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222B1 - 경쟁 기반 무선 송신들 - Google Patents

경쟁 기반 무선 송신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222B1
KR101464222B1 KR1020127030498A KR20127030498A KR101464222B1 KR 101464222 B1 KR101464222 B1 KR 101464222B1 KR 1020127030498 A KR1020127030498 A KR 1020127030498A KR 20127030498 A KR20127030498 A KR 20127030498A KR 101464222 B1 KR101464222 B1 KR 10146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s
ues
contention
transmission parameters
instru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8741A (ko
Inventor
알렉산더 담자노빅
사이 이유 둔칸 호
완시 첸
주안 몬토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8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with additional processing of random access related information at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based on requested quality, e.g.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경쟁 기반 업링크 데이터 송신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복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할당할 수 있다. 복수의 UE들은 경쟁 기반 자원을 이용하여, 사전 스케줄링 없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는 송신 충돌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UE들에 시그널링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를 기초로 어느 UE가 업링크 송신들을 전송했는지 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경쟁 기반 무선 송신들{CONTENTION-BASED WIRELESS TRANSMISSIONS}
본 특허 출원은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ion-Based Wireless Transmissions"라는 명칭으로 2010년 4월 21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 가출원 일련번호 61/326,569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쟁 기반 무선 송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폭넓게 전개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시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al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SO: single-in-single-out), 다중 입력 단일 출력(MISO: multiple-in-single-out) 또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multiple-out) 시스템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기지국들은 일반적으로 언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들이 일어날 수 있는지의 스케줄링을 담당한다. 스케줄링의 사용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초래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레이턴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자원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을 제공할 필요 없이 송신들을 가능하게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상기 다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러 컴포넌트, 및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상기 다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컴포넌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된 UE 구별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상기 다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상기 명령들은 다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상기 다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명령들은 또한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기 열거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앞서 간략히 요약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양상들의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단지 특정한 전형적인 양상들을 도시하는 것이므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하는데, 이는 본 설명이 다른 동등하게 유효한 양상들을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도 5 -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시스템들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각각의 UE로부터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장비(UE)들 사이에 업링크 무선 자원들을 할당한다. UE는 UE의 업링크 송신 버퍼에서 대기하는 데이터의 양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버퍼 상태 보고(BSR: buffer status report)들을 전송할 수 있다. BSR을 전송하기에 충분한 업링크 자원들이 UE에 할당되지 않은 경우, UE는 먼저 기지국에 스케줄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을 전송하여 BSR을 전송하기 위한 자원들을 요청하고, 할당을 수신한 다음, BSR의 전송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SR들의 과잉은 지연 문제들을 야기하며 상당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들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스케줄링을 사전 요청할 필요 없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업링크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이 제안되었다. 경쟁 기반 자원들로 지칭되는 이러한 무선 자원들은 특히 시스템 로드가 낮을 때, 레이턴시 및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면서 업링크 송신들을 가능하게 한다.
경쟁 기반 송신 방식 하에서, 기지국은 경쟁 기반 자원들의 승인들을 식별하기 위해 경쟁 기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들을 UE들에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UE들은 이러한 경쟁 기반 RNTI에 어드레싱되는,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승인들에 관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청취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되는 경쟁 기반 RNTI는 그 주어진 경쟁 기반 RNTI를 갖는 UE들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표시된 업링크 데이터 자원들에 즉시 액세스할 수 있음을 이러한 UE들에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 기지국은 경쟁 기반 자원들의 지속적 할당을 이용할 수도 있다. UE들이 동일한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할 때 데이터 충돌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경쟁 기반 자원의 스루풋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감소된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레이턴시를 유지하면서 스루풋을 증가시키도록 경쟁 기반 업링크 채널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들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단일 반송파 FDMA(SC-FDMA: Single-Carrier FDMA)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들"과 "시스템들"이라는 용어들은 흔히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CDMA) 및 낮은 칩 레이트(LCR: Low Chip Rate)를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진화형 UTRA(E-UTRA: Evolved UTRA), IEEE 802.11, IEEE 802.16, IEEE 802.20, 플래시-OFDM
Figure 112012096027113-pct00001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롱 텀 에볼루션(LTE)은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스(release)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명확성을 위해, 이러한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은 아래에서 LTE에 관해 설명되며, 아래 설명의 대부분에서 LTE 전문 용어가 사용된다.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는 단일 반송파 변조 및 주파수 도메인 등화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SC-FDMA는 OFDMA 시스템과 유사한 성능 및 본질적으로 동일한 전체 복잡도를 갖는다. SC-FDMA 신호는 그 본래의 단일 반송파 구조 때문에 더 낮은 피크대 평균 전력비(PAPR: peak-to-average power ratio)를 갖는다. SC-FDMA는 송신 전력 효율 면에서 더 낮은 PAPR이 모바일 단말에 상당히 유리한 업링크 통신들에서 특별히 큰 관심을 끌어왔다. 이는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또는 진화형 UTRA에서의 업링크 다중 액세스 방식에 대한 현재 작업 가설이다.
액세스 포인트 ("AP(access point)")는 Node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Radio Network Controller"), eNodeB, 기지국 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 기지국 트랜시버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BS(Base Station)"), 트랜시버 기능("TF(Transceiver Function)"), 무선 라우터, 무선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SS(Basic Service Set)"), 확장 서비스 세트("ESS(Extended Service Set)"), 무선 기지국("RBS(Radio Base Station)"), 또는 다른 어떤 전문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액세스 단말("AT(access terminal)")은 액세스 단말,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UE"), 사용자 스테이션(station) 또는 다른 어떤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cordless)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스테이션("STA"),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어떤 적당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 교시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은 전화(예를 들어, 셀룰러폰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톱),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용 데이터 보조기기),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위치 결정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디바이스로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노드는 무선 노드이다. 이러한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나 셀룰러 네트워크)를 위한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로의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양상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예시된다. 액세스 포인트(100)(AP)는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는데,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106)을 포함하고, 다른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8, 110)을 포함하며, 또 다른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12, 114)을 포함한다. 도 1에는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2개의 안테나들만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안테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6)(AT)은 안테나들(112, 114)과 통신하는데, 여기서 안테나들(112, 114)은 순방향 링크(120)를 통해 액세스 단말(116)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118)를 통해 액세스 단말(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액세스 단말(122)은 안테나들(106, 108)과 통신하는데, 여기서 안테나들(106, 108)은 순방향 링크(126)를 통해 액세스 단말(122)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124)를 통해 액세스 단말(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들(118, 120, 124, 126)은 통신을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20)는 역방향 링크(118)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안테나들의 각각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된 영역은 흔히 액세스 포인트의 섹터로 지칭된다. 도 1에 도시된 양상에서, 각각의 안테나 그룹은 액세스 포인트(10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에 있는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순방향 링크들(120, 126)을 통한 통신에서, 액세스 포인트(100)의 송신 안테나들은 서로 다른 액세스 단말들(116,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의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를 개선하기 위해 빔 형성을 이용한다. 또한, 자신의 커버리지 도처에 랜덤하게 흩어져 있는 액세스 단말들에 전송하기 위해 빔 형성을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단일 안테나를 통해 자신의 모든 액세스 단말들에 전송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비해 이웃하는 셀들의 액세스 단말들에 더 적은 간섭을 일으킨다.
도 2는 MIMO 시스템(200)의 (액세스 포인트로도 또한 알려진) 송신기 시스템(210) 및 (액세스 단말로도 또한 알려진) 수신기 시스템(250)의 한 양상의 블록도이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212)에서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214)로 제공된다.
한 양상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이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4)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을 기반으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화,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BPSK, QPSK, M-PSK 또는 M-QAM)을 기반으로 변조(즉, 심벌 매핑)되어 변조 심벌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2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음에,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벌들이 TX MIMO 프로세서(220)에 제공되고, TX MIMO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OFDM을 위해) 변조 심벌들을 추가 처리할 수 있다. 그 다음, TX MIMO 프로세서(220)는 NT개의 변조 심벌 스트림들을 NT개의 송신기들(TMTR)(222a-222t)에 제공한다. 특정 양상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벌들 및 안테나에 빔 형성 가중치들을 적용하는데, 여기서 안테나는 이 심벌을 전송하고 있는 안테나이다.
각각의 송신기(222)는 각각의 심벌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며,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 조정(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하여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다음에, 송신기들(222a-2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개의 안테나들(224a-224t)로부터 전송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송신기 시스템(210)은 뒤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한 수신기 시스템(250) 및 다른 액세스 단말들로부터의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검출된 심벌들을 디코딩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프로세서(27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와 같은 송신기 시스템(25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뒤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경쟁 기반 업링크 송신에 사용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송신 파라미터들은 업링크 송신들을 다른 액세스 단말들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과 구별하기 위해, 송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 전송되는 송신들을 수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특정하는 송신 파라미터가 송신기들(254a-254r)에 의해 특정 전력으로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복조 기준 신호 시프트를 표시하는 송신 파라미터가 변조기(280)에 의해,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들을 변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수신기 시스템(250)에서는, 전송된 변조된 신호들이 NR개의 안테나들(252a-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252)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254a-2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254)는 각각의 수신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 변환)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며,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다음에,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NR개의 수신기들(254)로부터 NR개의 수신 심벌 스트림들을 수신 및 처리하여 NT개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그 다음,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각각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에 의한 처리는 송신기 시스템(210)에서 TX MIMO 프로세서(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와 상보적이다.
프로세서(270)는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프로세서(270)는 행렬 인덱스 부분 및 랭크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형식화(formulate)한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2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254a-254r)에 의해 조정되어, 다시 송신기 시스템(210)으로 전송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검출된 심벌들을 디코딩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프로세서(27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와 같은 수신기 시스템(25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뒤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경쟁 기반 업링크 송신에 사용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송신 파라미터들은 수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 전송되는 송신들을 수정하여, 업링크 송신들을 다른 액세스 단말들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과 구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특정하는 송신 파라미터가 송신기들(254a-254r)에 의해 특정 전력으로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복조 기준 신호 시프트를 표시하는 송신 파라미터가 변조기(280)에 의해,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림들을 변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송신기 시스템(210)에서는, 수신기 시스템(2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들(2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222)에 의해 조정되고, 복조기(2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242)에 의해 처리된다. 다음에, 프로세서(230)가 빔 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결정한 다음,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프로세서(230) 및 RX 데이터 프로세서(242)는 뒤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신기 시스템으로 시그널링되는 송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어떤 액세스 단말이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논리 채널들은 제어 채널들과 트래픽 채널들로 분류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논리 제어 채널들은 시스템 제어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DL 채널인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CCH: Broadcast Control Channel),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는 DL 채널인 페이징 제어 채널(PCCH: Paging Control Channel), 하나 또는 여러 개의 MTCH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MBMS: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스케줄링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점-대-다점 DL 채널인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 Multicast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RRC 접속을 구축한 후, 이 채널은 MBMS(주: 이전 MCCH+MSCH)를 수신하는 UE들에 의해서만 사용된다. 전용 제어 채널(DCCH: Dedicated Control Channe)은 전용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RRC 접속을 갖는 UE들에 의해 사용되는 점-대-점 양방향 채널이다. 한 양상에서, 논리 트래픽 채널들은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위해 하나의 UE에 전용되는 점-대-점 양방향 채널인 전용 트래픽 채널(DTCH: Dedicated Traffic Channel)을 포함한다. 또한,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TCH: Multicast Traffic Channel)은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점-대-다점 DL 채널이다.
추가로, 전송 채널들은 DL 및 UL로 분류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DL 전송 채널들은 브로드캐스트 채널(BCH: Broadcast Channel), 다운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DL-SDCH: Downlink Shared Data Channel), 및 UE 전력 절약의 지원(DRX 사이클이 네트워크에 의해 UE에 표시됨)을 위한 페이징 채널(PCH: Paging Channel)을 포함하는데, PCH는 전체 셀에 대해 브로드캐스팅되며, 다른 제어/트래픽 채널들에 사용될 수 있는 PHY 자원들에 매핑된다. UL 전송 채널들은 랜덤 액세스 채널(RACH: Random Access Channel), 요청 채널(REQCH: Request Channel), 업링크 공유 데이터 채널(UL-SDCH: Uplink Shared Data Channel) 및 다수의 PHY 채널들을 포함한다. PHY 채널들은 한 세트의 DL 채널들 및 UL 채널들을 포함한다.
DL PHY 채널들은 다음 채널들을 포함한다:
공통 파일럿 채널(CPICH : Common pilot channel)
동기 채널(SCH: Synchronization Channel)
공통 제어 채널(CCCH: Common Control Channel)
공유 DL 제어 채널(SDCCH: Shared DL Control Channel)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CCH)
공유 UL 할당 채널(SUACH: Shared UL Assignment Channel)
확인 응답 채널(ACKCH: Acknowledgement Channel)
DL 물리적 공유 데이터 채널(DL-PSDCH: DL Physical Shared Data Channel)
UL 전력 제어 채널(UPCCH: UL Power Control Channel)
페이징 표시자 채널(PICH: Paging Indicator Channel)
로드 표시자 채널(LICH: Load Indicator Channel)
UL PHY 채널들은 다음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채널 품질 표시자 채널(CQICH: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확인 응답 채널(ACKCH)
안테나 서브세트 표시자 채널(ASICH: Antenna Subset Indicator Channel)
공유 요청 채널(SREQCH: Shared Request Channel)
UL 물리적 공유 데이터 채널(UL-PSDCH)
광대역 파일럿 채널(BPICH: Broadband Pilot Channel)
본 문서를 위해, 다음의 약어들이 적용된다:
ACK 확인 응답(Acknowledgement)
AM 확인 응답 모드(Acknowledged Mode)
AMD 확인 응답 모드 데이터(Acknowledged Mode Data)
ARQ 자동 재전송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
BCCH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H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
BW 대역폭(Bandwidth)
C- 제어-(Control-)
CB 경쟁 기반(Contention-Based)
CCE 제어 채널 엘리먼트(Control Channel Element)
CCCH 공통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
CCH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CCTrCH 코딩된 복합 전송 채널(Coded Composite Transport Channel)
CDM 코드 분할 다중화(Code Division Multiplexing)
CF 비경쟁(Contention-Free)
CP 주기적 프리픽스(Cyclic Prefix)
CQI 채널 품질 표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RC 순환 중복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S 공통 기준 신호(Common Reference Signal)
CTCH 공통 트래픽 채널(Common Traffic CHannel)
DCCH 전용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H 전용 채널(Dedicated CHannel)
DCI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L 다운링크(DownLink)
DRS 전용 기준 신호(Dedicated Reference Signal)
DSCH 다운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TCH 전용 트래픽 채널(Dedicated Traffic CHannel)
E-CID 확장 셀 식별자(Enhanced Cell IDentification)
EPS 진화형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FACH 순방향 링크 액세스 채널(Forward link Access CHannel)
FDD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M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STD 주파수 전환 송신 다이버시티(Frequency Switched Transmit Diversity)
HARQ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요청(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HW 하드웨어(Hardware)
IC 간섭 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L1 계층 1(물리 계층)
L2 계층 2(데이터 링크 계층)
L3 계층 3(네트워크 계층)
LI 길이 표시자(Length Indicator)
LLR 로그 우도비(Log-Likelihood Ratio)
LSB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MAC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BMS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CCH MBMS 점-대-다점 제어 채널(MBMS point-to-multipoint Control CHannel)
MMSE 최소 평균 제곱 에러(Minimum Mean Squared Error)
MRW 수신 창 이동(Move Receiving Window)
MSB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CH MBMS 점-대-다점 스케줄링 채널(MBMS point-to-multipoint Scheduling CHannel)
MTCH MBMS 점-대-다점 트래픽 채널(MBMS point-to-multipoint Traffic Channel)
NACK 부정 응답(Non-Acknowledgement)
PA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BCH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CCH 페이징 제어 채널(Paging Control CHannel)
PCH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PCI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
PDC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U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HICH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PHY 물리 계층(PHYsical layer)
PhyCH 물리 채널들(Physical Channels)
PMI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RACH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SS 1차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UC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QoS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RACH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B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LC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RC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E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I 랭크 표시자(Rank Indicator)
RNTI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S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TT 왕복 시간(Round Trip Time)
Rx 수신(Receive)
SAP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Service Access Point)
SDU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FBC 공간 주파수 블록 코드(Space Frequency Block Code)
SHCCH 공유 채널 제어 채널(SHared channel Control CHannel)
SINR 신호대 잡음 및 간섭비(Signal-to-Interference-and-Noise Ratio)
SN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
SR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S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SS 2차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U-MIMO 단일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Sing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UFI 수퍼 필드(SUper Field)
SW 소프트웨어(Software)
TA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CH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
TDD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M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TFI 전송 포맷 표시자(Transport Format Indicator)
TPC 송신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TI 송신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x 송신(Transmit)
U- 사용자-(User-)
U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L 업링크(UpLink)
U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D 비확인 모드 데이터(Unacknowledged Mode Data)
UMTS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TRA UMTS 지상 무선 액세스(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UTRAN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VOIP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MBSFN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MCH 멀티캐스트 채널(multicast channel)
DL-SCH 다운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PDCCH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경쟁 기반 업링크 공유 통신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고성능 수신기들의 잠재적 사용에 의해 업링크 송신에서 높은 스루풋을 가능하게 하는 경쟁 기반 송신 방식이 제공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이 경쟁 기반 자원들을 다수의 UE들에 할당할 수 있다. 경쟁 기반 자원들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과 같은 물리적 업링크 데이터 채널의 일부일 수 있다. 경쟁 기반의 할당은 지속적이거나, 반-정적이거나 동적일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경쟁 기반 자원들의 구성 및/또는 할당 동안 송신 파라미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경쟁 기반 자원들을 통해 다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고 어느 UE가 어느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송신 파라미터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공유하는 UE들로부터의 송신들을 구별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시스템을 나타낸다.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시스템은 다수의 UE들(3101-310N)과 통신하는 기지국(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UE(3101)와 관련하여 논의될 수 있지만, 특정 양상들은 다수의 UE들(3101-310N) 중 다른 UE들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300)은 UE(3101)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러 컴포넌트(3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러 컴포넌트(304)는 다수의 UE들(3101-310N)에 시그널링하도록 ("TX PARAM"으로 도시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송신기 컴포넌트(302)에 제공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은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다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을 이후에 구별하기 위해 기지국(3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송신 파라미터는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한 업링크 송신을 위해 UE들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송신 파라미터는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한 업링크 송신들에 사용하기 위해 UE에 할당되는 특정 복조 기준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프트일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UE(3101)는 기지국(300)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수신기 컴포넌트(312)를 포함한다. 송신 파라미터들은 UE(3101)가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예를 들어 주어진 송신 전력으로, 또는 특정 DM-RS 신호와 함께 어떻게 전송하는지를 제어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 컴포넌트(312)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경쟁 기반 프로세서 컴포넌트(314)에 제공하며, 경쟁 기반 프로세서 컴포넌트(314)는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한 업링크 송신에 대한 경쟁 기반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경쟁 기반 프로세서 컴포넌트(314)는 경쟁 기반 자원들을 이용한 기지국(300)으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 송신 파라미터들 및 경쟁 기반 메시지를 송신기 컴포넌트(316)에 제공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송신기 컴포넌트(316)는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표시하는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높은 전력으로 경쟁 기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송신기 컴포넌트(316)는 DM-RS 시프트를 표시하는 송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특정 DM-RS 시퀀스와 함께 경쟁 기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300)의 수신기 컴포넌트(308)는 경쟁 기반 자원들을 통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업링크 송신들을 UE 구별 컴포넌트(306)에 제공한다. UE 구별 컴포넌트(306)는 예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러 컴포넌트(304)에 의해 UE 구별 컴포넌트(306)로 제공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를 기초로 어느 UE가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300)은 업링크 송신이 특정 UE에 의해 전송되었다고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업링크 송신의 송신 전력을 특정 UE에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할당하는 송신 파라미터와 비교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300)은 업링크 송신들이 특정 UE로부터 전송되었다고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업링크 송신을 송신 파라미터에 의해 특정 UE에 할당된 DM-RS 시퀀스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라 경쟁 기반 자원들을 관리하기 위해 기지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400)을 나타낸다. 동작(400)은 기지국이 다수의 UE들에 의해 사용하기 위한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402에서 시작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경쟁 기반 자원은 PUSCH와 같은 물리적 업링크 데이터 채널의 무선 자원일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다수의 UE들에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404에서, 기지국은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다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된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송신 파라미터들은 경쟁 기반 자원들이 구성될 때 다수의 UE들에 주어질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송신 파라미터들은 계층 3 시그널링에 의해, 예를 들어 호 셋업 동안 또는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 동안 시그널링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경쟁 기반 자원의 할당과 함께, PDCCH에서 다수의 UE들에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할 수 있다.
406에서, 기지국은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다수의 업링크 송신은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다수의 UE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업링크 송신을 적절히 처리하기 위해, 기지국은 업링크 송신들 각각의 송신 측을 결정할 수 있다.
408에서, 기지국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어느 UE가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대응하는 수신 전력을 기초로 어느 UE가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업링크 송신들을 성공적으로 복조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DM-RS 시프트를 기초로 어느 UE가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할 수 있다.
도 5 -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시스템(500)을 나타낸다. 예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500)은 다수의 UE들(504)과 통신하는 기지국(502)을 포함한다. 기지국(502)은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다수의 UE들(504)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도록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다수의 UE들(504)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502)은 다수의 UE들(504) 중 적어도 하나의 UE에 대해 그 UE가 다른 UE들에 관하여 높은 전력으로 전송해야 함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포함하는 송신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기지국(502)은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다수의 UE들(504) 전부에 전송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기지국(502)은 다수의 UE들(504) 중 단 하나의 UE 또는 UE들 전부보다는 더 적은 UE에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기지국(502)은 다수의 UE들(504) 각각에 대한 특정 전력 제어 바이어스, 다수의 UE들의 서브세트에 대한 공통 전력 제어 바이어스,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을 전송할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주목된다.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한 더 높은 전력에서의 UE에 의한 업링크 송신들은 더 낮은 전력에서의 다른 UE들에 의한 업링크 송신들보다 기지국(502)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신될 가능성이 더 높을 수 있으며, 이로써 하나보다 많은 UE가 경쟁 기반 자원을 이용하고자 시도하는데도 불구하고 적어도 하나의 UE가 성공적으로 수신되게 할 수 있다. 반면, 종래의 구성에서는 다수의 UE들이 동일한 전력으로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하도록 지시를 받을 수 있으며, 이는 UE들 중 어느 UE도 송신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되게 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특정 양상들에 따른 기술들은 종래의 구성들과 비교할 때 경쟁 기반 자원들을 통해 더 높은 스루풋을 유리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기지국(502)은 다양한 요소들을 기초로 주어진 UE에 대한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502)은 UE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을 기초로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502)은 단일 UE가 고 전력 대역폭을 독점할 수 없음을 보장하도록 공정성 휴리스틱(fairness heuristic)을 기초로 UE에 대한 전력 제어 바이어스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502)은 시간에 따라 다수의 UE들(504) 각각에 고 전력 제어 바이어스의 할당을 고르게 분배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502)은 기지국(502)에서의 미리 결정된 신호대 잡음+간섭비(SNIR: signal-to-noise-plus-interference-ratio)를 목표로 하도록 선택된 전력 등급에 대한 지정을 다수의 UE들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502)은 다수의 UE들(504)을 경쟁 기반 액세스를 위한 전력 등급들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502)은 다수의 UE들(504)의 제 1 서브세트를 고 전력 등급에 지정하고 다수의 UE들(504)의 제 2 서브세트를 저 전력 등급에 지정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고 전력 등급의 UE들은 기지국의 수신기에서의 더 높은 신호대 잡음+간섭비(SNIR)를 목표로 할 수 있다. 저 전력 등급의 UE들은 기지국의 수신기에서의 더 낮은 SNIR을 목표로 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전력 등급의 지정은 시간에 따라 암시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502)은 다수의 UE들 중 적어도 하나의 UE에 할당되는 DM-RS에 대한 주기적 시프트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DM-RS는 일반적으로 업링크 데이터 송신이 경험하는 업링크 채널의 추정을 제공하여 기지국(502)이 업링크 송신들을 코히어런트 복조할 수 있게 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DM-RS 시프트는 기지국(502)에 의해 각각의 UE에 할당되는 기준 신호(RS)에 대한 서명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경쟁 기반 자원이 구성될 때 UE에 DM-RS 시프트를 할당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DM-RS 시프트는 경쟁 기반 업링크 승인에서 다수의 UE들에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는 제 2 DM-RS 시프트에 추가적일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DM-RS 시프트는 시간에 따라 암시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502)은 랜덤 분산에 따라 UE에 상이한 DM-RS 시프트를 할당할 수도 있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다수의 UE들(504)이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할 때, 기지국(502)은 다수의 RS 패턴들을 검출하고, RS 패턴들 중 하나의 패턴을 사용하여 제 1 업링크 송신을 디코딩하고, 신호를 제거하고, RS 패턴들 중 다른 하나의 패턴을 사용하여 제 2 업링크 송신을 디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다수의 UE들이 동시에 경쟁 기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하더라도, RS에 대한 서로 다른 서명 시퀀스의 사용이 기지국(502)으로 하여금 서로 다른 업링크 송신들을 검출 및 디코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더 높은 확률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더 높은 스루풋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경쟁 기반 자원을 사용하여 피드백 및 확인 응답(즉, HARQ)을 제공한다.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기지국은 다수의 DM-RS 패턴들을 다수의 UE들에 할당할 수 있고, 블라인드 방식으로, UE들로부터 수신되는 가상적인 이전 송신들을 결합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제 1 DM-RS 패턴을 사용하여 UE로부터 제 1 업링크 송신을 디코딩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지만, 디코딩에 실패할 수도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이전 업링크 송신에 할당된 것으로 기지국에 의해 알려진 제 2 DM-RS 패턴을 사용하여 송신을 디코딩하고자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특정 양상들은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된 업링크 송신을 디코딩하기 위한 다수의 기회들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 또는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도 2에 도시된 송신기 시스템(210)(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의 송신기 유닛(222)과 같은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2에 도시된 송신기 시스템(210)의 수신기 유닛(222)과 같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할당하기 위한 수단,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또는 지정하기 위한 수단은 도 2에 예시된 수신기 시스템(250)의 프로세서(270) 또는 송신기 시스템(210)의 프로세서(230)와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또한 도 3의 송신기 컴포넌트(302), 스케줄러 컴포넌트(304), UE 구별 컴포넌트(306) 및 수신기 컴포넌트(308)의 임의의 적당한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지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벌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추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종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좌우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된 양상들의 상기의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실시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양상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새로운 특징들에 부합하는 최광의의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40)

  1.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상기 복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는 단계;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대응하는 수신 전력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은,
    상기 복수의 UE들 중 적어도 하나의 UE가 다른 UE들에 비해 고 전력으로 전송해야 함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E들의 제 1 서브세트를 고 전력 등급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UE들의 제 2 서브세트를 저 전력 등급으로 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전력 등급 또는 저 전력 등급의 지정은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기초로 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하나의 복조 기준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시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시프트는 DM-RS 신호에 대한 서명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구성 동안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하는 단계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의 할당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은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의 지속적 할당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1.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러 컴포넌트;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상기 복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컴포넌트;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컴포넌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된 UE 구별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E 구별 컴포넌트는 대응하는 수신 전력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은,
    상기 복수의 UE들 중 적어도 하나의 UE가 다른 UE들에 비해 고 전력으로 전송해야 함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 컴포넌트는 추가로,
    상기 복수의 UE들의 제 1 서브세트를 고 전력 등급으로 지정하고; 그리고
    상기 복수의 UE들의 제 2 서브세트를 저 전력 등급으로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전력 등급 또는 저 전력 등급의 지정은 서비스 품질(QoS)을 기초로 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하나의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시프트는 DM-RS 신호에 대한 서명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는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 동안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의 할당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은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의 지속적 할당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1.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상기 복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대응하는 수신 전력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은,
    상기 복수의 UE들 중 적어도 하나의 UE가 다른 UE들에 비해 고 전력으로 전송해야 함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E들의 제 1 서브세트를 고 전력 등급으로 지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복수의 UE들의 제 2 서브세트를 저 전력 등급으로 지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전력 등급 또는 저 전력 등급의 지정은 서비스 품질(QoS)을 기초로 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하나의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프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시프트는 DM-RS 신호에 대한 서명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은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 동안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하기 위한 수단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의 할당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은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의 지속적 할당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1.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복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의한 사용을 위해 공통 경쟁 기반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상기 복수의 UE들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송신들을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을 통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은 대응하는 수신 전력을 기초로 어느 U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송신을 전송했는지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은,
    상기 복수의 UE들 중 적어도 하나의 UE가 다른 UE들에 비해 고 전력으로 전송해야 함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제어 바이어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복수의 UE들의 제 1 서브세트를 고 전력 등급으로 지정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복수의 UE들의 제 2 서브세트를 저 전력 등급으로 지정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고 전력 등급 또는 저 전력 등급의 지정은 서비스 품질(QoS)을 기초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하나의 복조 기준 신호(DM-RS) 시프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DM-RS 시프트는 DM-RS 신호에 대한 서명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하기 위한 명령들은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 동안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하기 위한 명령들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에서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의 할당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은 상기 경쟁 기반 자원의 지속적 할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27030498A 2010-04-21 2011-04-21 경쟁 기반 무선 송신들 KR101464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656910P 2010-04-21 2010-04-21
US61/326,569 2010-04-21
US13/090,942 2011-04-20
US13/090,942 US9408232B2 (en) 2010-04-21 2011-04-20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ion-based wireless transmissions
PCT/US2011/033435 WO2011133776A1 (en) 2010-04-21 2011-04-21 Contention- based wireless transmis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741A KR20130028741A (ko) 2013-03-19
KR101464222B1 true KR101464222B1 (ko) 2014-11-21

Family

ID=4481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498A KR101464222B1 (ko) 2010-04-21 2011-04-21 경쟁 기반 무선 송신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08232B2 (ko)
EP (1) EP2561719B1 (ko)
JP (1) JP5666691B2 (ko)
KR (1) KR101464222B1 (ko)
CN (1) CN102948247B (ko)
ES (1) ES2672224T3 (ko)
HU (1) HUE036799T2 (ko)
WO (1) WO20111337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8702B (zh) * 2016-01-28 2021-09-11 美商高通公司 返回鏈路上的基於爭用的資料傳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59719B1 (en) 2010-12-31 2016-09-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location of acknowledgment channels to channel groups having variable transmit energies
CN103444240B (zh) * 2010-12-31 2016-12-2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确认信道到具有固定传送能量的信道群组的分配
KR101769379B1 (ko) * 2011-04-21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2730104B1 (en) * 2011-07-06 2019-10-0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m rs based downlink lte physical layer
US9398122B2 (en) * 2011-07-27 2016-07-19 Lg Electronics Inc. Sequence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77454B2 (en) 2012-12-20 2016-03-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method, transmitter, and receiver
US10327263B2 (en) * 2014-02-16 2019-06-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using contention-based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70276B1 (en) * 2014-07-18 2019-03-13 LG Electronics Inc.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BR112017002849B1 (pt) * 2014-08-27 2023-05-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para a decodificação de transmissões em enlace ascendente com base em contenção de dados, nó de rede de uma rede de rádio, método para habilitar um nó de rede de uma rede de rádio para referida decodificação, dispositivo sem fio e mídia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US9872313B2 (en) 2014-10-02 2018-01-16 Qualcomm Incorporated Contention based uplink transmissions for latency reduction
EP3214880B1 (en) * 2014-11-19 2019-09-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ssage transmitting method,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system
US10129858B2 (en) 2014-11-25 2018-11-13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physical layer design for contention-based uplink channels
US10111132B2 (en) * 2015-03-02 2018-10-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sounding and feedback
WO2017049512A1 (zh) * 2015-09-23 2017-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用户终端以及数据传输方法
US10917878B2 (en) * 2016-03-11 2021-02-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cknowledging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s on a contention-base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US10912117B2 (en) 2016-05-23 2021-0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tition-based transmitting of up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scheme is applied
US10219294B2 (en) 2016-06-03 2019-0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transmission on a contention based physical data channel
US10660045B2 (en) * 2016-08-17 2020-05-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scriminating between communication apparatuses based on their transmitted power
US20180077717A1 (en) * 2016-09-09 2018-03-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Cellular scheduler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selecting user equipment based on beam or delay state information
CN108173633B (zh) * 2016-12-07 2020-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接收上行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US11057926B2 (en) * 2017-02-04 2021-07-06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coverage enhancements
CN109565825B (zh) * 2017-04-11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非授权上行传输方法和装置
TWI726216B (zh) * 2017-06-16 2021-05-0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使用者裝置及基地台
CN109963334A (zh) * 2017-12-22 2019-07-0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确定传输资源的方法、装置以及数据的传输方法、装置
US11804934B2 (en) * 2020-08-11 2023-10-31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ing for sidelink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4145A1 (en) * 2006-11-17 2010-03-04 Pal Frenger Mobile Station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via a Separate Uplink when the Parameters of Channel Quality Fall Below the Predefined Threshol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5480B2 (en) 2005-11-04 2013-08-20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mission power
KR101268200B1 (ko) 2006-01-05 201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방법
KR100934656B1 (ko) * 2006-02-06 2009-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할당 방법
JP5014020B2 (ja) 2007-08-13 2012-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局、基地局、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167760B2 (ja) 2007-10-24 2013-03-2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上り通信方法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無線基地局
KR100925450B1 (ko) * 2008-03-03 200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의 충돌 해결 방법
ES2379912T3 (es) * 2008-05-05 2012-05-04 Nokia Siemens Networks Oy Método, aparato y programa informático para el control de potencia relacionado con procedimientos de acceso aleatorio
CN102282817B (zh) 2008-08-19 2014-07-02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接收和发送应答/无应答信息的方法
KR101635883B1 (ko) * 2009-02-03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참조 신호 송수신 기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4145A1 (en) * 2006-11-17 2010-03-04 Pal Frenger Mobile Station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via a Separate Uplink when the Parameters of Channel Quality Fall Below the Predefined Threshol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8702B (zh) * 2016-01-28 2021-09-11 美商高通公司 返回鏈路上的基於爭用的資料傳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72224T3 (es) 2018-06-13
US9408232B2 (en) 2016-08-02
CN102948247A (zh) 2013-02-27
HUE036799T2 (hu) 2018-07-30
WO2011133776A1 (en) 2011-10-27
EP2561719B1 (en) 2018-03-21
KR20130028741A (ko) 2013-03-19
EP2561719A1 (en) 2013-02-27
JP5666691B2 (ja) 2015-02-12
CN102948247B (zh) 2016-06-29
JP2013526185A (ja) 2013-06-20
US20110263286A1 (en)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222B1 (ko) 경쟁 기반 무선 송신들
CN110366250B (zh) 考虑跨载波调度缓存下行链路数据的方法和设备
JP5571192B2 (ja) 調節ファクタを適用する伝送ブロック・サイズ決定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46423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한 연속 모드 동작
US89232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54304B1 (ko) 중계기들을 갖는 전기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 맵핑
JP5536278B2 (ja) Lte−aにおけるr−pdcchのための拡張された検索空間
US8923216B2 (en) Robust decoding of CoMP transmissions
US103894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expansion and backward compatibility preserv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1903695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設定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3509847A (ja) 無線通信におけるユーザ特有基準信号情報の統合符号化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1400033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bund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5507753B2 (ja) リレーを備えた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ドナー基地局におけるラジオ・ベアラ管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