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112A -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 Google Patents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112A
KR20140046112A KR1020120112133A KR20120112133A KR20140046112A KR 20140046112 A KR20140046112 A KR 20140046112A KR 1020120112133 A KR1020120112133 A KR 1020120112133A KR 20120112133 A KR20120112133 A KR 20120112133A KR 20140046112 A KR20140046112 A KR 2014004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high voltage
opening
connection terminal
conducti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533B1 (ko
Inventor
곽은옥
윤종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2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533B1/ko
Priority to US13/837,211 priority patent/US9118135B2/en
Publication of KR2014004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는 제1 개구부 및 제1 체결공이 형성된 도전 케이스의 일측에 안착되며, 제2 개구부 및 제2 체결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전원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연결부; 상기 도전 케이스와 상기 전원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며 제3 개구부 및 제3 체결공이 형성된 절연부재; 및 상기 도전 케이스의 타측에 안착되며 제4 개구부 및 제4 체결공이 형성된 절연 개스킷;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개스킷에는 상기 제4 개구부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관통하는 돌출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High voltage connecting terminal for power supply}
본 발명은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전압이 요구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에서, 전기 배전판은 고전압 연결단자와 체결된다.
여기서, 전기 배전판과 고전압 연결단자의 조립 시, 고전압 연결단자는 도전성의 전기 배전판과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전압 연결단자에 쇼트가 발생하는 등의 안정성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와 도전 케이스 간의 체결 구조에 신규한 구조의 절연 개스킷을 적용하여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는, 제1 개구부 및 제1 체결공이 형성된 도전 케이스의 일측에 안착되며, 제2 개구부 및 제2 체결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전원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연결부; 상기 도전 케이스와 상기 전원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며 제3 개구부 및 제3 체결공이 형성된 절연부재; 및 상기 도전 케이스의 타측에 안착되며 제4 개구부 및 제4 체결공이 형성된 절연 개스킷;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개스킷에는 상기 제4 개구부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관통하는 돌출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도전 케이스의 상기 제1 개구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개스킷의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체결공, 상기 제3 체결공 및 상기 제4 체결공은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체결공, 상기 제3 체결공 및 상기 제4 체결공은 동일한 크기이고, 상기 제1 체결공의 크기는 상기 제2 체결공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 체결공에는 상기 제4 체결공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관통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1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연결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품 연결단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 케이스에 체결되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의 절연 개스킷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전 케이스와 고전압 연결단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쇼트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절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전 케이스에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전 케이스에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결합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의 층 두께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전 케이스에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1)는 제1 개구부(110)가 형성된 도전 케이스(100)의 일측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전원 연결단자(22)를 구비하는 전원 연결부(20); 상기 도전 케이스(100)와 상기 전원 연결부(20)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30); 및 상기 도전 케이스(100)의 타측에 안착되며 제4 개구부(41)가 형성된 절연 개스킷(40);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개스킷(40)에는 상기 제4 개구부(41)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개구부(110)를 관통하는 돌출부(42)가 구비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전 케이스(100)에는 제1 개구부(110) 및 제1 체결공(115)이 형성되고, 도전 케이스(100)의 일측에 안착되는 전원 연결부(20)의 베이스 플레이트(21)에는 제2 개구부(도시되지 않음) 및 제2 체결공(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케이스(100)와 상기 전원 연결부(20)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30)에는 제3 개구부(31) 및 제3 체결공(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전 케이스(100)의 타측에 안착되는 절연 개스킷(40)에는 제4 개구부(41) 및 제4 체결공(45)이 형성된다.
여기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체결공(25), 상기 제3 체결공(35) 및 상기 제4 체결공(45)은 하나의 체결부재(55)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체결공(25), 도전 케이스(100)의 상기 제3 체결공(35) 및 상기 제4 체결공(45)은 동일한 크기이고, 상기 제1 체결공(115)의 크기는 상기 제2 체결공(25)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4 체결공(45)에는 상기 제4 체결공(45)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관통부(46)가 더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46)는 상기 제1 체결공(115)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원 연결부(20)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의 타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품 연결단자(23)가 구비되어 다른 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1)는 적어도 2개 구비되고 짝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일 예로하여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의 좌측의 고전압 연결단자(1)가 (+)극 단자이면 우측의 고전압 연결단자(1)가 (-)극 단자가 되며, 좌측의 고전압 연결단자(1)가 (-)극 단자이면 우측의 고전압 연결단자(1)가 (+)극 단자가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고전압 연결단자(1)가 2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체결부재(55)에 의해 고전압 연결단자(1)와 도전 케이스(100)가 체결되면, 절연 개스킷(40)에 형성된 제4 개구부(41)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42)는 도전 케이스(100)의 제1 개구부(110)를 관통하여 고전압 연결단자(1)와 체결시 통전될 수 있는 제1 개구부(110)의 외주연을 감싸게 된다.
또한, 절연 개스킷(40)에 형성된 제4 체결공(45)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관통부(46)는 도전 케이스(100)의 제1 체결공(115)를 관통하여 고전압 연결단자(1)와 체결시 통전될 수 있는 제1 체결공(115)의 외주연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절연 개스킷(40)의 간단한 구조 변경 만으로 도전 케이스(100)와 고전압 연결단자(1)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쇼트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고전압 연결단자(1)의 절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전 케이스에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a는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2)는 제1 개구부(210)가 형성된 도전 케이스(200)의 일측에 안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2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전원 연결단자(22')를 구비하는 전원 연결부(20'); 상기 도전 케이스(200)와 상기 전원 연결부(20')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30'); 및 상기 도전 케이스(200)의 타측에 안착되며 제4 개구부(41')가 형성된 절연 개스킷(40');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개스킷(40')에는 상기 제4 개구부(41')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개구부(210)를 관통하는 돌출부(42') 및 돌출부(42')의 일부분에 형성된 가이드부(4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도전 케이스(200)의 상기 제1 개구부(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213)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연 개스킷(40')의 돌출부(42')에 형성된 가이드부(43')는 가이드홈(2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전 케이스(200)에는 제1 개구부(210) 및 제1 체결공(215)이 형성되고, 도전 케이스(200)의 일측에 안착되는 전원 연결부(20')의 베이스 플레이트(21')에는 제2 개구부(도시되지 않음) 및 제2 체결공(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 케이스(200)와 상기 전원 연결부(20')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30')에는 제3 개구부(31') 및 제3 체결공(3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전 케이스(200)의 타측에 안착되는 절연 개스킷(40')에는 제4 개구부(41') 및 제4 체결공(45')이 형성된다.
여기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체결공(25'), 상기 제3 체결공(35') 및 상기 제4 체결공(45')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체결부재(55')에 의해 체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체결공(25'), 도전 케이스(200)의 상기 제3 체결공(35') 및 상기 제4 체결공(45')은 동일한 크기이고, 상기 제1 체결공(215)의 크기는 상기 제2 체결공(25')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4 체결공(45')에는 상기 제4 체결공(45')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관통부(46')가 더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46')는 상기 제1 체결공(215)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원 연결부(20')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의 타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품 연결단자(23')가 구비되어 다른 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2)는 적어도 2개 구비되고 짝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일 예로하여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의 좌측의 고전압 연결단자(1)가 (+)극 단자이면 우측의 고전압 연결단자(1)가 (-)극 단자가 되며, 좌측의 고전압 연결단자(1)가 (-)극 단자이면 우측의 고전압 연결단자(1)가 (+)극 단자가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고전압 연결단자(2)가 2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체결부재(55')에 의해 고전압 연결단자(2)와 도전 케이스(200)가 체결되면, 절연 개스킷(40')에 형성된 제4 개구부(41')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42')는 도전 케이스(200)의 제1 개구부(210)를 관통하여 고전압 연결단자(2)와 체결시 통전될 수 있는 제1 개구부(210)의 외주연을 감싸게 된다.
또한, 절연 개스킷(40')에 형성된 제4 체결공(45')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된 관통부(46')는 도전 케이스(200)의 제1 체결공(215)를 관통하여 고전압 연결단자(2)와 체결시 통전될 수 있는 제1 체결공(215)의 외주연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절연 개스킷(40')의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 도전 케이스(200)와 고전압 연결단자(2)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쇼트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고전압 연결단자(2)의 절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절연 개스킷(40')에 제4 개구부(41')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제1 개구부(210)를 관통하는 돌출부(42') 및 돌출부(42')의 일부분에 형성된 가이드부(43')가 구비된다.
또한, 도전 케이스(200)의 제1 개구부(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213)이 형성되는데, 절연 개스킷(40')의 돌출부(42')에 형성된 가이드부(43')는 가이드홈(2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전 케이스(200)와 고전압 연결단자(2)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쇼트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전 케이스(200)의 가이드홈(213)과 절연 개스킷(40')의 가이드부(43')가 도전 케이스(200)와 절연 개스킷(40')의 얼라인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도전 케이스(200)와 고전압 연결단자(2) 체결 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1, 2 : 고전압 연결단자 20, 20' : 전원 연결부
21, 21' : 베이스 플레이트 22, 22' : 전원 연결단자
23, 23' : 부품 연결단자 25, 25' : 제2 체결공
30, 30' : 절연부재 31, 31' : 제3 개구부
35, 35' : 제3 체결공 40 : 절연 개스킷
41, 41' : 제4 개구부 42, 42' : 돌출부
43': 가이드부 45, 45' : 제4 체결공
46, 46' : 관통부 55, 55' : 체결부재
100, 200 : 도전 케이스 110, 210 : 제1 개구부
115, 215 : 제1 체결공

Claims (8)

  1. 제1 개구부 및 제1 체결공이 형성된 도전 케이스의 일측에 안착되며, 제2 개구부 및 제2 체결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전원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전원 연결부;
    상기 도전 케이스와 상기 전원 연결부 사이에 개재되며 제3 개구부 및 제3 체결공이 형성된 절연부재; 및
    상기 도전 케이스의 타측에 안착되며 제4 개구부 및 제4 체결공이 형성된 절연 개스킷;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개스킷에는 상기 제4 개구부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개구부를 관통하는 돌출부가 구비된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케이스의 상기 제1 개구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개스킷의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 체결공, 상기 제3 체결공 및 상기 제4 체결공은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공, 상기 제3 체결공 및 상기 제4 체결공은 동일한 크기이고, 상기 제1 체결공의 크기는 상기 제2 체결공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체결공에는 상기 제4 체결공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관통부가 더 구비된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1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품 연결단자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KR1020120112133A 2012-10-10 2012-10-10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KR101678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133A KR101678533B1 (ko) 2012-10-10 2012-10-10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US13/837,211 US9118135B2 (en) 2012-10-10 2013-03-15 High voltage connecting terminal for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133A KR101678533B1 (ko) 2012-10-10 2012-10-10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112A true KR20140046112A (ko) 2014-04-18
KR101678533B1 KR101678533B1 (ko) 2016-11-22

Family

ID=5043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133A KR101678533B1 (ko) 2012-10-10 2012-10-10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18135B2 (ko)
KR (1) KR101678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6330A (zh) * 2016-05-18 2016-09-28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可防水的箱体线束转接装置及其安装方法
US11600946B2 (en) * 2019-10-07 2023-03-07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Heavy duty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with mounting shell ground iso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059A (ja) * 1996-07-16 1998-02-03 Meidensha Corp 制御盤のコネクタ取付構造
KR19980028289U (ko) * 1996-11-22 1998-08-05 이형도 저잡음증폭기의 커넥터 구조
KR200362304Y1 (ko) * 2004-06-11 200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관 연결용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93251A (ko) * 2009-02-16 2010-08-25 주식회사 삼의성이엔지 감전의 위험성을 해소하는 용접기 커넥터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8766A (fr) * 1971-09-23 1973-01-02 Bunker Ramo Assemblages de traversee electriques
US4676575A (en) * 1986-06-19 1987-06-30 Amp Incorporated Sealing member for bulkhead connector
US7214094B2 (en) * 2004-03-26 2007-05-08 Hopkins Manufacturing Corporation Twist mount wiring receiver
KR100560483B1 (ko) 2004-05-04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7969746B2 (en) * 2006-09-22 2011-06-2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onnection of a system module to an electronic device
CA2684934A1 (en) * 2007-05-23 2008-11-27 Tm4 Inc. Electrical connector
JP2010225772A (ja) 2009-03-23 2010-10-07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467850B2 (ja) * 2009-12-03 2014-04-09 矢崎総業株式会社 L字型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059A (ja) * 1996-07-16 1998-02-03 Meidensha Corp 制御盤のコネクタ取付構造
KR19980028289U (ko) * 1996-11-22 1998-08-05 이형도 저잡음증폭기의 커넥터 구조
KR200362304Y1 (ko) * 2004-06-11 200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관 연결용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93251A (ko) * 2009-02-16 2010-08-25 주식회사 삼의성이엔지 감전의 위험성을 해소하는 용접기 커넥터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18135B2 (en) 2015-08-25
KR101678533B1 (ko) 2016-11-22
US20140099825A1 (en)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190B2 (en) Fuse unit
US9698516B2 (en) Connector
WO2010019332A3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166431B1 (ko) 알에프 동축 커넥터
US11038311B2 (en) Multi-functional charger
GB2567024A (en) Battery compartment and electronic cigarette using same
KR101500853B1 (ko) 평평한 판상 접속 대상물의 접속에 적합한 동축 커넥터
US10615543B2 (en) Grounding structure for power socket
TWI714874B (zh) 電池連接模組
KR20140046112A (ko) 파워 서플라이용 고전압 연결단자
US1101845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mechanism
CN205811106U (zh) 电连接器
US9048590B2 (en) Connecting apparatus for transmitting high-voltage current in the motor vehicle sector
CN108242610A (zh) 电源分配器
CN202159834U (zh) 大电流断路器开关插座
RU2755682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печатных плат
JP5579486B2 (ja) 組合せ端子1組を用いた1本の電線のネジ締め方法
JP5888801B1 (ja) 電気接続箱
CN104348056A (zh) 电连接器
US7980866B2 (en) Plug-in connector comprising a modified insulator duct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CN203801101U (zh) 一种具有接地保护的led电源
CN203589290U (zh) 防呆型电源连接器
JP3225310U (ja) 導電用端子台、及び該端子台を含んだチューブライト
KR101666869B1 (ko) 전원분배장치
CN103545625A (zh) 一种高压接线端子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