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676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676A
KR20140046676A KR1020120112296A KR20120112296A KR20140046676A KR 20140046676 A KR20140046676 A KR 20140046676A KR 1020120112296 A KR1020120112296 A KR 1020120112296A KR 20120112296 A KR20120112296 A KR 20120112296A KR 20140046676 A KR20140046676 A KR 20140046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tainer
air conditioner
functional materi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최재승
김하영
전종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2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676A/ko
Priority to EP13164662.2A priority patent/EP2719960B1/en
Priority to CN201310209957.2A priority patent/CN103727589B/zh
Publication of KR2014004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6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perfuming or deodori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기능성 물질이 담긴 용기에서 기능성 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 상기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명세서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공기 조화기에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설치 모습에 따라,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및 액자형 공기조화기와, 거실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림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공기에 향이 포함될 수 있도록하기 위한 향 발생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향 발생 장치는, 고형화된 부재와, 상기 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기가 유동하는 중에 공기가 고형화된 부재에 접촉하여 공기 중에 향을 포함하게 된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경우, 고형화된 부재와 공기가 단순히 접촉하도록 하므로, 공기 중에 포함되는 향의 양이 적고, 어떤 종류의 향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지 사용자가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에 포함되는 향의 양이 증가되고, 사용자가 향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기능성 물질이 담긴 용기에서 기능성 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 상기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수용부에 기능성 물질이 담긴 용기가 장착되고, 배출 기구에 의해서 기능성 물질이 용기에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공기 내에 포함되는 기능성 물질의 양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시부에서 용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용기의 유무 및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 패널이 일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 패널이 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용부가 가동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수평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용부가 공기 조화기에서 인출된 후에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동 패널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은 개별적인 실시 예 그 자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예 들의 조합에 의해서 도출될 수 있는 실시 예도 포함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에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 패널(200) 및 상기 가동 패널(200)의 적어도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패널(31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라운드 진 외관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대략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면, 단면이 원형, 비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면 또는 측면 외관은, 상기 가동 패널(200) 또는 토출 패널(310, 32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 패널(200)과 토출 패널(310, 3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케이스(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 패널(20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므로, 전면 패널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가동 패널(200)에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205)가 구비된다. 일 예로, 상기 입력부(205)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입력부일 수 있다.
상기 토출 패널(310, 320)은, 상기 가동 패널(200)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토출패널(310) 및 상기 가동 패널(200)의 타측에 제공되는 제 2 토출패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패널(310) 및 제 2 토출패널(320)은 상기 가동 패널(200)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상부 토출장치(35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장치(350)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장치(35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상부 토출장치(35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하방 이동상태)에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상부 토출장치(350)가 사용될 때, 상기 상부 토출장치(35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으로 돌출(Pop up)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토출장치(35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35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51)의 전면에는 상부 토출부(3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기능성 물질을 상기 케이스(100) 내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장치는 일 예로 공기 조화기가 온될 때에만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장치는, 상기 기능성 물질이 담긴 용기(또는 캡슐)을 수용하는 수용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510)는 상기 케이스(10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가동 패널(200)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가동 패널(2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패널(200)에는 상기 수용부(51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510)의 전면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510)의 전면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가동 패널(200)에는 상기 수용부(510)에 수용된 용기 내의 기능성 물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이 개방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10, 120)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부 양측에 형성되며, 이물의 유입 또는 토출을 방지하기 위한 토출 그릴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110, 120)는, 상기 가동 패널(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토출부(110) 및 상기 가동 패널(2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토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110)와 제 2 토출부(1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 패널(200)은 상기 제 1 토출부(110)의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제 2 토출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동 패널(200)은 상기 제 1 토출부(110)와 제 2 토출부(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토출부(110)와 제 2 토출부(120)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은 상기 제 1 토출부(110)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은 상기 가동 패널(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토출부(110)의 적어도 일 영역은 개방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은 상기 가동 패널(200)과 가까워지는 방향(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토출부(110)는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 패널(320)은 상기 제 2 토출부(120)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토출 패널(320)은 상기 가동 패널(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2 토출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개방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2 토출 패널(320)은 상기 가동 패널(200)과 가까워지는 방향(도 3에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2 토출부(120)는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부(110, 120)가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 패널(310, 320)에 의하여 차폐된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은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제 1 토출부(110) 및 제 2 토출부(120)에는,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 베인(150)이 제공된다. 상기 토출 베인(150)은, 상기 제 1 토출부(110) 또는 제 2 토출부(12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동 패널(200) 또는 토출 패널(310,3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 또는 제 2 토출 패널(320)이 개방되면, 상기 토출 베인(150)은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 베인(150)이 개방되면,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부(110) 또는 제 2 토출부(12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은 모습을 나타낸다.
즉, 상기 가동 패널(2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 및 제 2 토출 패널(320)은 상기 가동 패널(200)의 양측에서, 상기 제 1 토출부(110) 및 제 2 토출부(120)를 차폐하도록 위치된다. 이 때, 상기 가동 패널(200)의 위치를 "중앙위치" 또는 "제 1 위치"라 이름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205)를 조작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원을 온(ON) 시키면,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 및 제 2 토출 패널(320)은 각각, 상기 가동 패널(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일 예로,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은 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 2 토출 패널(320)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 패널(310,320)이 개방되면, 상기 토출 베인(150)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 베인(150)은 회전 또는 이동하여, 상기 제 1 토출부(110) 또는 제 2 토출부(120)를 개방시킨다. 즉, 상기 가동 패널(200)의 양측에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토출 베인(150)의 회전 각도 또는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제 1 토출부(110) 또는 제 2 토출부(12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화기(10)의 작동 중 상기 입력부(205)가 조작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전원 오프(OFF) 될 수 있다. 전원이 오프되는 과정에서, 상기 토출 베인(150)은 상기 제 1 토출부(110) 또는 제 2 토출부(120)를 차폐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 및 제 2 토출 패널(320)은 상기 가동 패널(200)을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제 1 토출부(110) 및 제 2 토출부(120)를 차폐시킨다. 일례로,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은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 2 토출 패널(320)은 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 및 제 2 토출 패널(320)이 닫혀지면,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 및 제 2 토출 패널(320)은 도 2와 같이, 상기 가동 패널(200)의 양측에 대략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01) 및 공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토출부(110, 120, 352)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101)는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01)의 전방에는, 열교환기(103) 및 송풍팬(105,106)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팬(105,106)에는, 제 1 팬(105) 및 상기 제 1 팬(105)의 하측에 제공되는 제 2 팬(106)이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토출부(110, 120, 352)는, 상기 가동 패널(200)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되는 제 1 토출부(110) 및 제 2 토출부(120)와, 상기 상부 토출장치에 형성되는 상부 토출부(35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토출부(352)는 상기 상부 토출장치(350)가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개방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수용되었을 때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각 (110, 120) 토출부는 함께 개폐되거나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05,106)이 구동되면, 공기가 상기 흡입부(101)를 통하여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며 열교환기(103)를 통과한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제 1 팬(105) 및 제 2 팬(106)을 거치면서 상기 다수의 토출부(110, 120, 352)로 분지되어 유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팬(105)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부 토출부(352) 및 제 1 및 제 2 토출부(110, 120)로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팬(106)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부(110) 또는 제 2 토출부(12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는, 상기 가동 패널(200) 및 토출 패널(310, 3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가동 패널(200)의 움직임을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가동 모터(210)와, 상기 가동 모터(21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15) 및 상기 피니언 기어(215)에 연동하는 랙 기어(2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모터(210)는 상기 가동 패널(200)의 후측에 제공되며, 모터축(212)이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15)는 상기 모터 축(212)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 축(212)과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랙 기어(205)는 상기 가동 패널(20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모터(210)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상기 가동 모터(2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215)가 이에 대응하여 회전하고, 상기 랙 기어(205)는 상기 피니언 기어(215)와 연동하여 시계방향(도 2의 전면에서 바라볼 때 좌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 패널(200)은 상기 제 1 토출부(110)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도록 구동된다. 물론, 이 때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은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가동 모터(21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215)가 이에 대응하여 회전하고, 상기 랙 기어(205)는 상기 피니언 기어(215)와 연동하여 반시계 방향(도 2의 전면에서 바라볼 때 우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 패널(200)은 상기 제 2 토출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도록 구동된다. 물론, 이 때 상기 제 2 토출 패널(320)은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구동 장치에는, 상기 토출 패널(310,320)의 움직임을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토출 모터(302) 및 상기 토출 모터(302)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동력전달 부재(306)가 포함된다.
상기 동력전달 부재(306)는 상기 토출 모터(302)의 모터축(304)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 부재(306)는 링크부재 일 수 있으며, 상기 토출 패널(310, 3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모터(302) 및 동력전달 부재(306)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 및 제 2 토출 패널(310)을 각각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 모터(302)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의 구동과 관련하여, 상기 토출 모터(302) 및 모터축(30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동력전달 부재(306)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6의 점선표시).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은 상기 제 1 토출부(110)를 개방하도록 구동된다.
반면에,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토출 모터(302) 및 모터축(304)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동력전달 부재(306)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6의 실선표시).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 패널(310)은 상기 제 1 토출부(110)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 2 토출 패널(320)의 구동과 관련하여, 상기 동력전달 부재(306)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토출 패널(320)은 상기 제 2 토출부(120)를 개방하도록 구동된다(도 6의 점선표시).
반면에, 상기 제 2 토출 패널(3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전달 부재(306)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토출 패널(320)은 상기 제 2 토출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구동된다(도 6의 실선표시).
한편, 상기 제 1 토출부(110)에는,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는 제 1 토출영역(111) 및 제 2 토출영역(113)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영역(111) 및 제 2 토출영역(113)은 상기 제 1 토출부(110)의 전체 토출영역 중 일부 및 나머지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토출영역(111) 및 제 2 토출영역(113)의 전방에는, 상기 토출베인(150)이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토출영역(111) 및 제 2 토출영역(113)은 상기 각 토출베인(150)에 의하여 개방 또는 차폐되는 영역, 즉 각 토출베인(150)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토출부(120)에는 제 3 토출영역(121) 및 제 4 토출영역(123)이 포함되며, 상기 제 3 및 제 4 토출영역(121,123)의 전방에는 각각 토출베인(150)이 제공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토출부(110) 및 제 2 토출부(120)가 모두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영역(111)은 상기 제 1 토출패널(310)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제 2 영역(113)은 상기 가동 패널(200)에 의하여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영역(121)은 상기 가동 패널(200)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제 4 영역(123)은 상기 제 2 토출패널(320)에 의하여 차폐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토출영역(113)과 제 3 토출영역(12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가동 패널(200)에 의하여 동시에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및 제 3 토출영역(113, 121)은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부(110, 120)의 중앙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토출패널(310) 이 개방되면, 상기 제 1 토출부(110)의 일 영역, 즉 제 1 토출영역(111)이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패널(320)이 개방되면, 상기 제 2 토출부(120)의 일 영역, 즉 제 4 토출영역(123)이 외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영역(111)에 대응하는 토출 베인(150)과, 상기 제 4 토출영역(123)에 대응하는 토출 베인(150)이 개방되면, 공기는 해당 토출영역(111,123)을 통하여 토출된다.
한편, 상기 가동 패널(200)은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 중앙위치, 즉 제 1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토출영역(113) 및 제 3 토출영역(121)을 차폐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및 제 3 토출영역(113, 121)을 통한 공기의 토출은 제한되며, 상기 제 1 및 제 4 토출영역(111, 123)을 통하여 공기가 토출된다.
결국, 상기 가동 패널(200) 양측의 개방된 토출영역을 통하여, 공기는 양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토출부(110,120) 중 개방되는 영역은 상기 가동 패널(200)의 양측에 형성된다.
정리하면, 전체 토출영역(111, 113, 121, 123) 중, 공기가 실제로 토출되는 영역은 일부 영역(111, 123)일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토출부(110, 120) 중 공기가 토출되는 면적은 전체 토출부(110, 12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 패널이 일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 패널이 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의 공기 조화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되는 제 1 위치의 상태에서, 가동 패널(200)은 상기 제 1 토출부(110)로부터 상기 제 2 토출부(120)를 향하여, 즉 우측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동 패널(200)의 위치를 "우측위치" 또는 "제 2 위치"라 이름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 패널(200)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토출영역(113)은 개방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토출영역(113)은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2 토출영역(113)에 대응하는 토출 베인(150)이 개방되어 상기 제 2 토출영역(113)으로부터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영역(111, 113), 즉 상기 제 1 토출부(110)의 전체 영역을 통하여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가동 패널(20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토출부(110)의 개방면적은 증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토출부(110)를 통한 공기의 토출량은 증대된다.
한편, 상기 가동 패널(200)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4 토출영역(123)은 상기 가동 패널(200)에 의하여 차폐된다. 결국, 상기 제 3,4 토출영역(121,123), 즉 상기 제 2 토출부(120) 전체가 폐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토출부(120)를 통한 공기의 토출은 제한된다.
정리하면, 상기 가동 패널(20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2 토출부(120)의 개방면적은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토출부(120)를 통한 공기의 토출량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패널(200)의 일측으로 공기의 토출을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 패널(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일 측방으로 공기를 집중하여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10)의 설치위치 또는 내실자의 위치에 따라 맞춤형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부(110, 120)의 전체 영역 중,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 또는 개방면적은, 상기 가동 패널(200)의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 패널(200)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전체 토출영역(111, 113, 121, 123) 중, 공기가 실제로 토출되는 영역은 일부 영역(111, 113)에 제한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토출부(110, 120) 중 공기가 토출되는 면적은 제 1 및 제 2 토출부(110,120)의 전체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되는 제 1 위치의 상태에서, 가동 패널(200)은 상기 제 2 토출부(120)로부터 상기 제 1 토출부(120)를 향하여, 즉 좌측으로 또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동 패널(200)의 위치를 "좌측위치" 또는 "제 3 위치"라 이름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 패널(200)이 상기 제 3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 3 토출영역(121)은 개방된다.
상세히, 상기 제 3 토출영역(121)은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3 토출영역(121)에 대응하는 토출 베인(150)이 개방되어 상기 제 3 토출영역(121)으로부터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 3 및 제 4 토출영역(121,123), 즉 상기 제 2 토출부(120)의 전체 영역을 통하여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가동 패널(20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2 토출부(120)의 개방면적은 증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토출부(120)를 통한 공기의 토출량은 증대된다.
한편, 상기 가동 패널(200)이 상기 제 3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토출영역(111)은 상기 가동 패널(200)에 의하여 차폐된다. 결국,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영역(111, 113), 즉 상기 제 2 토출부(120) 전체가 폐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토출부(120)를 통한 공기의 토출은 제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 패널(20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토출부(110)의 개방면적은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토출부(110)를 통한 공기의 토출량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 패널(200)의 타측으로 공기의 토출을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 패널(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타 측방으로 공기를 집중하여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10)의 설치위치 또는 내실자의 위치에 따라 맞춤형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제 1 및 제 2 토출부(110,120)의 전체 영역 중,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 또는 개방면적은, 상기 가동 패널(200)의 제 1 위치 또는 제 3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 패널(200)이 제 3 위치에 있는 경우, 전체 토출영역(111, 113, 121, 123) 중, 공기가 실제로 토출되는 영역은 일부 영역(121, 123)에 제한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토출부(110, 120) 중 공기가 토출되는 면적은 제 1,2 토출부(110,120)의 전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 패널(200)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 또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가동 패널(200)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되거나 제 3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 패널(200)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제 3 위치로 이동되거나, 제 3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용부가 가동 패널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블럭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500)는, 상기 케이스(100) 또는 상기 가동 패널(200)에 고정되는 하우징(600)과, 상기 하우징(60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용부(510)와, 상기 수용부(5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630)와, 상기 모터(630)의 동력을 상기 수용부(51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모터(630)와 동력 전달부를 상기 수용부(5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장치(500)는 상기 수용부(510)에 수용된 용기(700) 내의 기능성 물질을 상기 용기(700)에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기구(730)와, 상기 수용부(510)에 용기(70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장착 감지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510)에는 상기 용기(700)가 수용되기 위한 챔버(512)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512)는 상기 용기(7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510)에는 상기 용기(700)에서 배출되는 기능성 물질이 유동하기 위한 통로(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514)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51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700)에서 배출된 기능성 물질은 상기 공기 유로 상의 공기와 함께 상기 공기 조화기(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장착 감지부(720)는 상기 챔버(512)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 감지부(720)는, 상기 용기(700)에 구비된 RFID 태그, QR 코드,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리더이거나, 상기 용기의 색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거나, 상기 용기에 구비되는 자석을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이거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 센서이거나, 적외선 센서이거나, 압력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감지부(720)가 상기 리더인 경우, 상기 장착 감지부(720)는 상기 용기(700)의 장착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700)에 담긴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 등(용기에 관한 정보라 할 수 있음) 다양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용기에 담긴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상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 장착 감지부(720)가 용기의 색상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물질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장착 감지부(720)가 홀 센서이고, 다수의 홀 센서가 상기 수용부(510)에 구비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720)가 상기 용기(700)의 장착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700)에 담긴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용기에 구비되는 자석의 위치가 다를 수 있고, 다수의 홀 센서 중 어느 홀 센서가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입력부(750)를 통하여 용기가 장착되었음을 입력하거나 용기에 담긴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630)와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632)와, 상기 피니언 기어(634)와 맞물리는 랙 기어(6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634)는 연결부재(520)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520)는 상기 수용부(510)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재(520)가 상기 랙 기어(634)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630)의 동력을 전달하므로, 상기 연결부재(520)도 상기 동력 전달부의 일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랙 기어(634)가 상기 수용부(510)에 연결되거나, 상기 수용부(510)에 랙 기어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520)에는 기능성 물질이 유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20)에는 상기 랙 기어(634)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관통하는 체결홀(5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630)는 모터 서포터(640)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모터 서포터(640)는 상기 하우징(6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서포터(600)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632)와 랙 기어(634)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랙 기어(63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00)에는 상기 수용부(5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6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10)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부(610) 내에서 상기 수용부(510)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00) 내에 상기 용기에서 상기 기능성 물질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상기 배출 기구(7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용기(700)는 외력에 의해서 구멍이 생기거나 찔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용기는 외력에 의해서 구멍이 생기거나 찢어질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기구(730)는 상기 용기(700)의 일 부분을 통과항 상기 용기(7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용기(700) 내에는 기능성 물질(일 예로 액체임)이 함침된 방출부(610)가 구비된다. 상기 방출부(610)는 다공성 매체일 수 있다.
상기 배출 기구(730)는 한 쌍의 전극(651, 6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651, 652)은 상기 하우징(600)에 설치되거나 상기 수용부(5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 기구(730)가 수용부(51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 챔버(512)에 상기 한 쌍의 전극(651, 652)의 단부가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용기(700)가 상기 수용부(5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 기구(730)가 상기 용기(7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651, 652)은 상기 방출부(61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651, 652)은 도시되지 않은 전원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어부(74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40)는 상기 발광부, 표시부, 이동 기구를 구성하는 모터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배출 기구(730)는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510)의 수용 챔버(51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510)에는 통로(514)가 형성되므로, 상기 통로(514)에 의해서 상기 배출 기구(730)가 상기 수용 챔버(51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용기(700) 내에 상기 배출 기구(730)가 삽입될 때, 상기 배출 기구(73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용기 내의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 등을 인식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용기(700) 내의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용기(700) 내의 압력을 달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 기구(730)가 상기 용기(700)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 기구(73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상기 용기(700)에 담긴 기능성 물질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출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수용부가 공기 조화기에서 인출된 후에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동 패널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입력부(750)를 통하여 상기 수용부(510)의 인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수용부(510)는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패널(20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수용부(510)에 기능성 물질이 담긴 용기(700)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용기(700)는 일회성 용기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용기(700)를 상기 수용부(510)에 수용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 중 어느 하나의 기능성 물질을 공기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부(510)에 상기 용기(700)가 수용되면, 상기 장착 감지부(730)에서 용기(700)의 장착이 감지되어, 상기 이동 기구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인출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인출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장착 감지부(720)에서 용기(700)의 장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수용부(510)가 자동으로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입력부(750)를 통하여 상기 수용부(510)의 인입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부(750)는 상기 가동 패널(200)에 구비되거나 상기 공기 조화기(1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 구비되거나 상기 수용부(5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510)에 상기 입력부(75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터치 방식으로 상기 수용부(510)의 인출 명령 또는 인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용부(510)에 입력부로서 인출 버튼 또는 인입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버튼을 인출 명령과 인입 명령을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에서 인출되면, 상기 표시부(250)에서는 용기의 장착을 요구하는 정보나 장착 방법을 가이드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수용부(510)에 상기 용기(70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250)에서는 용기(700)가 미장착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수용부(510)를 재인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510)에 용기(700)가 담긴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가동 패널(200)의 수용부(510) 주변에는 용기(700)가 인입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 또는 수용부(510)가 인입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와 같이 상기 가동 패널(200) 상에서 빛이 보일 수 있다. 즉, 상기 가동 패널(200) 또는 상기 케이스(100)에는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임)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510)에 용기(700)가 담긴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발광부가 온되어 상기 가동 패널(200)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수용부(510)의 전면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 패널(200)에 조사되는 빛은 상기 가동 패널 상에서 링 형상으로 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링 형상의 정보 내에 상기 수용부(510)의 전면이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수용부(510)에 용기(700)가 미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700)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가동 패널(200)에 링 형상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링 형상의 정보는 상기 수용부(510)에 용기(7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될 때에 표시되는 링 형상의 정보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510)에 용기(7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가동 패널(200)에서 제1색상의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상기 수용부(510)에 용기(700)가 미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가동 패널(200)에서 제2색상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동 패널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 및 형태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가동 패널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빛 외에 상기 가동 패널에 구비되는 표시부(250)에 표시되는 텍스트나 이미지,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용기(700)가 장착되거나 미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에 인입되면, 이를 알리기 위한 정보가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용기(7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510)가 상기 케이스(100)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 기구(730)는 상기 수용부(510)의 통로(514)를 통과하는 후에 상기 수용 챔버(512)에 장착된 상기 용기(700)에 삽입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전극(651, 652)이 상기 용기(700)를 통과한 후에 상기 용기(700) 내의 방출부(710)와 접촉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배출 기구(730)가 상기 하우징(600) 내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용기(700)가 장착된 수용부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인입된 후에 상기 배출 기구(730)가 이동하여 상기 용기(700)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40)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전극(651, 652)으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용기(700) 내에서 기능성 물질은 이온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전극(651, 652)으로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방출부(710)에서 하전된 기능성 물질이 미립화되고, 상기 케이스(100) 내의 기류에 의해서 공기와 함께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외부로 토출된다.
만약, 상기 용기(700) 내에 담긴 기능성 물질이 비전도성 액체인 경우에는 전하 역할을 하는 이온 들이 거의 없기 때문에, 하전이 어렵다. 이 경우에는 전극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700) 내에 전극을 주입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600) 내부 또는 상기 수용부(510)의 수용 챔버(512)에는 전극 침과 상기 전극 침과 이격된 위치에 접지 극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510)에 상기 용기(700)가 수용되면, 상기 전극 침이 상기 용기(700) 내부의 방출부(710)에 접촉하고, 상기 용기(700)의 외부 일측에 상기 접지 극이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극 침에 전압이 인기되면, 전극 침에서 전자가 방출되어 상기 전극 침 주변의 액체가 하전된다. 하전된 유체는 상기 방출부(710)의 단부에서 유체의 표면장력 보다 큰 전기력에 의해서 미립화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이 때, 상기 미립화물질이 외부로 방출되기 위하여 상기 방출부(710)의 일단은 상기 용기(7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700)가 상기 수용부(510)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와 관련한 정보를 감지부가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250)를 제어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표시부(250)에서 상기 용기(700)에 담긴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252)가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인식된 기능성 물질의 효능 정보(254)가 상기 표시부(250)에서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표시부(250)에서는 상기 기능성 물질이 상기 용기(700)에서 배출될 때 소요되는 시간 정보(256) 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기능성 물질과 공기가 함께 토출되는 경우의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 시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배출 기구(730)가 동작하여 상기 용기(700)에서 기능성 물질이 배출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작동 정보(258)가 표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원형의 용기 형상이 표시부에 표시되고, 용기 형상 내에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252)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용기 형상 내에 기능성 물질의 효능 정보(254)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252)가 표시되는 영역과 상기 기능성 물질의 효능 정보(254)가 표시되는 영역은 다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종류 정보(252) 및 상기 효능 정보(254)가 동시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시간 정보(256)는 원형의 용기 형상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5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 정보(258)는 원형 또는 구 형상의 용기가 두 개로 분리된 것을 표현할 수 있고, 상기 작동 정보(258)가 표시될 때, 상기 시간 정보(256)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시간 정보(256)가 표시하는 시간은 줄어들 수 있다. 즉, 상기 시간 정보(256)는 기능성 물질의 배출완료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 정보이다. 상기 잔여 시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온된 경우에만 카운트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250)에서 잔여 시간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오프되고, 그 다음 온되면, 상기 표시부(250)에서는 이전의 잔여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고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종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배출 장치는, 용기의 장착을 감지하기 위한 장착 감지부(720)와, 용기 내의 기능성 물질의 종류를 감지하기 위한 종류 감지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류 감지부(760)는, 상기 용기(700)에 구비된 RFID 태그, QR 코드,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리더이거나, 상기 용기의 색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거나, 상기 용기에 구비되는 자석을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류 감지부(760)가 상기 리더인 경우, 상기 종류 감지부(760)는 상기 용기(700)의 장착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700)에 담긴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용기에 담긴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용기의 적어도 일부분의 색상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 종류 감지부(760)가 용기의 색상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기능성 물질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종류 감지부(760)가 홀 센서이고, 다수의 홀 센서가 상기 수용부(510)에 구비되면 상기 종류 감지부(760)가 상기 용기(700)에 담긴 기능성 물질의 종류 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기 용기에 구비되는 자석의 위치가 다를 수 있고, 다수의 홀 센서 중 어느 홀 센서가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 장치는 일 예로서 공기 조화기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여, 기능성 물질과 공기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배출 장치는 공기 청정기, 제습기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는 상기 수용부는 모터를 포함하는 이동 기구에 의해서 자동으로 상기 케이스에서 인출입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수동에 의해서 상기 수용부가 상기 케이스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케이스로 인입될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되는 표시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발광부, 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조사부에서 조사된 영상이 상기 가동 패널 상에 조사되어 상기 가동 패널에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가동 패널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 상에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10: 공기 조화기 100: 케이스
200: 가동 패널 500: 배출 장치

Claims (22)

  1.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기능성 물질이 담긴 용기에서 기능성 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장치;
    상기 기능성 물질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으며, 내부에 기능성 물질이 담긴 용기가 장착될 수 있는 수용부; 및
    상기 용기 내의 기능성 물질을 상기 용기에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기구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에서 인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수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수용 챔버에 위치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수용 챔버로 돌출되는 공기 조화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배출 기구가 상기 수용 챔버에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수용부에 장착된 용기와 접촉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용기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상기 수용부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 기구가 상기 용기 내로 삽입되는 공기 조화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장착된 상기 수용부가 상기 케이스로 인입되는 과정 또는 상기 용기가 장착된 상기 수용부가 상기 케이스로 인입된 후에 상기 배출 기구가 상기 용기 내로 삽입되는 공기 조화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기구는, 상기 용기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 내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내의 압력을 기초로 상기 기능성 물질의 종류를 감지하는 공기 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용기의 장착을 감지 및 상기 용기 내의 기능성 물질의 종류 감지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에 의해서 용기의 장착 감지 또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종류를 감지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무게 센서,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색상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용기에 구비된 RFID 태그, QR 코드, 바코드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리더, 상기 용기에 구비되는 자석을 감지할 수 있는 홀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장치에 상기 용기가 장착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용기가 장착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패널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인 공기 조화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종류 정보, 상기 기능성 물질의 효능 정보, 상기 기능성 물질의 배출 시간 정보, 상기 기능성 물질이 배출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동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류 정보, 효능 정보, 배출 시간 정보, 및 동작 정보 중 둘 이상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의 배출 시간 정보는, 상기 기능성 물질의 배출 완료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인 공기 조화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시간은 공기 조화기가 온될 때에만 카운트되는 공기 조화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오프된 후에 다시 온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전 잔여 시간이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는, 공기 조화기가 온될 때에만 작동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20112296A 2012-10-10 2012-10-10 공기 조화기 KR20140046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296A KR20140046676A (ko) 2012-10-10 2012-10-10 공기 조화기
EP13164662.2A EP2719960B1 (en) 2012-10-10 2013-04-22 Air conditioner
CN201310209957.2A CN103727589B (zh) 2012-10-10 2013-05-30 空气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296A KR20140046676A (ko) 2012-10-10 2012-10-10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676A true KR20140046676A (ko) 2014-04-21

Family

ID=4814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296A KR20140046676A (ko) 2012-10-10 2012-10-10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719960B1 (ko)
KR (1) KR20140046676A (ko)
CN (1) CN103727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001963U1 (de) * 2013-02-27 2013-05-02 Al-Ko Kober Ag Raumluftreinigungsgerät
US9908074B2 (en) 2014-10-29 2018-03-06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urification of air
CN104536473B (zh) * 2014-10-29 2017-04-0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净化空气的控制方法及装置
CN108266793A (zh) * 2016-12-30 2018-07-10 山东君睿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
CN113970128B (zh) * 2021-09-28 2023-04-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异味消除装置、方法、空调器、存储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9816A (en) * 1992-05-18 1993-11-09 Ke C Ventilating apparatus
JP3124954B2 (ja) * 1997-04-09 2001-01-15 三星電子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芳香剤噴射装置
US5957771A (en) * 1997-05-07 1999-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romatic spray driv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FR2833887B1 (fr) * 2001-12-20 2004-02-27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odorisation de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FR2867424A1 (fr) * 2004-03-10 2005-09-16 Valeo Climatisation Procede de pilotage d'odorisation d'air par diffusion de fragrance pour dispositif d'odor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KR100769896B1 (ko) * 2004-12-30 200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1324359A (zh) * 2007-06-11 2008-12-17 冯金国 一种节能环保空调
CN101493250A (zh) * 2008-01-24 2009-07-29 北京邦骏科技有限公司 空调杀菌留香盒及其使用方法
DE102008032612A1 (de) * 2008-07-11 2010-01-14 Behr Gmbh & Co. Kg Duftmittelvorratsvorrichtung
DE102008032613A1 (de) * 2008-07-11 2010-01-14 Behr Gmbh & Co. Kg Duftmittelvorratsvorrichtung
DE102008032615A1 (de) * 2008-07-11 2010-01-14 Behr Gmbh & Co. Kg Duftmittelvorratsvorrichtung
FR2946256B1 (fr) * 2009-06-05 2013-01-25 Valeo Systemes Thermiques Cartouche pour le traitement de l'air d'un habitacle de vehicule muni d'un filtre, et dispositif de diffusion d'un agent volatil comprenant une telle cartouche
CN101915452B (zh) * 2010-08-27 2012-06-2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空调器香水发生装置
KR101781039B1 (ko) * 2010-10-07 2017-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290982B1 (ko) * 2014-04-22 2021-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27589B (zh) 2017-03-01
CN103727589A (zh) 2014-04-16
EP2719960B1 (en) 2020-07-15
EP2719960A2 (en) 2014-04-16
EP2719960A3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6676A (ko) 공기 조화기
CN107036228B (zh) 空气调节器及其控制方法
EP3163185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27617B1 (en) Dehumidifier
US10304324B2 (en) Control system for a fan
KR10138529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EP2206975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position detection of indoor person
KR2017005117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716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02272530A (zh) 空调
US10113759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04623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20010640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71375A (ko) 가습청정장치
EP3330629B1 (en) Storage cover,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provided with same
KR2019010608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47324A (ko) 공기 조화기
KR2020010640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27095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00730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48213B1 (ko) 전기 온풍기
KR10243403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38059A (ko)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26522A (ko)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
KR10227239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