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102A - 냉장 기기 - Google Patents
냉장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8102A KR20140048102A KR1020137026373A KR20137026373A KR20140048102A KR 20140048102 A KR20140048102 A KR 20140048102A KR 1020137026373 A KR1020137026373 A KR 1020137026373A KR 20137026373 A KR20137026373 A KR 20137026373A KR 20140048102 A KR20140048102 A KR 201400481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assembly
- coupling means
- support
- door
- lug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장 기기(100)가 개시되고, 상기 냉장 기기는, 수직 축(Y)을 따라서 서로 상하로 배치된 적어도 복수의 러그들(3)이 상부에 위치되는 내측 표면(8)을 형성하는 도어(1), 및 상기 도어(1) 에 장착되는 높이-조정가능 저장 선반(4)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 선반은 상기 선반(4)을 상기 복수의 러그들 중 하나의 러그(3)와 커플링시키기 위한 커플링 수단(5)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수단(5)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는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선반의 위치를 상기 도어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러그에 커플링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선반의 높이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러그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저장 선반(4)은 또한 상기 러그(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그리고 상기 선반(4)을 수직 이동으로 안내하도록 크기가 결정된 안내 부분(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도어에 커플링된 조정가능한 높이의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 또는 냉동고와 같은 냉장 기기에 관한 것이다.
물품들의 저장을 위한 선반들이 고정된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들을 구현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선반들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물품들에 맞춰서 조정하기 위해서, 도어 내부에서 여러 레벨들에서, 즉 다양한 높이들에서 지지부들 상에서 후크 결합되도록 이러한 선반들이 디자인된다. 도어 내의 선반의 수직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선반의 후크들을 도어의 지지부들로부터 분리하고 이어서 선반을 지지부들로부터 완전히 제거하고, 이어서 다른 선택된 높이에 위치되는 새로운 지지부들 내의 후크들에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한 구성의 전형적인 예가 예를 들어 Electrolux Limited 명의의 GB 1535805에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선반의 높이를 조정하길 원하는 경우에 냉장고의 도어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어야 하는 전술한 이러한 선반들에서는, 물체들의 의도하지 않은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선반의 위치를 변화시키기에 앞서서, 선반에 저장된 모든 물품들을 제거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들에게 다소 불편한 것으로 간주되고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책들이 제시되었다.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명의의 WO 2008/077742 는 냉장고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높이 조정을 위한 캐치(catch) 장치에 의해서 도어의 내측 측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조절가능 도어 선반이 상기 냉장고 도어에 제공되고, 상기 도어 선반은 제 2 캐치와 함께 캐치 장치를 형성하는 제 1의 이용가능한 캐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장고는, 높이 조정을 위해서, 덜 복잡하고 저비용의 메커니즘이 이용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General Motors Corporation 명의의 US 3682521 에는, 외측 표면들에 고정된 누름가능 탭들(depressible tabs)을 가지는 수직 단부 벽들을 구비한 조정가능한 선반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가능 탭들에는 다시 유지 러그들(lugs)이 장착된다. 복수의 장착 러그들이 협력하는 고정형 수직 표면들에 고정되고, 그러한 표면에 인접하여 선반이 장착되며, 그에 따라 유지 러그들이 장착 러그들과 결합되어 선반을 특정 위치에서 유지한다. 본질적으로 외측으로 편향되어 장착 러그들과 수직(normal) 결합되도록, 탭들이 선반과 일체로 몰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탭들을 누르지 않고 선반이 수직 상향으로 조정될 수 있게 허용하는 캠 표면을 유지 러그들이 포함한다. 그러나, 모든 실시예들에서, 장착 러그들이 고정된 고정형 지지 구조물로부터 선반을 후퇴(withdraw)시키기 위해서 탭들을 반드시 눌러야 한다.
Comercial Acros Whirlpool, S.A. 명의의 US 2003/011291에는, 후방 벽의 전방으로 연장하여 공동을 형성하는, 지지 측벽들에 의해서 형성된 내측 라이너를 냉장고 도어가 가지는, 냉장고 도어를 위한 저장 상자(bin) 장착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적어도 수직으로 연장하는 리브(rib)가 각각의 측벽 내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복수의 유지 요소들이 후방 벽 내의 여러 위치들에서 선택적으로 정렬된다. 저장 상자는, 대향 측벽들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슬롯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 상자의 후방 벽 내에서 연결된 탄성 커플링 수단을 포함한다. 저장 상자가 냉장고 도어의 공동 내에 장착되어, 내측 라이너의 수직 슬롯을 각각의 수직 연장 리브와 조립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유지 요소들을 저장 상자의 탄성 커플링 수단과 조립한다. 저장 상자의 높이가 상향 또는 하향 슬라이딩 가능한 운동으로 공동 내에서 조정되어, 탄성 커플링 수단과 유지 수단을 결합 및 분리시킨다.
Whirlpool Corporation 명의의 US 7748805 는 냉장고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지지 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 요소는 후방 엣지를 가지는 지지 표면, 상기 지지 요소 상에 위치되고 서로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지지 아암들(arms)을 가지며, 상기 지지 아암들은 상기 후방 엣지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측방향으로 편향된다.
본원 발명은 도어 및, 선반과 같은 저장 부재가 연결된 높이 조정가능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목적들을 위해서, "저장 부재"는, 냉장고 또는 냉동고 내에 전형적으로 저장되는 식품 물품들 또는 다른 종류의 물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하고 그리고 냉장고 또는 냉동고의 도어에 부착되는, 선반 또는 상자와 같은 다른 부재를 의미한다.
도어의 수직 축을 따른 저장 부재의 배치를 수정하기 위해서, 부재를 도어로부터 디커플링(decoupled)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본원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수직 방향을 따른 저장 부재의 새로운 희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저장 부재는 안내되는 방식으로 도어의 내측 표면 상에서 실질적으로 슬라이딩한다.
본원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시장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도어 구조물들에 대비할 때, 수직 방향을 따른 "단순한 조정"을 가지는 그러한 높이 조정가능 저장 부재를 포함하기 위해서 도어 구조를 광범위하게 수정할 필요가 없는 냉장 기기를 획득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냉장고 도어들은, 선반들이 부착되는 도어 자체의 내측 표면 내에 위치되는, 복수의 지지 요소들, 특히 돌출 러그들을 포함한다. "내측 표면"이라는 용어는, 냉장고가 폐쇄될 때 보이지 않는 도어의 표면으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러그들은, 적어도 도어의 높이의 일부에 대해서, 수직 축을 따라서 서로 상하로 정렬되어, 적어도 하나의 수직 기둥(column), 종종 2개의 수직 기둥들을 실질적으로 형성하고, 그리고 선반들은 체결 수단을 통해서 러그들에 대해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이러한 선반들은 다소 복잡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출원인은 바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러그 구조물을 그 내측 표면에 포함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러그 구조물에 커플링된 전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딩되는 높이 조정가능 저장 부재를 가지는 냉장 기기를 고려하였다. 이러한 방식에서, 본원 발명의 냉장 기기는, 도어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러그 부재들에 의해서 형성된) 지지 구조물을 실질적으로 수정하지 않고도,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한다.
보다 특히, 본원 발명의 냉장고는 전술한 저장 부재 및 상기 저장 부재를 상기 복수의 러그들 중 하나 이상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는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저장 부재의 위치를 도어 상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이 상기 러그(들)에 커플링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저장 부재의 높이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이 상기 러그(들)로부터 분리되는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조립체는 복수의 러그들 중 하나의 러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embrace)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저장 부재의 수직 축을 따른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분을 포함한다.
사실상, 본원 발명의 냉장 기기에서, 하나(또는 그 초과)의 저장 부재(들)가 커플링 수단을 통해서 도어에 커플링되고, 그러한 커플링 수단은, 저장 부재가 러그들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는 "커플링된" 위치로부터 커플링 수단과 러그들 사이에 결합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디커플링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된 위치에서, 저장 부재에 커플링된 안내 부분들로 인해서, 저장 부재가 슬라이딩될 수 있고, 즉 도어의 내측 표면을 따라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이동에서, 안내 부분의 존재는 저장 부재 자체의 과다 회전(overturn) 또는 기울어짐(tilt)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안내 부분이 저장 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 상응하여 위치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양 단부들에 상응하여 위치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냉장 기기는, 안내 부분들을 위한 레일들로서 작용하는 "파단형(broken)" 리브들의 기능을 가지는, 러그들의 2개의 수직 기둥들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 부분들과 함께 상기 수직 기둥들은, 저장 부재가 상향 또는 하향 이동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하기 위한, 형상-결합(form-fitting) 커플링을 형성한다.
종래 기술 도어들에 대한 냉장 기기의 도어의 구성 변화가 실질적으로 없기 때문에, 냉장고의 제조를 위한 표준 단계들을 수정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정형 선반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 및 본원 발명에 따른 냉장고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동일한 제조 프로세스가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표준화가 실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선반 제조 단계들에 대한 차이점들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를 이미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본원 발명에 따라 실현된 동일한 높이 조정 가능 저장 부재들을 부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정형 및 가동형 선반들 모두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타입의 선반들을 냉장 기기에 장착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매우 늦은 스테이지로 연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 구매 시점까지 연기할 수 있는데, 이는 동일한 냉장고에 고정형 및 슬라이딩 가능형 선반들 모두가 장착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이고; 심지어 사용자는, 변경을 필요로 할 때, 하나의 타입으로부터 다른 타입으로 선반들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본원 발명은, 수직 축을 따라서 서로 상하로 배치된 적어도 복수의 지지 부재들이 상부에 위치되는 내측 표면을 형성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와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는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에 관한 것이고;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지지 조립체의 위치를 상기 도어 상에서 고정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에 커플링될 수 있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지지 조립체의 높이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지지 조립체는 또한 상기 지지 조립체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 부재들과 슬라이딩식으로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안내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의 표면과 접하는(abutment) 후크 부재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후크 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의 상부 표면과 접하고 상기 지지 조립체의 슬라이딩을 저지한다.
상기 커플링 수단은 상기 후크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기 위해서 상기 후크 부재에 연결된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플링 수단은 상기 후크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그리고 제 1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후크 부재에 연결된 힌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플링 수단은 또한 작동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작동 부분은 후크 부재에 연결되고 그리고 후크 부재를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수단 및 안내 부분이 서로 일체형이다.
안내 부분이 낮은 마찰 계수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어의 내측 표면은 수직 축을 따라서 각각 정렬된 제 1 및 제 2의 복수의 지지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지지 조립체가 제 1 및 제 2 커플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각각의 커플링 수단이 상기 제 1 및 제 2의 복수의 지지 부재들 중의 지지 부재에 연결된다.
지지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커플링 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커플링 수단 중 임의의 커플링 수단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커플링 수단 중의 다른 커플링 수단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이 유발된다.
지지 조립체가 제 1 및 제 2 측벽들을 가지는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 수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측벽들에 상응하여 위치된다.
상기 지지 조립체가 제 1 및 제 2 안내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제 1 안내 부분은 상기 지지 조립체의 제 1 측벽에 상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 1의 복수의 지지 부재들 중의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그리고 상기 제 2의 안내 부분은 상기 지지 조립체의 제 2 측벽에 상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 2의 복수의 지지 부재들 중의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그에 따라 상기 지지 조립체가 상기 도어 상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복수의 지지 부재들이 레일들로서 작용한다.
상기 지지 부재들이 바람직하게 러그들에 의해서 형성된다.
첨부 도면들을 기초로 하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발명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가 연결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 1의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 및 도 1a의 도어에 부착된 지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분해된 상태에서 도 2a의 지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나머지 부분들로부터 분해된 도 2a 또는 2b의 지지 조립체를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4b 및 4c는 각각 조립된, 부분적으로 분해된 그리고 분해된 구성으로 도 2a의 지지 조립체의 3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3개의 상이한 부분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5a 및 5b는 지지 조립체가 제 1 동작 위치 및 제 2 동작 위치에 각각 있는 상태에서 도 1a의 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a-6d는 지지 조립체가 상향 이동된 상태에서 도 1a의 도어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4개의 사시도들이다.
도 7a-7d는 지지 조립체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도 1a의 도어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4개의 사시도들이다.
도 8a 및 8b는, 제 1 및 제 2 동작 위치 각각에서,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상세부분들의 부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2개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9a 및 9b는 도 2a 및 2b의 저장 부재의 부가적인 실시예의 2개의 사시도들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또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요소들의 명료성을 개선하여 본원 발명을 보다 잘 도시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일부 경우들에서, 도면들을 간략히 도시하였고 그리고 요소들을 제거하였다.
도 1a는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 1의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 및 도 1a의 도어에 부착된 지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분해된 상태에서 도 2a의 지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나머지 부분들로부터 분해된 도 2a 또는 2b의 지지 조립체를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4b 및 4c는 각각 조립된, 부분적으로 분해된 그리고 분해된 구성으로 도 2a의 지지 조립체의 3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3개의 상이한 부분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5a 및 5b는 지지 조립체가 제 1 동작 위치 및 제 2 동작 위치에 각각 있는 상태에서 도 1a의 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a-6d는 지지 조립체가 상향 이동된 상태에서 도 1a의 도어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4개의 사시도들이다.
도 7a-7d는 지지 조립체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도 1a의 도어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4개의 사시도들이다.
도 8a 및 8b는, 제 1 및 제 2 동작 위치 각각에서,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상세부분들의 부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2개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 9a 및 9b는 도 2a 및 2b의 저장 부재의 부가적인 실시예의 2개의 사시도들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또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요소들의 명료성을 개선하여 본원 발명을 보다 잘 도시하고 설명하기 위해서, 일부 경우들에서, 도면들을 간략히 도시하였고 그리고 요소들을 제거하였다.
도 1을 먼저 참조하면, 발명에 따른 냉장 기기(100)는 냉장 격실(2a)이 내부에 형성되는 본체(2), 및 통상적인 방식으로 상기 냉장 격실(2a)에 대한 접근 또는 폐쇄를 위해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도어(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어(1)가 힌지들(미도시)에 의해서 냉장 본체(2)에 피봇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냉장 기기(100)가 상기 격실(2a)에 대면하는 도어(1)의 측부 상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조립체(4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조립체(40)의 위치가 수직 방향을 따라서 조정될 수 있다.
모든 도면들에서, 도어(1)를 제외하고, 냉장 기기(100)의 요소들 및/또는 상세부분들을 도시하지 않았고 그리고 당업계에 공지된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2개의 도어들이 존재하는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냉장 기기(100)가 하나 보다 많은 냉장 격실(2a) 및 그에 따른 하나 보다 많은 도어(1)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부가적인 도어들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1a를 참조하면, 도어(1)는, 상기 도어(1)가 폐쇄될 때, 냉장 격실(2a)과 대면하는 내측 표면(8)을 포함한다. 도어(1)는, 그 내측 표면(8) 상에서,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측벽들(13a, 13b)을 형성하고, 상기 측벽들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후방 벽(14)으로부터 냉장 격실(2a)에 대해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도어(1) 내에 공동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측벽들(13a, 13b)이 제 1 표면(14a) 및 제 2 표면(14b)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은 서로 대면하고 그리고 그 각각에 복수의 지지 부재들(3)이 구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부재들(3)이 도어(1)의 제 1 및/또는 제 2 측벽들(13a, 13b)과 일체로 몰딩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도어(1)는 2개의 측벽들, 후방 벽 및 지지 부재들을 포함하는 단일 피스로 몰딩된 내측 라이너를 포함한다. 몰딩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열성형 프로세스일 수 있다. 그 대신에, 지지 부재들이, 예를 들어, 압출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생산되고 이어서 측벽들(13a, 13b)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들(3)이 러그들, 핀 부재들, 또는 선반이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다른 지지 조립체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다른 요소들이 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단지 러그들만을 인용할 것이나, 동일한 적용예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요소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하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러그들(3)이 제 1 및 제 2 측벽들(13a, 13b) 각각의 제 1 표면(14a) 및 제 2 표면(14b)에만 존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 표면(8)의 부가적인 부분들 내에도 존재할 수 있고; 또는 러그들(3)이 예를 들어 도어(1)의 후방 벽(14)의 중앙 부분 내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구성이 또한 예상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러그들(3)이 서로 상하로 배열되어, 2개의 수직 기둥들 즉, 상기 제 1 측벽(13a)의 제 1 표면(14a) 내에 하나의 수직 기둥 그리고 제 2 측벽(13b)의 제 2 표면(14b) 내에 다른 하나의 수직 기둥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러그들(3)이 냉장 기기(10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평행한 각각의 수직 Y 축들을 따라서 2개의 평행한 기둥들을 형성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러그들(3)이 동일한 높이에서 쌍으로 배치되고, 즉 제 1 측벽(13a)의 제 1 표면(14a) 상에 위치된 각각의 러그(3)가 제 2 측벽(13b)의 제 2 표면(14b) 상에 위치된 상응하는 러그(3)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2개의 러그들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즉 고정된 기준 레벨에 대한 동일한 Y 축의 세로좌표(ordinate)에서 배치된다. 제 1 측벽(13a) 상의 하나의 러그 및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제 2 측벽(13b) 상의 상응하는 러그로 이루어진 러그들의 커플을 이하에서 "러그 쌍"으로 지칭한다.
동일한 기둥에 속하는 2개의 러그들(3) 사이의 Y 축을 따른 간격이 모든 러그들에 대해서 동일할 수 있고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즉 동일한 기둥에 속하는 2개의 러그들 사이의 수직 거리가 선택된 러그들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간격 값 자체는, 특히, 도어의 크기, 도어가 힌지 결합되는 냉장고의 타입(즉, 냉장고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물품들의 "가장 일반적인" 치수들), 및 그러한 도어(1) 내에 장착될 것으로 예상되는 선반들의 수에 의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러그들(3)은 도어(1)의 전체 높이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또는 그 일부에 대해서만 연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러그들(3)은 Y 축을 따른 세장형(oblong) 형상 즉, 임의의 다른 방향들을 따른 그들의 치수(들) 보다 Y 축을 따른 그들의 치수가 더 긴 형상을 가진다. 그에 따라, 그들은 둥근 단부들(3a, 3b)을 가지는 Y 축을 따라 정렬된 로드들(rods)로서 간주될 수 있다(러그 형상에 관한 구체적인 것을 도 5a 및 5b에서 보다 잘 볼 수 있다). 러그의 2개의 대향 단부들(3a, 3b)을 상단부 및 하단부로서 명명하고, 상부 및 하부라는 용어는 정상적인 사용 중에 냉장 장치(100)의 위치에 의해서 규정된다. 주어진 러그(3)의 하단부(3d)가 동일한 기둥 내의 아래쪽 러그의 상단부(3a)와 대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1)는, 선반과 같은, 저장 부재(4)를 포함하는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40)를 적어도 포함한다.
선반들은 발명의 적용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지지 부재의 단지 하나의 예이고, 그리고 저장 상자, 서랍(양자 모두 도시하지 않았다) 또는 다른 타입의 선반들과 같은 다른 타입의 지지 부재들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저장 부재"라는 용어는 냉장고 내에 배치하고자 하는 물품들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저장 요소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그 용어는 평면형 선반, 전체(full) 폭의 상자, 절반 폭 상자, 커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우유 상자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지지 조립체(40)는 전술한 러그들(3)에 의해서 도어(1)의 내측 표면(8)에 연결되고, 이는 조립체(40)가 커플링된 지지부들을 구성한다.
발명의 냉장 기기(100)가 임의 수의 지지 조립체들(40)(예를 들어, 복수의 상이한 타입들의 도어 지지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냉장 기기(100)가 도시된 도 1 참조)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하에서, 하나의 지지 조립체(40)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이다. 또한, 도어(1)가 종래 기술에 따른 하나 이상의 선반들(4pa)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를 조정할 때 도어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는 선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중에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40)의 원치 않는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어(1)에 부착된 가장 하부의 선반(4pa)이 그러한 종래 기술의 선반일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지지 조립체(40)가 2개의 러그들(3), 보다 구체적으로 러그들의 쌍에 의해서 도어(1)에 연결되나, 그러한 연결이 임의 수의 러그들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제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각각의 지지 조립체(40)가 저장 부재(4)를 포함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저장 부재(4)가 바닥(18), 2개의 대향 측벽들(9a, 9b), 및 전방 벽(12)을 포함하는 케이싱(7)을 포함한다. 전방 벽(12) 및 측벽들(9a, 9b)은, 냉장 기기(100)의 도어(1)가 개방되고 폐쇄될 때, 물품들을 제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후방 벽(21)이 케이싱(7) 내에 또한 포함될 수 있고 그리고 냉장 기기(100)의 후방 벽(14)의 형상에 따라서 구성되며, 그에 따라 저장 부재(4)의 후방 벽(21)이 도어(1)의 후방 벽(14) 상에서 장애물들 없이 슬라이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개의 벽 표면들(14, 21)이 짝을 이루는(mating) 형상을 가진다. 케이싱(7)은,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 및/또는 유리와 같이, 냉장고들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표준 재료들 중 임의의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 조립체(40)는, 발명의 양태에 따라서, 지지 부재(4)를 러그들의 쌍(3)에 커플링하기 위한 커플링 수단(5)을 또한 포함한다. 커플링 수단(5)은, 스냅 피팅(snap fitting) 연결에 의한 것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방식으로 저장 부재(4)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커플링 수단(5)이 저장 부재(4)의 케이싱(7) 상으로 함께-사출될(co-injected)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 조립체(40)가 제 1 및 제 2 커플링 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수단들은 바람직하게 케이싱의 각각의 측벽(9a, 9b)에 상응하여 위치된다. 커플링 수단(5)은 지지 조립체(40)가 러그들(3)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는 즉, 각각의 커플링 수단(5)이 러그들의 쌍 중의 러그들(3)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커플링 수단(5)이 러그들(3)로부터 분리되는 제 2 동작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동작 위치에서, 지지 조립체(40)가, 수직 방향을 따른 힘의 인가에 의해서, 수직으로 슬라이드되어 그 높이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어(1) 상에서의 저장 부재(4)의 슬라이딩은 도어(1)의 후방 벽(14) 및 저장 부재(4)의 후방 벽(21)이 접촉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들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도 있다. 저장 부재(4)의 수직 방향을 따른 슬라이딩 이동이 커플링 수단(5) 및 러그들(3) 사이에 구현된 구체적인 연결에 의해서 도어(1)의 측벽들(13a, 13b)에 상응하여 안내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3에서, 커플링 수단(5)이 케이싱(7)으로부터 탈착된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다. 커플링 수단(5)은 조립체(40)를 러그들(3)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 부재(10), 상기 커플링 수단(5)을 제 1 동작 위치로부터 제 2 동작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부분(11), 및 상기 후크 부재와 상기 작동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 요소(또는 부분)(15)를 포함한다. 커플링 수단(5)이 또한 상기 연결 요소(15)에 연결된 안내 부분(6)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고,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도 3의 실시예에서, 커플링 수단(5)이 "L-형상"이고, 작동 부분(11)이 수평으로 연장하고, 상기 연결 요소(15) 및 안내 부분(6)이 수직으로 연장하며, 상기 후크 부재(10)가 상기 작동 부분(11)에 대향하여 L 자의 모서리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15)가 탄성 요소이다. 그에 따라, 작동 부분(11) 및 후크 부재(10)가 실질적으로 강성인 부분을 함께 형성하고, 그러한 강성인 부분은, 탄성 요소(15)를 통해서, 안내 부분(6)으로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탄성 요소(15)가 작동 부분(11)의 이동을 후크 부재(10)로 전파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후크(10)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도 8a 및 8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15)가 비교적 강성인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힌지 요소(15')의 힌지 축 주위로 후크 부재(1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 1의 결합된 위치(도 8b)로부터 제 2의 분리된 위치(도 8a)까지의 작동 부분(11) 및 후크 부재(10)의 이동을 허용하는 힌지 요소(15')를 통해서, 연결 요소(15)가 안내 부분(6)에 연결된다. 그러한 회전은 작동 부분(11) 상에 추력(thrust)을 인가함으로써 유발된다. 힌지(15')가 저장 부재(4)의 케이싱(7)에 또는 안내 부분(6)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연결 요소(15)가 탄성인 경우에, 커플링 수단(5)이 이하의 탄성 커플링 수단에서 요구될 것이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크 부재(10), 작동 부분(11), 및 연결 요소(15)가 모두 동일한 재료로 구현되고 그리고 일체형이고, 즉 단일 피스이다. 커플링 수단(5)을 구현하는 재료가,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코폴리머 아세탈린 수지), 폴리아미드(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다.
작동 부분(11)은, 사용자가 저장 부재(4)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원할 때,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되는 부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부분을 모든 타입의 지지 조립체의 이동에 대해서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부분(11)이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될 때, 커플링 수단(5)이 제 1 동작 결합 위치로부터 제 2 동작 결합 위치로 이동되고,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명확히 설명할 것이다. 부분(11)이 사용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작동될 수만 있다면 즉, 전형적으로 손가락에 의해서 수동으로 이동될 수만 있다면, 부분(11)이 임의의 희망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로서, 작동 부분(11)이 푸시 버튼 또는 탭일 수 있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2개의 커플링 수단(5)이 저장 부재(4)의 양 측부들에 연결되고, 그리고 2개의 상응하는 작동 부분들(11)이 케이싱(7)의 바닥(18) 아래로 돌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2개의 작동 부분들(11)이 케이싱(7)의 2개의 측벽들(9a, 9b)에 상응하여 존재하여 바닥(18) 아래로 돌출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푸싱에 의해서, 각각의 작동 부분(11)이 저장 부재(4)의 바닥(18)을 향해서 푸싱될 수 있고, 상기 커플링 수단(5)은 상기 후크 부재(10)가 러그(3)와 접하는 제 1 결합 위치로부터, 상기 후크 부재(10)가 러그(3)와 커플링되지 않는 제 2 분리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제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후크 부재(10)가 저장 부재(4)와 러그(들)(3) 사이의 기계적인 커플링을 구현한다. 커플링 수단(5)이 제 1 동작 위치에 있을 때, 후크 부재(10)가 러그(3)와 접하고(커플링 수단이 도시된 도 5a 참조); 특히 러그들(3)의 2개의 기둥들 및 2개의 커플링 수단(5)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2개의 후크 부재들(10)의 각각이 러그들의 쌍의 러그들 중 하나의 러그와 접한다. 후크 부재(10)가 측벽(9a, 9b)에 상응하여 케이싱의 바닥(18) 아래로 돌출하고 그리고 후크 표면(10a), 특히 오목한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 표면은 러그(3)의 상단부(3a)의 상부 표면의 일부와 짝을 이루며, 즉 후크 부재(10)가 러그(3)의 상부의 둥근 단부(3a)와 접하며; 이러한 구성이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후크 부재(10) 및 러그(3)가 Y 축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그리고 후크 부재(10)는 그 후크 부재가 연결되는 러그(3)의 상단부 상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제 2 동작 위치에서, 후크 부재(10)는 러그(3)와 접촉하지 않고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도 5b에서 볼 수 있다. 사실상, 제 2 동작 위치에서, 후크 부재(10)가 Y 축에 대해서 변위되고, 즉 후크 부재(10)가 러그(3)와 더이상 정렬되지 않고 측방향으로 천이된다.
탄성 요소(15)가 후크 부재(10)를 작동 부분(11)과 연결시키고, 그에 따라, 작동 부분(11)이 눌려질 때, 작동 부분(11)의 이동이 후크 부재(10)로 전달되고, 그리고 작동 부분(11)이 해제될 때, 탄성 요소(15)는 후크 부재를 제 1 동작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하고, 즉 탄성 요소(15)는 후크 부재를 Y 축을 따라 러그들(3)과 정렬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편향력(즉, "스냅-인" 힘)을 항상 인가한다. 탄성 요소(15)는 모든 도시된 실시예들(예를 들어, 도 4a-4c 참조)에서와 같이 탄성 재료의 스트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립체(40)가 케이싱(7)의 두 측부들에 위치된 2개의 커플링 수단(5)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작동 부분들(11)이 서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작동 부분들이, 예를 들어 한 손을 이용하는, 하나의 작용에 의해서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2개의 커플링 수단(5) 중 하나의 작동이 또한 다른 하나의 작동을 또한 유발한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조립체(40)가 2개의 작동 부분들(11)을 연결하는 연결 바아(21)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2개의 작동 부분들(11) 및 연결 바아(21)가 단일의 강성 피스를 형성한다. 바아(21)의 단일 작동에 의해서, 즉 바아의 푸싱에 의해서 또는 2개의 작동 부분들(11) 중 하나의 푸싱에 의해서, 2개의 작동 부분들(11)이 양 후크 부재들(10)로 동시에 힘을 가하여 러그들(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한 손을 이용하여 저장 부재(4)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선반(4)의 측부들 중 하나의 슬라이딩을 의도하지 않게 차단할 수 없으며, 예를 들어 작동 부분들 중 하나의 파지(grip)을 놓치는 것이 발생될 수 없다. 바아(21)가 없는 상태에서, 양 작동 부분들(11)이 사용자에 의해서 푸싱되어야 하고, 그리고 그러한 비대칭적인 차단의 경우에, 저장 부재가 횡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그리고 물품들이 낙하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조립체(40)는 저장 부재(4)의 수직 이동들에서 저장 부재(4)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부분(6)을 더 포함한다. 특히, 안내 부분(6)은,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러그들(3)의 기둥과 슬라이딩식으로 커플링된다. 안내 부분(6)은 도 3 및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수단(5)의 일체형 부분이 될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분(6)이 케이싱(7)의 측벽들(9a, 9b)에 상응하여 케이싱(7)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부분(6)이 저장 부재(4) 상에 장착된 부가적인 요소일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안내 부분(6)의 위치가 러그(3)의 위치에 상응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내 부분(6)이 러그들(3)들과 대면하도록 케이싱(7)의 양 측벽들(9a, 9b) 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내 부분(6)은, 단면에서, 실질적으로 U-형상이고, 그에 따라 Y 축을 따라서 연장하고 러그들(3)을 수용하기 위해서 러그들(3)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수직 홈과 같은 수직 시트(seat)(6a)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안내 부분의 길이는 적어도 하나의 러그(3) 전체를 바람직하게 수용하도록 결정되고, 그리고 또한 상기 단일 기둥 내의 2개의 연속되는 러그들(3) 사이의 간격 보다 더 긴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장 부재(4)가 도어(1) 상에 장착될 때, 안내 부분(6)이 러너(runner)의 기능을 가지고 그리고 러그들(3)의 기둥은 상기 러너들이 상부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는 레일의 기능을 가지는데; 이는 안내 부분(6)의 길이가 바람직하게 2개의 연속되는 러그들(3) 사이의 간격 보다 더 길디 때문이고, 러그들(3)의 기둥의 불연속성들은 안내 부분에 의해서 "인지"되지 않으며, 상기 안내 부분에 대해서는 기둥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레일이 된다. 도어(1)의 2개의 측벽들(13a, 13b) 내에 구현되는 러그들(3)의 2개의 기둥들을 포함하는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 부재(4)의 제 1(제 2) 측벽(9a(9b))에 상응하여 위치되는 안내 부분(6)이 도어(1)의 제 1(제 2) 측벽들(13a(13b))에서 구현된 러그들(3)의 기둥과 결합된다. 그에 따라, 저장 부재(4)의 수직 이동들에서, 안내 부분(6)이 러그 기둥들 상에서 슬라이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 부재(4)의 레일(들)의 우발적인 이탈(going off) 위험이 최소화되도록, 안내 부분들(6)의 치수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안내 부분(6)은 저마찰 계수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현되고, 그에 따라 러그들(3) 상에서의 저장 부재(4)의 슬라이딩이 용이하고 매끄럽다. 안내 부분 구성을 위해서 적합한 재료들의 예를 들면,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원소들이 첨가된 수지들, 나일론 또는 폴리옥시메틸렌이 있다.
발명에 따라서, 지지 조립체(40)를 도어(1)에 커플링시키기 위해서, 이하의 과정이 실시된다. 이하에서, 2개의 측벽들(13a, 13b) 내에 위치된 러그들(3)의 2개의 기둥들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나, 그러한 과정은 발명의 다른 지지 조립체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맞춰서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조립체(40)가 러그들의 기둥들의 일 단부에서 냉장고 도어(1)의 측벽들(13a, 13b)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특히, 지지 조립체가 기둥의 가장 하단부로부터 또는 기둥의 가장 상단부로부터 도어(1)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하에 예는 위쪽(최상 단부)으로부터의 커플링을 설명한다. 바람직하게, 케이싱(7)의 후방 벽(21)이 또한 도어 표면(14)의 후방 벽(8)과 접촉한다.
각 측벽(13a, 13b) 상의 기둥의 최상단 러그(3)가 지지 조립체(40)의 상응하는 측벽들(9a, 9b) 내에 배치된 상응하는 안내 요소(6)와 커플링된다. 이러한 것을 위해서, 작동 부분들(11)을 케이싱(7)의 바닥(18)을 향해서 푸싱함으로써 커플링 수단(5)이 제 2 동작 위치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후크 부분들(10)이 Y 축으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그리고 러그들(3)의 안내 부분들(6)의 슬라이딩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지지 조립체(40)는 희망 높이에, 예를 들어, Y 축을 따른 희망 높이에 위치된 러그들의 쌍에 도달할 때까지 수직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희망 위치에 도달할 때, 작동 부분들(11)이 해제되며, 그에 따라 탄성 요소들(15)이 후크 부재들(10)을 Y 축을 따른 위치로 다시 푸싱할 수 있고, 따라서 지지 조립체(40)가 러그들(3)에 고정될 수 있는 제 1 동작 위치로 커플링 수단(5)을 이동시킨다. 이어서, 저장 부재(4)의 높이를 추가적으로 미세하게 조정하며, 그에 따라 후크 부재(10)가 선택된 러그들(3) 상에 접하게 되고 따라서 선택된 러그들의 쌍(3)과 결합된다. 후크 부재(10)의 내측 표면(10a)과 러그들(3)의 외측 상부 표면(3a) 사이의 짝을 이루는 형상 및 중력이 구성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지지 조립체(40)가 가장 하부의 러그들의 쌍을 통해서 유사한 방식으로 2개의 러그들에 커플링될 수 있고, 즉 저장 부재(4)가 아래로부터 러그들(3)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제, 2개의 수직 방향들 즉, 상향 및 하향 방향을 따른 지지 조립체(40)의 부가적인 이동에 대해서 도 6a-6d 및 7a-7d를 각각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6d를 참조하면, 도 6a에서 저장 부재(4)가 초기에 러그 쌍(3)에 고정되고 그리고 커플링 수단(5)이 제 1 동작 위치에 있으며, 그러한 제 1 동작 위치에서 후크 부재들(10)이 러그들(3)의 상단부 표면들(3a)과 접한다. 저장 부재(4)가 초기에 연결되는 러그 쌍들을 이하에서 31 로 지칭한다. 저장 부재를 수직 상방으로 이동 또는 조정하기를 희망한다면, 작동 부분(11)의 동작 없이 저장 부재(4)가 상향 방향으로 수동으로 푸싱될 수 있다. 사실상, 저장 부재(4)를 상승시킴으로써, 후크 부재들이 여전히 제 1 동작 위치에 있지만, 후크 부재들(10)이 러그들의 쌍(3)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된다. 저장 부재(4)가 이전에 연결되었던 러그들의 쌍(31)과 바로 위의 러그들의 쌍(32) 사이의 간격이 수직 이동에 의해서 커버되자 마자, 후크 부재들(10)이 위에 위치된 러그들의 쌍(32)에 대해서 접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접하는 것은 후크 부재들(10)의 볼록한 상부 표면(10b)과 러그들(3)의 하단부의 오목한 하부 표면(3b) 사이에서 구현되고, 그에 따라 각각의 표면 사이에서 짝을 이루는 것(mating)이 가능하지 않고 그리고 저장 부재(4)가 러그들(3)로 커플링되는 것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병진(translational) 이동으로 진행시키기 위해서, 후크 부재들(10)이 제 2 동작 위치로 이동되어야 하고, 예를 들어 작동 부분들(11)을 수동으로 동작시켜야 하고(예를 들어, 작동 부분들(11)을 푸싱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후크 부재들(10)이 안내 부분들(6) 내부의 러그들(3)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후크 부재들(10)이 이동된다(도 6b 참조).
커플링 수단(5)이 탄성 요소(15)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작동 부분들(11)의 사용자에 의한 동작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저장 부재(4)를 상향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저장 부재(4)로 인가되는 힘은 러그들에 의해서 후크 부재들(10)로 하향 인가되는 힘을 반작용으로서 생성하고 그리고, 작동 부분들(11)이 푸싱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탄성 요소들(15)이 벤딩된다(도 6b 참조). 탄성 요소들(15)을 벤딩시킴으로써, 후크 부재들(10)이 제 2 동작 위치로 이동하도록 강제된다. 그에 따라, 안내 요소들(6) 내부에서의 러그들(3)의 슬라이딩이 계속될 수 있고 - 후크 부재는 이동을 더 이상 방해하지 않는다 - 그리고 구체적으로, 러그들의 단부까지 즉, 상부 러그들의 쌍(32)과 보다 위의 러그들의 쌍(33) 사이의 간격에 도달할 때까지 러그들의 측방향 표면들 상에서 후크 부재들(10)의 외측 표면(10b)을 이용하여 제 2 동작 위치의 후크 부재들(10)이 미끄러진다. 이러한 위치에서, 탄성 요소들(15)에 의해서 가해지는 편향력으로 인해서, 후크 부재들(10)이 Y 축을 따라 제 1 동작 위치로 역으로 푸싱된다.
이러한 스테이지에서, 후크 부재들(10)이 상부 러그들의 쌍(32)의 상부 표면 상에서 접하도록, 저장 부재 자체를 약간 하강시킴으로써 저장 부재(4)가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6d에서, 후크 부재(10)와 상부 러그(32) 사이의 결합이 도시되어 있다. 명백하게, 사용자는 전술한 프로세스를 단순하게 계속할 수 있고, 즉 사용자가 저장 부재를 상향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계속 인가할 수 있고 그리고 상부 러그들의 쌍에 의해서 후크 부재들(10)이 다시 제 2 동작 위치로 이동되도록 강제되는 등, 희망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도 6a-6d에 도시된 모든 단계들을 반복할 수 있다.
이제 도 8a 및 8b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지지 조립체(40)의 상향 이동 중에, 후크 부재(10)의 상부 표면이 러그(32)의 하단부(3b)의 표면 상에 접할 때, 커플링 수단(5)이 또한 자동적으로 - 즉, 사용자의 동작들이 없이 - 제 1 동작 위치로부터 제 2 동작 위치로 이동되고: 그렇게 접하는 것에 의해서 후크(10)가 힌지(15') 축 주위로 회전된다. 지지 조립체(40)를 위쪽으로 추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러그(32)의 상단부(3a)를 지나서 통과할 때까지, 후크 부재들(10)이 러그(32)의 측방향 표면에 대항하여 슬라이딩한다. 이어서, 커플링 수단(5)이 역으로 이동되고, 중력의 영향을 받고 그리고 제 1 동작 위치로 힌지 요소(15')의 힌지 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후크 부재(10)가 Y 축을 따라서 다시 배치된다.
도 7a-7d를 참조하여 지지 조립체(40)의 하향 이동을 설명한다. 지지 조립체(40)가 주어진 러그들의 쌍(31)에 상응하여 배치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조립체(40)가 주어진 위치에 고정될 때, 커플링 수단(5), 예를 들어 후크 부재들(10)이 제 1 동작 위치에 있다. 지지 조립체를 하향 천이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한 하향 힘의 단순한 인가는, 탄성 요소(15)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후크 부재들(10)을 제 2 동작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 그에 따라, 지지 조립체(40)의 하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저장 부재(4)가 상승되어야 하고 이어서 작동 부분들(11)이 사용자에 의해서 푸싱되어야 한다(도 7b 구성 참조). 후크 부재들(10)을 러그들(31)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러그들(32) 자체에 의해서 이동이 차단되지 않고 제 2 작동 위치까지 측방향으로 후크 부재들(10)이 이동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획득하기 위해서, 초기 상승이 요구된다. 이어서, 작동 부분들(11)의 전술한 작동이 후크 부재들(10)을 제 2 작동 위치에서 이동시킨다. 후크 부재들(10)이 제 2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러그들의 쌍의 하향 수직 병진 운동이 31 로부터 32 까지 실시된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은, 희망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지지 조립체(40)의 슬라이딩이 실시될 수 있다. 만약 작동 부재들(11)이 푸싱되어 유지된다면, 후크 부재들(10)이 Y 축에 대해서 벗어나서 유지되고, 지지 조립체(40)의 슬라이딩이 계속될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임의의 희망 높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작동 부재들(11)이 해제될 때, 후크 부재들(10)이 연결 요소(15)로 인해서 제 1 동작 위치로 복귀된다. 특히, 만약 연결 요소들(15)이 탄성적이라면, 후크 부재들(10)이 요소들(15)의 탄성 작용으로 인해서 제 1 동작 위치로 복귀되고; 그와 달리, 만약 연결 요소들(15)이 강성이고 도 8a 및 8b의 예에서와 같이 힌지들(15')을 구비한다면, 후크 부재들(10)이 중력에 의해서 또는, 가능한 경우에, 사용자가 작동 부재들(11) 상에 가하는 당김(pulling) 작용에 의해서 제 1 동작 위치로 복귀된다. 그에 따라, 후크 부재들(10)이 러그들(32)의 상단부들 상에 접할 때까지(도 7d 참조), 저장 부재(4)가 약간 하향 이동된다.
설명된 하향 및 상향 이동들에서, 바람직하게 2개의 연속되는 러그들의 쌍들 사이의 거리보다 긴, 안내 부분들(6)의 수직 길이는 지지 조립체의 낙하 위험을 최소화하고, 예를 들어, 안내 부분들이 러그들의 기둥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14)
- 냉장 기기(100)로서:
- 수직 축(Y)을 따라서 서로 상하로 배치된 적어도 복수의 지지 부재(3)가 위치되는 내측 표면(8)을 형성하는 도어(1); 및
- 상기 도어(1)에 장착되는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40)로서, 상기 지지 조립체(40)는 상기 지지 조립체(40)를 상기 지지 부재(3) 중 적어도 하나와 커플링시키기 위한 커플링 수단(5)을 포함하는,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40)를 포함하는 냉장 기기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5)은, 상기 지지 조립체(40)의 위치를 상기 도어 상에서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3)에 커플링될 수 있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지지 조립체(40)의 높이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3)로부터 분리되는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지지 조립체(40)는 또한 상기 지지 조립체(40)를 수직 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 부재(3)와 슬라이딩식으로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안내 부분(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5)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3)의 표면(3a)과 접하는 후크 부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후크 부재(1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3)의 상부 표면(3a)과 접하고 상기 지지 조립체(40)의 슬라이딩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5)이, 상기 후크 부재(10)를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서 편향시키기 위해서 상기 후크 부재(10)에 연결된 탄성 요소(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5)은, 상기 후크 부재(10)를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그리고 상기 제 1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후크 부재(10)에 연결된 힌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5)이 작동 부분(11)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분은 상기 후크 부재(10)에 연결되고 상기 후크 부재(10)를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5) 및 상기 안내 부분(6)이 서로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분(6)이 낮은 마찰 계수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의 내측 표면(8)은 수직 축(Y)을 따라서 각각 정렬된 제 1 및 제 2의 복수의 지지 부재(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조립체(40)가 제 1 및 제 2 커플링 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각각의 커플링 수단이 상기 제 1 및 제 2의 복수의 지지 부재들 중 하나의 지지 부재(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조립체(40)는 제 1 및 제 2 커플링 수단(5)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요소(21)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커플링 수단 중 임의의 커플링 수단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커플링 수단 중의 다른 커플링 수단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이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조립체(40)가 제 1 및 제 2 측벽들(9a, 9b)을 가지는 케이싱(7)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 수단(5)이 상기 지지 조립체(40)의 제 1 및 제 2 측벽들(9a, 9b)에 상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조립체(40)가 제 1 및 제 2 안내 부분들(6)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내 부분(6)은 상기 지지 조립체(40)의 상기 제 1 측벽(9a)에 상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 1의 복수의 지지 부재들 중의 지지 부재(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그리고 상기 제 2 안내 부분(6)은 상기 지지 조립체(40)의 제 2 측벽(9b)에 상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 2의 복수의 지지 부재들 중의 지지 부재(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그에 따라 상기 지지 조립체가 상기 도어 상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복수의 지지 부재들(3)이 레일들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들(3)이 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기기(100). - 냉장 기기용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40)로서,
상기 지지 조립체는 상기 냉장 기기의 도어(1)에 장착되기에 적합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 조립체(40)를 상기 도어(1)의 내측 표면 상에서 수직 축(Y)을 따라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부재들(3)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커플링 수단(5)을 포함하는,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수단(5)은, 상기 지지 조립체(40)의 위치를 상기 도어 상에서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커플링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3)에 커플링될 수 있는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지지 조립체(40)의 높이 조정을 허용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3)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지지 조립체(40)는 또한 상기 지지 조립체(40)를 수직 방향을 따른 이동으로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 부재들(3)과 슬라이딩식으로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안내 부분(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정가능 지지 조립체(4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1157374A EP2498031A1 (en) | 2011-03-08 | 2011-03-08 | Refrigerating appliance |
EP11157374.7 | 2011-03-08 | ||
PCT/EP2012/053923 WO2012120045A2 (en) | 2011-03-08 | 2012-03-07 | Refrigerating appli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8102A true KR20140048102A (ko) | 2014-04-23 |
Family
ID=4420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6373A KR20140048102A (ko) | 2011-03-08 | 2012-03-07 | 냉장 기기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062283A1 (ko) |
EP (1) | EP2498031A1 (ko) |
KR (1) | KR20140048102A (ko) |
CN (1) | CN103459953A (ko) |
AU (1) | AU2012224654A1 (ko) |
BR (1) | BR112013022879A2 (ko) |
MX (1) | MX2013010222A (ko) |
RU (1) | RU2013144913A (ko) |
WO (1) | WO2012120045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52612B2 (en) | 2016-04-05 | 2019-07-16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CN112824795A (zh) * | 2019-11-21 | 2021-05-21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冰箱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I24064A (sl) * | 2012-05-15 | 2013-11-29 | Gorenje Gospodinjski Aparati, D.D. | Sistem za prestavljanje odlagalnega vsebnika po višini vrat gospodinjskega aparata |
AU2013369515B2 (en) * | 2012-12-26 | 2016-04-28 | Arcelik Anonim Sirketi |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height adjustable shelf |
DE102014200806A1 (de) * | 2014-01-17 | 2015-07-23 | Dometic Gmbh | Tür für ein Kältegerät mit Aufnahmemittel und Kältegerät |
CN104006619B (zh) * | 2014-05-14 | 2016-09-21 |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 一种冰箱 |
CN104006618B (zh) * | 2014-05-14 | 2016-12-07 |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 一种冰箱 |
EP2843333A1 (en) * | 2014-07-23 | 2015-03-04 | Gorenje d.d. | Enhanced system for vertically adjusting a deposit container in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
US9468313B2 (en) * | 2014-10-03 | 2016-10-18 | ATA Retail Services, Inc. | Product display tray |
SI24944A (sl) * | 2015-03-06 | 2016-09-30 | Gorenje Gospodinjski Aparati, D.D. | Gospodinjski aparat z odlagalnim vsebnikom, prestavljivim po višini vrat |
CN104896847A (zh) * | 2015-06-25 | 2015-09-09 | 广州美的华凌冰箱有限公司 | 门体及冰箱 |
KR102388156B1 (ko) * | 2015-12-03 | 2022-04-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도어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DE102016205705A1 (de) * | 2016-04-06 | 2017-10-12 | BSH Hausgeräte GmbH | Türabsteller für ein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spezifischen Grundkörper und einem dazu separaten Zusatzteil sowie Haushaltskältegerät |
US10912160B2 (en) | 2018-07-19 | 2021-02-02 | Whirlpool Corporation | Cooking appliance |
US10465971B1 (en) | 2018-07-31 | 2019-11-05 | Whirlpool Corporation | Sliding storage bin |
WO2020143389A1 (zh) * | 2019-01-12 | 2020-07-16 | 中山市海乐电器有限公司 | 一种冷藏柜滑动调节层架支撑架 |
DE102019115617A1 (de) * | 2019-05-21 | 2020-11-26 |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 Kühl- und/oder Gefriergerät mit höhenverstellbarem Türabsteller |
KR20210032812A (ko) * | 2019-09-17 | 2021-03-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US10962279B1 (en) | 2019-12-19 | 2021-03-30 | Midea Group Co., Ltd. | Refrigerator with an adjustable bin |
US11448457B2 (en) | 2019-12-19 | 2022-09-20 | Midea Group Co., Ltd. | Refrigerator with an adjustable bin |
US11215391B1 (en) * | 2020-12-01 | 2022-01-04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
US11668513B2 (en) | 2020-12-01 | 2023-06-06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Staged access door for a home appliance |
US11629904B1 (en) * | 2022-01-12 | 2023-04-18 | Bby Solutions, Inc. | Adjustable refrigerator shelving |
US12031770B2 (en) | 2022-02-15 | 2024-07-09 | Whirlpool Corporation | Storage assembly for an appliance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41370A (en) * | 1953-05-25 | 1956-04-10 | Gen Electric | Adjustable shelf |
US3029953A (en) * | 1960-08-24 | 1962-04-17 | Gen Electric | Refrigerator door shelf arrangement |
US3610174A (en) * | 1969-10-08 | 1971-10-05 | Gen Motors Corp | Infinite adjustable door shelf |
US3682521A (en) | 1970-10-16 | 1972-08-08 | Gen Motors Corp | Adjustable door shelving |
US3885846A (en) * | 1973-12-05 | 1975-05-27 | Lieh Chuang | Adjust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s supporting shelf |
SE398387B (sv) | 1975-04-09 | 1977-12-19 | Electrolux Ab | Flyttbar hylla for en kylskapsdorr |
US6582038B2 (en) | 2001-07-12 | 2003-06-24 | Comercial Acros Whirlpool, S.A. De C.V. | Storage bin mount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door |
DE10237138A1 (de) * | 2002-08-13 | 2004-03-04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Absteller für ein Kältegerät |
US7337730B2 (en) * | 2003-01-31 | 2008-03-04 | Gemtron Corporation | Vertically adjustable shelves and refrigerator compartment housing the same |
US7748805B2 (en) | 2006-01-11 | 2010-07-06 | Whirlpool Corporation | Means for providing adjustment to bins and shelves in refrigerators |
DE202006013374U1 (de) * | 2006-06-16 | 2007-10-25 |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 Kühl- und/oder Gefriergeräte |
DE102006061152A1 (de) | 2006-12-22 | 2008-06-26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ältegerät |
KR20080094363A (ko) * | 2007-04-20 | 2008-10-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선반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WO2009071342A1 (de) * | 2007-12-07 | 2009-06-11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ältegerät |
DE102008014885A1 (de) * | 2008-03-19 | 2009-09-24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ältegerät und zugehörige Rastmittelanordnung zum nachträglichen Anbau |
DE102008018008A1 (de) * | 2008-04-09 | 2009-10-15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mit mehrteiliger Türschiene für einen Türabsteller |
DE102008018231A1 (de) * | 2008-04-10 | 2009-10-15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 Kältegerät, mit einem Türabsteller |
KR101528729B1 (ko) * | 2008-10-28 | 2015-06-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US8322804B2 (en) * | 2009-01-15 | 2012-12-04 | Lg Electronics Inc. | Container elevating apparatus in a door refrigerator |
US8052236B2 (en) * | 2009-01-15 | 2011-11-08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KR101584808B1 (ko) * | 2009-06-24 | 2016-0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높이조절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 |
DE102010022203A1 (de) * | 2010-01-28 | 2011-08-18 |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88416 | Tür eines Kühl- und/oder Gefriergerätes |
-
2011
- 2011-03-08 EP EP11157374A patent/EP249803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2
- 2012-03-07 MX MX2013010222A patent/MX2013010222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3-07 RU RU2013144913/13A patent/RU2013144913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3-07 BR BR112013022879A patent/BR112013022879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3-07 AU AU2012224654A patent/AU201222465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3-07 US US14/001,885 patent/US2014006228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3-07 WO PCT/EP2012/053923 patent/WO2012120045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3-07 CN CN2012800120021A patent/CN103459953A/zh active Pending
- 2012-03-07 KR KR1020137026373A patent/KR2014004810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352612B2 (en) | 2016-04-05 | 2019-07-16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US10900707B2 (en) | 2016-04-05 | 2021-01-26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US10914508B2 (en) | 2016-04-05 | 2021-02-09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
CN112824795A (zh) * | 2019-11-21 | 2021-05-21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冰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459953A (zh) | 2013-12-18 |
AU2012224654A1 (en) | 2013-08-29 |
WO2012120045A2 (en) | 2012-09-13 |
BR112013022879A2 (pt) | 2016-12-06 |
MX2013010222A (es) | 2014-03-31 |
EP2498031A1 (en) | 2012-09-12 |
RU2013144913A (ru) | 2015-04-20 |
US20140062283A1 (en) | 2014-03-06 |
WO2012120045A3 (en) | 2013-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48102A (ko) | 냉장 기기 | |
US8052236B2 (en) | Refrigerator | |
US9518776B2 (en) | Refrigerating appliance | |
EP2159523B1 (en) | Refrigeration equipment and console system for use therein | |
EP2532996A1 (en) | Door basket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 |
US20070035221A1 (en) | Refrigerator receptacle | |
AU2012217247A1 (en) | Refrigerating appliance | |
KR20140108673A (ko) | 선반 어셈블리 | |
CN104879981A (zh) | 冰箱 | |
US11015863B2 (en) | Refrigerator | |
KR101622229B1 (ko) | 냉장고 | |
CN101889183B (zh) | 制冷电器、尤其家用制冷电器 | |
KR101508384B1 (ko) | 냉장고의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
KR102550259B1 (ko) | 냉장고 | |
KR102447530B1 (ko) | 냉장고 | |
EP3877710B1 (en) | Appliance equipped with a cascading basket system | |
KR101886927B1 (ko) |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 |
KR102422099B1 (ko) | 냉장고 | |
EP3264015B1 (en) | Refrigerator with glass shelves | |
EP3785568B1 (en) | Engagement assembly, sliding rail mechanism having same, drawer, refrigerator | |
KR101965980B1 (ko) | 선반 장착용 슬라이딩 레일 | |
WO2007113263A1 (en) | A cooling device | |
KR20160064693A (ko) |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
KR102463850B1 (ko) | 냉장고 | |
KR100471105B1 (ko) | 냉장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