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248A - 안전사고방지 출입문 - Google Patents

안전사고방지 출입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248A
KR20140046248A KR1020120112484A KR20120112484A KR20140046248A KR 20140046248 A KR20140046248 A KR 20140046248A KR 1020120112484 A KR1020120112484 A KR 1020120112484A KR 20120112484 A KR20120112484 A KR 20120112484A KR 20140046248 A KR20140046248 A KR 20140046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oor
moving plate
safety accident
acciden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혜정
Original Assignee
강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혜정 filed Critical 강혜정
Priority to KR102012011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248A/ko
Publication of KR2014004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중교통수단이나 건물에 설치되는 출입문을 개폐시에 접촉되는 롤러의 재질을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마찰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승객의 소지품은 물론, 신체 일부가 출입문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여도 상해를 입지 않고 승객이 직접 끼임 현상을 해결하고, 차단막에 의해 내부온도의 손실이나 외부온도의 유입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측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동판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수직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력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 및 상기 이동판과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차단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사고방지 출입문{Accident-proof door}
본 발명은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중교통수단이나 건물에 설치되는 출입문을 개폐시에 접촉되는 롤러의 재질을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마찰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승객의 소지품은 물론, 신체 일부가 출입문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여도 상해를 입지 않고 승객이 직접 끼임 현상을 해결하고, 차단막에 의해 내부온도의 손실이나 외부온도의 유입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은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 벽면이나 이동 가능한 대중교통수단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되어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으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수동 또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대중교통수단에 설치되어 자동으로 개폐하는 출입문의 경우에는 승/하차하는 승객들의 소지품이나 신체 일부가 끼이는 원인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근래에는 이와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안출되고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7338호인 '승합차 출구의 걸림 방지 장치'와 같이, 개폐문(12)의 연부와 출입문과 접촉하는 승합차의 출구 측벽(14)에 축봉(16,18)을 설치하고, 축봉(16,18)에 로울러(22,24)를 회전되게 설치하여서 된 구성으로, 닫힌 문에 걸린 옷이나 가방 끈을 당기면 로울러가 회전하면서 쉽게 빠져나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로울러에 의해 승객의 소지품을 쉽게 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승객의 신체 일부가 끼이는 경우, 금속재질인 로울러와 출입문의 측벽에 의해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고, 출입구의 측벽과 로울러가 접촉시에 마찰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구성의 저하로 인해 일부 파손이 가해지면 승합차의 내부온도가 외부로 일부 유실되어 겨울이나 여름철의 경우에는 열손실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은 출입문을 개폐시에 마찰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승객의 소지품은 물론, 신체 일부가 출입문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여도 상해를 입지 않고 승객이 직접 끼임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출입문을 폐쇄시에도 내부온도의 손실이나 외부온도의 유입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측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동판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수직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력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 및 상기 이동판과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차단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문을 개폐시에 접촉되는 롤러의 재질을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하여 마찰로 인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승객의 소지품은 물론, 신체 일부가 출입문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여도 상해를 입지 않고 승객이 직접 끼임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문을 폐쇄시에도 차단막에 의해 내부온도의 손실이나 외부온도의 유입을 방지하여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보인 도면.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을 나타낸 도면.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이하,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은 간략히 '출입문'이라 한다)의 구성 및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상세설명은 대중교통수단들 중에서 버스를 일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은 이동판(110), 롤러(120) 및 차단막(130)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판(110)은 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도록 버스(140)에 형성된 개구부(141)를 개폐하는 구성이다. 이동판(11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버스(140)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143) 등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141)를 개폐한다. 이때 이동판(110)의 측면에는 롤러(1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돌출부(111)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11)는 버스(140)와 접하는 이동판(110) 측면 상/하부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111)에는 베어링(113) 및 스위치(1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113)은 이동판(110)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111)의 서로 마주보는 상기 돌출부(11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비되어 롤러(120)와 자유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스위치(115)는 돌출부(111)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이동판(110)의 이동으로 개구부(141)를 폐쇄시에 버스(140)와 접하여 온/오프(ON/OFF)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스위치(115)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버스(140)의 운전자가 개구부(141)의 개폐 여부를 운전석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120)는 이동판(110)의 수평이동으로 개구부(141)를 폐쇄시에 승객의 소지품이나 신체 일부가 상기 이동판(110)과 버스(140) 사이에 끼이는 경우에 용이하게 빼내기 위한 구성이다. 롤러(12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탄성력이 강한 스폰지, 고무(천연고무 포함) 및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고, 원 기둥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동판(110)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111) 사이에 배치되어 베어링(113)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롤러축(131)에 의해 수직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롤러(120)는 일측이 돌출부(111)의 선단보다 더 돌출될 수 있도록 하며, 타측은 롤러(12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이동판(110)과 접하지 않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게 공간부(S)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축(131)은 롤러(120)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하부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된 돌출부(111)의 베어링(113)에 각각 자유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130)은 버스(140) 내부의 실내온도가 외부로 손실되거나 또는 외부온도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차단막(13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부드럽고 연한 연성(軟性)의 재질로 형성되어 이동판(110)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구비된다. 이때 차단막(130)은 이동판(110)과 롤러(120) 사이의 공간부(S)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의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롤러(120)가 구비된 이동판(110)이 실린더(143) 등에 의해 수평이동하여 버스(140)의 개방된 개구부(141)를 폐쇄한다. 이때,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20)와 버스(140) 사이에 승객의 소지품이 끼이면 승객은 완력(腕力)으로 소지품을 잡아당겨 롤러(120)의 자유회전에 의해 손쉽게 끼인 소지품을 빼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승객의 신체가 끼이는 경우에도 롤러(12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객의 신체에는 손상 없이 상기 롤러(120)의 자유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빼낼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판(110)에 의해 개구부(141)가 폐쇄시에 롤러(120) 일측은 탄성력에 의해 버스(140)에 압축되고, 차단막(130)에 의해 상기 롤러(120)와 이동판(110) 사이의 공간부(S)를 차단하여 버스(140)의 실내온도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외부온도가 버스(140)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실내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사고방지 출입문의 작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제2실시예(200)는 상술한 제1실시예(100)의 구성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양방향으로 이동하며, 개폐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4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문이 양방향으로 개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이동판(110) 측면에 구비되는 롤러(120)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실린더(143)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이동하여 개구부(141)가 개방된다.
따라서, 승객의 소지품이나 신체가 롤러(120)들 사이에 끼여도 쉽게 빼낼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롤러(120)가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신체에 상해가 가해지지 않게 된다.
아울러, 차단막(130)을 통해 외부온도의 유입이나 내부온도의 손실을 차단하여 실내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1실시예 110: 이동판
111: 돌출부 113: 베어링
115: 스위치 120: 롤러
121: 롤러축 130: 차단막
140: 버스 141: 개구부
143: 실린더 S: 공간부
200: 제2실시예

Claims (1)

  1. 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버스, 전철 또는 기차 중 어느 하나인 대중교통수단의 출입문에 있어서,
    측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이동판;
    상기 돌출부 사이에 수직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력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롤러; 및
    상기 이동판과 상기 롤러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방지 출입문.
KR1020120112484A 2012-10-10 2012-10-10 안전사고방지 출입문 KR20140046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484A KR20140046248A (ko) 2012-10-10 2012-10-10 안전사고방지 출입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484A KR20140046248A (ko) 2012-10-10 2012-10-10 안전사고방지 출입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248A true KR20140046248A (ko) 2014-04-18

Family

ID=5065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484A KR20140046248A (ko) 2012-10-10 2012-10-10 안전사고방지 출입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2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9304A (zh) * 2016-11-28 2017-03-15 惠州市柯帝士科技有限公司 家用安全房间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9304A (zh) * 2016-11-28 2017-03-15 惠州市柯帝士科技有限公司 家用安全房间门
CN106499304B (zh) * 2016-11-28 2019-01-04 广东润成创展木业有限公司 家用安全房间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13932T3 (es) Disposición de puerta levadiza así como dispositivo de obturación del dintel de puerta para la misma
JP2012501897A (ja) 地下鉄乗り場の安全足場
BRPI0506441B1 (pt) sistema de retenção resiliente para um painel de porta
JP2010007456A (ja) 自動ドア装置の戸挟み回避装置
KR101720910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광고판 개방장치
CN106150251B (zh) 地铁安全门
JP6689069B2 (ja) 戸挟み検知装置及び引き戸装置
KR101169607B1 (ko) 안전문
JP6262485B2 (ja) 差圧用ドア装置
KR20140046248A (ko) 안전사고방지 출입문
CN206244246U (zh) 电梯轿厢及电梯门机
JP201411829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2226661B1 (ko)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승강장 안전문용 비상도어
KR200459891Y1 (ko) 문 닫힘을 방지하는 안전장치
KR20160081011A (ko) 지하철 차량 및 스크린 도어의 안전장치
KR20180012417A (ko) 사고예방 출입문
KR102040123B1 (ko) 도어 안전장치
KR101328001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JP2011153458A (ja) 戸の指挟み防止装置
JP5967854B1 (ja) 窓自動開閉装置
KR101227906B1 (ko) 에너지절약을 위한 방풍실 구조
KR20140115221A (ko) 손가락 끼임 방지수단을 갖는 안전 도어
JP6386292B2 (ja) トイレ用のドア装置
KR101757256B1 (ko) 창호 자동 개폐장치
KR101469355B1 (ko) 미닫이문 완전폐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