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276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276A
KR20140045276A KR1020130119921A KR20130119921A KR20140045276A KR 20140045276 A KR20140045276 A KR 20140045276A KR 1020130119921 A KR1020130119921 A KR 1020130119921A KR 20130119921 A KR20130119921 A KR 20130119921A KR 20140045276 A KR20140045276 A KR 20140045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etwork
vcc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45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 H04W36/00226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wherein the core network technologies comprise IP multimedia system [IMS], e.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 연속(Voice Call Continuity: VCC)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가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대방 UE와 설정되어 있는 기존 베어러(bearer)를 통해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는 과정과,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과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점까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신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듀얼 라디오 음성 호 연속(DRVCC: Dual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이하 'DRVC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롱 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롱 텀 에볼루션 어드밴스드(Long-Term Evolution-Advanced: LTE-A, 이하 ‘LTE-A’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등과 같은 신규 이동 통신 방식이 도입될 경우, 전체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전까지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일정 기간 동안은 제한적인 서비스 커버리지(service coverage, 이하 ' service coverage'라 칭하기로 한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신규 이동 통신 방식이 도입되는 신규 네트워크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지원할 경우, service coverage의 제약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하기로 한다)가 service coverage를 벗어날 경우 상기 UE가 제공받고 있던 음성 호가 끊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UE가 service coverage를 벗어날 경우 그 제공받고 있던 음성 호가 끊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이하 ‘3GPP’라 칭하기로 한다) 표준에서는 신규 패킷 스위칭(PS: Packet Switching, 이하 ‘PS’라 칭하기로 한다) 네트워크와 상대적으로 service coverage가 넓은 기존 서킷 스위칭(CS: Circuit Switching, 이하 ‘CS’라 칭하기로 한다) 네트워크간의 음성 핸드오버(voice handover)를 통해 UE가 service coverage를 벗어날 경우에도 음성 호를 유지할 수 있는 음성 호 연속성(VCC: Voice Call Continuity, 이하 'VC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정의하고 있다.
상기 3GPP 표준에서 정의된 VCC 방식은 기본적으로 듀얼 라디오(dual radio, 이하 'dual radio'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즉, 상기 3GPP 표준에서 정의된 VCC 방식에서는 상이한 두 개의 접속 네트워크들, 일 예로 PS 접속 네트워크와 CS 접속 네트워크에 동시 접속 및 통신이 가능한 UE를 가정하며, 상기 UE가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호를 서비스받는 중에 CS 접속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거나, 혹은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호를 서비스받는 중에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할 경우, UE가 제공받고 있던 음성 호에 대한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process)를 정의한다.
먼저, 상기 dual radio 방식을 지원하는 UE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서 상기 UE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와 다른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UE는 상기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이하 ‘IP’라 칭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라 칭하기로 한다) 서버(server)로 도메인 트랜스퍼(domain transfer, 이하 'domain transfer'라 칭하기로 한다)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가 상기 CS 네트워크일 경우, 상기 UE는 CS 셋업(CS setup) 메시지를 상기 domain transfer 요청을 송신하는 메시지로 사용하고, 이와는 달리 상기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가 상기 PS 네트워크일 경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이하 ‘SIP’라 칭하기로 한다) 인바이트 요구(SIP INVITE request, 이하 'SIP INVITE request'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상기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로 사용한다.
상기 IMS 서버는 상기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새로운 베어러(bearer, 이하 'bearer'라 칭하기로 한다)를 연결하고, 기존 bearer에서 새로운 bearer로 데이터 경로(data path)를 스위칭하는 domain transfer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새로운 bearer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IMS 서버는 상기 UE로 SIP 바이 요구(SIP BYE request, 이하 'SIP BYE request'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나 CS 연결 해제(CS connection release, 이하 'CS connection release'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domain transfer 동작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1a-도 1b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IM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IMS UE는 IMS 방식을 지원하는 UE를 나타내며, 상기 VCC UE는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를 나타낸다.
도 1a-도 1b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IM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메인 트랜스퍼 기능(DTF: Domain Transfer Function, 이하 'DTF'라 칭하기로 한다) 엔터티(entity)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MGCF, 이하 ‘MGCF’라 칭하기로 한다) 엔터티와, 서빙-호 스테이트 제어 기능(Serving-Call State Control Function: S-CSCF, 이하 ‘S-CSCF’라 칭하기로 한다) 엔터티와,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 MGW, 이하 ‘MGW’라 칭하기로 한다)와, 방문 이동 스위칭 센터(Visited Mobile Switching Center: VMSC, 이하 ‘VMSC’라 칭하기로 한다)와, VCC UE#A와 IMS UE #B를 포함한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VCC UE#A가 상대방 UE, 즉 상기 IMS UE #B와 음성 호 서비스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111)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면, 상기 DTF 엔터티로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VCC UE#A로부터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DTF 엔터티는 IMS 서버(도 1a-도 1b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음)로 상기 VCC UE#A가 domain transfer를 요청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113). 상기 DTF 엔터티로부터 상기 VCC UE#A가 domain transfer를 요청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IMS 서버는 상기 VCC UE#A에 대해 새로운 bearer를 연결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115).
이후,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IMS UE #B와 상기 VCC UE#A간의 새로운 bearer가 연결되면, 상기 IMS UE #B와 상기 VCC UE#A간의 새로운 bearer를 통해 상기 IMS UE #B와 VCC UE#A간의 통신이 수행되고(117), 기존 bearer를 통한 상기 IMS UE #B와 상기 VCC UE#A간의 통신은 끊어진다(119).
도 1a-도 1b에서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IM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2a-도 2b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C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CS UE는 CS 방식을 지원하는 UE를 나타낸다.
도 2a-도 2b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C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DTF 엔터티와, MGCF#1 엔터티와, S-CSCF 엔터티와, MGCF#2 엔터티와, MGW#1와, MGW#2와, VMSC와, VCC UE#A와, CS UE#B를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VCC UE#A가 상대방 UE, 즉 상기 CS UE #B와 음성 호 서비스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211)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면, 상기 DTF 엔터티로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VCC UE#A로부터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DTF 엔터티는 IMS 서버(도 2a-도 2b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음)로 상기 VCC UE#A가 domain transfer를 요청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213). 상기 DTF 엔터티로부터 상기 VCC UE#A가 domain transfer를 요청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IMS 서버는 상기 VCC UE#A에 대해서 새로운 bearer를 연결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215).
이후,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CS UE #B와 VCC UE#A간에 새로운 bearer가 연결되면, 상기 CS UE #B와 VCC UE#A간의 새로운 bearer를 통해 상기 CS UE #B와 VCC UE#A간의 통신이 수행되고(217), 기존 bearer를 통한 상기 CS UE #B와 VCC UE#A간의 통신은 끊어진다(219).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a-도 1b는 상대방 UE가 IMS UE일 경우 CS 접속 네트워크와 PS 접속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플레인(User-plane: U-plane, 이하 ‘U-plane’라 칭하기로 한다) 경로(path) (데이터 전송 경로) 및 스위칭 포인트(switching point)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며, 도 2a-도 2b는 상대방 UE가 CS UE일 경우에 대해 CS 접속 네트워크와 PS 접속 네트워크를 통한 U-plane 경로(데이터 전송 경로) 및 스위칭 포인트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DR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domain transfer 동작 수행 시에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스위칭하는 앵커 포인트(anchor point, 이하 'anchor point'라 칭하기로 한다)는 상대방 UE가 CS UE인지, 혹은 PS UE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상대방 UE가 상기 CS UE일 경우 MGW가 anchor point가 되고, 이와는 달리 상기 상대방 UE가 상기 IMS UE일 경우 상기 상대방 UE의 접속 네트워크의 MGW나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 억세스 네트워크(Internet Protocol Connectivity Access Network: IP-CAN, 이하 ‘IP-CAN’라 칭하기로 한다)의 종단이 anchor point가 된다. 여기서, 접속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IP-CAN의 종단은 패킷 게이트웨이(PGW: Packet gateway, 이하 'PGW'라 칭하기로 한다)나 게이트웨이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이하 ‘GPRS’라 칭하기로 한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 칭하기로 한다)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DRVCC 방식에서 네트워크상에서 기존 bearer에서 새로운 bearer로 음성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스위칭하는 domain transfer 동작과, UE가 내부에서 두 개의 접속 네트워크들 간에 음성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스위칭하는 동작이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즉, UE는 네트워크에서 어느 시점에 새로운 bearer가 연결되어 domain transfer가 일어나는지 알 수 없다.
현재 제안되어 있는 표준에서는 UE가 어느 시점에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경로를 스위칭할 지를 정의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UE는 SIP BYE request 메시지나 CS connection release message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기존 접속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경로를 변경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상기 접속 네트워크들과 UE에서 두 경로들간 스위칭 시점이 일치하지 않으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의 유실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접속 네트워크들과 UE에서 두 경로들간 스위칭 시점이 일치하더라도 UE와 네트워크간의 기본적인 전송 지연(delay)으로 인한 데이터 유실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접속 네트워크들과 UE에서 두 경로들 간 스위칭 시점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데이터 유실양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신규 경로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UE는 기존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 유실이 발생한다.
이렇게,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에 음성 데이터가 유실될 경우 음성 호의 단절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음성 서비스의 음성 품질(voice quality)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되는 구간은 접속 네트워크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약 800~1000[msec]로 예상되며, 이중 데이터 유실이 가능한 구간은 접속 네트워크와 UE의 데이터 경로 스위칭 시간(data path switching time)의 갭(gap)에 따라 수십 ~ 수백 [msec] 정도로 예상된다. 이렇게, 수십 ~ 수백 [msec] 정도의 데이터 유실 구간은 UE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고 불편을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단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domain transfer 구간 동안 UE가 기존 bearer와 신규 bearer를 통해 동시에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다가, 상기 domain transfer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기존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하는 음성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 연속(Voice Call Continuity: VCC)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상대방 UE와 설정되어 있는 기존 베어러(bearer)를 통해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는 듀얼 라디오 음성 호 연속(DRVCC: Dual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제어부와,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과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점까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신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뎀(MODEM: Modulator/DEModulator)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 연속(Voice Call Continuity: VCC)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호를 스위칭하는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에 있어서,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가 상대방 UE와 설정되어 있는 기존 베어러(bearer)를 통해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함에 따라 송신한 음성 호 스위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VCC UE에게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신규 베어러가 셋업됨을 검출하는 모뎀(MODEM: Modulator/DEModulator)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점까지 상기 VCC UE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VCC UE가 상기 신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듀얼 라디오 음성 호 연속(DRVCC: Dual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 연속(Voice Call Continuity: VCC)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가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상대방 UE와 설정되어 있는 기존 베어러(bearer)를 통해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과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점까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신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가 음성 호 연속(Voice Call Continuity: VCC)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가 상대방 UE와 설정되어 있는 기존 베어러(bearer)를 통해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함에 따라 송신한 음성 호 스위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에게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신규 베어러가 셋업됨을 검출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점까지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가 상기 신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동작 수행 중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 유실을 최소화하여 음성 단절 구간을 최소화하고, 따라서 음성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음성 단절 구간 최소화로 인한 음성 품질 저하 방지는 결과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 전체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는 사용자 만족도를 증가시킨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도 1b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IM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도 2b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C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a-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IM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C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MS 도메인에서 C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UE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된 후, 기존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이 중단된 경우의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단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도메인 트랜스퍼(domain transfer, 이하 'domain transfer'라 칭하기로 한다) 구간 동안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 이하 'UE'라 칭하기로 한다)가 기존 베어러(bearer, 이하 'bearer'라 칭하기로 한다)와 신규 bearer를 통해 동시에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다가 domain transfer 구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기존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하는 음성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domain transfer 구간은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 시작되어 수행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시구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음성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은 일 예로 듀얼 라디오 음성 호 연속(DRVCC: Dual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이하 'DRVC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음성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은 일 예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이하 ‘3GPP’라 칭하기로 한다)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레가시(legacy) 이동 통신 시스템인 부호 분할 다중 접속 1x(CDMA1x: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1x, 이하 'CDMA1x'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음성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은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이동 통신 시스템과, WiFi(Wireless-Fidelity) 이동 통신 시스템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이동 통신 시스템과,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음성 호 스위칭 방법을 수행하는 UE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성 호 스위칭 방법을 수행하는 DRVCC 제어부와, 두 개의 접속 네트워크들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두 개의 모뎀(modem) 물리 계층(PHY(PHYsical)) 프로세서들 및 두 개의 모뎀 프로토콜(protocol) 프로세서들과, 두 개의 모뎀 보코더(vocoder, 이하 ‘vocoder’라 칭하기로 한다)들과, 수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스위치(switch)와, 송신 데이터를 두 개의 모뎀 vocoder들로 동시에 전달하는 오디오(audio) 입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접속 네트워크의 도메인 트랜스퍼 데이터 경로 스위칭 엔터티(domain transfer data path switching entity)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 이하 'MGW'라 칭하기로 한다)나 패킷 게이트웨이(PGW: Packet gateway, 이하 'PGW'라 칭하기로 한다), 게이트웨이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이하 ‘GPRS’라 칭하기로 한다)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 칭하기로 한다) 등과 같이 접속 네트워크의 종류 및 상대방 UE의 종류와 접속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엔터티(entity)의 종류가 달라질지라도 프로세스(process)는 동일함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또한, 상기 DRVCC 제어부 내에 제 1 UE (일 예로, VCC UE의 사용자)의 데이터를 제 2 UE(일 예로, remote end, 즉 상대방 UE)로 송신하는 제 1 사용자 데이터 제어부와, 상기 제 2 UE의 데이터를 상기 제 1 UE로 송신하는 제 2 사용자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VCC UE는 음성 호 연속성(VCC: Voice Call Continuity, 이하 'VC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지원하는 UE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사용자 데이터 제어부는 두 개의 접속 네트워크들로부터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조건에 따라 한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 2 UE로 송신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제 2 UE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조건에 따라 제 1 접속 네트워크나 제 2 접속 네트워크 혹은 두 개의 접속 네트워크들로 동시에 송신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3a-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이하 ‘IP’라 칭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라 칭하기로 한다)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IMS UE는 IMS 방식을 지원하는 UE를 나타낸다.
도 3a-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IM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메인 트랜스퍼 기능(DTF: Domain Transfer Function, 이하 'DTF'라 칭하기로 한다) 엔터티(entity)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MGCF, 이하 ‘MGCF’라 칭하기로 한다) 엔터티와, 서빙-호 스테이트 제어 기능(Serving-Call State Control Function: S-CSCF, 이하 ‘S-CSCF’라 칭하기로 한다) 엔터티와,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 MGW, 이하 ‘MGW’라 칭하기로 한다)와, 방문 이동 스위칭 센터(Visited Mobile Switching Center: VMSC, 이하 ‘VMSC’라 칭하기로 한다)와, VCC UE#A와 IMS UE #B를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VCC UE#A가 상대방 UE, 즉 IMS UE #B와 음성 호 서비스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311)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면, 상기 DTF 엔터티로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VCC UE#A로부터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DTF 엔터티는 서버(server)(도 3a-도 3b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음)로 상기 VCC UE#A가 domain transfer를 요청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313). 상기 DTF 엔터티로부터 상기 VCC UE#A가 domain transfer를 요청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IMS 서버는 상기 VCC UE#A에 대해서 새로운 bearer를 연결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315).
이후,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VCC UE#A는 기존 bearer를 통해서도 IMS UE #B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고(317), 새로운 bearer를 통해서도 IMS UE #B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319).
이렇게, 기존 bearer와 새로운 bearer 모두를 통해 IMS UE #B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던 VCC UE#A는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IMS UE #B와 VCC UE#A간의 새로운 bearer를 통해 유효한 데이터가 전달됨을 확인하면, 새로운 bearer를 통해 IMS UE #B와 VCC UE#A간의 통신을 수행하고(321), 기존 bearer를 통해 수신되는 IMS UE #B와 VCC UE#A간의 데이터를 유효 음성 데이터로서 처리하지 않게 된다(323). 여기서, 데이터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도 3c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IM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4a-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서킷 스위칭(CS: Circuit Switching, 이하 ‘CS’라 칭하기로 한다)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대방 UE가 CS UE일 경우 VCC UE의 음성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DTF 엔터티와, MGCF#1 엔터티와, S-CSCF 엔터티와, MGCF#2 엔터티와, MGW#1와, MGW#2와, VMSC와, VCC UE#A와, CS UE#B를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VCC UE#A가 상대방 UE, 즉 CS UE #B와 음성 호 서비스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411)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면, 상기 DTF 엔터티로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VCC UE#A로부터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DTF 엔터티는 IMS 서버(도 4a-도 4c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상기 VCC UE#A가 domain transfer를 요청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한다(413). 상기 DTF 엔터티로부터 상기 VCC UE#A가 domain transfer를 요청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한 IMS 서버는 상기 VCC UE#A에 대해서 새로운 bearer를 연결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415).
이후,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VCC UE#A는 기존 bearer를 통해서도 CS UE #B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고(417), 새로운 bearer를 통해서도 CS UE #B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419).
이렇게, 기존 bearer와 새로운 bearer 모두를 통해 CS S UE #B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던 VCC UE#A는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CS UE #B와 VCC UE#A간의 새로운 bearer를 통해 유효한 데이터가 전달됨을 확인하면, 새로운 bearer를 통해 CS UE #B와 VCC UE#A간의 통신을 수행하고(421), 기존 bearer를 통해 수신되는 CS UE #B와 VCC UE#A간의 데이터를 유효 음성 데이터로서 처리하지 않게 된다(423).
한편, 도 3a 내지 도 3c와, 도 4a 내지 도 4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 스위칭 방법에 대해서 다시 한번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VCC UE는 CS 도메인(domain) 및 패킷 스위칭(PS: Packet Switching, 이하 ‘PS’라 칭하기로 한다) 도메인 모두에 bearer가 셋업(setup)되면,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두 개의 bearer들로 동시에 송신한다. 그러다가, 상기 VCC UE는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검출하면, 기존 bearer를 통한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한다. 또한, 상기 VCC UE는 수신하는 데이터도 두 개의 bearer들로부터 동시에 수신하고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와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데이터 중 한 개만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VCC UE가 출력하는 데이터는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 여부 검출 및 데이터 유효성 검출에 상응하게 결정된다.
일 예로, 상기 VCC UE는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유효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함을 검출하면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유효 데이터로서 처리하는 것을 중단하고,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즉, 상기 VCC UE는 기존 bearer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에 새로운 bearer를 통해 유효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됨을 검출하면, 기존 bearer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유효 음성 데이터로서 처리하는 것을 중지하고, 새로운 bearer를 통해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만을 유효 음성 데이터로서 처리한다.
한편, 상기 VCC UE의 송/수신단에서 기존 접속 네트워크와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로 동시에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하는 시점은 새로운 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이 셋업 완료된 시점이다. 또한, 상기 VCC UE가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의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하는 시점은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되는지 여부와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의 유효성 여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한편, 상기 VCC UE는 상기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를 네트워크에서 수신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이하 ‘SIP’라 칭하기로 한다) 바이 요구(SIP BYE request, 이하 'SIP BYE request'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나 CS 연결 해제(CS connection release, 이하 'CS connection release'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가지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VCC UE는 해당 bearer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의 유효성을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상대방 UE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인지 여부를 가지고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유효 음성 데이터인지 여부는 모뎀 PHY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모뎀 vocoder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일 예로, 상기 모뎀 PHY 프로세서가 포함하는 디코더(decoder)에서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 CRC, 이하 ‘CRC’라 칭하기로 한다) 결과가 good인 데이터가 수신되고, 이를 상기 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에서 음성 데이터로 판단하고, 모뎀 vocoder에서 이를 디코딩(decoding) 가능한 경우 상기 VCC UE는 유효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VCC UE의 수신단은 기존 접속 네트워크와 신규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에 유효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상기 기존 접속 네트워크의 음성 데이터를 사용하다가 특정 시점에서 상기 기존 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신규 접속 네트워크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신규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신규 접속 네트워크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은 일 예로 신규 접속 네트워크에서 유효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안정성 확보를 위해 상기 신규 접속 네트워크에서 유효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수신 신호 세기 지시(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이하 'RSSI'라 칭하기로 한다), 기준 신호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이하 'RSRP'라 칭하기로 한다)과, 비트 에러 레이트(BER: Bit Error Rate, 이하 'BER'이라 칭하기로 한다) 등과 같은 기존 접속 네트워크와 신규 접속 네트워크의 수신 성능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VCC UE는 상기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도 상기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수신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간 동안 유지하면서 상기 신규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상기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VCC UE가 상기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음성 데이터 수신을 중단하는 시점은 상기 신규 접속 네트워크로부터 domain transfer 완료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부터의 유효한 음성 데이터 수신 여부와 타이머(timer)를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한편, CS 접속 네트워크와 PS 접속 네트워크가 동일한 음성 코덱(coder/decoder: codec, 이하 ‘codec’이라 칭하기로 한다)을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하면, 상기 VCC UE는 2개의 vocoder들을 동시에 지원해야 하며, 음성 데이터 스위칭 지점은 펄스 부호 변조(PCM: Pulse Code Modulation, 이하 'PCM'이라 칭하기로 한다) 데이터를 오디오 codec으로 전달하는 지점이다. PS 접속 네트워크와 CS 접속 네트워크를 동시에 지원하는 모뎀의 경우, 모뎀 내부에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모뎀 외부에 하드웨어(HardWare: HW, 이하 ‘HW’라 칭하기로 한다)를 구비할 수도 있고, 또한 오디오 codec이 포함하는 스위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VCC UE의 송신단은 신규 접속 네트워크으로 bearer가 연결되면, 기존 접속 네트워크와 신규 접속 네트워크으로 동시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VCC UE가 상기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의 음성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는 시점은 기본적으로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 시점이 될 수 있으나,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의 경우 네트워크의 전송 지연(delay, 이하 ‘delay’라 칭하기로 한다) 등을 고려하여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 이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간 동안 상기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의 음성 데이터 송신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는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 시점에서 채널(channel)이 해제(release)되기 때문에 더 이상 기존 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 VCC UE가 접속 네트워크 switching 시점을 결정할 경우, 접속 네트워크의 종류를 고려할 수도 있다.
상기 VCC 방식은 일반적으로 PS 접속 네트워크의 서비스 커버리지(service coverage, 이하 ' service coverage'라 칭하기로 한다) 경계 지역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의 송수신 성능이 열악한 경우가 비교적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런 상황을 감안하여 상기 VCC UE가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에 비교적 높은 우선 순위(priority)를 부여하여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로 switching되는 VCC(이하 ‘PS to CS VC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의 경우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로의 switching 시점을 앞당겨서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로 신속하게 switching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로 switching되는 VCC(CS to PS VCC, 이하 ‘CS to PS VCC’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의 경우에는 switching 시점을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 시점이 아닌 상기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 시점에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간 이후로 설정하여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의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된 이후에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로 switch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 delay와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 delay가 다르고,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의 경우 지터 버퍼(jitter buffer, 이하 ‘jitter buffer’라 칭하기로 한다) 등과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하기로 한다) 패킷(packet) 처리를 위한 별도의 프로세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수신 음성 데이터 switching 시에도 이를 고려해야 할 수 있다.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와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가 동일한 codec을 사용할 경우, 동일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기 때문에 구분이 용이하나, 상기 PS 접속 네트워크와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codec을 사용하고, MGW에서 트랜스코딩(transcoding, 이하 ‘transcoding’라 칭하기로 한다) 동작을 수행할 경우 음성 데이터 구분이 어렵다. 이 경우, 상기 VCC UE는 각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 delay와 transcoding delay와, jitter buffer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여 switching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한편, MGW나 PGW등과 같은 접속 네트워크의 앵커 포인트(anchor point, 이하 ‘anchor point’라 칭하기로 한다) 역시 상기 VCC UE와 동일하게 동작하는데,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anchor point는 두 개의 bearer들이 셋업되는 시점부터 송신 음성 데이터, 즉 상대방 UE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두 개의 bearer들을 통해 모두 VCC UE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anchor point는 데이터 수신 역시 상기 두 개의 bearer들로부터 동시에 수신하고, 상기 두 개의 bearer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 중 어느 한 bearer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만 상대방 UE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anchor point가 기존 접속 네트워크에서의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하는 시점은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 여부와 음성 데이터 유효성 판단 결과에 상응하게 결정된다.
상기 anchor point가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상대방 UE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두 개의 bearer들을 통해 동시에 송신하다가 기존 bearer를 통한 송신을 중단하는 시점은 기본적으로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 시점이지만, 접속 네트워크의 전송 delay를 고려하여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 이후에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간 음성 데이터 송신을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anchor point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신규 bearer를 통해 유효한 음성 데이터가 수신된 이후에 기존 bearer에서 신규 bearer로 경로를 switching한다. 여기서, 해당 bearer는 데이터 bearer이므로 신규 bearer를 통해 패킷이 수신되면 decoding을 해보지 않더라도 VCC UE에서 송신한 음성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nchor point의 수신단의 switching 시점은 VCC UE의 switching 시점과 마찬가지로 신규 bearer를 통해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신규 bearer를 통해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점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간 이후의 시점 혹은 domain transfer 동작 완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anchor point는 상기 기존 bearer를 통해 음성 데이터 수신이 중단되면 바로 신규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대방 UE로 송신한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 VCC 방식의 한 예로 VCC UE가 현재 PS 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호를 서비스하는 중이고, 상대방 UE가 타 사업자의 CS UE인 상황에서 상기 VCC UE가 CS 접속 네트워크로 VCC 방식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VCC UE와 접속 네트워크들간에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VCC UE가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domain transfer 요청을 송신해야함을 결정하고,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로 호 셋업(call setup)을 요청하는 셋업 메시지를 송신한다.
2.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는 IMS 서버로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IMS 서버가 domain transfer를 결정하면 CS 호를 진행한다.
3. 상기 VCC UE는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와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이 셋업되면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한다. 아직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중이기 때문에,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와 상대방 UE간에 bearer가 연결되지는 않았고, 따라서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로 입력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는 유효하지 않고,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도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에서 폐기되는 상황이다.
4. 상기 IMS 서버는 domain transfer process를 수행한다.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와 신규 bearer가 셋업되면 CS connect 메시지를 사용하여 VCC UE에게 신규 bearer의 셋업 상황을 알려 준다. 또한, MGW는 신규 bearer가 셋업되었기 때문에 두 개의 bearer들로 동시에 음성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VCC UE는 이미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곧 신규 bearer를 통해서도 VCC UE가 송신한 데이터가 수신된다. 상기 VCC UE와 상기 MGW 간에 두 개의 bearer들로 동시에 음성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5. 상기 IMS server는 SIP BYE 메시지를 통해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VCC UE로 알려 준다.
6. 상기 VCC UE와 상기 MGW는 적절한 시점에서 기존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한다. 상기 기존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되는 시점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8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1 내지 6의 동작 과정에 따른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data flow) 변화,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 변화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VCC UE는 제1접속 네트워크, 일 예로 PS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 중에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domain transfer 요청을 송신해야함을 결정하고,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로 호 셋업을 요청하는 셋업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는 DRVCC 제어기, 일 예로 IMS 서버의 제1사용자 데이터 제어부로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IMS 서버의 제1사용자 데이터 제어부가 domain transfer를 결정하면 CS 호를 진행한다.
상기 VCC UE는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와 트래픽 채널이 셋업되면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시작한다. 아직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중이기 때문에,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와 상대방 UE간에 bearer가 연결되지는 않았고, 따라서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로 입력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는 유효하지 않고,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도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에서 폐기되는 상황이다.
상기 IMS 서버는 domain transfer process를 수행한다.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와 신규 bearer가 셋업되면 상기 IMS 서버의 제2사용자 데이터 제어부는 CS connect 메시지를 사용하여 VCC UE에게 신규 bearer의 셋업 상황을 알려 준다. 또한, MGW는 신규 bearer가 셋업되었기 때문에 두 개의 bearer들로 동시에 음성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VCC UE는 이미 상기 CS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곧 신규 bearer를 통해서도 VCC UE가 송신한 데이터가 수신된다. 상기 VCC UE와 상기 MGW 간에 두 개의 bearer들로 동시에 음성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IMS server의 제2 사용자 데이터 제어부는 SIP BYE 메시지를 통해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VCC UE로 알려 준다.
상기 VCC UE와 상기 MGW는 적절한 시점에서 기존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한다. 상기 기존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되는 시점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 변화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한편,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b는 상기에서 설명한 3 과정의 동작, 즉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c는 상기에서 설명한 6 과정의 동작, 즉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된 후, 기존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이 중단된 경우의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도 9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초기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VCC UE는 어느 한 접속 네트워크, 일 예로 제1접속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VCC UE에서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의 프로세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VCC UE에서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는 오디오 입력 제어부와, 제1모뎀 vocoder와, 제1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제1모뎀 PHY 프로세서와, 제1모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이하 ‘RF’라 칭하기로 한다) 제어부를 통해 상대방 UE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대방 UE에서 상기 VCC UE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의 프로세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대방 UE에서 송신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제1모뎀 RF 제어부와, 상기 제1모뎀 PHY 프로세서와, 상기 제1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상기 제1모뎀 vocoder와, 스위치와, 오디오 출력 제어부를 통해 상기 VCC UE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 입력 제어부와, 상기 오디오 출력 제어부와, 상기 제1모뎀 RF 제어부와, 상기 제1모뎀 PHY 프로세서와, 상기 제1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상기 제1모뎀 vocoder와, 스위치 모두는 DRVCC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두 번째로,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VCC UE는 어느 한 접속 네트워크, 일 예로 제1접속 네트워크를 통해서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다른 접속 네트워크, 일 예로 제2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 및 제2접속 네트워크 모두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기 VCC UE에서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의 프로세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직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상기 VCC UE에서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는 오디오 입력 제어부와, 제1모뎀 vocoder와, 제1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제1모뎀 PHY 프로세서와, 제1모뎀 RF 제어부를 통해 상대방 UE로 전달된다. 또한, 아직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상기 VCC UE에서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는 상기 오디오 입력 제어부와, 제2모뎀 vocoder와, 제2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제2모뎀 PHY 프로세서와, 제2모뎀 RF 제어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UE로 전달된다.
결국, 상기 VCC UE에서 송신되는 음성 데이터는 제1접속 네트워크와 제2접속 네트워크 모두를 통해 상기 상대방 UE로 전달된다.
두 번째로, 상기 상대방 UE에서 상기 VCC UE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의 프로세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직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상기 상대방 UE에서 송신한 데이터는 상기 제1모뎀 RF 제어부와, 상기 제1모뎀 PHY 프로세서와, 상기 제1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상기 제1모뎀 vocoder와, 스위치와, 오디오 출력 제어부를 통해 상기 VCC UE로 전달된다. 또한, 아직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상기 상대방 UE에서 송신한 데이터는 상기 제2모뎀 RF 제어부와, 상기 제2모뎀 PHY 프로세서와, 상기 제2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상기 제2모뎀 vocoder와, 스위치와, 오디오 출력 제어부를 통해 상기 VCC UE로 전달된다.
결국, 상기 상대방 UE에서 송신된 음성 데이터는 제1접속 네트워크와 제2접속 네트워크 모두를 통해 상기 상대방 UE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 입력 제어부와, 상기 오디오 출력 제어부와, 상기 제1모뎀 RF 제어부와, 상기 제1모뎀 PHY 프로세서와, 상기 제1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상기 제1모뎀 vocoder와, 상기 제2모뎀 RF 제어부와, 상기 제2모뎀 PHY 프로세서와, 상기 제2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상기 제2모뎀 vocoder와 스위치 모두는 DRVCC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세 번째로,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된 후, 기존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이 중단된 경우의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된 후, 기존 bearer를 통한 음성 데이터 송/수신이 중단된 경우의 VCC UE의 데이터 플로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VCC UE는 어느 한 접속 네트워크, 일 예로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다른 접속 네트워크, 일 예로 제2접속 네트워크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이 완료되면 제2접속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음성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고,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VCC UE에서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의 프로세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VCC UE에서 송신하는 음성 데이터는 오디오 입력 제어부와, 제2모뎀 vocoder와, 제2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제2모뎀 PHY 프로세서와, 제2모뎀 RF 제어부를 통해 상대방 UE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대방 UE에서 상기 VCC UE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의 프로세싱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대방 UE에서 송신한 음성 데이터는 상기 제2모뎀 RF 제어부와, 상기 제2모뎀 PHY 프로세서와, 상기 제2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상기 제2모뎀 vocoder와, 스위치와, 오디오 출력 제어부를 통해 상기 VCC UE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 입력 제어부와, 상기 오디오 출력 제어부와, 상기 제2모뎀 RF 제어부와, 상기 제2모뎀 PHY 프로세서와, 상기 제2모뎀 프로토콜 프로세서와, 상기 제2모뎀 vocoder와, 스위치 모두는 DRVCC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MS 도메인에서 C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MS 도메인에서 C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MS 도메인에서 C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UE-CS/UE-IMS와, MSC와, MGCF 엔터티와, I-CSCF(Interrogating-CSCF) 엔터티와, S-CSCF 엔터티와, DTF 엔터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MSC는 CS 도메인에 포함되며, 상기 MGCF 엔터티와, I-CSCF 엔터티와, S-CSCF 엔터티와, DTF 엔터티는 IMS 도메인에 포함된다.
상기 IMS 도메인에서 C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되므로, UE-CS는 VCC domain transfer 번호(VCC domain transfer Number: VDN, 이하 ‘VDN’이라 칭하기로 한다)를 포함하는 Setup 메시지를 상기 MSC로 송신한다. 상기 UE-CS로부터 Setup(VDN) 메시지를 수신한 MSC는 CS 발신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MGCF로 통합 서비스 디지털 네트워크 사용자 파트(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er Part: ISUP, 이하 ‘ISUP’라 칭하기로 한다)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ISUP Initial Address Message: IAM, 이하 ‘IAM’이라 칭하기로 한다)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IAM 메시지는 DTF 공용 서비스 식별자(Public Service Identifier: PSI, 이하 ‘PSI’라 칭하기로 한다) 디렉토리 번호(Directory Number: DN, 이하 ‘DN’이라 칭하기로 한다)를 포함한다.
상기 MSC로부터 IAM(DTF PSI DN) 메시지를 수신한 MGCF 엔터티는 상기 I-CSCF로 DTF PSI를 포함하는 INVITE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MGCF 엔터티로부터 INVITE(DTF PSI) 메시지를 수신한 I-CSCF 엔터티는 상기 INVITE(DTF PSI) 메시지를 상기 DTF 엔터티로 송신한다. 상기 DTF 엔터티는 억세스 레그 업데이트(Access Leg Update) 동작 및 소스 억세스 레그 해제(Source Access Leg Release) 동작을 수행한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MS 도메인에서 C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UE-CS/UE-IMS와, S-CSCF 엔터티와, DTF 엔터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CSCF 엔터티와, DTF 엔터티는 IMS 도메인에 포함된다.
상기 CS 도메인에서 IMS 도메인으로의 domain transfer 동작이 수행되므로, UE-IMS는 VDI를 포함하는 INVITE 메시지를 상기 S-CSCF로 송신하고, 상기 UE-IMS로부터 INVITE(VDI) 메시지를 수신한 S-CSCF 엔터티는 상기 DTF 엔터티로 INVITE(VDI)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S-CSCF 엔터티로부터 INVITE(VDI) 메시지를 수신한 DTF 엔터티는 억세스 레그 업데이트(Access Leg Update) 동작 및 소스 억세스 레그 해제(Source Access Leg Release)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UE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상기 VCC UE의 내부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최적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VCC UE와 접속 네트워크에 동시에 적용이 되어야 하나, VCC UE와 네트워크 중 어느 한 엔터티에만 적용되더라도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VCC UE 뿐만 아니라 접속 네트워크에도 수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닐 수도 있으며, 적용 여부는 상대방 UE의 종류와 사업자 종류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달라질 수 있다.
(1) 상대방 UE가 동일 사업자의 CS UE나 IMS UE일 경우, anchor point가 해당 사업자의 MGW이거나 PGW, GGSN 등의 IP-CAN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2) 상대방 UE가 타 사업자의 CS UE이거나 유선 단말기일 경우 anchor point가 접속 사업자의 MGW이기 때문에 역시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3) 상대 UE가 타 사업자의 IMS UE일 경우 anchor point가 타 사업자의 IP-CAN의 core network이기 때문에, 해당 사업자의 네트워크가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을 경우 본 발명은 VCC UE에서만 제한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 연속(Voice Call Continuity: VCC)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가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대방 UE와 설정되어 있는 기존 베어러(bearer)를 통해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과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점까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신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 스위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점에서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 스위칭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UE와 설정되어 있는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와 상이한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로 도메인 트랜스퍼(domain transfer) 동작을 수행해야 함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 스위칭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과 신규 베어러를 셋업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서버로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IMS 서버로부터 상기 domain transfer 요청에 따라 상기 신규 베어러가 셋업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 스위칭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점은 상기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 수행이 완료되는 시점과, 상기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 수행이 완료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간 이후의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 스위칭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은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의 전송 지연을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 스위칭 방법.
  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앵커 포인트(anchor point)가 음성 호 연속(Voice Call Continuity: VCC)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가 상대방 UE와 설정되어 있는 기존 베어러(bearer)를 통해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함에 따라 송신한 음성 호 스위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에게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신규 베어러가 셋업됨을 검출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점까지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가 상기 신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anchor point가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점에서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anchor point가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 스위칭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로 도메인 트랜스퍼(domain transfer) 동작을 수행해야 함을 나타내는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anchor point가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점은 상기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 수행이 완료되는 시점과, 상기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 수행이 완료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간 이후의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anchor point가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은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의 전송 지연을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anchor point가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를 스위칭하는 방법.
  1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 연속(Voice Call Continuity: VCC)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에 있어서,
    상대방 UE와 설정되어 있는 기존 베어러(bearer)를 통해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하는 듀얼 라디오 음성 호 연속(DRVCC: Dual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제어부와,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과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점까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신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뎀(MODEM: Modulator/DEModulator)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MODEM은 상기 설정 시점에서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RVCC 제어부는;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로 도메인 트랜스퍼(domain transfer) 동작을 수행해야 함을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MODEM은;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IP(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서버로 domain transfer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IMS 서버로부터 상기 domain transfer 요청에 따라 상기 신규 베어러가 셋업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점은 상기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 수행이 완료되는 시점과, 상기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 수행이 완료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간 이후의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은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의 전송 지연을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
  1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 연속(Voice Call Continuity: VCC) 방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기(UE: User Equipment)의 호를 스위칭하는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에 있어서,
    상기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가 상대방 UE와 설정되어 있는 기존 베어러(bearer)를 통해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에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와 상이한 제2접속 네트워크로 음성 호 스위칭이 필요함을 검출함에 따라 송신한 음성 호 스위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VCC UE에게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신규 베어러가 셋업됨을 검출하는 모뎀(MODEM: Modulator/DEModulator)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점까지 상기 VCC UE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VCC UE가 상기 신규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듀얼 라디오 음성 호 연속(DRVCC: Dual Radio Voice Call Continuity)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를 스위칭하는 anchor point.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DRVCC 제어부는 상기 설정 시점에서 상기 VCC UE가 상기 기존 베어러를 통해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상대방 UE와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중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를 스위칭하는 anchor point.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 스위칭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접속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로 도메인 트랜스퍼(domain transfer) 동작을 수행해야 함을 나타내는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를 스위칭하는 anchor point.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점은 상기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 수행이 완료되는 시점과, 상기 신규 베어러 셋업 동작 수행이 완료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시간 이후의 시점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를 스위칭하는 anchor point.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은 상기 제2접속 네트워크의 전송 지연을 고려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VCC 방식을 지원하는 UE의 호를 스위칭하는 anchor point.
KR1020130119921A 2012-10-08 2013-10-0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 KR201400452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1566 2012-10-08
KR1020120111566 2012-10-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276A true KR20140045276A (ko) 2014-04-16

Family

ID=5040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9921A KR20140045276A (ko) 2012-10-08 2013-10-0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55019B2 (ko)
JP (1) JP6312121B2 (ko)
KR (1) KR20140045276A (ko)
CN (1) CN1037168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0420A1 (en) * 2013-11-14 2015-05-21 Qualcomm Incorporated Dual radio voice call continuity
US9344914B2 (en) * 2014-05-21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Modem assisted contention handling of multiple active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080163B2 (en) 2014-07-15 2018-09-18 T-Mobile Usa, Inc. Telecommunication network pre-establishment service interruption response
US10594741B2 (en) 2014-08-04 2020-03-17 T-Mobile Usa, Inc. Suppressing third party registration and third party deregistration actions
KR102277207B1 (ko) * 2014-08-26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US9532276B1 (en) * 2015-02-11 2016-12-27 Sprint Spectrum L.P. Hybrid call continuit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341904B2 (en) 2015-03-27 2019-07-02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witching a call between radio access technologies
CN107040942A (zh) * 2016-02-04 2017-08-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流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7483755A (zh) * 2016-06-07 2017-1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呼叫的方法和基站
CN110557789B (zh) * 2018-05-30 2021-12-24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支持双ip承载的ims实现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7188B2 (en) * 2003-02-12 2011-10-11 Qualcomm Incorporated Soft handoff across different networks assisted by an end-to-end application protocol
US8213936B2 (en) * 2005-11-29 2012-07-0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a seamless handoff in a network environment
CN101115028B (zh) 2006-07-28 2011-05-18 摩托罗拉移动公司 在双模接入终端建立分组交换呼叫的方法
US20100272049A1 (en) * 2009-04-28 2010-10-2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1924751B (zh) * 2009-05-22 2013-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单模业务连续性实现方法及单模业务连续性系统
EP2524540A4 (en) * 2010-01-11 2017-05-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wait period for single radio continuity transfers
CN102238677B (zh) * 2010-04-26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单信道语音连续性的实现方法及系统
CN102244910B (zh) * 2010-05-10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增强单接入语音业务连续性的通信系统及方法
GB2482919B (en) * 2010-08-20 2014-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trieval of user equipment capabilities by application server
US8780867B2 (en) * 2011-04-05 2014-07-15 Qualcomm Incorporated Packet-switch handover in simultaneous TDD-LTE and TD-SCDMA mobile communications
US9094928B2 (en) * 2011-04-06 2015-07-28 Apple Inc. Multiple network mobile device connection management
CN102325127B (zh) * 2011-05-25 2016-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媒体实时导通的方法及系统
CN102215478B (zh) * 2011-05-26 2016-06-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语音呼叫处理方法及业务连续性服务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16851B (zh) 2019-04-26
JP6312121B2 (ja) 2018-04-18
US9655019B2 (en) 2017-05-16
JP2014078942A (ja) 2014-05-01
CN103716851A (zh) 2014-04-09
US20140098787A1 (en)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527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
JP5727477B2 (ja) 非定常VoIP通話の間で端末をハンドオーバさせるための方法、ネットワーク要素、装置およびシステム
EP27823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srvcc handover
JP5694348B2 (ja) ハンドオーバー遅延の最適化
KR101781952B1 (ko) 단일 무선 환경 내에서 패킷 교환 네트워크로부터 회로 교환 네트워크로의 영상 호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US201000341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R-VCC with Shared IMPU
EP2640030B1 (en) Capability update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10206146B2 (en) Techniques for handout of an active session from a first network to a second network
EP2235984A1 (en) Domain transfer service continuity provision to a mobile terminal
KR20140083013A (ko) 단일 무선 음성 호 연속 핸드오버를 위한 최소 액세스 전달 제어 펑션 요건들
CN104247501A (zh) 具有高效媒体网关选择的接入网之间的呼叫的srvcc切换
KR20120024823A (ko) 액세스 네트워크들 사이에서의 세션 전송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WO2014124659A1 (en) Technique for transferring a session with changeable session state
US108633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signaling message related to a communication service of a client device
EP2564634B1 (en) Improvements to handover
US20090252118A1 (en) Handoff between packet-switched network and circuit-switched network
US8233417B1 (en) Femtocell architecture using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centralized services
CN102104848A (zh) 双模单待语音业务连续性的实现方法及ip多媒体子系统
CN104936262B (zh) 远端标识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传输系统
WO2012019532A1 (zh) 一种实现会话锚定的方法和系统
WO2015192554A1 (zh) 语音呼叫连续性业务中的媒体协商方法、系统及atcf
WO2009015601A1 (fr) Procédé assurant la continuité des appels et dispositif correspondant
CA3061833A1 (en) Managing network device
GB2510504A (en) Assisting handover of a user equipment by delaying sending an indication of a change in status of a c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