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192A -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192A
KR20140047192A KR1020120110473A KR20120110473A KR20140047192A KR 20140047192 A KR20140047192 A KR 20140047192A KR 1020120110473 A KR1020120110473 A KR 1020120110473A KR 20120110473 A KR20120110473 A KR 20120110473A KR 20140047192 A KR20140047192 A KR 20140047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mage
terminal
provid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966B1 (ko
Inventor
임영재
한석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110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9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으로부터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말(예컨대, 스마트폰)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요청과 연관된 검색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요청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명칭을 일부 포함하는 검색어를 입력받고, 입력된 검색어를 컨텐츠 요청에 포함시켜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사용자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상기해야 하고, 검색어 입력 자체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예컨대, 관광명소와 연관된 컨텐츠(예컨대, 관광명소를 촬영지로 이용한 영화)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관광명소의 명칭이 아닌, 컨텐츠의 명칭을 상기하여 검색어로서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으로부터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이미지에 연관된 컨텐츠 검색 및 컨텐츠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와 연관된 컨텐츠 검색 및 컨텐츠로의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이미지에 태깅(tagging)된, 촬영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위치식별서버로부터 입력된, 상기 단말의 현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n개의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일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재생에 관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티브이(TV) 컨텐츠'일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바로재생 또는 재생예약에 관한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여, 조정된 재생 시점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랜드마크를 적어도 포함하거나 상기 랜드마크를 테마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음악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관한 상기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 또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 횟수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n개의 컨텐츠를 정렬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으로부터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이미지에 연관된 컨텐츠 검색 및 컨텐츠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와 연관된 컨텐츠 검색 및 컨텐츠로의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가 포함된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의 컨텐츠 제공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가 포함된 네트워크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가 포함된 네트워크는, 단말(101) 및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01)은 예컨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사전에, 어플 서버(예컨대, 오픈 마켓 서버) 또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로부터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1)은 컨텐츠 재생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음악 재생을 지원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재생을 지원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더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단말(101)은 상기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컨텐츠 요청을 발생하여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1)은 위치정보(예컨대, GPS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상기 컨텐츠 요청에 포함시켜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단말(10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단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단말(101)은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로부터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고,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말(101)은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1)은 배경 또는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을 발생하여, 이미지와 연관된 다양한 컨텐츠(예컨대, 드라마, 영화, OST 등)를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는 단말(101)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으로부터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미지로부터 랜드마크(land mark)를 추출하여,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단말(101)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랜드마크는 어떤 지역을 식별하는 사물로서, 주위의 경관 중에서 두드러지게 눈에 띄기 쉬운 표지물일 수 있다.
이때,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는 상기 이미지에 태깅(tagging)된, 촬영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 또는 위치식별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된, 상기 단말의 현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는 상기 이미지 내 랜드마크와 함께,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n개의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는 단말(101)에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즉,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단말(101)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예컨대, 바로재생, 재생예약 또는 다운로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단말(101)에서 재생되도록 한다. 이때,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즐겨찾기, 또는 재생 목록에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식별정보(ID)를 삽입 기록하도록 하여, 재생을 위한 컨텐츠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 중에서 상기 바로재생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상기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즉시 재생되도록 하고, 상기 재생예약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단말(101)에서 입력한 재생시각에 맞춰 알림정보를 출력한 후, 선택된 컨텐츠를 단말(101)로 제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되도록 한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는 상기 다운로드에 관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단말(101)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단말(101)에 설치되지 않음으로 인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웹 페이지를 단말(101)로 제공하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및 컨텐츠의 재생을 용이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103)는 추출부(201), 프로세서(203) 및 데이터베이스(205)를 포함한다.
추출부(201)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201)는 상기 이미지에 태깅(tagging)된, 촬영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201)는 위치식별서버로부터 입력된, 상기 단말의 현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상기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205)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단말(10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상기 이미지 내 랜드마크와 함께, 상기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n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205)에서 검색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데이터베이스(205)에서 상기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외부의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상기 랜드마크를 적어도 포함하거나 상기 랜드마크를 테마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음악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관한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03)는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이미지와 연관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드라마, 영화, OST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3)는 추출부(201)에 의해, 컨텐츠 요청으로부터 '남이섬'에 위치하는 특정 객체(예컨대, 나무길)를 촬영한 이미지가 추출되는 경우, '남이섬'을 촬영 장소로 이용했던 '겨울동화' 드라마 및 '겨울동화' OST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겨울동화' 드라마 및 '겨울동화' OST의 컨텐츠 검색 및 컨텐츠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203)는 관광명소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관광명소와 연관된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공 함으로써, 컨텐츠의 명칭을 상기하거나, 또는 검색어로서 입력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리스트 작성시, 프로세서(203)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예컨대, 비디오, 음악, 이미지, 텍스트 등) 또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 횟수(또는, 다운로드 횟수)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n개의 컨텐츠를 정렬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03)는 인기가 높은 컨텐츠를 상단에 배치하여, 상기 컨텐츠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데이터베이스(205)에 저장된 우선순위를 참조하여, 상기 컨텐츠를 정렬할 수 있으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05)에 저장된 우선순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203)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즉,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예컨대, 바로재생, 재생예약 또는 다운로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단말에서 재생되도록 한다. 이때, 프로세서(203)는 각 메뉴별 이용요금이 발생하는 경우, 이용요금을 상기 메뉴에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03)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일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재생에 관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티브이(TV) 컨텐츠'일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바로재생 또는 재생예약에 관한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여, 조정된 재생 시점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 즉, 프로세서(203)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바로재생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상기 단말에서 즉시 재생되도록 하고, 상기 재생예약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상기 단말에서 입력한 재생시각에 맞춰 상기 단말에서 재생되도록 한다. 즉, 프로세서(203)는 컨텐츠 재생에 대해, 단말의 사용자가 편리한 시각에 따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프로세서(203)는 상기 다운로드에 관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단말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말과의 통신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베이스(205)는 이미지 내 랜드마크 또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05)는 컨텐츠의 종류 또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 횟수에 기초한 우선순위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리스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303)는 단말(301)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고, 상기 랜드마크에 기초하여, n(n은 자연수)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상기 검색된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단말(301)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303)는 단말(301)로부터 수신된 이미지(305)으로부터 '에펠탑'의 랜드마크가 추출되는 경우, '에펠탑'의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컨텐츠로서, '에펠탑'이 위치하는 '파리'를 촬영 장소로 이용했던 '파리의 연인' 드라마(309) 및 '파리의 연인' OST(311)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307)를 작성하여, 단말(301)로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303)는 '에펠탑'의 랜드마크를 포함하는 이미지(305)에 연관하여, '파리의 연인' 드라마(309) 및 '파리의 연인' OST(311)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307)를 제공 함으로써, 컨텐츠 검색을 위한 검색어(예컨대, 에펠탑, 파리의 연인) 입력 단계를 생략하고, 이미지를 이용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의 컨텐츠 제공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고, 랜드마크와 연관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메뉴(예컨대, 바로재생, 재생예약 또는 다운로드)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단말에서 재생되도록 한다.
예컨대,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에펠탑'의 랜드마크가 추출 됨에 따라, '파리의 연인' 드라마(309) 및 '파리의 연인' OST(311)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단말로 제공하고, '파리의 연인' OST(311)가 선택될 경우, '파리의 연인' OST(311)의 재생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파리의 연인' OST(311)에 대한 바로재생, 재생예약 및 다운로드에 관한 메뉴(401)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로재생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파리의 연인' OST(311)가 상기 단말에서 즉시 재생되도록 하고, 상기 재생예약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파리의 연인' OST(311)가 상기 단말에서 입력한 재생시각에 맞춰 상기 단말에서 재생되도록 한다. 즉,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에 관한 메뉴를 제공하여, 컨텐츠에 대한 재생 시점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사용자가 편리한 시각에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다운로드에 관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파리의 연인' OST(311)를 상기 단말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1에서, 단말은 컨텐츠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단계 503에서,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으로부터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이미지로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이미지에 태깅(tagging)된, 촬영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 또는 위치식별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된, 상기 단말의 현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505에서,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추출된 이미지 내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랜드마크와 함께, 상기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n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단계 507에서,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검색된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랜드마크를 적어도 포함하거나 상기 랜드마크를 테마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음악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관한 상기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 또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 횟수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n개의 컨텐츠를 정렬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단계 509에서, 단말은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고, 단계 511에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메뉴(예컨대, 바로재생, 재생예약 또는 다운로드)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513에서,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단말에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하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메뉴가 선택될 경우, 메뉴에 대한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단말에서 재생되도록 한다.
예컨대,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일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재생에 관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티브이(TV) 컨텐츠'일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바로재생 또는 재생예약에 관한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여, 조정된 재생 시점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 즉,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바로재생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상기 단말에서 즉시 재생되도록 하고, 상기 재생예약에 관한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상기 단말에서 입력한 재생시각에 맞춰 상기 단말에서 재생되도록 하여, 컨텐츠 실행에 대해, 단말의 사용자가 편리한 시각에 따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이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상기 다운로드에 관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상기 단말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말과의 통신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으로부터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이미지에 연관된 컨텐츠 검색 및 컨텐츠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가 촬영된 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단말로 제공 함으로써,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와 연관된 컨텐츠 검색 및 컨텐츠로의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1: 단말 103: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201: 추출부 203: 프로세서
205: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이미지에 태깅(tagging)된, 촬영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위치식별서버로부터 입력된, 상기 단말의 현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n개의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일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재생에 관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티브이(TV) 컨텐츠'일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바로재생 또는 재생예약에 관한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여, 조정된 재생 시점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랜드마크를 적어도 포함하거나 상기 랜드마크를 테마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음악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관한 상기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 또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 횟수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n개의 컨텐츠를 정렬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9. 단말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랜드마크에 대응하는 n(n은 자연수)개의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 태깅(tagging)된, 촬영 장소에 관한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는,
    위치식별서버로부터 입력된, 상기 단말의 현위치에 관한 위치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이미지부터 랜드마크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n개의 컨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일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재생에 관한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티브이(TV) 컨텐츠'일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연관된 제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바로재생 또는 재생예약에 관한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여, 조정된 재생 시점에 따라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랜드마크를 적어도 포함하거나 상기 랜드마크를 테마로 하는, 비디오 데이터, 음악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관한 상기 n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종류 또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 횟수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n개의 컨텐츠를 정렬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컨텐츠 리스트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20110473A 2012-10-05 2012-10-05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1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473A KR101715966B1 (ko) 2012-10-05 2012-10-05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473A KR101715966B1 (ko) 2012-10-05 2012-10-05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192A true KR20140047192A (ko) 2014-04-22
KR101715966B1 KR101715966B1 (ko) 2017-03-13

Family

ID=5065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473A KR101715966B1 (ko) 2012-10-05 2012-10-05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369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0592A (ja) * 2005-06-15 2006-12-28 Hitachi Eng Co Ltd 音楽情報提供装置
JP2010224745A (ja) * 2009-03-23 2010-10-07 Kddi Corp コンテンツ検索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
KR20120007045A (ko) * 2009-04-14 2012-01-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0592A (ja) * 2005-06-15 2006-12-28 Hitachi Eng Co Ltd 音楽情報提供装置
JP2010224745A (ja) * 2009-03-23 2010-10-07 Kddi Corp コンテンツ検索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
KR20120007045A (ko) * 2009-04-14 2012-01-1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2369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966B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3134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シーンの起動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クライアント側及びサーバー
WO2010061708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101524379B1 (ko) 주문형 비디오에서 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위한 캡션 교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351878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データ取得システム、デ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方法、メタデータ管理方法、電子透かし埋め込み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002090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Engineering Video Clips
JP5565033B2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531707A1 (en) Audio content playback control
US20160119691A1 (en) Descriptive metadata extraction and linkage with editorial content
US201802688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ontent using speech comment
CN104349173A (zh) 视频复读方法及装置
US9313264B2 (en) System capable of providing plurality of digital contents and method using same
US10284883B2 (en) Real-time data updates from a run down system for a video broadcast
KR102012381B1 (ko) 실시간 방송에서의 자동화된 추천 검색어 제안 방법 및 서버
KR101715966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20151010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media content
KR101823767B1 (ko) 사용자 요구 및 환경 맞춤형 콘텐츠 제공을 위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구조 및 그 시스템
KR101442355B1 (ko) 미디어 요약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03159B1 (ko) 객체에 관한 부가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2048324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69894B2 (ja) コンテンツ表示方法、コンテンツ表示装置、および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KR100781907B1 (ko) 장면을 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66750B1 (ko) 녹음 파일 제어 단말 장치 및 방법
CN108234402B (zh) 在移动客户端获取视频流的方法和装置以及向移动客户端提供可执行代码的方法和装置
KR101805349B1 (ko) 편집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36197A (ko) 스크립트 길이 기반의 장면 인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