an antenna.

상세히, 상기 리어 커버(16)의 내측에는 상기 배터리(18)가 끼워지는 배터리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18)는 상기 배터리 홀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14)의 배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4)에는 배터리 안착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안착부(141)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리브(142)가 둘러진다. 상기 가이드 리브(142)에 의하여 배터리 장착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142)는 상기 리어 커버(16)의 배터리 홀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진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16)의 상부 영역에는 각종 전장 부품이 실장되고, 하측 영역에는 상기 배터리(18)가 놓이게 된다. 상기 프레임(14)과 상기 가이드 리브(142)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In detail, a battery hole into which the battery 18 is fitted is formed inside the rear cover 16. Thus, the battery 18 is seated on the back of the frame 14 through the battery hole. In addition, a battery seating portion 141 is formed in the frame 14, and a guide rib 142 is surrounded by an edge of the battery seating portion 141. The battery mounting area is defined by the guide rib 142, and the guide rib 142 is surrounded along the edge of the battery hole of the rear cover 16. In addition,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re mounted in an upper region of the rear cover 16, and the battery 18 is placed in a lower region. The frame 14 and the guide rib 142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도 5는 배터리 커버와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II-II를 따라 절개되는 완제품 상태의 휴대용 단말기의 횡단면도이다. 5 is a rear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battery cover and the battery separated,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B of FIG. 5, and FIG. Cross section view.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커버(16)의 내측에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배터리 홀(161)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홀(161)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14)의 배터리 안착부(141)가 노출된다. 5 and 6, as described above, a battery hole 161 in which a battery is seated is formed inside the rear cover 16, and the frame 14 is connected to the battery hole 161 through the battery hole 161. The battery seat 141 is exposed.

상세히, 상기 배터리 안착부(141)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리브(141)가 둘러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141)의 어느 지점에는 배터리(18)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20)가 장착된다. 상기 지지 부재(20)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20)는 상기 가이드 리브(141)에 별도의 부재 형태로 끼워지거나, 상기 가이드 리브(141)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20)는 상기 배터리 홀(161)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In detail, the guide rib 141 is surrounded by the edge of the battery seating portion 141. At some point of the guide rib 141, the support member 20 for supporting the battery 18 is mounted. The support member 2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ncluding rubber or plastic.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2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rib 141 in the form of a separate member, or may be injection molded to the guide rib 141.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2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battery hole 161, respectively.

또한, 상기 리어 커버(16)는 상기 가이드 리브(141)를 덮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14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20)가 형성되는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배터리 홀(161) 가장자리에는 지지 부재 수용홈(16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20)의 일부분이 상기 배터리 홀(161)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홀(161)의 가장자리부는 상기 리어 커버(16)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18)의 측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18)의 측면부가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배터리 홀(161)의 가장자리부는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18)의 측면부를 지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rear cover 16 covers the guide rib 141 so that the guide rib 14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support member accommodating groove 162 is formed at an edge of the battery hole 161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support member 20 is formed.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 may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battery hole 161. An edge portion of the battery hole 161 is formed by the rear cover 16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18. As shown, when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18 is convexly rounded, the edge portion of the battery hole 161 is concavely rounded to support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18.

한편, 상기 배터리(18)의 측면에 접촉하는 쪽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 부재(20)의 측면부 상단에는 접촉 돌기부(2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 돌기부(21)의 하단부에서 상기 지지 부재(20)의 하단부 어느 지점까지는 상기 배터리(18)의 측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라운드지는 가이드 면(2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면(22)은 실질적으로 상기 배터리 홀(161)의 가장자리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protrusion 2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20 corresponding to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battery 18. In addition, a guide surface 22 is formed to be roun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18 from a lower end of the contact protrusion 21 to a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0. The guide surface 22 has a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dge shape of the battery hole 161.

이와 같은 지지 부재(20)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18)의 측면부 상단이 상기 접촉 돌기부(21)에 의하여 지지되어, 배터리(18)가 외력에 의하여 분리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면(22)과 상기 배터리 홀(161) 측면부 형상에 의하여 배터리(18)의 측면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 면(22) 및 상기 배터리 홀(161)의 측면부와 상기 배터리(18)의 측면부 사이에 어느 정도의 조립 공차를 둘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에 비틀림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마찰로 인한 이상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20)가 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배터리(18)의 측면부를 손상시키지 않을 뿐 아니라, 접촉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배터리(18)를 분리할 때 과도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2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18 is supported by the contact protrusion 21,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the battery 18 is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have.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18 is stably supported by the shape of the guide surface 22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hole 161. In addition, there may be some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guide surface 22 and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hole 161 and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18. Therefore, even if a tors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bnormal noise due to friction does not occur. And, since the support member 20 is made of a soft material, not only does not damage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18,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act noise does not occu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require excessive force when removing the battery 18.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8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am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C of FIG. 8.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는, 도 4 내지 도 7에 제시된 지지 부재(20)와 구조에 있어서 유사하나, 지지 부재(30)의 분리 방지 구조가 더 구비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8 and 9, the support memb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ilar in structure to the support member 20 shown in FIGS. 4 to 7, but the separation preventing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30 is different. There is a difference in what is further provided.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30)는,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레임(14)의 가이드 리브(142)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 부재(30)는, 상기 가이드 리브(142) 제공되는 스태빌라이저(31)와, 상기 스태빌라이저(31)에 끼워지는 지지체(32)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support memb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located on the guide rib 142 of the frame 14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30 includes a stabilizer 31 provided with the guide rib 142, and a support 32 fitted to the stabilizer 31.

더욱 상세히, 상기 스태빌라이저(31)는 상기 가이드 리브(142)의 일부분일 수도 있고, 이전 실시예의 지지 부재 형성 방법과 동일하게 사출 성형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142)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32)는 상기 스태빌라이저(31)의 측면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stabilizer 31 may be part of the guide rib 142 or may be coupled to the guide rib 142 by injection mold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support member forming method of the previous embodiment. In addition, the support 32 may be fitt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stabilizer 31.

한편, 상기 스태빌라이저(31)에는 홈부(311)와 돌기부(312)가 교번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32)에도 홈부(321)와 돌기부(322)가 교번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32)의 돌기부(322)는 상기 스태빌라이저(31)의 홈부(311)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체(32)의 홈부(322)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31)의 돌기부(312)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홈부와 돌기부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도브 테일(dove tail)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돌기부가 홈부에 끼워지면 상기 지지체(32)가 상기 스태빌라이저(3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16)가 상기 지지 부재(30)의 상면을 덮어서 조립되므로, 상기 지지체(32)가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는 현상도 차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tabilizer 31, the groove portion 311 and the projection portion 312 is formed alternately, the groove portion 321 and the projection portion 322 is also formed alternately in the support (32). The protrusion 322 of the support 32 is fitted into the groove 311 of the stabilizer 31, and the protrusion 312 of the stabilizer 31 is fitted into the groove 322 of the support 32. Lose.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are formed in a dove tail shape that becomes wider toward an end thereof. When the protrusion is fitted into the groove, the support 32 is separated from the stabilizer 31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blocked. In addition, since the rear cover 16 is assembled by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0, the phenomenon in which the support 32 is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lso blocked.

또한, 상기 지지체(32)의 측면부, 즉 상기 배터리(18)의 측면부와 마주보는 측면부에는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촉 돌기부(323)와 가이드 면(324)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 돌기부(323)와 가이드 면(324)의 기능은 이전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323 and the guide surface 324 are form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support 32, that is, the side portion facing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18,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Since the functions of the contact protrusion 323 and the guide surface 324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횡단면도이고, 도 11은 지지 부재가 장착된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terminal with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n which the supporting member is mounted.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40)는 프레임에 형성되는 이전 실시예들과 달리 리어 커버(16)에 이중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and 11, the support memb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double injection into the rear cover 16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s formed in the frame.

상세히, 이중 사출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플라스틱 소재의 상기 리어 커버(16)가 먼저 사출 공정에 의하여 성형된 다음, 상기 지지 부재(40)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에 안착된다. 그리고,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하여 상기 지지 부재(40)가 상기 리어 커버(16)에 한 몸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40)는 상기 리어 커버(16)보다 연성이 높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배터리(18)와의 접촉 시 마찰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 detail, the double injec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First, the rear cover 16 of a plastic material is first molded by an injection process, and then mounted on a mold for forming the support member 40. Then, the support member 40 is formed in one body on the rear cover 16 through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40 may be formed of another material having a higher ductility than the rear cover 16 so that friction noise does not occur when the battery 18 i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18.

상기 리어 커버(16)의 측면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터리 홀(161)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측면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40)의 일부분이 통과하여 상기 배터리(18)의 측면부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한 사출홀(191)이 형성된다. 이중 사출 과정에서 수지 용액이 주입되면, 상기 사출홀(191)을 통하여 수지 용액이 충진되고, 상기 배터리 홀(161)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된다. An injection hole for allowing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40 to pass through the side portion of the rear cover 16, specifically, the side portion forming the edge of the battery hole 161 to contact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18. 191 is formed. When the resin solution is injected in the dual injection process, the resin solution is fill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191, and protrudes from an edge of the battery hole 161.

상세히, 상기 지지 부재(40)는 상기 리어 커버(16)의 측면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터리(18)에 접하는 면의 반대쪽 측면에 부착되는 바디부(41)와, 상기 바디부(41)의 상단 측면부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는 접촉 돌기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돌기부(42)는 상기 사출홀(191)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 장착 공간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배터리(18)가 장착되면, 상기 접촉 돌기부(42)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18)의 상단부 측면이 접촉 지지된다. 상기 리어 커버(16)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 돌기부(42) 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바디부(41)는 상기 리어 커버(16)의 내부에 숨겨지는 형태로 조립된다. In detail, the support member 40 includes a body portion 41 attached to a side portion of the rear cover 16, specifically, a side opposite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ttery 18, and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41. And a contact protrusion 42 projecting horizontally from the side portion. The contact protrusion 42 penetrates through the injection hole 191 and protrudes into the battery mounting space.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18 is mounted,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18 is supported by the contact protrusion 42. In the state in which the rear cover 16 is mounted, only the contact protrusion 42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11, and the body 41 is hidden inside the rear cover 16. Is assembl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18)의 측면부는 대부분 상기 배터리 홀(161)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상기 리어 커버(16)에 의하여 접촉 지지되고, 상기 접촉 돌기부(42)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18)가 비틀림 외력에 의하여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18 is mostly supported by the rear cover 16 which forms an edge of the battery hole 161, and the battery 18 is contacted by the contact protrusion 42. Separation by torsional external force is prevented.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4)의 가이드 리브(142)는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배터리 장착부의 가장자리에 둘러지되, 상기 지지 부재(40)가 형성되는 부분만 제외된다.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rib 142 of the frame 14 is surrounded by the edge of the battery mounting portion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member 40 is formed.

Claims (1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놓이고, 배면에 배터리 장착 영역을 정의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배면을 덮고, 내측에 배터리 홀이 형성되는 리어 커버;
상기 배터리 홀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 장착 영역에 끼워지는 배터리; 및
상기 가이드 리브 또는 상기 리어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를 접촉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 리브 또는 상기 리어 커버보다 연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A display module;
A fram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having a guide rib formed on the rear surface to define a battery mounting area;
A rear cover covering a rear surface of the frame and having a battery hole formed therein;
A battery fitted to the battery mounting region through the battery hole; And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guide rib or the rear cover to contact and support the battery;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terial that is higher than the guide rib or the rear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고무 또는 연성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ing member is made of a rubber or soft plastic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리브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의 측면부에 접촉되게 돌출되는 접촉 돌기부와,
상기 접촉 돌기부의 하단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하단부 어느 지점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guide rib,
A contact protrusion projecting to be in contact with a side portion of the battery;
And a guide surface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contact protrusion to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배터리의 측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surface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ide portion of the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일부분을 형성하거나 별개의 물품으로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에 결합되며, 고무 또는 연성의 플라스틱 소재의 지지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 stabilizer forming part of the guide rib or formed of a separate article,
A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the stabilizer and including a support made of rubber or soft plastic materi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측면과, 상기 스태빌라이저에 밀착되는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는 돌기부와 홈부가 교번하여 형성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는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부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ide of the stabilizer and the side of the suppo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tabilizer is formed by alternating protrusions and grooves,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stabilizer is fitted to the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fitted to the groove formed on the side of the stabiliz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홈부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도브 테일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portion is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dovetail shape that is wider toward the en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면은 상기 리어 커버에 의하여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is covered by the rear cov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는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는 접촉 돌기부와, 상기 접촉 돌기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지지체의 하단 어느 지점까지 연장되는 가이드 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ide of the support facing the side of the batter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projection is formed so as to contact the side of the battery, and the guide surfac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rojection to any point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is formed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배터리 홀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리어 커버의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member comprises:
And a side surface of the rear cover which forms an edge of the battery ho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커버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측 어느 지점에서 상기 리어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의 측면에 접촉하는 접촉 돌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 body portion extending along a side of the rear cover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battery hole;
And a contact protrusion conta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through the rear cover at any point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KR1020120115065A 2012-10-16 2012-10-16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9806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065A KR101980673B1 (en) 2012-10-16 2012-10-16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065A KR101980673B1 (en) 2012-10-16 2012-10-16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754A true KR20140048754A (en) 2014-04-24
KR101980673B1 KR101980673B1 (en) 2019-05-21

Family

ID=5065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065A KR101980673B1 (en) 2012-10-16 2012-10-16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6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130A1 (en) * 2015-07-03 2017-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811A (en) * 2003-10-02 200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cover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inner battery type mobile phone
KR20050037204A (en) * 2003-10-17 200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Locking apparatus of battery in mobile phone
KR20060113197A (en) * 2005-04-29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pack for portable display
KR20070033409A (en) * 2000-01-17 2007-03-26 김민겸 Portable terminal
KR20120055018A (en) * 2010-11-22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409A (en) * 2000-01-17 2007-03-26 김민겸 Portable terminal
KR20050032811A (en) * 2003-10-02 200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cover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inner battery type mobile phone
KR20050037204A (en) * 2003-10-17 200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Locking apparatus of battery in mobile phone
KR20060113197A (en) * 2005-04-29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 pack for portable display
KR20120055018A (en) * 2010-11-22 201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130A1 (en) * 2015-07-03 2017-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same
US10398039B2 (en) 2015-07-03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673B1 (en)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189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ide speaker hole
KR102194229B1 (en) Virtual reality glasses
KR102115340B1 (en) Handheld device enclosure
AU2018260952A1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apparatus
CN107205533A (en) Bridge shape reinforcer for housing port
KR101910839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coustic apparatus
US7099709B2 (en) Metal enclos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0896419B (en) Shell assembly, mobile terminal and assembling method of decoration
EP4213494A1 (en) Acoustic device
KR101084548B1 (en) Shield case for wireless portab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633769B (en) Terminal, display screen assembly and assembly for protecting display screen of terminal
KR20140126603A (en) Waterproof connector for ear phone and mak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80673B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00288833A1 (en) Mobile device cases and case systems with embedded sidewall shock absorber
CN107277210B (en) Mobile terminal and side key waterproof device thereof
CN108055369B (en) Mobile terminal
JP547773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9923602B (en) Frame assembly and display device
KR20150068831A (en) Outter case for portable cellular telephone
CN219421378U (en) Middle frame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CN211127897U (en) Mobile terminal protective sleeve
KR20130030720A (en) Slim-type display module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CN212572847U (en) Receiver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KR101366333B1 (en) hand-held terminal unit
CN215682591U (en) Lamp display module and TWS 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