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629A -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 - Google Patents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629A
KR20140046629A KR1020120111793A KR20120111793A KR20140046629A KR 20140046629 A KR20140046629 A KR 20140046629A KR 1020120111793 A KR1020120111793 A KR 1020120111793A KR 20120111793 A KR20120111793 A KR 20120111793A KR 20140046629 A KR20140046629 A KR 20140046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ognitive
evaluation
information
per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7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순자
이장한
박시운
이범석
김동아
최현
이정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120111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629A/en
Publication of KR20140046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6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8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for vehicle drivers or machine op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ng the driving ability of a disabled person with brain injury includes a user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user input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testee and test information input with respect to content to test the cognitive perception of the testee; an evaluation control unit (120)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user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put unit (110),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such that a plurality of kinds of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to evaluate the driving ability of the testee are provided to the testee, and for outputting evaluation result data (Yw: CPAD scores) for each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of the testee by comparing the test information of the testee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with previously-stored answer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130) including a display part (131) in which test items for the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and the evaluation result data are displayed on a display window (131a)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Reference numerals] (110) User input unit; (111) Control stick; (112) Keyborad; (113) Mouse; (120) Evaluation control unit; (121) Database; (130) Display unit; (131) Display part; (132) Speaker; (133) Printing unit

Description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

본 발명은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의 감각 지각 기능 및 인지기능 등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and to a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for judging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injured disabled by accurately evaluating sensory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s of the disabled.

우리나라에서 운전능력 평가는 운동능력 평가를 위주로 평가가 행해지고 있으며, 운전이 인지기능과 지각능력 및 운동기술, 환경적 요소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인데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단순한 신체능력 평가만을 실행함으로써 그 객관성이 결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Korea, the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is mainly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motor skills. Even though driving is a complex interac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perception ability, motor skill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ly the physical ability evaluation of the disabled's driving ability is performed. This lacks objectivity.

그리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장내기능 평가 등과 같은 실제 차량을 이용하여 실제 주행을 행하여 평가하는 방법이 마련되어 있으나, 도로주행을 통한 평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개조된 자동차와 특수 운전교관 등이 필요해 경제적인 제반 비용이 많이 들고 평가중 사고 위험성도 뒤따르기 때문에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And, for the purpose of objective evaluation, there is a method of evaluating the actual driving by using the actual vehicle such as the intestinal function evaluation, but the evaluation through the road driving takes a lot of time and requires a modified car and a special driving instructor. It is not implemented properly because it is expensive and carries the risk of an accident during evaluation.

또한, 현행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장애인 운전면허제도에서는 기존에 운전면허가 없던 장애인이 면허를 취득하고자 할 때는 장애인 운전능력검사, 이론시험, 실기시험을 거쳐야 하지만, 기존에 면허를 소지한 사람이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인 운동능력측정검사에 통과하면 면허가 재발급되므로 뇌손상 장애가 있는 장애인의 경우 그들의 뇌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절차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in the current disability driver's license system implemented in Korea, a person with a disability who does not have a driver's license must go through a disability driving ability test, a theory test, and a practical test. If a patient passes the exercise test, the license is reissued. Therefore, the disabled have no procedure to objectively evaluate their brain function.

그러나, 뇌혈관 질환이나 외상에 의한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은 신체기능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지각기능은 물론, 의사소통, 감정 등의 여러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운전능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다. 따라서, 이전에 운전이 가능했더라도 이런 부분의 장애를 수반하는 뇌손상 장애인들에 대해서는 자동자 운전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등 장애 이후에도 안전하게 자동차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However, people with brain injury due to cerebrovascular disease or trauma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ir driving ability because problems can occur not only in physical function but also in cognitive function, perception function, communication and emo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Therefore, it is urgent to prepare measures to safely drive a car after a disability,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evaluating autonomous driving ability for people with a brain injury accompanying such a disability even if driving was possible befor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69504호(2011.06.23), 안전 운전 평가 방법 및 장치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9504 (2011.06.23), Safe driving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의 감각 지각 기능 및 인지기능 등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evaluate the sensory perception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handicapped people with brain damage, the cognitive perception ability to determine the driving ability of people with brain injury It is to provide an evaluation system.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은,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피평가자에 대한 피평가자 개인정보 및,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해서 입력된 검사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110);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되, 피평가자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가 피평가자에게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제공된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피평가자의 검사정보와 기저장된 답안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피평가자의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평가결과 데이터(Yw:CPAD 점수)를 산출하는 평가제어부(120); 및 상기 평가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검사항목 및 상기 평가결과 데이터를 화면창(131a)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가 구비된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A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injured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injured disabled, A user input unit 110 which receives user input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test information input for the cognitive perceptual ability test content; Receives and stores the user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put unit 110, and controls a plurality of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for determining the subject's driving ability to be provided to the examinee,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Evaluation control unit 120 for calculating the evaluation result data (Yw: CPAD score) for each of the examinee's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by comparing the test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and the pre-stored answ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 And a display unit 130 including a display unit 131 for displaying the test item for the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and the evaluation result data on the screen window 131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It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cognitive perception evalu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injured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의 감각 지각 기능 및 인지기능 등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가능 여부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이 부적합한 뇌손상 장애인들의 교통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First, the sensory perception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brain-injured person can be judged accurately to judge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injured person. It can minimize the possibility of traffic occurrence for people with brain injury.

둘째, 종이와 펜을 이용한 기존의 평가 방식과 비교하여 다양한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와, 조이스틱, 키보드, 마우스 및 터치패널 등의 사용자 입력부 및, 자동적으로 전산화되어 평가결과 데이터가 산출되므로 보다 정확하고 객관성 있는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평가소요 시간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Second, a display unit displaying various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s, a user input unit such as a joystick, a keyboard, a mouse, and a touch panel, and a computerized data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 using paper and pen. More accurate and objective evaluation can be made, and the time required for evaluation is minimized.

셋째, 한손으로 파지하여 특정방향을 지정할 수 있는 핸들과, 핸들상에서 파지한 손가락이 거치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 개의 입력버튼이 구비된 조이스틱을 통해, 한 손으로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편마비 증상의 뇌손상 장애인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운전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Third, the user inputs the cognitive perception ability content with one hand through a joystick equipped with a handle that can be grasped with one hand to designate a specific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 finger held on the handle is mounted. Since information can be entered, the driving ability can be easily assessed even in the case of a brain impaired person with hemiplegic symptoms.

넷째, 경제·산업적 측면에서 보면, 뇌손상 장애인의 정확하고 객관적인 운전능력 평가와 훈련을 통해 사회로의 복귀로 인해 생산능력이 향상되며 사회비용이 감소시킬 수 있고, 뇌손상 장애인의 취업활동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Fourth, in terms of economy and industry, accurate and objective driving ability assessment and training of the brain-injured person can improve production capacity and reduce social costs by returning to society. You can give it.

또한, 파킨슨씨 병, 치매 등과 같은 타장애의 평가 및 예방에 응용하거나 일반 평가 및 훈련 시스템의 교육분야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국내 사정에 맞는 시스템의 개발로 인한 수입 대체 효과와 새로운 시장의 창출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the evaluation and prevention of other disorders, such as Parkinson's disease and dementia, or applied to the education field of general evaluation and training system. Can be derived.

다섯째, 사회적 측면에서 보면, 객관적인 평가 및 훈련 시스템의 개발로 뇌손상 장애인의 사회 복귀 기회를 부여할 수 있고, 뇌손상 장애인의 독립생활 확보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뇌손상 장애인들의 사회 참여로 복지 사회를 이룩할 수 있다.
Fifth, in terms of social aspects, the development of an objective evaluation and training system can give people with brain-injured disabilities a chance to return to society,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y securing independent lives for people with brain-injury, and Social participation can lead to a welfare societ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이 PC에 장착된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지각 능력 검사의 검사수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의 지속력 검사의 검사수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의 분할력 검사의 검사수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룹 검사의 검사수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 의존성 검사의 검사수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메이킹 검사A의 검사수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 메이킹 검사B의 검사수행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injured disabl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for determining a driving ability of a brain-injury person with a disability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C;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of a display unit for explaining a test performing method of a distance perception t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a display unit for explaining a test performing method of the attention persistenc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a display unit for explaining a test performing method of the attention splitting force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of a display unit for explaining a test performing method of the stroop t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display unit for explaining an inspection performing method of an intestinal dependency te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display unit for explaining a test performing method of a trail making test 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display unit for explaining a test performing method of a trail making test B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이하에서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100)'이라 명칭함)은,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의 감각 지각 기능 및 인지 기능 등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평가시스템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10), 평가제어부(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First, the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100') for determining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injured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valuation system for accurately evaluating sensory perception and cognitive function to determine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injured pers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user input unit 110, 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and the display unit 130. It is provided including.

여기서,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100)이 일반적인 PC에 장착되어 시스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노트북, 서버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데이터 입력기능, 데이터 연산기능 및 데이터 출력 기능이 구비된 단말이면 적용 가능하다.Here, FIG. 2 illustrates that the cognitive perception ability evalu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general 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limited thereto. Applicable if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input function, a data operation function and a data output function.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뇌손상 장애인인 피평가자가 조작하여 제공되는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따른 적절한 검사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수단으로서, 피평가자에 대한 피평가자 개인정보 및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해서 입력된 검사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입력받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스틱(111), 키보드(112) 및 마우스(113) 중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10 is a data input means for inputting appropriate te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gnitive cognitive ability test content provided by an evaluator who has a brain injury impaired, to the examinee's personal information and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Receives user input information including inspec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and as shown in FIGS. 1 and 2, one or more information input means of the joystick 111, the keyboard 112, and the mouse 113 may be used. .

여기서, 상기 조이스틱(111)의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특정방향을 지정할 수 있는 핸들(111a) 및, 상기 핸들(111a)의 외부면 상에서 상기 핸들(111a)을 파지한 손가락이 거치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 개의 입력버튼(111b)이 구비되는데, 이로 인해, 편마비 증상의 뇌손상 장애인과 같이 양 손이 자유롭지 못한 피평가자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한 손으로 상기 조이스틱(111)을 통해 사용자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joystick 111, the handle 111a which can designate a specific direction and a finger holding the handle 111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111a are disposed as shown in FIG. There is provided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111b), thereby inputting the user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joystick 111 with one hand that can be used even in the case of an evaluator whose hands are not free, such as the brain injury of hemiplegic symptoms You can achieve the effects you can.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정보 입력수단 이외에 터치패널, 전자펜, 음성입력 장치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입력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input means, various data input means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uch as a touch panel, an electronic pen, and a voice input device,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피평가자 개인정보는, 복수의 피평가자들을 개개인을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평가되는 평가결과 데이터를 구분하여 저장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 피평가자의 성명, 나이, 성별, 연락처, 주소 등 운전능력 평가를 위해 필요한 개인정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bject is basic data for classifying and storing evaluation result data which is individually evaluated by classifying a plurality of subjects, and is required for evaluating driving ability such as name, age, gender, contact information, address, etc. of the subject. All personal information may be included.

상기 평가제어부(12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100)을 중앙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10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각종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데이터 저장공간이 방대해질 경우 도 1과 같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121)를 구비할 수 있다.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is a component for centrally controlling the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receives and stores various data necessary for driving the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100. If the data storage space is enormous, it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database 121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되, 피평가자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가 피평가자에게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제공된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피평가자의 검사정보와 기저장된 답안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피평가자의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평가결과 데이터(Yw:CPAD 점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ile receiving and storing the user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put unit 110, and controls a plurality of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for determining the subject's driving ability to be provided to the examinee,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And comparing the test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input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with the previously stored answer information to calculate evaluation result data (Yw: CPAD score) for each test subject's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do.

그리고, 상기 평가제어부(120)는 산출된 평가결과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검사판정 기준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해당 피평가자의 합격, 불합격 여부를 판단하며, 표시부(130)는 상기 평가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피평가자의 합격, 불합격 여부를 화면창(131a) 상에 표시하도록 동작한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controller 120 compares the calculated evaluation result data with preset inspection determination referenc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or passes or fails, and the display unit 130 controls the evaluation controller 120. In response to the signal, whether or not the evaluator passes or fails is displayed on the screen window 131a.

여기서, 상기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는 표시부(130)의 디스플레이부(131)를 통해 화면창(131a) 상에 표시되어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테스팅하기 위한 검사항목으로서,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지각 능력검사(Depth Perception Test), 주의 지속력 검사(Sustained Attention Test), 주의 분할력 검사(Divided Attention Test), 스트룹 검사(Stroop Test), 숫자 따라 말하기 검사(Digit Span Test), 장 의존성 검사(Field Dependence Test), 트레일 메이킹 검사A(Trail Making Test A) 및 중 트레일 메이킹 검사B(Trail Making Test B)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gnitive perception ability test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window 131a through the display unit 131 of the display unit 130 and is a test item for testing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injured person with a disability. As shown, Depth Perception Test, Sustained Attention Test, Divided Attention Test, Stroop Test, Digit Span Test ), Field Dependence Test, Trail Making Test A, and Trail Making Test B.

또한, 상기 피평가자의 검사정보는,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 및 후술되는 스피커(132)를 통해 제시되는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하여 피평가자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응답한 입력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답안정보는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별로 유효한 평가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입력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testee's test information is input by the testee responding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with respect to the cognitive perceptual test content presented through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and the speaker 132 described later. The answer information refers to data about input information for obtaining a valid evaluation score for each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더불어, 상기 평가제어부(120)는, 피평가자의 검사정보와 기저장된 답안정보를 상호 비교하되,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상기 검사정보의 정반응수(정반응수) 및 반응시간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변수(V1 내지 V10)를 측정하며, 측정된 각 변수를 미리 설정된 평가기준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평가결과 데이터를 산출한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compares the testee's test information and pre-stored answer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ariables including a positive response number (positive response number) and a reaction time of the test information for each cognitive perceptual ability test content. (V1 to V10) are measured, and the evaluation result data is calculated by applying each measured variable to preset evaluation criteria data.

또한, 상기 평가결과 데이터(Yw:CPAD 점수)는, 피평가자의 합격, 불합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결과값을 의미하며,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는 상기 평가결과 데이터에 신뢰성이 부여될 수 있도록 임상 실험을 통해 획득된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산출된 가중치값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evaluation result data (Yw: CPAD score) means a result value that is set in advanc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or passed or failed, the evaluation criteria data is a clinical trial so that reliability can be given to the evaluation result data Means the weight value calculated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변수(V1 내지 V10)는 인지 및 지각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정된 항목으로서, 상기 거리지각 능력검사의 정반응수(V1), 상기 주의 지속력 검사의 정반응수(V2), 상기 주의 분할력 검사의 정반응수(V3), 상기 스트룹 검사의 정반응수(V4), 상기 숫자 따라 말하기 검사의 자리수(V5), 상기 장 의존성 검사의 정반응수(V6), 상기 거리지각 능력검사의 반응시간(V7), 상기 상기 스트룹 검사의 반응시간(V8), 상기 트레일 메이킹 검사A의 반응시간(V9) 및, 상기 트레일 메이킹 검사B의 반응시간(V10)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variables V1 to V10 are designated items to be applied to the evaluation criteria data that may affect the cognitive and perceptual ability, and include the positive response number V1 of the distance perception ability test and the caution. Positive response number (V2) of the persistence test, positive response number (V3) of the divisional force test of the attention, positive response number (V4) of the stroop test, digits of the speaking test according to the number (V5), and positive response number of the intestinal dependence test (V6), the reaction time (V7) of the distance perception test, the reaction time (V8) of the stroop test, the reaction time (V9) of the trail making test A, and the reaction time of the trail making test B ( V10).

여기서,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는, 임상실험을 통해 획득된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되, 소정인원수의 뇌손상 장애인(A)을 대상으로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평가결과 데이터를 기준으로 설정하되, 상기 뇌손상 장애인(A)의 측정된 각 변수의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표준화하여 각 변수의 기초통계량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초통계량을 기초로 하여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의 주요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 주성분을 탐색하기 위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고유값, 누적설명비율 및 주성분계수를 획득하며, 획득된 주성분계수 중 첫번재 주성분(Y)은 분산을 최대화되도록 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첫번째 주성분(Y)에 대한 가중치의 합이 1이되도록 조정하여 획득된 값(Yw)으로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evaluation criteria data, while statistically analyzing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clinical trials, an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data for each cognitive perceptual test content for the brain injury impaired person (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By extracting the basic statistics of each variable by standardizing the average of the measured variables of the brain injury impaired person (A) to 50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10, and based on the extracted basic statistic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performed to find principal components that can explain the major variances to obtain eigenvalues, cumulative explanatory ratios, and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s.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Y) of the obtained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s is calculated to maximize variance It may be set to a value Yw obtained by adjusting the sum of the weights for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Y calculated to be 1.

이하에서는, 뇌혈관 질환에 의한 뇌손상, 뇌종양 등의 뇌손상을 가진 장애인으로 국립재활원의 운전클리닉에 참여하여 운전능력 평가를 받은 101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평가결과 데이터(임상실험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설정한 것을 예시하여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설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performed on 101 people who had a driving ability evaluation by participating in the driving clinic of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as a person with a brain injury such as a brain injury or a brain tumor caused by cerebrovascular disease By setting the evaluation data based on the data (clinical experiment data), a method of setting the evaluation data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101명의 뇌손상 장애인(A)의 측정된 각 변수에 대한 기초통계량으로 하기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균, 표준편차, 변동계수, 왜도 등을 추출한다.First,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as the basic statistics for each of the measured variables of the brain impaired people (A),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skewness, and the like are extracted.

[표 1] : 각 변수의 통계학적 분석 현황[Table 1]: Statistical analysis of each variable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평균대비 편차가 큰 항목은 트레일 메이킹 검사A 및 트레일 메이킹 검사B 등이며, 왜도는 ±2 이내로 데이터의 분포형태는 대칭성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Here, the items having a large deviation from the average are trail making test A and trail making test B, etc., and the degree of distortion is within ± 2, and the distribution form of the data does not deviate greatly from symmetry.

이어서, 각 변수의 검사항목은 정반응수 및 반응시간 등으로 그 값의 성격과 단위가 상호 상이하기 때문에, 각 단위를 일치시키기 위해, 하기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변수의 결과값을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표준화를 수행한다.Subsequently, the test items of each variabl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 number of reactions, reaction time, etc., so that the unit and the unit of the variable are the same. The standardiz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mean is 50 and the standard deviation is 10.

[표 2][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그리고, 추출된 기초통계량을 기초로 하여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의 주요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 주성분을 탐색하기 위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고유값, 누적설명비율 및 주성분계수를 획득하며, 획득된 주성분계수 중 첫번째 주성분(Y)는 분산을 최대화되도록 하여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첫번째 주성분(Y)을 산출한다.Based on the extracted basic statistic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performed to search for principal components that can explain the main fluctuations of each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thereby obtaining eigenvalues, cumulative explanatory ratios, and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Y) of the coefficients maximizes the variance to yield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Y)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Y = 0.288V1 + 0.241V2 + 0.347V3 + 0.346V4 + 0.201V5 + 0.337V6 + 0.159V7 + 0.375V8 + 0.368V9 + 0.403V10
Y = 0.288V1 + 0.241V2 + 0.347V3 + 0.346V4 + 0.201V5 + 0.337V6 + 0.159V7 + 0.375V8 + 0.368V9 + 0.403V10

여기서, 상기 첫번째 주성분 Y는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의 가중평균형태로서 각 변수의 기여도를 나타내며, 가중치의 합이 1이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획득한 값(Yw)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100)의 CPAD 점수 즉,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로 설정하는 것이다.Here,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Y represents the contribution of each variable as a weighted average form of each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and adjusts the sum of the weights to 1 to obtain a value (Yw) obtained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The CPAD score of the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the evaluation criteria data.

[수학식 2]&Quot; (2) "

Yw = 0.0940V1 + 0.0787V2 + 0.1133V3 + 0.1130V4 + 0.0656V5 + 0.1.99V6 + 0.0519V7 + 0.1223V8 + 0.1198V9 + 0.1315V10
Yw = 0.0940 V1 + 0.0787V2 + 0.1133 V3 + 0.1130V4 + 0.0656 V5 + 0.1.99V6 + 0.0519 V7 + 0.1223V8 + 0.1198 V9 + 0.1315V10

또한, 이러한 임상실험 데이터의 전체 신뢰도(Overall Scale Reliability)를 분석한 결과, 신뢰도는 운전능력 측정 변수간 내적 신뢰성을 반영하는 Cronbach α값은 0.85였고, 각 변수를 제거했을 때 Cronbach α는 하기의 [표 3]과 같았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scale reliability of the clinical trial data, the Cronbach α value was 0.85, which reflects the internal reliability between the driving ability measurement variables. Table 3 was as follows.

[표 3][Table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또한, 각 변수간의 평균상관계수는 r=0.37로서 변수들 상호간에 대체로 상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개개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하기의 [표 4]와 같았다.In addition, the mea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ach variable was r = 0.37, indicating that the variables were general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ndividual variables were as shown in Table 4 below.

[표 4][Table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더불어, 변수신뢰도의 경우, 일부 변수가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과 상관이 적은 것이 있을 수 있어 이것을 알아보기 위해 각 변수가 CPAD 총점에 기여하는 정도를 분석하였는데,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 중 트레일 메이킹 검사B, 트레일 메이킹 검사A 및, 스트룹 검사의 반응시간과 정반응수, 장 의존성 검사 및 주의분할력 검사 등은 CPAD 총점과 같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variable reliability, some variables may be less correlated with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injured handicapped. To determine this, we analyzed the degree to which each variable contributed to the CPAD total score. B, trail making test A, and stroop test response time, positive response, intestinal dependence test, and attention split test showed the same correlation with CPAD total score.

특히, 트레일 메이킹 검사B, 스트룹 검사의 반응시간 등은 r=0.86, r=0.80으로 다른 변수에 비해 기여도가 가장 높았으며, 반면 거리지각력 검사의 반응시간, 숫자 따라 말하기 등은 r=0.34, r=0.43 등으로 다른 변수에 비해 CPAD 총점과 상관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esponse time of the trail making test B and the stroop test was r = 0.86 and r = 0.80, which contributed the most to the other variables, whereas the response time of the distance perception test and speaking according to the number were r = 0.34, r = 0.43, etc., it is confirmed that the CPAD total score and correlation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variables.

또한,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검사결과 데이터에 대한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장내기능평가 결과에 따른 CPAD점수는 모든 항목의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을 내었으며, 대상장애인 101명의 CPAD 점수의 평균점수는 49.68±7.25 였다. 이 중에서 장내기능 평가에 합격한 사람은 46명이었고, 불합격한 사람은 55이었는데 합격군의 평균점수는 51.67±5.53, 불합격군의 평균점수는 44.30±8.44로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p=0.0001)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lidity of the test result data for each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the CPAD sco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testinal function evaluation summed the scores of all items and averaged the CPAD scores of 101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score was 49.68 ± 7.25. Among them, 46 patients passed the intestinal function test and 55 failed. The mean score of the passing group was 51.67 ± 5.53, and the mean score of the failing group was 44.30 ± 8.44. (P = 0.0001)

CPAD 항목별 점수는, 주의분할력 검사의 정반응수, 스트룹 검사의 정반응수와 반응시간, 따라말하기 검사의 정반응수, 장 의존성, 거리지각력 검사의 반응시간, 트레일 메이킹 테스트A 및 트레일 메이킹 테스트B의 반응시간의 8가지 항목에서 불합격군에 비해 합격군에서 하기의 [표 5]와 같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CPAD scores for each category were: positive response number for attentional division test, positive response number and response time for stroop test, positive response number for speaking test, field dependence, response time for distance perception test, trail making test A and trail making test B In the eight items of the response time of the pass compared to the rejec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as shown in Table 5 below.

[표 5][Table 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또한, 하기의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장내기능평가를 기준으로 한 합격 및 불합격군의 CPAD 점수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살펴보면 합격군에서는 50.59 내지 52.75, 불합격군에서는 42.67 내지45.93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95% 신뢰구간을 이용한 CPAD 예상점수를 합격군의 경우 53점 이상, 불합격군의 점수는 42점 이하로 판정할 수 있으며, 43점에서 52점까지는 경계선군으로 정의할 수 있었으며 합격, 불합격 군에 대한 양성 및 음성예측률은 각각 90.7%, 50.3% 였다.In addition, as shown in Table 6 below, the 95% confidence interval for the CPAD score of the pass and fail groups based on the gut function evaluation was found to be 50.59 to 52.75 in the pass group and 42.67 to 45.93 in the fail group. . CPAD estimated scores using the 95% confidence intervals above can be judged as 53 or more points for the pass group and 42 or less points for the failing group, and 43 to 52 points can be defined as the boundary group.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rates were 90.7% and 50.3%, respectively.

[표 6][Table 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한편, 상기 표시부(130)는, 평가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검사항목 및 상기 평가결과 데이터를 외부로 표시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사항목 및 평가결과 데이터를 화면창(131a)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와, 상기 검사항목과 관련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32) 및 상기 평가결과 데이터 및 개인정보를 프린팅하는 인쇄부(133)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130 is a component for displaying the test item and the evaluation result data for the cognitive perceptual ability test content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shown in Figures 1 and 2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131 for displaying the inspection item and the evaluation result data on the screen window 131a, the speaker 132 for outputting sound associated with the inspection item, and the evaluation result data and personal information are printed. It may be provided including a printing unit 133.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100)을 뇌손상 장애인인 피평가자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 지각 능력을 평가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principle of evaluating the cognitive perception ability to determine the driving ability of the evaluator with the brain injury disabled in the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피평가자는 관리자 또는 상기 스피커(132)로 출력되는 음향을 통해 복수 개의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검사수행 방법을 들어 숙지한 상태에서, 조이스틱(111), 키보드(112), 마우스(113) 및 터치패널 중 본인이 조작가능한 사용자 입력부(110)를 선택하여, 성명, 나이, 성별, 연락처,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한다.First, the evaluator knows how to perform a test for a plurality of cognitive perceptual test content through the sound output to the manager or the speaker 132, joystick 111, keyboard 112, mouse 113 ) And the user input unit 110 that can be operated by the touch panel, and input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name, age, gender, contact, address, and the like.

상기 평가제어부(120)는 입력된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하여 차후에 평가되는 각 피평가자별 평가결과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한다.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stores the input personal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21 and controls the evaluation result data for each subject to be evaluated later to be matched and stored.

피평가자의 개인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피평가자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 즉,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테스팅하기 위한 검사항목으로, 거리지각 능력검사(Depth Perception Test), 주의 지속력 검사(Sustained Attention Test), 주의 분할력 검사(Divided Attention Test), 스트룹 검사(Stroop Test), 숫자 따라 말하기 검사(Digit Span Test), 장 의존성 검사(Field Dependence Test), 트레일 메이킹 검사A(Trail Making TestA) 및 트레일 메이킹 검사B(Trail Making Test B)를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표시되어 피평가자에게 제공되도록 제어하며, 제공된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피평가자의 검사정보와 기저장된 답안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피평가자의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평가결과 데이터(Yw:CPAD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창(131a)에 표시하거나 인쇄부(133)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evaluator's personal information is completed, a plurality of cognitive perceptual test content for determining the evaluator's driving ability, that is, a test item for testing the driving ability of the brain-disabled person, is a distance perception test. Sustained Attention Test, Divided Attention Test, Stroop Test, Digit Span Test, Field Dependence Test, Trail Making Test A (Trail Making Test A) and Trail Making Test B (Trail Making Test B) are displayed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in a predetermined order and controlled to be provided to the examinee, and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s. Each of the subject's perceptual perception ability by comparing the test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and the previously stored answer information The evaluation result data (Yw: CPAD score) for the output test content is calculat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window 131a or controlled to be output through the printing unit 133.

이때, 상기 평가제어부(120)는 상기 피평가자의 검사정보와 기저장된 답안정보를 상호 비교하되,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상기 검사정보의 정반응수 및 반응시간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변수(V1 내지 V10)를 측정하며, 측정된 각 변수를 미리 설정된 평가기준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평가결과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compares the test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and the pre-stored answer information, a plurality of variables (V1 to V10 consisting of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and the reaction time of the test information for each cognitive perceptual test content) ), And the evaluation result data may be calculated by applying each measured variable to preset evaluation criteria data.

여기서, 상기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의 검사항목별로 구체적인 검사수행 방식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거리지각 능력 검사는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세로장선과, 각 세로장선 상에서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로단선 및, 두 세로장선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로장선을 각각 표시하며, 왕복 이동하는 상기 가로장선과 두 세로장선에 배치된 각각의 가로단선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타이밍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함으로써, 운전시 거리를 인지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Herein, a specific test execu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for each test item of the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First, the distance perception test is performed in two vertical long lines arranged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arranged at irregular intervals on each vertical line, and horizontal bars arranged horizontally between the two vertical lines and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By answering that the inspectio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at the timing when each horizontal line disposed on the long line is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distance during driving can be measured.

또한, 상기 거리지각 능력 검사에서, 상기 두 개의 세로장선은 상호 간격이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고정되어 화면창(131a) 상에 표시됨으로써 실제 도로의 원근감이 느껴지는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로장선의 왕복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하여 검사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stance perception ability test, the two vertical long lines are fixed in a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narrower toward the upper space between the two vertical long line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window (131a) can provide an image of the perspective of the actual road.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inspectio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peed of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horizontal line.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창(131a)의 양쪽에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두 개의 세로장선 사이를 '↔' 형태의 가로장선이 위아래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며, 피평가자가 상기 가로장선과 두 세로장선에 배치된 각각의 가로단선이 일직선을 이루는 타이밍에 조이스틱(111)의 입력버튼(111b)을 누르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horizontal line of '↔' forms a reciprocating movement up and down between two vertical lines narrowing upward on both sides of the screen window 131a, and the assessor The input button 111b of the joystick 111 may be pressed at a timing at which each horizontal line arranged in two vertical lines forms a straight line.

상기 거리지각 능력 검사는 3회 연습 시행후 느린 속도에서 20회, 빠른 속도에서 20회 시행하여 정 반응수와 반응 시간을 측정한다.The distance perception test is performed 20 times at a slow speed, 20 times at a high speed after three exercises to measure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and reaction time.

상기 주의 지속력 검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복수 개의 동일한 문자를 불규칙적으로 배치하고 임의의 문자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회전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문자가 회전되는 타이밍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함으로써 운전시 필요한 지속적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attention persistence test, a plurality of identical characters are irregularly arranged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and random characters are rot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user is rotated at the timing at which the characters are rotated. By answering that the inspectio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ontinuous capability required for driving.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창(131a)에 'ㅂ'자 형태로 형성된 여덟개의 문자를 불규칙적으로 배치하고 피평가자로 하여금 화면창(131a)을 전체적으로 주시하게 한 후 어느 한 문자의 방향이 달라지면 조이스틱(111)의 입력버튼(111b)을 누르도록 하며, 문자는 3초 간격으로 방향이 바뀌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주의 지속력 검사는 3회 연습 시행후 40회를 시행하여 정반응수를 측정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4, eight characters formed in a 'ㅂ' shape are irregularly disposed on the screen window 131a, and the subject is allowed to observe the screen window 131a as a whole.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the input button 111b of the joystick 111 is pressed, and the character may be set to change direction at an interval of 3 seconds. Attention persistence test is performed 40 times after three exercises to measure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

상기 주의 분할력 검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복수 개의 변(Side)을 갖는 도형을 원주 형태로 복수 개 배치하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임의의 도형의 어느 한 변이 무작위적으로 사라지도록 표시하며, 상기 임의의 도형의 사라진 변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지시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함으로써 운전시 동시에 여러 대상에 일정한 수준의 주의를 배분하여 대상의 변화되는 정보를 추출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attention dividing force test includes arranging a plurality of figures having a plurality of sides in a circumferential form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and randomly changing one side of an arbitrary figur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insp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isappeared side of the arbitrary figure is inputted, thereby distributing a certain level of attention to several objects at the same time while driving, thereby changing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The ability to extract can be measured.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창(131a)에 10개의 작은 정사각형을 배치시키고 정사각형의 한쪽 변이 무작위적으로 사라지게 하는데, 화면창(131a)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왼쪽 정사각형의 왼쪽 변이 사라지면 조이스틱(111)을 왼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오른쪽 변이 사라지면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의 분할력 검사는 3회 연습 시행 후 40회를 시행하여 정반응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음향효과(예를 들면 '땡')를 검사 사이에 무작위로 제공하여 시각 자극에 반응하면서 동시에 청각 자극에 반응하여 상기 음향효과에 대응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답안인 것으로 측정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10 small squares are placed on the screen window 131a and one side of the square is randomly disappeared. When disappearing, the joystick 111 can be moved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can disappear to the right side. In addition, the attention splitting force test is performed 40 times after the three trials to measure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In addition, a predetermined sound effect (for example, 'Ding') is randomly provided between the tests, and when the t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effect is input in response to the visual stimulus and in response to the auditory stimulus, the answer is measured as the answer. .

상기 스트룹 검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적색, 황색 또는, 녹색의 의미를 갖는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무작위적으로 배치하되, 배치된 문자의 의미와 같거나 다른 색으로 표시하며, 임의의 문자가 표시되면 표시되는 문자의 의미와 관계없이 문자의 색상과 대응되는 색상을 지시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함으로써 운전시 발생할 수 있는 방해엥 대한 조절 능력 및 억제 조절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In the stroop inspection, one letter among characters having a meaning of red, yellow, or green is randomly arranged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and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the arranged character. Colors are displayed, and when random letters are displayed, the answer is input that insp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color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letters is input regardless of the meaning of the displayed letters. The ability to adjust can be measured.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간색', '노란색', '녹색'으로 기재된 문자를 문자의 의미와 같거나 다른 색상으로 제시하여, 제시되는 문자의 의미와 관계없이 문자의 색상에 따라 반응하도록 하며, 제시되는 문자의 색상이 빨간색이면 조이스틱(111)을 왼쪽으로, 녹색이면 위쪽으로, 노란색이면 오른쪽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룹 검사은 3회 연습시행 후 40회를 시행하여 정반응 수와 반응시간을 측정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letters written as 'red', 'yellow', and 'green' are presented in the same or different colors as the meanings of the letters, so that the color of the letters is irrespective of the meaning of the letters presented. When the color of the presented text is red, the joystick 111 can be moved to the left, green to the top, and yellow to the right. In addition, the stroop test is performed 40 times after three exercises to measure the number of reactions and the reaction time.

상기 숫자 따라 말하기 검사는, 상기 스피커(132)를 통해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복수 개의 숫자로 조합되어 이루어진 임의의 숫자를 출력하되, 복수 개의 자릿수별로 숫자를 조합하여 출력하며, 조합된 숫자가 출력된 후 조합된 숫자에 대응되는 숫자를 지시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함으로써 단기간의 기억력을 검사할 수 있다.The speaking test according to the number, through the speaker 132 outputs a random numb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umbers from 0 to 9 combined, and outputs a combination of numbers by a plurality of digits, the combined number is Short-term memory can be tested by answering that the te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number after the output is input.

예를 들면, 1부터 9까지의 숫자를 이용하여 스피커(132)에서 숫자를 음성으로 제시하고 피평가자는 그 숫자를 다 듣고 기억하여 키보드(112)의 숫자판을 누르는 것으로, 처음에는 세자리 숫자부터 시작하여 각 자릿수에서 2회 시행하며 가장 많이 기억한 자릿수를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using the numbers 1 to 9, the speaker 132 presents the number as a voice, and the evaluator listens to and remembers the number and presses the number plate of the keyboard 112. The test is performed twice at each digit and the most memorized digits can be measured.

상기 장 의존성 검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중앙 배치되는 임의의 제1도형과, 상기 제1도형 내부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선을 표시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선이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임의의 제1도형 내에 미리 지정된 형상을 갖는 제2도형이 표시될 경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미리 지정된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함으로써 운전시 복잡한 환경 속에서 특정 대상을 지각하는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field dependence test displays an arbitrary first shape centered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and a plurality of lines irregularly arranged inside the first shape, and the plurality of lines When the second figu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displayed within the arbitrary first shape while being irregularly arranged, the answer is that the predetermined inspectio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Measure their ability to perceive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사각형(제1도형) 안에 많은 선드로 이루어진 도형을 그려놓고 그 안에서 지정된 크기의 정사각형(제2도형)을 찾도록 하여 정사각형이 있으면 조이스틱(111)을 왼쪽으로 움직이고, 정사각형이 없으면 오른쪽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 의존성 검사는 3회 연습시행 후에 40번 반복하여 정반응수를 측정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 a figure composed of many suns is drawn in a large rectangle (first figure), and a square (second figure) of a designated size is found therein to have a square, and the joystick 111 is present. To the left, or to the right if there is no square. The intestinal dependency test measures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by repeating 40 times after three trials.

상기 트레일 메이킹 검사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미리 지정된 갯수의 연속된 숫자를 불규칙적으로 분산 배치된 상태로 표시하며, 미리 지정된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대로 입력되는 연속적인 숫자입력에 대응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함으로써 운전시 단순 및 복잡한 차례를 찾아내고 시각적 주사와 시각-운동 간의 협응 능력을 측정한다.The trail making test A displays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numbers on a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in an irregularly distributed state, and inputs a continuous number input in a predetermined descending or ascending order. By answering the t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 the simple and complex turn is found during driving and visual coordination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ability are measured.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창(131a)에 1부터 16까지의 숫자를 섞어 배치한 후 피평가자가 마우스(113)로 1부터 차례대로 클릭하도록 하며, 많일 피평가자가 마우스(113)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화면창(131a)의 숫자를 순서대로 손가락으로 가리키도록 하고 대신 검사자가 마우스(113)를 클릭할 수도 있도록 한다. 그리고, 1부터 16까지 차례대로 전부 클릭하는데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측정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after the numbers 1 to 16 are mixed and arranged on the screen window 131a, the evaluator clicks from 1 to 1 with the mouse 113. If you are not familiar with), the number of the screen window (131a) in order to point with a finger and instead the examiner can click the mouse 113. In addition, the reaction time for all the clicks in order from 1 to 16 is measured.

한편, 상기 트레일 메이킹 검사B는 미리 지정된 갯수의 연속된 숫자 및 미리 지정된 갯수의 연속된 문자를 각각 불규칙적으로 분산 배치된 상태로 표시하며, 미리 지정된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 대로 숫자와 문자가 번갈아 입력되는 연속적인 숫자입력 및 문자입력에 대응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하는 방식으로도 측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ail making test B displays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numbers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characters in an irregularly distributed state, and continuously inputs numbers and letters alternately in a predetermined descending or ascending order. It can also be measured by answering the t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input and the character input.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창(131a)에 가,나,다,라,마,바,사,아 등의 8개 문자와, 1,2,3,4,5,6,7,8 등의 8개 숫자를 섞어서 배치한 후 피평가자가 1→가→2→나→3→다... 순서로 마우스(113)를 클릭하거나 화면창(131a)의 숫자, 문자를 직접 손가락으로 가리키도록 하여 소요되는 반응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eight characters such as go, b, d, d, d, d, d, d, a, d, d, four, five, After placing 8 numbers such as 6, 7, 8, etc., the evaluator clicks the mouse 113 in the order 1 → Ga → 2 → B → 3 → C ... or the numbers and letters on the screen 131a. Pointing the finger directly can measure the reaction time required.

이상과 같은 복수 개의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검사항목들은 각 검사항목별로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내용의 변화되는 속도를 증감하여 검사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Test items for the plurality of cognitive perceptual ability test content as described above can adjust the difficulty of the tes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hanging speed of the screen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for each test item.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1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뇌손상을 입은 장애인의 감각 지각 기능 및 인지기능 등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가능 여부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이 부적합한 뇌손상 장애인들의 교통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y perception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disabled with a brain injury can be accurately assessed to drive the disabled The ability to judge the ability to assess the impairment of the brain-impaired person can be objectively evaluated, thereby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traffic occurrence of the impaired brain impaired.

또한, 종이와 펜을 이용한 기존의 평가 방식과 비교하여 다양한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130), 조이스틱(111), 키보드(112), 마우스(113) 및 터치패널 등의 사용자 입력부(110) 및, 데이터 전산처리 장치를 통해 자동적으로 전산화되어 평가결과 데이터가 산출되므로 보다 정확하고 객관성 있는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평가소요 시간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 user input unit such as a display unit 130, a joystick 111, a keyboard 112, a mouse 113, and a touch panel, in which various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s are displayed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 using a paper and a pen ( 110) and the computerized data is automatically calculat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device, so that the evaluation result data can be calculated more accurately and objectively, and the evaluation time is minimiz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110...사용자 입력부
111...조이스틱 112...키보드
113...마우스 120..평가제어부
121...데이터베이스 130...표시부
131...디스플레이부 132...스피커
133...인쇄부
100 Perception Perception Evaluation System 110 User Input
111 Joystick 112 Keyboard
113.Mouse 120.Evaluation control
121 Database 130 Display
131 Display unit 132 Speaker
133.Printer

Claims (17)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피평가자에 대한 피평가자 개인정보 및,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해서 입력된 검사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110);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되, 피평가자의 운전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가 피평가자에게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제공된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피평가자의 검사정보와 기저장된 답안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피평가자의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평가결과 데이터(Yw:CPAD 점수)를 산출하는 평가제어부(120); 및
상기 평가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검사항목 및 상기 평가결과 데이터를 화면창(131a)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가 구비된 표시부(130);를 포함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In the cognitive perception evaluation system to determine the driving ability of people with brain injury,
A user input unit 110 which receives user input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evaluator and examination information input about the cognitive perceptual ability test content;
Receives and stores the user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input unit 110, and controls a plurality of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for determining the subject's driving ability to be provided to the examinee,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Evaluation control unit 120 for calculating the evaluation result data (Yw: CPAD score) for each of the examinee's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by comparing the test information of the evaluator and the pre-stored answ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 And
A display unit 130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31 for displaying the test items for the cognitive perceptibility test content and the evaluation result data on the screen window 131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Including cognitive perception evaluation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제어부(120)는,
상기 피평가자의 검사정보와 기저장된 답안정보를 상호 비교하되,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상기 검사정보의 정반응수 및 반응시간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변수(V1 내지 V10)를 측정하며, 측정된 각 변수를 미리 설정된 평가기준 데이터에 적용하여 상기 평가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Compare the testee's test information and pre-stored answer information,
A plurality of variables (V1 to V10) consisting of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and reaction time of the test information for each cognitive perceptual test content are measured, and the evaluation result data is calculated by applying each measured variable to preset evaluation criteria data.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제어부는, 산출된 평가결과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검사판정 기준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해당 피평가자의 합격, 불합격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평가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피평가자의 합격, 불합격 여부를 화면창(131a)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valuation control unit compares the calculated evaluation result data with preset inspection determination reference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or passes or fails,
The display unit 13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evaluation control unit 120, the evaluation of the perceived perception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of the pass or fail of the evaluator on the screen window (131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는,
뇌손상 장애인의 운전능력을 테스팅하기 위한 검사항목으로, 거리지각 능력검사(Depth Perception Test), 주의 지속력 검사(Sustained Attention Test), 주의 분할력 검사(Divided Attention Test), 스트룹 검사(Stroop Test), 숫자 따라 말하기 검사(Digit Span Test), 장 의존성 검사(Field Dependence Test), 트레일 메이킹 검사A(Trail Making Test A) 및, 트레일 메이킹 검사B(Trail Making Test 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Test items for testing the driving ability of people with brain injury, such as Depth Perception Test, Sustained Attention Test, Divided Attention Test, Stroop Test Cognitive perception 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igit Span Test, Field Dependence Test, Trail Making Test A and Trail Making Test B Evaluation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복수 개의 변수(V1 내지 V10)는,
상기 거리지각 능력검사의 정반응수(V1), 상기 주의 지속력 검사의 정반응수(V2), 상기 주의 분할력 검사의 정반응수(V3), 상기 스트룹 검사의 정반응수(V4), 상기 숫자 따라 말하기 검사의 자리수(V5), 상기 장 의존성 검사의 정반응수(V6), 상기 거리지각 능력검사의 반응시간(V7), 상기 상기 스트룹 검사의 반응시간(V8), 상기 트레일 메이킹 검사A의 반응시간(V9) 및, 상기 트레일 메이킹 검사B의 반응시간(V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variables (V1 to V10) for each of the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Speak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V1) of the distance perception test,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V2) of the attention sustainability test,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V3) of the attention splitting force test, the number of positive reactions (V4) of the stroop test, and the number The digit of the test (V5), the positive response number of the field dependence test (V6), the reaction time of the distance perception test (V7), the reaction time of the stroop test (V8), the reaction time of the trail making test A (V9) and the response time (V10) of the trail making test B, the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는,
소정인원수의 뇌손상 장애인(A)을 대상으로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에 대한 평가결과 데이터를 기준으로 설정하되,
상기 뇌손상 장애인(A)의 측정된 각 변수의 평균이 50, 표준편차가 10이 되도록 표준화하여 각 변수의 기초통계량을 추출하고, 추출된 기초통계량을 기초로 하여 각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의 주요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 주성분을 탐색하기 위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고유값, 누적설명비율 및 주성분계수를 획득하며, 획득된 주성분계수 중 첫번재 주성분(Y)은 분산을 최대화되도록 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첫번째 주성분(Y)에 대한 가중치의 합이 1이되도록 조정하여 획득된 값(Yw)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valuation criteria data,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data for each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for the brain injury impaired person (A)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people,
The basic statistics of each variable were extracted by standardizing the average of the measured variables of the brain impaired disabled person (A) to 50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10, and based on the extracted basic statistics, the main content of each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performed to find principal components that can explain fluctuations to obtain eigenvalues, cumulative explanatory ratios, and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s.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Y) of the obtained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s is calculated by maximizing variance And a value Yw obtained by adjusting the sum of the weights of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s Y to be equal to 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편마비 증상의 뇌손상 장애인인 한 손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특정방향을 저정할 수 있는 핸들(111a) 및, 상기 핸들(111a)의 외부면 상에서 상기 핸들(111a)을 파지한 손가락이 거치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 개의 입력버튼(111b)이 구비된 조이스틱(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input unit 110,
The handle 111a for storing a specific direction and the handle 111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111a are gripped so that the user's input information can be inputted by a hand with a handicapped person with a brain injury. A cognitive perception ability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joystick (111) havi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111b) disposed in the position where the finger is mount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키보드(112), 마우스(113), 또는, 터치패널 중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user input unit 110,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a keyboard (112), a mouse (113), or at least one information input means of the touch pane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지각 능력 검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세로장선과, 각 세로장선 상에서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로단선 및, 두 세로장선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로장선을 각각 표시하며, 왕복 이동하는 상기 가로장선과 두 세로장선에 배치된 각각의 가로단선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타이밍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tance perception test,
Two vertical line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 lines spaced at irregular intervals on each vertical line, and horizontally disposed between the two vertical lines And the horizontal bar lines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insp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at a timing at which the horizontal bar lines reciprocating and each horizontal line arranged in the two vertical lines ar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Cognitive perception evaluation system by answering what is inpu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 지속력 검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복수 개의 동일한 문자를 불규칙적으로 배치하고 임의의 문자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회전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문자가 회전되는 타이밍에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ttention durability test mentioned above,
Arrange a plurality of identical characters irregularly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and display random characters to be rot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at the timing at which the characters are rotated. Cognitive perception evaluation system that answers test information inpu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 분할력 검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복수 개의 변(Side)을 갖는 도형을 원주 형태로 복수 개 배치하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임의의 도형의 어느 한 변이 무작위적으로 사라지도록 표시하며, 상기 임의의 도형의 사라진 변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지시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ttention division power inspection,
A plurality of figures having a plurality of sides (Side) ar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form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and any one side of any figure is randomly disappeared at regular intervals. A cognitive perceptibility evaluation system that answers the test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issing side of the arbitrary figure is inpu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룹 검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적색, 황색 또는, 녹색의 의미를 갖는 문자 중 하나의 문자를 무작위적으로 배치하되, 배치된 문자의 의미와 같거나 다른 색으로 표시하며, 임의의 문자가 표시되면 표시되는 문자의 의미와 관계없이 문자의 색상과 대응되는 색상을 지시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roop test,
Randomly arranges one letter of a character having a meaning of red, yellow, or green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and displays the same or different color as that of the arranged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for evaluating cognitive perception ability in response to input of insp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color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character, regardless of the meaning of the character displayed when the character is display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검사항목과 관련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숫자 따라 말하기 검사는, 상기 스피커(132)를 통해 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복수 개의 숫자로 조합되어 이루어진 임의의 숫자를 출력하되, 복수 개의 자릿수별로 숫자를 조합하여 출력하며, 조합된 숫자가 출력된 후 조합된 숫자에 대응되는 숫자를 지시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play unit 130 further includes a speaker 132 for outputting sound associated with the test item.
The speaking test according to the number, through the speaker 132 outputs a random numb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umbers from 0 to 9 combined, and outputs a combination of numbers by a plurality of digits, the combined number is A cognitive perceptibility evaluation system whose answer is that test information indicat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number is inputted after being output.
제 4항에 있어서,
장 의존성 검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중앙 배치되는 임의의 제1도형과, 상기 제1도형 내부에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선을 표시하며, 상기 복수 개의 선이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임의의 제1도형 내에 미리 지정된 형상을 갖는 제2도형이 표시될 경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미리 지정된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Intestinal dependence check,
Any first figure centered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and a plurality of lines irregularly disposed inside the first figure are displayed, and the plurality of lines are irregularly arranged to When the second figu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displayed in any of the first figure is a cognitive perceptual ability evaluation system answering that the predetermined inspectio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메이킹 검사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에 미리 지정된 갯수의 연속된 숫자를 불규칙적으로 분산 배치된 상태로 표시하며, 미리 지정된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대로 입력되는 연속적인 숫자입력에 대응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il making test A,
The display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displays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numbers arranged in an irregularly distributed state, and inputs insp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ontinuous numeric inputs input in a predetermined descending or ascending order. Cognitive perception evaluation system that answers the ques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 메이킹 검사B는,
미리 지정된 갯수의 연속된 숫자 및 미리 지정된 갯수의 연속된 문자를 각각 불규칙적으로 분산 배치된 상태로 표시하며, 미리 지정된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 대로 숫자와 문자가 번갈아 입력되는 연속적인 숫자입력 및 문자입력에 대응되는 검사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답안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il making test B,
Displays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numbers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characters arranged in an irregularly distributed state, and corresponds to continuous numeric input and character input in which numbers and letters are alternately input in a predetermined descending or ascending order. Cognitive perception evaluation system that answers test information input.
제 8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지각 능력 검사컨텐츠의 각 검사항목은,
각 검사항목별로 디스플레이부(131)의 화면창(131a)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내용의 변화되는 속도를 증감하여 검사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 지각 능력 평가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6,
Each test item of the cognitive perception test content,
Cognitive perceptual evalu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difficulty of the tes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screen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window (131a) of the display unit 131 for each test item.
KR1020120111793A 2012-10-09 2012-10-09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 KR201400466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793A KR20140046629A (en) 2012-10-09 2012-10-09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793A KR20140046629A (en) 2012-10-09 2012-10-09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629A true KR20140046629A (en) 2014-04-21

Family

ID=5065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793A KR20140046629A (en) 2012-10-09 2012-10-09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629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5325A (en) * 2015-08-11 2017-02-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Console and radiograph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8174507A1 (en) * 2017-03-23 2018-09-2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Neurological disorder diagnosis device and method which use virtual reality
CN113100768A (en) * 2021-04-14 2021-07-13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Computer vision incapability and damage effect evaluation system
KR20210119071A (en) * 2020-03-24 2021-10-05 부산대학교병원 User Customized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Using Cognitive Impairment Analysis By Virtual Reality Based Cognitive Game Score
CN114096200A (en) * 2019-07-26 2022-02-25 麦克赛尔株式会社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TMT examination result display
KR20230082952A (en) * 2021-12-02 2023-06-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multiple evaluation course in test site
WO2024010383A1 (en) * 2022-07-06 2024-01-11 서울대학교병원 Cognitive ability testing system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5325A (en) * 2015-08-11 2017-02-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Console and radiograph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8174507A1 (en) * 2017-03-23 2018-09-2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Neurological disorder diagnosis device and method which use virtual reality
US20200093414A1 (en) 2017-03-23 2020-03-26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Nerve disorder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US11826160B2 (en) 2017-03-23 2023-11-28 Samsung Life Public Welfare Foundation Nerve disorder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CN114096200A (en) * 2019-07-26 2022-02-25 麦克赛尔株式会社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TMT examination result display
CN114096200B (en) * 2019-07-26 2024-03-12 麦克赛尔株式会社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TMT inspection result display
KR20210119071A (en) * 2020-03-24 2021-10-05 부산대학교병원 User Customized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Using Cognitive Impairment Analysis By Virtual Reality Based Cognitive Game Score
CN113100768A (en) * 2021-04-14 2021-07-13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Computer vision incapability and damage effect evaluation system
CN113100768B (en) * 2021-04-14 2022-12-16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Computer vision incapability and damage effect evaluation system
KR20230082952A (en) * 2021-12-02 2023-06-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driving fitness using multiple evaluation course in test site
WO2024010383A1 (en) * 2022-07-06 2024-01-11 서울대학교병원 Cognitive ability tes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6629A (en)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system for evaluation of driving ability of persons with brain injury
US110589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atient rehabilitation
Sterr Attention performance in young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CN103561651B (en) Systems and methods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US8690325B1 (en) Sensory input devices, sensory output devices, and automati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t least one of mass measurement, evaluation, or communication
US9230065B2 (en) Intention conveyance support device and method
US8016416B1 (en) Automatic system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at least one of mass vision, cognition, knowledge, operation skills, and the like
Geiger et al. Dyslexic children learn a new visual strategy for reading: A controlled experiment
Palermo et al. Adaptive face space coding in congenital prosopagnosia: Typical figural aftereffects but abnormal identity aftereffects
Marton Imitation of body postures and hand movement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Price et al. Movement perception and movement production in Asperger's Syndrome
Pigeon et al. Evaluation of the attentional capacities and working memory of early and late blind persons
US20070117070A1 (en) Vocational assessment testing device and method
Lampe et al. Piano training in youths with hand motor impairments after damage to the developing brain
KR101332593B1 (en) Norm-based Cognitive Measuring and Evaluation System
KR20130099714A (en)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1863256A (en) Psychogenic disease detection device based on visual cognitive function impairment
Minskoff et al. A homogeneous group of person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dults with severe learning disabilit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KR100911356B1 (en) Appratus for driving aptitude test and therefore controlling process
Kay et al. Predicting fitness to drive using the visual recognition slide test (USyd)
Taha Structural Model of the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Processes, Visual Motor Integr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MID).
RU2771578C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state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ais) after a course of cognitive rehabilitation
Shahrokhabadi Effects of tactile stimulation on the sensory, motor and cognitive function in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JPH08164127A (en) Fatigue feeling-measuring instrument
Rajamanickam Modern psychophysical and scaling methods and experi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