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047A - 업링크 송신 전력 백오프를 이용한 오버로드 경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업링크 송신 전력 백오프를 이용한 오버로드 경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047A
KR20140046047A KR1020147005907A KR20147005907A KR20140046047A KR 20140046047 A KR20140046047 A KR 20140046047A KR 1020147005907 A KR1020147005907 A KR 1020147005907A KR 20147005907 A KR20147005907 A KR 20147005907A KR 20140046047 A KR20140046047 A KR 20140046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terval
during
cycle period
uplink
contro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844B1 (ko
Inventor
나비드 에산
토마스 클링겐브룬
존 제임스 앤더슨
디팍 크리쉬나모르티
강 앤디 샤오
프라딥 사가네 고우다
비자이 발라수브라마니안
주 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46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60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rates for TPC comm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오버로드 문제들의 경감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들의 업링크 플로우 제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장비 (UE) 는 오버로드 메트릭 (예를 들어, 온도 메트릭) 이 임계치 값을 초과하는지에 기초하여 업링크 채널에 대한 평균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UE 는 과도 활성인 업링크 제어 채널이 열 문제에 있어서 지배적인 팩터일 경우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듀티 사이클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UE 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및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업링크 채널들에 대한 최대 전력 송신 한계 (MTPL) 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송신 전력 백오프를 이용한 오버로드 경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OVERLOAD MITIGATION USING UPLINK TRANSMIT POWER BACKOFF}
35 U.S.C.§119 하의 우선권 주장
본 특허출원은 "METHODS AND APPARATUS FOR OVERLOAD MITIGATION USING UPLINK TRANSMIT POWER BACKOFF" 의 명칭으로 2011년 8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522,615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본 명세서에 참조로 명백하게 통합된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선 컴포넌트들의 오버로드를 경감시키는 (예를 들어, 송신 전력 증폭기에 의해 야기된 과열 문제들을 감소시키는) 업링크 플로우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이들 시스템들은 가용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어, 대역폭 및 송신 전력) 을 공유함으로써 다중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들, 3GPP 롱 텀 에볼루션 (LTE)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중의 무선 단말기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단말기는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 (또는 다운링크) 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기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 (또는 업링크) 는 단말기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 단일출력 (SISO), 다중입력 단일출력 (MISO) 또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시스템을 통해 확립될 수도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중의 (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중의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채용한다. NT개의 송신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공간 채널들로서 또한 지칭되는 NS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NS ≤ min{NT, NR} 이다. NS개의 독립 채널들 각각은 차원 (dimension) 에 대응한다. MIMO 시스템은, 다중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부가적인 차원성들이 활용된다면, 개선된 성능 (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 및/또는 더 큰 신뢰도) 을 제공할 수 있다.
MIMO 시스템은 시분할 듀플렉스 (TDD)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D) 시스템들을 지원한다. TDD 시스템에 있어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송신들은 동일한 주파수 영역 상에 있어서, 가역성 원리가 역방향 링크 채널로부터 순방향 링크 채널의 추정을 허용한다. 이는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금 다중의 안테나들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이용가능할 경우에 순방향 링크 상의 송신 빔형성 이득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
부가적으로, 어드밴스드 무선 액세스 기술들 (RAT) 에 의해 명시된 고속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더 저속의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하는 종래의 무선 디바이스들에 비해 오버로드 문제들 (예를 들어, 전력 소비 및 과열 문제들) 에 직면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고속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하면서 오버로드 문제들을 경감시키는 기술들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 방법은 일반적으로,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으면, 제 1 시간 간격의 오프-사이클 주기 동안 업링크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양태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그 장치는 일반적으로,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 장치는,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으면, 제 1 시간 간격의 오프-사이클 주기 동안 업링크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특정 양태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으면, 제 1 시간 간격의 오프-사이클 주기 동안 업링크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태들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그 코드는 일반적으로,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그 코드는,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으면, 제 1 시간 간격의 오프-사이클 주기 동안 업링크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변경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상기 기재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간략히 요약된 더 상세한 설명이 양태들을 참조하여 행해질 수도 있으며, 이 양태들 중 일부는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다. 하지만,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의 오직 특정한 통상적인 양태들을 예시할 뿐이고, 따라서, 그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그 설명은 다른 동일하게 유효한 양태들을 인정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1 은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 활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4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다양한 온도들 및 도 3 의 온도 모니터의 대응하는 상태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에 대한 상태 천이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플로우 제어이다.
도 7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기술들을 활용하는 송신 전력 제어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a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대안적인 기술들을 활용하는 송신 전력 제어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 다른 그래프이다.
도 8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업링크 플로우 제어를 위한 최대 송신 전력 한계를 감소시키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9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기술들을 활용하는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 제어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업링크 플로우 제어를 위한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LTE 와 같은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들은 고속 데이터 레이트들 (예를 들어, 다운링크 통신에 있어서 100 Mbps 및 업링크 통신에 있어서 50 Mbps 초과) 을 가능케 하고, 이에 의해, 더 저속의 데이터 레이트들의 종래의 디바이스들과 비교할 때 무선 디바이스에 있어서 더 큰 전력 소비를 야기한다. 부가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들이 더 소형의 폼 팩터들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그러한 고속 데이터 레이트들은 극도의 열 문제들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은 디바이스 온도들을 신중하게 모니터링할 필요성에 동기부여하고, 디바이스가 손상되거나 무선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불편하게 높은 터치 온도를 경험하는 상황들이 생기지 않을 것을 보장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그러한 무선 디바이스의 터치 온도는 50℃ 로 설정된 플라스틱 하우징에 대한 업링크의 한계로 42℃ 와 51℃ 사이에 있도록 예측되었음을 주목한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전력 증폭기 (PA) 는 업링크 송신으로부터 기인한 과열의 주요 소스일 수도 있다. 그와 같이, 그러한 상태들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의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업링크 통신에 대한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기술들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온도가 특정 임계치 값을 초과할 경우, 무선 디바이스의 업링크 송신 전력 (예를 들어, 평균 업링크 송신 전력) 은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절 (throttle) 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과열은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PA 로 기인하기 때문에, PA 가 뜨거울 때 UE 송신 전력을 제어하고 업링크 채널을 조절함으로써 온도를 감소시키는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업링크 플로우 제어를 위한 다른 솔루션들은 버퍼 상태 리포트 (BSR)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매체 액세스 제어 (MAC) 계층 데이터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법은,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이 고 전력으로 송신되고 있고 과열에 있어서 지배적인 팩터인 경우들에 있어서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열 문제들을 경감시키기 위해 업링크 채널 (예를 들어, 제어 채널) 의 듀티 사이클링에 의해 업링크 플로우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가 제공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열 문제들을 추가로 경감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업링크 채널들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 한계를 감소시킴으로써 업링크 플로우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하기의 상세한 논의의 목적으로, 하기에서 제공되는 특정 양태들은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의 CPU 및/또는 메모리 컴포넌트들의 오버로드로부터 기인하는 것들과 같은 다른 데이터 조절 시나리오들에 적용될 수도 있지만, 열 문제들 (예를 들어, 과열) 로 인한 업링크 조절을 위한 방법이 논의된다. 유사하게, 논의의 목적으로, "오버로드 메트릭" 은 CPU 오버로드 메트릭, 메모리 오버로드 메트릭, 온도 메트릭, 및 다른 적절한 피드백 및/또는 성능 관련 메트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음이 이해되지만, 용어들 "오버로드 메트릭" 및 "온도 메트릭" 은 대체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 (OFDMA) 네트워크들, 및 단일-캐리어 FDMA (SC-FDMA)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 은 종종 대체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는 광대역 CDMA (W-CDMA) 및 낮은 칩 레이트 (LCR) 를 포함한다. cdma2000 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진화된 UTRA (E-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E-UTRA, 및 GSM 은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 (UMTS) 의 일부이다. 롱 텀 에볼루션 (LTE) 은 E-UTRA를 사용한 UMTS의 릴리스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 는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GPP)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 은 "제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GPP2) 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서 설명된다. 명료화를 위해, 그 기술들의 특정 양태들은 LTE 에 대해 하기에 설명되고, LTE 용어가 하기의 설명 대부분에서 사용된다.
단일 캐리어 변조 및 주파수 도메인 등화를 활용하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가 일 기술이다. SC-FDMA 는 OFDMA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 및 본질적으로 동일한 총 복잡도를 갖는다. SC-FDMA 신호는, 그 고유의 단일 캐리어 구조 때문에 더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비 (PAPR) 를 갖는다. SC-FDMA 는, 특히, 송신 전력 효율성의 관점에서 더 낮은 PAPR 이 모바일 단말기를 훨씬 유익하게 하는 업링크 통신에서 많은 주목을 끌었다. 이는, 현재, 3GPP 롱텀 에볼루션 (LTE), 또는 진화된 UTRA, 및/또는 LTE 어드밴스드에 있어서 업링크 다중 액세스 방식들에 대한 운영 전제이다.
액세스 포인트 ("AP") 는 노드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 e노드B, 기지국 제어기 ("BSC"), 기지국 트랜시버 (“BTS”), 기지국 ("BS"), 트랜시버 기능부 ("TF"), 무선 라우터, 무선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 ("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 ("ESS"), 무선 기지국 ("RBS"),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그 용어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그 용어로서 공지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 ("AT") 는 무선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UE"), 사용자국,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기,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그 용어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그 용어로서 공지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 있어서,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전화기, 코드리스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 ("SIP")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스테이션 ("STA"),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일부 다른 적절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전화기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 또는 스마트 폰), 컴퓨터 (예를 들어,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어, 개인용 데이터 보조기),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예를 들어,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이나 유선 모뎀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노드는 무선 노드이다. 그러한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 에 대한 또는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일 양태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이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 (100; AP) 는 다중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며, 일 그룹은 안테나들 (104 및 106) 을 포함하고,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 (108 및 110) 을 포함하며, 또다른 그룹은 안테나들 (112 및 114) 을 포함한다. 도 1 에 있어서,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오직 2개의 안테나들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안테나들이 활용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 (116; AT) 는 안테나들 (112 및 114) 과 통신하며, 여기서, 안테나들 (112 및 114) 은 액세스 단말기 (116) 로의 정보를 순방향 링크 (120) 를 통해 송신하고 액세스 단말기 (116) 로부터의 정보를 역방향 링크 (118) 를 통해 수신한다. 액세스 단말기 (122) 는 안테나들 (106 및 108) 과 통신하며, 여기서, 안테나들 (106 및 108) 은 액세스 단말기 (122) 로의 정보를 순방향 링크 (126) 를 통해 송신하고 액세스 단말기 (122) 로부터의 정보를 역방향 링크 (124) 를 통해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링크들 (118, 120, 124 및 126) 은 통신을 위해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 (120) 는 역방향 링크 (118) 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와는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안테나들의 각각의 그룹 및/또는 안테나들이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영역은 종종 액세스 포인트의 섹터로서 지칭된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은 액세스 포인트 (100) 에 의해 커버된 영역들의 섹터 내의 액세스 단말기들로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순방향 링크들 (120 및 126) 을 통한 통신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 (100) 의 송신 안테나들은, 상이한 액세스 단말기들 (116 및 122) 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의 신호대 잡음비 (SNR) 를 개선시키기 위해 빔형성을 활용한다. 또한, 그 커버리지에 걸쳐 랜덤하게 분산된 액세스 단말기들로 송신하기 위해 빔형성을 사용한 액세스 포인트는, 단일 안테나를 통해 그 모든 액세스 단말기들로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보다 인접 셀들 내의 액세스 단말기들에 대한 더 적은 간섭을 야기한다.
도 2 는 MIMO 시스템 (200) 에 있어서 송신기 시스템 (210; 또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공지됨) 및 수신기 시스템 (250; 또한 액세스 단말기로서 공지됨) 의 일 양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송신기 시스템 (210) 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 (212) 로부터 송신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 에 제공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 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술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프로세싱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 후,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 (예를 들어, BPSK, QSPK, M-PSK, 또는 M-QAM) 에 기초하여 변조된다 (예를 들어, 심볼 매핑됨).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 (230) 에 의해 수행된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그 후,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 (220) 에 제공되며, 이 TX MIMO 프로세서는 변조 심볼들을 (예를 들어, OFDM 에 대해) 더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그 후, TX MIMO 프로세서 (220) 는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들 (TMTR; 222a 내지 222t) 에 제공한다. 특정 양태들에 있어서, TX MIMO 프로세서 (220) 는 빔형성 가중치들을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심볼이 송신되고 있는 안테나에 적용한다.
각각의 송신기 (222) 는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고, 아날로그 신호들을 더 컨디셔닝 (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 하여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절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그 후, 송신기들 (222a 내지 222t) 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개의 안테나들 (224a 내지 224t) 로부터 송신된다.
수신기 시스템 (250) 에서, 송신된 변조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 (252a 내지 252r) 에 의해 수신되며, 각각의 안테나 (252) 로부터의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 (RCVR; 254a 내지 254r) 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 (254) 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 하고,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고, 그 샘플들을 더 프로세싱하여 대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 후, RX 데이터 프로세서 (260) 는 특정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NR개의 수신기들 (254) 로부터의 NR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여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그 후, RX 데이터 프로세서 (260) 는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260) 에 의한 프로세싱은 송신기 시스템 (210) 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 (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 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싱과는 상보적이다.
프로세서 (270) 는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사용되는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프로세서 (270) 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안출 (formulate) 한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데이터 소스 (236) 로부터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 (238)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 (280) 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 (254a 내지 254r) 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송신기 시스템 (210) 으로 역으로 송신된다.
송신기 시스템 (210) 에서, 수신기 시스템 (250) 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 (224) 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 (222) 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복조기 (240) 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 (242) 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수신기 시스템 (250) 에 의해 송신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 후, 프로세서 (230) 는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빔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지를 결정하고, 그 후,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수신기 시스템 (250) 은 온도 메트릭을 결정 및 생성하도록 구성된 온도 모니터 (도 3 에서 상세히 논의됨)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수신기 시스템 (250) 의 프로세서 (270) 는 온도 메트릭에 기초하여 송신기들 (254a 내지 254r) 의 송신 전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70) 는, 송신기들 (254a 내지 254r) 의 송신 전력을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돕는 하나 이상의 타이머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프로세서 (270) 는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물들을 변경하여, RX 데이터 프로세서 (260) 에 의해 프로세싱된 메시지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 (예를 들어, HARQ ACK/NACK) 을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논리 채널들은 제어 채널들 및 트래픽 채널들로 분류됨을 이해한다. 논리 제어 채널들은 시스템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DL 채널인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 (BCCH),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DL 채널인 페이징 제어 채널 (PCCH), 및 하나 또는 수개의 MTCH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스케줄링 그리고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포인트-투-멀티포인트 DL 채널인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 (MCCH) 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RRC 접속을 확립한 이후, 이러한 채널은 오직 MBMS (노트: 구 MCCH+MSCH) 를 수신하는 UE들에 의해서만 사용된다. 전용 제어 채널 (DCCH) 은 전용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포인트-투-포인트 양방향 채널이며, RRC 접속을 갖는 UE들에 의해 사용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논리 트래픽 채널들은,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위해 하나의 UE 에 전용된 포인트-투-포인트 양방향 채널인 전용 트래픽 채널 (DTCH) 을 포함한다. 또한,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 (MTCH) 은 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포인트-투-멀티포인트 DL 채널이다.
추가로, 전송 채널들은 DL 및 UL 로 분류됨을 이해한다. DL 전송 채널들은 브로드캐스트 채널 (BCH), 다운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 (DL-SDCH) 및 페이징 채널 (PCH) 을 포함하며, PCH 는 UE 절전의 지원을 위한 것이고 (불연속 수신 (DRX) 사이클이 네트워크에 의해 UE 에게 표시됨), 전체 셀에 걸쳐 브로드캐스트되며 다른 제어/트래픽 채널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PHY 리소스들에 매핑된다. UL 전송 채널들은 랜덤 액세스 채널 (RACH), 요청 채널 (REQCH), 업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 (UL-SDCH) 및 복수의 PHY 채널들을 포함한다. PHY 채널들은 DL 채널들 및 UL 채널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DL PHY 채널들은,
공통 파일럿 채널 (CPICH)
동기화 채널 (SCH)
공통 제어 채널 (CCCH)
공유 DL 제어 채널 (SDCCH)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 (MCCH)
공유 UL 할당 채널 (SUACH)
확인응답 채널 (ACKCH)
DL 물리 공유 데이터 채널 (DL-PSDCH)
UL 전력 제어 채널 (UPCCH)
페이징 표시자 채널 (PICH)
부하 표시자 채널 (LICH) 을 포함한다.
UL PHY 채널들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PRACH)
채널 품질 표시자 채널 (CQICH)
확인응답 채널 (ACKCH)
안테나 서브세트 표시자 채널 (ASICH)
공유 요청 채널 (SREQCH)
UL 물리 공유 데이터 채널 (UL-PSDCH)
광대역 파일럿 채널 (BPICH) 을 포함한다.
본 문헌의 목적들을 위해, 다음의 약어들이 적용된다.
ACK 확인응답
AM 확인응답 모드
AMD 확인응답 모드 데이터
ARQ 자동 반복 요청
BCC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
BCH 브로드캐스트 채널
BW 대역폭
C- 제어-
CB 경합 기반
CCE 제어 채널 엘리먼트
CCCH 공통 제어 채널
CCH 제어 채널
CCTrCH 코딩된 합성 전송 채널
CDM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
CF 무경합
CP 사이클릭 프리픽스
CQI 채널 품질 표시자
CRC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
CRS 공통 레퍼런스 신호
CTCH 공통 트래픽 채널
DCCH 전용 제어 채널
DCH 전용 채널
DCI 다운링크 제어 정보
DL 다운링크
DRS 전용 레퍼런스 신호
DSCH 다운링크 공유 채널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TCH 전용 트래픽 채널
E-CID 인핸스드 셀 식별
EPS 진화된 패킷 시스템
FACH 순방향 링크 액세스 채널
FDD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DM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FSTD 주파수 스위치드 송신 다이버시티
HARQ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요청
HW 하드웨어
IC 간섭 소거
L1 계층 1 (물리 계층)
L2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
L3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LI 길이 표시자
LLR 로그-가능도 비
LSB 최하위 비트
MAC 매체 액세스 제어
MBMS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CCH MBMS 포인트-투-멀티포인트 제어 채널
MMSE 최소 평균 제곱 에러
MRW 이동 수신 윈도우
MSB 최상위 비트
MSCH MBMS 포인트-투-멀티포인트 스케줄링 채널
MTCH MBMS 포인트-투-멀티포인트 트래픽 채널
NACK 부정 확인응답
PA 전력 증폭기
PBCH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PCCH 페이징 제어 채널
PCH 페이징 채널
PCI 물리 셀 식별자
PDC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U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HICH 물리 HARQ 표시자 채널
PHY 물리 계층
PhyCH 물리 채널들
PMI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
PRACH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PSS 프라이머리 동기화 채널
PUCCH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SCH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QoS 서비스 품질
RACH 랜덤 액세스 채널
RB 리소스 블록
RLC 무선 링크 제어
RRC 무선 리소스 제어
RE 리소스 엘리먼트
RI 랭크 표시자
RNTI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
RS 레퍼런스 신호
RTT 라운드 트립 시간
Rx 수신
SAP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
SDU 서비스 데이터 유닛
SFBC 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
SHCCH 공유 채널 제어 채널
SINR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
SN 시퀀스 번호
SR 스케줄링 요청
SRS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SSS 세컨더리 동기화 신호
SU-MIMO 단일 사용자 다중입력 다중출력
SUFI 수퍼 필드
SW 소프트웨어
TA 타이밍 어드밴스
TCH 트래픽 채널
TDD 시분할 듀플렉스
TDM 시분할 멀티플렉싱
TFI 전송 포맷 표시자
TPC 송신 전력 제어
TTI 송신 시간 간격
Tx 송신
U- 사용자-
UE 사용자 장비
UL 업링크
UM 미확인응답 모드
UMD 미확인응답 모드 데이터
UMTS 유니버셜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
UTRA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UTRAN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VOIP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
MBSFN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
MCH 멀티캐스트 채널
DL-SCH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CCH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SCH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업링크 송신 전력 백오프를 이용한 열 경감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LTE 와 같은 어드밴스드 무선 기술들에 의해 명시된 고속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비 (UE) 는 풀 전력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 로 인한 과열 문제들을 가질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열 문제들을 경감시키기 위해 업링크 송신 전력 백오프를 위한 방법들 및 기술들이 제공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송신 전력은, 업링크 송신물들의 최대 송신 전력 한계 (MTPL) 에 백오프 값을 적용함으로써, 업링크 제어 채널들 (예를 들어,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업링크 데이터 채널들 (예를 들어,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및 레퍼런스 신호들 (예를 들어,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SRS)) 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모든 업링크 채널들에 대해 감소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송신 전력은, 업링크 제어 채널에만 전력 백오프를 적용함으로써 또는 일 구현에 있어서 PUCCH 송신물들에 대해 듀티 사이클을 적용함으로써, 업링크 제어 채널들 (예를 들어, PUCCH) 에 대해 감소될 수도 있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채용될 수도 있는 무선 디바이스 (302) 에서 활용될 수도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 (302) 는, 열 문제들을 경감시키도록 업링크 플로우 제어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디바이스의 일 예이다. 무선 디바이스 (302) 가 도 1 의 사용자 단말기들 (116 및 122) 또는 도 2 의 수신기 시스템 (250) 중 임의의 것일 수도 있지만,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무선 디바이스 (302) 를 UE (302) 로서 대체가능하게 지칭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302) 는, 무선 디바이스 (302) 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30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04) 는 또한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302) 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 (322) 에 의해 함께 커플링될 수도 있으며, 이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에 부가하여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양자를 포함할 수도 있는 메모리 (306) 는 명령들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 (304) 에 제공한다. 메모리 (306) 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 (NVRAM)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부가적인 및/또는 다른 메모리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304) 는 통상적으로, 메모리 (3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초하여 논리 및 산술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 (306) 내의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302) 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 (302) 와 원격 위치 간의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하기 위한 송신기 (310) 및 수신기 (312) 를 포함할 수도 있는 하우징 (30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 (310) 및 수신기 (312) 는 트랜시버 (314) 로 결합될 수도 있다. 단일 또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들 (316) 은 하우징 (308) 에 접속되고 트랜시버 (314) 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302) 는 또한, 다중의 송신기들, 다중의 수신기들, 및/또는 다중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 안됨).
무선 디바이스 (302) 는 또한, 트랜시버 (314) 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 및/또는 정량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신호 검출기 (31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신호 검출기 (318) 는 그러한 신호들을, 총 에너지로서, 심볼당 서브캐리어당 에너지로서, 전력 스펙트럼 밀도로서, 및/또는 다른 신호들로서 검출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302) 는 또한 신호들을 프로세싱함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32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프로세서 (304) 는, 온도 모니터 (332) 로부터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집중형 플로우 제어 매니저 (CFM; 33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온도 모니터 (332) 는 무선 디바이스 (302)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 도시 안됨) 의 온도들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는 대응하는 온도 메트릭 신호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업링크 플로우 제어 기술들을 실행하기 위해 CFM (33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CFM (330) 은 온도 메트릭 신호 (예를 들어, "정규", "경감") 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RAT 특정 플로우 제어 엔터티에게 플로우 제어 신호 (예를 들어, 업, 다운) 로 명령한다. 예를 들어,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CFM (330) 은 온도 메트릭 신호에 기초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해 트랜시버 (314; 예를 들어, LTE 계층 1 컴포넌트들) 의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 있어서, CFM (330) 은 송신 안테나들 (316) 에 의한 송신 이전에 트랜시버 (314)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 의 업링크 채널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모니터가 도 3 에 있어서 온도 모니터 (332) 로서 도시되지만,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오버로드 메트릭들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센서 컴포넌트들을 갖는 CPU 모니터 및 메모리 모니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적절한 모니터들을 활용할 수도 있음이 고려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 (332) 가 도 3 에 있어서 단일 컴포넌트로서 도시되지만, 온도 모니터 (332) 는, 각각의 센서 컴포넌트가 무선 디바이스 (302) 의 대응하는 컴포넌트에 커플링된 (예를 들어, 열적으로 커플링된) 복수의 센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음이 고려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 (332) 는 표 1 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상이한 온도 "서브 시스템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온도 모니터 (332) 는 UE 내의 복수의 컴포넌트들 및/또는 UE (302) 의 복수의 영역들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 (332) 는 UE 의 전력 증폭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도 4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다양한 온도들 및 온도 모니터 (332) 의 대응하는 상태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 (332) 는 복수의 모니터 상태들을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온도 모니터 (332) 는 상기 설명된 온도 센서들 중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들로부터의 판독에 기초하여 상태를 변경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 (332) 는 다음의 4개의 상태들: 즉, 정규 상태 (402), 경감 상태 (404), 송신 (TX) 백오프 상태 (406), 및 긴급 상태 (408) 중 하나의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4개의 상태들의 영역들은 대응하는 임계치 값들 (예를 들어, 경감 임계치 (414), TX 백오프 임계치 (416), 및 긴급 임계치 (418)) 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임계치 값들은 사전-결정될 수도 있거나, 또는 UE (302) 의 동작 동안 구성가능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히스테리시스 값이 임계치 값들 (414, 416, 418) 중 임의의 값과 결합하여 활용되어, 모니터 상태들 중 임의의 상태들 사이에서 평활하게 천이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 (332) 는 매 상태 변경 시 CFM 에게 새로운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그리고 등록 시 CFM 에게 현재 상태를 통지하기 위한 표시를 CFM 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 (332) 가 경감 상태 (404) 에 있을 경우, 하나 이상의 업링크 플로우 제어 기술들 및 다른 공지된 방법들이 UE (302) 의 온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활용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 (332) 가 TX 백오프 임계치 (416) 를 초과하는 온도를 판정할 경우, 온도 모니터는 UE (302) 의 송신 전력을 구성가능한 양만큼 감소시키기 위한 표시를 CFM (330) 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에 대한 상태 천이 다이어그램 (500) 을 도시한다. 상태 천이 다이어그램 (500) 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의 하나의 특정 구현을 나타내며, 다른 구현들이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방법들 및 절차들을 실행하기 위해 생성될 수도 있음이 고려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CFM (330) 은 도 5 에 도시된 복수의 상태들 (500) 을 활용하는 플로우 제어 활동들을 제어 및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CFM (330) 은 플로우 제어 기술이 CFM (330) 의 각각의 다양한 상태에 적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적용될 수 있으면, 어느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부가적으로,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CFM (330) 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온도 모니터 (332) 의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업링크 플로우 제어에 관해 결정할 수도 있다. 각 상태에 있어서의 CFM 의 거동은 하기에서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 (332) 가 정규 상태 (402) 로부터 경감 상태 (404) 및/또는 TX 백오프 상태 (406) 로 천이하였다는 표시를 CFM (330) 이 온도 모니터 (332) 로부터 수신한 경우, CFM (330) 은 커맨드 (예를 들어, 다운) 를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 로 송신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 (332) 가 경감 상태 (404) 및/또는 TX 백오프 상태 (406) 로부터 정규 상태 (402) 로 천이하였다는 표시를 CFM (330) 이 수신한 경우, CFM (330) 은 커맨드 (예를 들어, 업) 를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 로 송신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CFM (330) 은, 어떠한 업링크 플로우 제어도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는 디폴트 상태 또는 정규 상태 (502) 에서 동작을 시작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온도 모니터가 경감 상태 (404) 에 있다고 CFM (330) 이 결정하면, CFM 은 다운 커맨드를 발행하고 경감-다운 상태 (504) 로 천이한다. 용어 "다운" 은 일반적으로 감소된 및/또는 백오프된 송신 전력 및/또는 데이터 레이트들에 대응하는 시간의 주기들을 기술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지만, "업" 은 일반적으로 복원된, 풀, 및/또는 증가된 송신 전력 및/또는 데이터 레이트의 주기들을 기술하도록 사용됨을 유의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CFM (330)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송신 전력 백오프 기술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일 기술은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 컴포넌트들에 대한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 한계 (MTPL) 에 백오프 값을 적용함으로써 모든 업링크 채널들 (예를 들어, PUCCH, PUSCH, SRS 등) 에 대한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일 기술은 오직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에만 백오프 값을 적용하거나 또는 일 구현에 있어서 PUCCH 송신물을 듀티 사이클링하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CFM 은 커맨드들 (예를 들어, 다운 및/또는 업 커맨드들) 을 발행하여, 업링크 플로우 제어 프로세스를 관리 및/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CFM 은 다운 및/또는 업 커맨드들을 발행하여, 하나 이상의 백오프 값들을 변경함으로써 업링크 제어 프로세스를 추가로 조절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CFM 은 경감-다운 (504) 상태와 경감-업 (506) 상태 간을 주기적으로 순환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총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열적 과열 문제들을 경감시킬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CFM 은, 최대 레벨이 도달되었을 때를 결정하고 정규 상태 (502) 로 리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플로우 제어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602 에서, 온도 모니터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송신 백오프 임계치 값을 초과한다고 판정하고, 송신 백오프 상태로 천이하며, 604 에서, CFM 에게 송신 백오프 상태로의 상태의 변경을 통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606 에서, CFM 은 온도 모니터 (332) 가 송신 백오프 상태로 천이하였다는 표시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무선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LTE 계층 1 컴포넌트들) 에게 다운 커맨드를 제공하고 스텝 타이머를 시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608 에서, 다운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컴포넌트들은 최대 송신 전력 한계를 구성가능한 백오프 값만큼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MTPL 을 포함한 다른 적절한 송신 전력 값들이 업링크 플로우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활용될 수도 있다. 일 구현에 따르면, 스텝 타이머의 만료 시, MTPL 은 이전 값 (예를 들어, 풀 전력) 으로 복원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에 따르면, MTPL 은 CFM 으로부터의 커맨드들을 통해 추가로 변경될 때까지 감소된 값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610 에서, 온도 모니터는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송신 백오프 임계치 값을 더 이상 초과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판정하고, 정규 상태로 천이하며, 612 에서, CFM 에게 상태의 변경을 통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612 에서, CFM 은 온도 모니터가 정규 상태로 천이하였고 그에 따라 업링크 플로우 제어가 더 이상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표시를 수신한다. CFM 은 하나 이상의 무선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LTE 계층 1) 에게 업 커맨드를 제공한다. 614 에서, 업 커맨드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LTE 계층 1) 은 MTPL 을 상기 논의된 백오프 값만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7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기술들을 활용하는 송신 전력 제어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백오프 플로우 제어가 활성화될 경우 (예를 들어, 다운 커맨드가 CFM 으로부터 수신될 경우), 최대 송신 전력 한계 (MTPL) 는 구성가능할 수도 있는 백오프 값 (예를 들어, P_backoff) 만큼 감소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송신 전력은 T_up 및 T_down 타이머들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즉, 송신 전력은 T_down 타이머에 의해 표현된 시간의 지속기간 동안 감소될 수도 있다. T_down 타이머의 만료 시, MTPL 은 그 이전 값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P_max) 으로 복원될 수도 있다.
온도 모니터가 스텝 타이머의 만료 이후 송신 백오프 상태로 유지되면, 백오프 값 (예를 들어, P_backoff) 이 증가되어 UE 의 열적 과열 문제들을 추가로 경감시킬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백오프 값은 승산 팩터 (예를 들어, ×2) 만큼 증가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MTPL 은 2 × P_backoff 값만큼 주기적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승산 팩터는 스텝_타이머가 만료할 때마다 증가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백오프 값 (예를 들어, P_backoff) 은, 스텝_타이머가 만료할 때마다 미리 결정된 스텝 값만큼, 증분적 단계적인 방식으로 증가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구성가능한 최소 송신 전력 값 (예를 들어, P_min) 이 활용되어, MTPL 이 최소 값 미만으로 감소되지 않음을 보장할 수도 있다.
상세한 논의의 목적으로, 변경되는 송신 전력은 최대 송신 전력 한계이지만, 다른 적절한 송신 전력 설정들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기술들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이 고려된다.
도 7a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대안적인 기술들을 활용하는 송신 전력 제어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 다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 에서 설명된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송신 전력 백오프 플로우 제어가 활성화될 경우 (예를 들어, 다운 커맨드가 CFM 으로부터 수신될 경우), 750 에서, 최대 송신 전력 한계 (MTPL) 는 구성가능할 수도 있는 백오프 값 (예를 들어, P_backoff) 만큼 감소될 수도 있다. 하지만, 도 7a 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스텝 타이머의 만료 이후, MTPL 은 풀 전력으로 복원되기 보다는 감소된 값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MTPL 은, PA 온도가 온도 모니터를 정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충분히 감소되었다는 표시가 온도 모니터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각각의 스텝 타이머의 만료 시에 증분적인 방식으로 추가로 감소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752 에서, PA 온도가 정규 상태로 천이하였음을 나타내는 업 커맨드가 CFM 으로부터 수신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MTPL 은, 적어도 또다른 다운 커맨드가 수신되거나 풀 전력 (예를 들어, P_max) 이 복원될 때까지 각각의 스텝 타이머의 만료 시 증분적으로 증가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업링크 플로우 제어를 위한 최대 송신 전력 한계를 감소시키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8 은, 예를 들어, CFM (330) 이 상기 설명된 경감-다운 상태에 있는 경우 CFM (330)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알고리즘 (800) 을 도시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감 상태에 진입할 시, CFM 은 반복 카운터 (예를 들어, n) 를 1 로 초기화할 수도 있다. 그 후, CFM 은 스텝 타이머를 시작할 수도 있다. 스텝 타이머는, 플로우 제어 프로세스의 더 세밀한 (granular) 제어를 위해 변경될 수도 있는 시간의 구성가능한 주기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FM 은 MTPL 을, 반복 카운터 (예를 들어, n) 과 승산된 백오프 값 (예를 들어, TX 백오프) 만큼 감소시킬 수도 있다. CFM 은, MTPL 이 감소된 값을 갖는 시간의 다운 주기를 나타내는 다운 타이머를 시작할 수도 있다. CFM 은 다운 타이머가 만료하였음을 결정할 때까지 루핑 (loop) 할 수도 있으며, 그 포인트에서, CFM 은 MTPL 에 대한 제약을 제거하고 (예를 들어, 감소된 값을 그 이전 값으로 복원함), 다운 타이머를 중지하고 업 타이머를 시작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업 타이머는, MTPL 이 업링크 플로우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시간의 업 주기를 나타낸다. 그 후, CFM 은, 업 타이머가 만료하였음을 판정할 때까지 루핑하고, 그 포인트에서, CFM 은 MTPL 을 상기 결정된 백오프 값만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CFM 은 스텝 타이머의 만료 때까지 각각 다운 주기 및 업 주기 동안 MTPL 을 주기적으로 감소 및 복원하는 것을 계속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FM 은, MTPL 을 부가적인 승산 팩터 (예를 들어, n+1) 만큼 추가로 감소시키는 것이 최소 전력 수송 한계 (예를 들어, P_min) 를 위반할 것인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추가 감소가 최소 전력을 초과할 것이라고 CFM 이 판정하면, CFM 은 백오프 값을 추가로 변경하지 않을 수도 있고, 스텝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루핑하며, MTPL 을 현재의 송신 백오프 값만큼 감소 및 복원하는 것을 계속할 수도 있다. 추가 감소가 최소 전력을 초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CFM 이 판정하면, CFM 은 반복 카운터를 증분시키고 (예를 들어, n=n+1), 스텝 타이머를 재시작하도록 루핑하며, MTPL 을 증가된 송신 백오프 값만큼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MTPL 을 감소시키는 것은 더 낮은 전력 레벨로 송신되고 있는 모든 업링크 채널들을 발생시킬 것이다. 다른 공지된 업링크 플로우 제어 접근법들이 높은 업링크 데이터 채널 (즉, PUSCH)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송신 전력 백오프를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주요 이용 케이스는 높은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전력에 대하여 무선 디바이스를 보호하는 것이라는 점이 판정되었다. 통상적으로,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은 업링크 데이터 채널 (예를 들어, PUSCH) 보다 훨씬 더 낮은 전력 레벨로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가 셀 에지 근방에 위치되고 매 송신 시간 간격 (TTI) 마다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어서 UE 가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을 사용하여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확인응답 메시지들 (예를 들어, HARQ ACK/NACK) 을 역으로 송신해야 할 것인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더욱이, 업링크 데이터 채널 (예를 들어, PUSCH) 전력은 23 dBm 으로 설정되고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전력은 10 dBm 으로 설정된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설명된 송신 전력 백오프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전력을 특정값만큼, 즉, 10 dB 로부터 7 dB 로의 3 dB 만큼 감소시키기 위해, CFM 은, 업링크 데이터 채널 (예를 들어, PUSCH) 전력을 16 dB 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발생시킬 값 (예를 들어, 7 dB) 으로 MTPL 를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업링크 데이터 채널에 있어서의 그러한 현저한 감소는 호 드롭 또는 다른 데이터 손실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업링크 데이터 채널 (예를 들어, PUSCH) 을 희생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다른 접근법이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을 듀티 사이클링하기 위해 활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상의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 (예를 들어, HARQ ACK/NACK들) 은 특정 간격들 동안에 송신되지 않을 것이다. UE 는 "온 (on) 주기들" 동안 확인응답 메시지들 (예를 들어, ACK) 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HARQ 재송신을 트리거링할 수도 있다. HARQ 재송신의 총 횟수가 소진되고 기지국이 어떠한 ACK/NACK 도 수신하지 않으면, 기지국은 다음 데이터 패킷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하지만, UE 는, 불필요한 재송신을 방지하기 위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더 상위 계층들로 전달하고, 이에 의해, 더 상위 계층들에 있어서 확인응답 (예를 들어, 무선 링크 제어 확인응답) 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도 9 는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기술들을 활용하는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 제어를 시간의 함수로서 도시한 그래프이다. PUCCH 의 듀티 사이클링을 구현하는 알고리즘의 샘플 경로가 도 9 에 도시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기본 프로세스는 상기 설명된 MTPL 알고리즘과 유사할 수도 있으며, 백오프 전력 값을 변경하는 것과는 달리, UE 는 스텝 타이머가 만료할 때마다 "오프 주기" 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UE 는 업링크 채널들 (예를 들어, 데이터 및 제어 양자) 중 하나 이상을 풀 전력 (예를 들어, PUCCH 디폴트 전력) 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을 송신하기 위해 지정된 시간의 주기 동안, CFM 은, 업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UCCH) 의 일부가 송신되지 않을 수도 있는 (예를 들어, PUCCH 를 듀티 사이클링하는) 시간의 다운 주기를 나타내는 다운 타이머 (예를 들어, 도 9 에 있어서 T_down 로서 도시됨) 를 시작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다운 타이머 동안, UE 는 PUCCH 상의 수신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한 어떠한 확인응답 메시지들 (예를 들어, HARQ ACK/NACK) 도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채널 품질 표시자 (CQI) 리포트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PUCCH 의 메시지들의 다른 타입들을 송신하는 것을 계속할 수도 있다.
다운 타이머의 만료 시, CFM 은 송신 전력을 풀 전력으로 증가시키고, PUCCH 가 송신될 수도 있는 시간의 업 주기를 나타내는 업 타이머 (예를 들어, 도 9 에 있어서 T_up 으로서 도시됨) 를 시작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다운 타이머의 만료 시, UE 는 PUCCH 를 송신하기 위해 정규적으로 지정된 시간 간격 (예를 들어, PUCCH 주기) 동안 PUCCH 를 송신하는 것을 재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PUCCH 의 듀티 사이클링 접근법은 스텝 타이머의 지속기간에 걸쳐 PUCCH 에 대한 평균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업링크 채널에 관련된 열 문제들을 경감시킨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다운 타이머 및 업 타이머는, 그 지속기간들의 합 (예를 들어, T_down + T_up) 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고 또한 업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지정된 시간의 주기 (예를 들어, PUCCH 주기) 를 동일하게 하면서 PUCCH 에 대한 평균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T_down 의 합은 일 시간 주기에 걸친 T_up 과 동일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PUCCH 듀티 사이클은 다운 타이머 (예를 들어, T_down) 및 업 타이머 (예를 들어, T_up) 의 지속기간들을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텝 타이머의 만료 시, CFM 은 UE 의 온도가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함을 판정할 수도 있고, 추가 경감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CFM 은 다운 타이머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가적인 커맨드 (예를 들어, 다운 커맨드) 를 발행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다운 타이머는 승산 팩터 (예를 들어, ×2) 만큼 증가된다.
도 10 은 본 개시의 특정 양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 (UE)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업링크 플로우 제어를 위한 예시적인 동작 (1000) 을 도시한다. 동작 (1000) 은,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UE 가 판정할 수도 있는 1002 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오버로드 메트릭은 UE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온도 센서 측정치들에 대응하는 온도 메트릭이다.
1004 에서,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으면, UE 는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의 평균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일 구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또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제 1 시간 간격의 오프-사이클 주기 동안 업링크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송신되지 않는 업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은 하나 이상의 수신된 패킷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일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제 1 시간 간격 동안 PUCCH 의 하나 이상의 HARQ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오프-사이클 주기의 만료 시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제 1 시간 간격의 만료 이후, 오버로드 메트릭이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하는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UE 는 오버로드 메트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을 변경하고, 변경된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제 2 시간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제 1 시간 간격 동안 업링크 데이터 채널 상으로, 하나 이상의 패킷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PA 의 MTPL 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UE 는 구성가능한 전력 백오프 값에 기초하여 MTPL 을 감소시킴으로써 MTPL 을 변경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전력 백오프 값을 변경하고, 그 후, 변경된 전력 백오프 값에 기초하여 제 2 시간 간격 동안 MTPL 을 추가로 변경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제 1 시간 간격 동안의 하나 이상의 다운 타이머 주기들 동안 전력 백오프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에 대한 MTPL 을 주기적으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제 1 시간 간격 동안의 하나 이상의 업 타이머 주기들 동안 송신 전력 한계를 주기적으로 복원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들에 따르면, UE 는 제 1 시간 간격의 만료 이후,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하는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UE 는 전력 백오프 값을 미리 결정된 승산 팩터만큼 증가시키고, 증가된 전력 백오프 값에 기초하여 MTPL 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 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 수단은 회로,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수단 및 송신하지 않는 수단은 도 2 에 도시된 수신기 시스템 (250;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 의 송신기 유닛 (254) 과 같은 송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판정하는 수단, 변경하는 수단, 증가시키는 수단, 감소시키는 수단, 복원하는 수단, 및/또는 조정하는 수단은 도 2 에 도시된 수신기 시스템 (250) 의 프로세서 (270) 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수단들은 또한, 도 3 의 송신기들 (310), 집중형 플로우 제어 매니저 (330) 를 포함한 프로세서 (304), 및/또는 온도 모니터 (332) 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임의의 다양한 서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정보 및 신호들이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command)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성 입자, 광계 또는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대체 가능성을 분명히 예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상기 기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될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별개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개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에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에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b, a-c, b-c, 및 a-b-c 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개시된 양태들의 상기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개시를 제조 또는 이용하게 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함없이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양태들에 한정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받아야 한다.

Claims (40)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으면, 제 1 시간 간격의 오프-사이클 주기 동안 업링크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은 온도 메트릭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송신되지 않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은 하나 이상의 수신된 패킷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의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만료 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의 만료 시,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함을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의 만료 이후,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제 2 시간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업링크 데이터 채널 상의 하나 이상의 패킷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전력 증폭기 (PA) 의 최대 송신 전력 한계 (MTPL) 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의 하나 이상의 다운 타이머 주기들 동안 전력 백오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MTPL 을 주기적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는 수단; 및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으면, 제 1 시간 간격의 오프-사이클 주기 동안 업링크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은 온도 메트릭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송신되지 않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은 하나 이상의 수신된 패킷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수단은,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의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만료 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의 만료 시,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함을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의 만료 이후,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하는지를 판정하는 수단;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을 변경하는 수단; 및
    상기 변경된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제 2 시간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업링크 데이터 채널 상의 하나 이상의 패킷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변경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전력 증폭기 (PA) 의 최대 송신 전력 한계 (MTPL) 를 감소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의 하나 이상의 다운 타이머 주기들 동안 전력 백오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MTPL 을 주기적으로 감소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고; 그리고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으면, 제 1 시간 간격의 오프-사이클 주기 동안 업링크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은 온도 메트릭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송신되지 않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은 하나 이상의 수신된 패킷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의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만료 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의 만료 시,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함을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의 만료 이후,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하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을 변경하며; 그리고
    상기 변경된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제 2 시간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업링크 데이터 채널 상의 하나 이상의 패킷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전력 증폭기 (PA) 의 최대 송신 전력 한계 (MTPL) 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의 하나 이상의 다운 타이머 주기들 동안 전력 백오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MTPL 을 주기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1. 무선 통신을 위한, 코드가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코드는,
    오버로드 메트릭이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정하고; 그리고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대응하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였으면, 제 1 시간 간격의 오프-사이클 주기 동안 업링크 제어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변경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은 온도 메트릭인,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3. 제 31 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송신되지 않는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의 부분은 하나 이상의 수신된 패킷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변경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의 하나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HARQ)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만료 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의 만료 시,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함을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간격의 만료 이후,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이 상기 임계치 값을 여전히 초과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코드;
    상기 오버로드 메트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을 변경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변경된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제 2 시간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선택적으로 송신하지 않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사이클 주기의 지속기간에 대한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업링크 데이터 채널 상의 하나 이상의 패킷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변경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과 연관된 전력 증폭기 (PA) 의 최대 송신 전력 한계 (MTPL) 를 감소시키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제 1 시간 간격 동안의 하나 이상의 다운 타이머 주기들 동안 전력 백오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채널에 대한 상기 MTPL 을 주기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47005907A 2011-08-11 2012-08-10 업링크 송신 전력 백오프를 이용한 오버로드 경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590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22615P 2011-08-11 2011-08-11
US61/522,615 2011-08-11
US13/570,314 US9019880B2 (en) 2011-08-11 2012-08-09 Methods and apparatus for overload mitigation using uplink transmit power backoff
US13/570,314 2012-08-09
PCT/US2012/050228 WO2013023112A1 (en) 2011-08-11 2012-08-10 Methods and apparatus for overload mitigation using uplink transmit power backo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047A true KR20140046047A (ko) 2014-04-17
KR101590844B1 KR101590844B1 (ko) 2016-02-02

Family

ID=46750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907A KR101590844B1 (ko) 2011-08-11 2012-08-10 업링크 송신 전력 백오프를 이용한 오버로드 경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19880B2 (ko)
EP (1) EP2742745B1 (ko)
JP (1) JP5815865B2 (ko)
KR (1) KR101590844B1 (ko)
CN (1) CN103765963B (ko)
WO (1) WO201302311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968B1 (ko) * 2015-11-04 2016-11-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화재 현장에서 충돌 회피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충돌 회피 방법
KR20190043768A (ko) * 2017-10-19 201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8563B2 (en) 2010-06-01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ata throttling by buffer status report (BSR) scaling
US9608902B2 (en) 2011-06-16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mechanism in a network of nodes with multiple interfaces
US8780711B2 (en) * 2011-06-17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back-off mechanism for path selection in hybrid communication networks
US9467941B2 (en) * 2012-06-07 2016-10-1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based fast dormancy
US9323296B2 (en) * 2013-01-16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Thermal mitigation in dual SIM dual active devices
EP2999153B1 (en) * 2013-06-19 2017-08-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base station
US9237519B2 (en) 2013-06-23 2016-01-12 Apple Inc.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transmission circuit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287954B2 (en) 2013-09-30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 antenna switching
WO2016089069A1 (ko) * 2014-12-02 2016-06-09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클리어 채널 할당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US20160183117A1 (en) * 2014-12-17 2016-06-23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rottling uplink data based on temperature state
US20160366615A1 (en) * 2015-06-15 2016-12-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flow control
US9876613B2 (en) * 2015-08-28 2018-01-23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protocol communications reduction
US20170347325A1 (en) * 2016-05-31 2017-11-30 Mediatek In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US10567986B2 (en) * 2016-09-06 2020-02-18 Qualcomm Incorporated Back-off mechanisms for fair joint access of unlicensed sidelink
WO2018130115A1 (zh) * 2017-01-13 2018-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调整无线资源配置的方法、装置及系统
US10477484B2 (en) 2017-03-10 2019-11-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link transmit power control for a plurality of uplink beam pairs
EP3613249A1 (en) * 2017-04-21 2020-02-26 Sony Corporation Mitigation of overheating events at communication devices
KR102363440B1 (ko) * 2017-08-09 2022-02-1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사용자 디바이스의 과열 보호 방법, 장치, 사용자 디바이스 및 기지국
BR112020002730A2 (pt) * 2017-08-09 2020-07-2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étodo de proteção de sobreaquecimento e dispositivo de equipamento de usuário, equipamento de usuário e estação base
KR102430412B1 (ko) 2017-08-10 2022-08-08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사용자 기기를 보호하는 방법, 장치,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US10193602B1 (en) * 2017-08-31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Thermal throttling using RF diversity
WO2019067329A1 (en) * 2017-09-28 2019-04-04 Qualcomm Incorporated THERMAL MANAGEMENT OF MODEM
US11012945B2 (en) * 2017-09-29 2021-05-1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ower allocation
US11540229B2 (en) * 2018-04-27 2022-12-27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10418372B (zh) * 2018-04-28 2022-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及无线通信装置
US20190379427A1 (en) * 2018-06-12 2019-12-1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element feed path component management for 5g-nr millimeter wave
GB2578688A (en) * 2018-09-28 2020-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ddressing overheating in user equip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10925007B2 (en) * 2018-11-02 2021-02-16 Apple Inc. Dynamic power reduction request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A3126686A1 (en) * 2019-02-22 2020-08-27 Ntt Docomo, Inc.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E102020101282A1 (de) 2019-04-12 2020-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 Wärmemanagement in einer drahtlosen Kommunikation
CN110134676B (zh) * 2019-06-03 2021-01-29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传感器数据质量的监控方法
WO2021029082A1 (ja) * 2019-08-15 2021-02-18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および端末の通信方法
CN112867123B (zh) * 2019-11-08 2023-11-17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US11758555B2 (en) * 2020-05-19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hared channel backoff proced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14126022B (zh) * 2020-08-31 2023-08-29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调整发射功率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2112B2 (ja) 1996-06-07 1999-03-1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用移動機の制御装置
JP2872156B2 (ja) 1996-11-13 1999-03-17 日本電気テレコムシステム株式会社 通信携帯端末
US6760311B1 (en) 1998-11-20 2004-07-06 Ericsson Inc. Thermal transmission control of wireless data modem
DE19927544A1 (de) 1999-06-16 2000-12-2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Steuerung des Datenflusses von Terminals in zentralgesteuerten Kommunikationssystemen
US8169981B2 (en) 2002-10-31 2012-05-0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via a radio link
EP1509011A3 (en) 2003-08-16 2011-0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scheduling for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66233B1 (ko) 2003-11-15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레이트 전송 장치 및방법
US20050185583A1 (en) 2004-02-19 2005-08-25 Hosein Patrick A. QoS management for multiple service instances
US8015306B2 (en) 2005-01-05 2011-09-06 Control4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playback of streaming media in multiple output devices
KR100703303B1 (ko) 2005-04-28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실시간 폴링 서비스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 방법
JP5290580B2 (ja) 2005-11-21 2013-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局、下り伝送レート制御方法及び下り伝送レート制御プログラム
EP1833203B1 (en) 2006-03-07 2011-06-22 Panasonic Corporation Overhead reduction of uplink control signa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787826B2 (en) 2006-07-14 2010-08-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itioning between states
US20080025341A1 (en) 2006-07-31 2008-01-31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granting of channel slots
US7715865B2 (en) * 2006-12-21 2010-05-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pressed mod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EP1986455A1 (en) 2007-04-27 2008-10-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of scheduling related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GB2452013A (en) 2007-06-19 2009-02-25 Nec Corp Buffer status reporting from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446849B2 (en) * 2007-06-20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wer control
KR101422293B1 (ko) 2007-10-05 2014-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데이터 전송률 조정 방법 및 장치
JP5108450B2 (ja) 2007-10-22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無線端末
CN101971544B (zh) 2007-11-05 2014-06-18 蜂窝通信设备有限责任公司 缓冲器状态报告系统和方法
WO2009088334A1 (en) 2008-01-04 2009-07-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mpressed buffer status reports in lte
US8086229B2 (en) 2008-02-25 2011-12-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lleviating mobile device overload condi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265640B2 (en) 2008-05-07 2012-09-11 Qualcomm Incorporated BSR prohibit timer
US8620235B2 (en) 2008-05-23 2013-12-31 Qualcomm Incorporated Thermal management for data modules
US8019295B2 (en) 2008-06-25 2011-09-13 Mediatek Inc. Transmitting power level controller and related method
CN102119490B (zh) 2008-08-06 2015-04-15 联想创新有限公司(香港) 无线通信设备、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系统
JP5784588B2 (ja) 2009-05-07 2015-09-2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移動通信デバイスの電力消費管理
US8576714B2 (en) 2009-05-29 2013-11-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lay node flow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150446B2 (en) 2009-06-17 2012-04-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hermal energy control in a mobile transceiver
JP5823387B2 (ja) 2009-06-19 2015-11-2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te−a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シグナリング
US20120020286A1 (en) * 2010-01-21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prioritization and power sc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5387483B2 (ja) 2010-03-31 2014-01-1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に用いられる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8625415B2 (en) 2010-04-02 2014-01-07 Nokia Siemens Networks Oy Dynamic buffer status report selection for carrier aggregation
CA2790671C (en) 2010-05-20 2015-12-01 Zte Corporation Method for scheduling guaranteed bit rate service based on quality of service
US8918563B2 (en) 2010-06-01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ata throttling by buffer status report (BSR) scal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968B1 (ko) * 2015-11-04 2016-11-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화재 현장에서 충돌 회피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충돌 회피 방법
KR20190043768A (ko) * 2017-10-19 201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안테나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844B1 (ko) 2016-02-02
US20130039173A1 (en) 2013-02-14
CN103765963B (zh) 2017-12-08
EP2742745A1 (en) 2014-06-18
JP5815865B2 (ja) 2015-11-17
US9019880B2 (en) 2015-04-28
EP2742745B1 (en) 2018-01-03
CN103765963A (zh) 2014-04-30
JP2014525702A (ja) 2014-09-29
WO2013023112A1 (en)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844B1 (ko) 업링크 송신 전력 백오프를 이용한 오버로드 경감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602239B1 (ko)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기회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들
JP5584787B2 (ja) 高データレートのアップリンク操作を拡張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918563B2 (en) Uplink data throttling by buffer status report (BSR) scaling
JP5931733B2 (ja) アップリンク・マルチ電力増幅器/アンテナ動作およびチャネル優先付け
US9094083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to facilitate efficient repeater usage
KR101464222B1 (ko) 경쟁 기반 무선 송신들
US201301704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aware receive diversity control
JP2013524573A (ja) リレーを備えた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ドナー基地局におけるラジオ・ベアラ管理
JP6641046B2 (ja) 再送信要求を動的に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