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005A -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005A
KR20140045005A KR1020120110754A KR20120110754A KR20140045005A KR 20140045005 A KR20140045005 A KR 20140045005A KR 1020120110754 A KR1020120110754 A KR 1020120110754A KR 20120110754 A KR20120110754 A KR 20120110754A KR 20140045005 A KR20140045005 A KR 20140045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lood
satellite
water level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수
김재훈
안도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1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5005A/ko
Publication of KR20140045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10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 G01S19/11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edicated supplementary positioning signals wherein the cooperating elements are pseudolites or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signal repea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고, 위성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센서로부터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위성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고,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수신되는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LO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성과 무선을 이용한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치 추적 장치를 이용한 홍수 감시 방법은 위성 항법 장치를 이용하여 감시 지역의 표준 좌표를 설정한 후, 홍수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용 카메라를 감시 지역에 설치하여 감시 지역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유무선망을 통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또는 홍수 관련 정보를 중앙 제어 센터에서 수집하는 형태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홍수 감시 시스템은 홍수 발생 데이터의 전송 수단을 단순히 유무선망을 이용함에 따라, 홍수 발생 지역인 감시 지역과 중앙 제어 센터 간의 홍수 관련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대용량 원거리 전송하는 것에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통신 위성을 이용하여 감시 영역에 대한 홍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홍수 감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위성 통신을 이용함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송선로의 구성을 간단히 하고, 별도로 전송선로의 구축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 감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각각의 센서로부터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성 단말기, 및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중앙 제어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센서는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각각의 식별자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는 센서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성 단말기는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 중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수위 데이터를 전송한 센서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위성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성 단말기는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는 상기 각각의 영역에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는 위성 신호이며, 상기 위성 중계기는 상기 위성 신호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성 신호를 필터링, 잡음 제거, 변조, 및 증폭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 데이터는 위성 신호이며, 상기 위성 중계기는 상기 위성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성 신호를 필터링, 잡음 제거, 변조, 및 증폭하여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홍수 감시를 위한 위성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영역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로부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 송수신부, 및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홍수 감시를 위한 중앙 제어 서버는 위성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 허브,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위성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제어부, 및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성 허브는,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 감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위성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센서로부터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성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수신되는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수 감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영역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로부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수 감시 방법은 위성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위성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위성을 이용하여 감시 영역에 대한 홍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홍수 감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성 통신을 이용함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송선로의 구성을 간단히 하고, 별도로 전송선로의 구축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 발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중계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홍수 발생 데이터를 포함한 홍수 감시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 제어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 감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센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단말기 관점에서 홍수 감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단말기 관점에서 홍수 감시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 관점에서 홍수 감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 관점에서 홍수 감시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중계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홍수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나 홍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고, 중앙 제어 서버를 통하여 홍수 발생 지점을 감시하고, 현장 영상을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 발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 발생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영역(111, 112, 113)에 대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114, 115, 116), 각각의 센서(114, 115, 116)로부터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성 단말기(120) 및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중계기(130)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중앙 제어 서버(140)를 포함한다.
각각의 센서(114, 115, 116)는 홍수 발생이 예상되는 다수의 영역(111, 112, 113)에 설치되어 기설정된 레벨 이상의 수위가 감지되는 경우, 자신의 위치 데이터 및 수위 경고 데이터를 위성 단말기(120)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위성 단말기(120)는 수위 경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수위 경고 데이터를 전송한 센서 측으로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영상 촬영을 개시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위성 신호로 변환하여 위성 중계기(130)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서버(140)는 위성 단말기(120)로부터 위성 중계기(130)를 통하여 수신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다시 복조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포함된 수위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홍수 대비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는 상기 각각의 영역에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는 위성 신호이며, 위성 중계기(130)는 상기 위성 신호를 위성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성 신호를 필터링, 잡음 제거, 변조, 및 증폭하여 중앙 제어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홍수 감시 시스템은 운용자가 홍수 감시, 카메라 제어, 홍수 대비 등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송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그래픽 입출력 기능을 제공하며, 홍수 위험 발생 상황 및 대피 요령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센서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센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각각의 센서(200)는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수위 센서(210) 및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각각의 식별자 데이터를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는 센서 송수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센서(210)는 감시 지역으로 지정된 각각의 영역에 대한 수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센서 송수신부(220)는 검출된 수위 데이터들을 위성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센서(200)는 위치 데이터 또는 센서(200)의 식별자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센서 송수신부(220)는 저장된 위치 데이터 및 식별자 데이터를 상기 검출된 수위 데이터와 함께 위성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도 2 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센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단말기(300)는 무선 송수신부(310), 위성 송수신부(320), 메모리(330), 카메라부(340), 전원부(350), 및 단말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310)는 각각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수위 데이터, 위치 데이터, 및 센서의 식별자 데이터 등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송수신부(310)는 무선 안테나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영역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로부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위성 송수신부(320)는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고,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위성 송수신부(320)는 위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위성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 송수신부(320)는 위성 단말기의 디지털 데이터인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홍수 발생 데이터는 수위 데이터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센서, 예를 들어, 홍수가 발생된 영역의 센서의 위치 데이터를 홍수 발생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는 각각의 영역에서 검출된 수위 데이터 및 홍수가 발생된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성 송수신부(320)는 위성 신호로 변환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중계기를 통해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 할 수 있으며, 중앙 제어 서버의 제어 데이터가 포함된 위성 신호를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 송수신부(320)는 위성 신호를 복원하여 제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획득을 위해 카메라부(340)의 카메라 렌즈의 방향(일예로, 상, 하, 좌, 우) 또는 초점(일예로, 줌 인/아웃)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에 대응 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위성 단말기(300)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 및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들의 위치 데이터와 수위 데이터에 대한 임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부(340)는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340)는 카메라와 카메라 렌즈의 방향 변환을 위한 카메라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에 응답하여 카메라 구동부의 제어를 통해 홍수 발생이 감지된 지역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350)는 단말 제어부(360)의 제어를 통해 위성 단말기(3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360)는 위성 단말기(3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360)는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제어부(360)는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 중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수위 데이터를 전송한 센서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360)는 무선 송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각각의 센서들의 수위 데이터들을 수위 데이터에 대한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으며, 임계치를 초과하는 수위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360)는 검출된 수위 데이터와 검출된 수위 데이터에 해당하는 센서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230)는 메모리(330)를 검색하여 해당 센서의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센서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360)는 임계 치를 초과하는 수위 데이터를 측정한 센서는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홍수 발생이 감지되는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위치 데이터와 수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360)는 카메라부(3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즉, 홍수 발생이 감지된 센서의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카메라부(3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360)는 위성 송수신부(320) 통해 영상 데이터 획득을 위한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 데이터를 카메라부(3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단말 제어부(360)는 제어 데이터의 제어에 따라 홍수 발생이 감지되는 영역의 영상 데이터를 카메라부(640)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중앙 제어 서버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위성 송수신부(320)를 통해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는 위성 허브(410), 데이터베이스(420), 디스플레이부(430), 통제부(440), 상황 처리부(450), 및 서버 제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 허브(410)는 위성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위성 허브(410)는 상기 제어 데이터를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위성 허브(410)는 위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위성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성 신호를 위성 중계기를 통해 위성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위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복조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 허브(410)에서 수신되는 위성 신호는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위성 허브(410)는 디지털 데이터인 제어 데이터를 위성 신호로 변환하여 위성 중계기를 통해 위성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획득을 위해 위성 단말기의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20)는 서버 제어부(460)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홍수 발생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지도 데이터(일예로, 전자 지도 등), 홍수 발생에 따른 상황 처리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30)는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430)는 홍수 발생 데이터에 근거하여 홍수 발생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지도 데이터에 홍수 발생 지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30)는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통제부(440)는 입력 기능을 갖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홍수 감시 또는 홍수 진화에 따른 작업 수행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제부(4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위성 단말기의 카메라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황 처리부(450)는 홍수 발생에 따른 상황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처리부(450)는 소방 센터 등의 유관 기관 등과 유/무선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관 기관 등으로부터 홍수 발생 지역, 홍수 발생 상황 등의 상황 처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처리부(450)는 상황 처리 데이터를 유관 기관으로 제공하거나 상황 처리 데이터에 근거하여 대피, 홍수 진화를 지시하는 지시 데이터를 발생하여 유관 기관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 제어부(460)는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위성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460)는 중앙 제어 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460)는 위성 허브(410)로부터 홍수 발생 데이터가 수신되면, 홍수 발생 데이터 내의 홍수 발생이 감지된 지역의 위치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460)는 데이터베이스(420)의 지도 데이터에 검출된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홍수 발생 지역을 추출할 수 있으며, 홍수 발생 지역이 표기된 지도 데이터와 홍수 발생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부(43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460)는 통제부(440)를 통해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 데이터를 위성 허브(410)를 통해 위성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해당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4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460)는 통제부(440)를 통해 상황 처리가 요청되면, 홍수 발생 지역, 홍수 발생 상황 등의 상황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상황 처리부(55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중계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중계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중계기(500)는 위성 송수신부(510) 및 주파수 변환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 송수신부(510)는 위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위성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성 송수신부(510)는 위성 단말기와 중앙 제어 서버 간의 위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위성 신호의 필터링 및 잡음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성 송수신부(510)는 잡음이 제거된 신호를 주파수 변환부(520)를 통해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득 제어를 통해 증폭한 후 위성 단말기와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 송수신부(510)는 위성 신호(일예로, 전송 패킷)에 포함된 헤더를 확인할 수 있으며, 헤더 확인을 통해 위성 단말기의 홍수 발생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패킷을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거나, 중앙 제어 서버의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패킷을 위성 단말기로 전송 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부(520)는 위성 송수신부(510)로부터 제공되는 위성 신호의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위성 송수신부(510)에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홍수 발생 데이터를 포함한 홍수 감시 패킷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홍수 발생 데이터를 포함한 홍수 감시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성 단말기는 홍수 발생 데이터가 포함된 홍수 감시 패킷(630)을 생성할 수 있다.
위성 단말기에서 생성된 홍수 감시 패킷(630)은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헤더, 응용 데이터, 및 순환 중복 검사(CRC: Cyclic Redundancy)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프로토콜 헤더는 단말 주소 데이터와 패킷 길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주소 데이터는 위성 단말기의 주소, 일예로 IP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패킷 길이 데이터는 홍수 감시 패킷(630)의 전체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응용 데이터는 홍수 발생 데이터, 수위 패킷 또는 영상 패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위 패킷(제 1 수위 패킷(611), 제 n 수위 패킷(61n)은 일예로, 센서 헤더와 센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헤더는 수위 패킷임을 나타내는 정보, 센서의 식별자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데이터는 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를 나타내는 수위 데이터를 포함하고, 센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홍수 감시 패킷(630)에 포함되는 수위 패킷들(611, 61n)은 임계 수위 데이터를 초과하는 수위 데이터가 검출된 센서들의 수위 패킷이다.
영상 패킷(620)은 카메라 헤더와 카메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헤더는 영상 패킷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데이터는 카메라로부터 측정된 영상 데이터들을 포함하고, 일예로, 복수개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순환 중복 검사 코드는 홍수 감시 패킷(630)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정정 코드이다.
위성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홍수 감시 패킷(630)은 미리 설정된 시구간을 갖는 복수개의 전송 패킷들(631, 632, 633)로 분할될 수 있으며, 위성 단말기는 분할된 전송 패킷들(631, 632, 633)을 위성 중계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 패킷은 타임 슬롯(TS: Time Slot) 헤더와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임 슬롯 헤더는 전송 패킷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기 바이트(Sync byte), 페이로드의 시작점을 나타내는 페이로드 유닛 시작 지시자(PUSI: Payload Unit Start Indicator), 타임 슬롯 패킷의 인식을 위한 패킷 식별자(PID: Packet Identification), 및 전송 패킷의 종료 여부를 나타내는 연속 계수 등을 포함한다. 페이로드는 분할된 홍수 감시 패킷(6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홍수 감시 패킷(630)은 세 개의 전송 패킷(제 1 전송 패킷(631), 제 2 전송 패킷(632), 및 제 3 전송 패킷(633))으로 분할되어 송신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나, 전송 패킷의 길이 또는 전송 경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개수의 전송 패킷으로 분할되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홍수 감시 패킷(630)의 헤더 또는 전송 패킷들(631, 632, 633)의 헤더에는 위성 단말기에서 중앙 제어 서버로의 송신을 위한 정보(일예로, 중앙 제어 서버의 주소, 홍수 감시 패킷(630)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 제어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 서버는 제어 데이터가 포함된 제어 패킷(710)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는 위성 단말기의 카메라부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 서버에서 생성된 제어 패킷(710)은 인터넷 프로토콜 헤더와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 헤더는 단말 주소 데이터와 패킷 길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주소 데이터는 위성 단말기의 주소, 일예로 IP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패킷 길이 데이터는 홍수 감시 패킷의 전체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획득을 위해 위성 단말기의 카메라부의 카메라 렌즈의 방향(일예로, 상, 하, 좌, 우) 또는 초점(일예로, 줌 인/아웃)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 패킷(710)은 일예로, 홍수 감시 패킷과 같이 복수개의 전송 패킷으로 분할되어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패킷(710)의 헤더에는 중앙 제어 서버에서 위성 단말기로의 송신을 위한 정보(일예로, 제어 패킷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 감시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수 감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하나 이상의 센서는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고(810), 위성 단말기는 상기 각각의 센서로부터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820).
위성 단말기는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830).
중앙 제어 서버는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수신되는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840).
도 9는 센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센서는 수위 데이터를 발생하고, 주변의 수위 감지를 통해 수위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다(910).
센서는 수위 데이터 및 센서의 식별자 데이터를 위성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내부에 위치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위치 데이터를 수위 데이터와 함께 위성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920).
도 10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단말기 관점에서 홍수 감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위성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영역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로부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1010),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1020).
위성 단말기는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고(1030),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1040).
위성 단말기는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1050).
도 11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단말기 관점에서 홍수 감시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위성 단말기는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수위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1110).
위성 단말기는 수신된 수위 데이터들 중에서 기준 수위 데이터를 초과하는 수위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1120), 확인 결과 수신된 수위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수위 데이터를 초과하지 않으면 단계(1110)로 진행할 수 있다. 위성 단말기는 확인 결과 수신된 수위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수위 데이터를 초과하면 단계(1130)로 진행할 수 있다.
위성 단말기는 홍수 발생 데이터를 중앙 제어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1130). 여기서, 홍수 발생 데이터는 기준 수위 데이터를 초과하는 센서들의 수위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성 단말기에서 센서를 중심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를 발생한 경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성 단말기는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1140). 여기서, 제어 데이터는 위성 단말기의 카메라부의 카메라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위성 단말기는 제어 데이터에 근거하여 카메라를 구동할 수 있다(1150).
위성 단말기는 제어 데이터에 근거하여 카메라부의 카메라 제어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1160).
위성 단말기는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1170).
위성 단말기는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의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1180), 확인 결과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계(1140)로 진행할 수 있고,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종료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 관점에서 홍수 감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중앙 제어 서버는 위성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1210),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1220).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위성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1230),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1240).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1250),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1260).
도 13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중앙 제어 서버 관점에서 홍수 감시 방법을 도시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 서버는 홍수 발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1310). 여기서, 홍수 발생 데이터는 홍수가 감지된 센서의 위치 데이터, 홍수가 감지된 센서의 수위 데이터, 및 홍수 발생 지역의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서버는 홍수 발생 데이터로부터 위치 데이터, 수위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중앙 제어 서버는 홍수 발생 지역의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1320). 중앙 제어 서버는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 홍수 발생 지역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를 추출한 경우, 영상 데이터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중앙 제어 서버는 홍수 발생 지역의 카메라 구동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 할 수 있다(1330). 여기서, 제어 데이터는 홍수 발생 지역의 위성 단말기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는 카메라 렌즈의 방향과 초점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에 대응될 수 있다.
중앙 제어 서버는 제어 데이터를 위성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1340), 제어 데이터 송신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1350).
중앙 제어 서버는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홍수 발생에 따른 상황 처리(일예로, 소방 센터 등으로의 통보, 대피, 홍수 진압 등)를 수행할 수 있다(1360).
도 14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위성 중계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위성 중계기는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410), 여기서, 위성 신호는 일예로, 시구간 단위로 구분된 전송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위성 중계기는 수신된 위성 신호를 필터링 및 잡음 제거를 하여 잡음 제거된 위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1420), 잡음 제거된 위성 신호의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1430). 또한, 위성 중계기는 중간 주파수로 변환된 위성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여 증폭할 수 있다(1440).
위성 중계기는 증폭된 위성 신호가 위성 단말기로 송신될 신호인지 확인할 수 있다(1450). 예를 들어, 위성 중계기는 증폭된 위성 신호의 전송 패킷들의 헤더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일예로, 위성 단말기 또는 중앙 제어 서버)를 확인할 수 있다.
위성 중계기는 단계(1450) 확인 결과, 증폭된 위성 신호가 위성 단말로 송신될 신호인 경우. 증폭된 위성 신호를 위성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1460).
위성 중계기는 단계(1450) 확인 결과, 증폭된 위성 신호가 위성 단말로 송신될 신호가 아닌 경우, 위성 신호를 중앙 제어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1470).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홍수 감시 시스템은 위성을 통해 홍수 발생에 관련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중앙 제어 센터로 송신함으로써, 전송 선로 또는 거리의 제약 없이 신속하게 홍수 발생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 서버는 홍수 발생 지역의 영상 데이터를 중앙 제어 센터로 송신함으로써 홍수의 예방 및 홍수의 조기 진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1, 112, 113: 홍수 감시 영역
114, 115, 116: 센서
120: 위성 단말기
130: 위성 중계기
140: 중앙 제어 서버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각각의 센서로부터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성 단말기; 및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중앙 제어 서버;
    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센서는,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각각의 식별자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는 센서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단말기는,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 중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수위 데이터를 전송한 센서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는,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위성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단말기는,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는,
    상기 각각의 영역에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는 위성 신호이며,
    상기 위성 중계기는 상기 위성 신호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성 신호를 필터링, 잡음 제거, 변조, 및 증폭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홍수 감시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위성 신호이며,
    상기 위성 중계기는 상기 위성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성 신호를 필터링, 잡음 제거, 변조, 및 증폭하여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는 홍수 감시 시스템.
  9. 하나 이상의 영역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로부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 제어부;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 송수신부; 및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를 위한 위성 단말기.
  10. 위성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 허브;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위성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제어부; 및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성 허브는,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홍수 감시를 위한 중앙 제어 서버.
  11.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위성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센서로부터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성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수신되는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위치 데이터, 및 각각의 식별자 데이터를 상기 각각의 센서로부터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홍수 감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수위 데이터 중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수위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성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치를 초과한 수위 데이터를 전송한 센서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홍수 감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위성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홍수 감시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홍수 감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는,
    상기 각각의 영역에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는 위성 신호이며,
    상기 위성 중계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성 신호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성 신호를 필터링, 잡음 제거, 변조, 및 증폭하여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홍수 감시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위성 신호이며,
    상기 위성 중계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성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성 신호를 필터링, 잡음 제거, 변조, 및 증폭하여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홍수 감시 방법.
  19. 하나 이상의 영역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로부터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각각의 수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를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위성 중계기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 방법.
  20. 위성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홍수 발생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영역에 대한 홍수 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위성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위성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데이터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홍수 감시 방법.
KR1020120110754A 2012-10-05 2012-10-05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5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754A KR20140045005A (ko) 2012-10-05 2012-10-05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754A KR20140045005A (ko) 2012-10-05 2012-10-05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005A true KR20140045005A (ko) 2014-04-16

Family

ID=5065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754A KR20140045005A (ko) 2012-10-05 2012-10-05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50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7359A (zh) * 2013-10-16 2014-07-16 中国科学院对地观测与数字地球科学中心 一种基于多源遥感数据的自动化洪水监测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7359A (zh) * 2013-10-16 2014-07-16 中国科学院对地观测与数字地球科学中心 一种基于多源遥感数据的自动化洪水监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6660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
US20150191119A1 (en)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an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system
US9918245B2 (en) Wireless terminal device, measurement control method, control method, measurement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4184986A (zh) 一种视频监控方法、装置及系统
US201301306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lly collecting rainfall attenuation and rainfall intensity data in satellite system
KR101076734B1 (ko) 정보분석형 산불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84781B1 (ko) 이상 음원 탐지 장치 및 방법
US20190364249A1 (en) Video collection system, video collection server, video collection method, and program
WO201309898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70070713A (ko) 드론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JP2009165021A (ja) 事故情報収集方法、車両、基地局および事故情報収集システム
JP6472328B2 (ja) 災害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センサデバイスおよび災害監視方法
KR10160820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현장 감시 방법 및 장치
EP37960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20150109624A (ko) 캐릭터형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5005A (ko) 홍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772391B1 (ko)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분석 모듈을 이용하는 확장형 감시 장비
KR20160096380A (ko) 도보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0065258A (ja) 監視装置、監視方法、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監視システム
KR20140056674A (ko) 사고 처리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11350A (ko) 차량 안전 운행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247150B1 (ko) 드론을 활용한 전력설비 자동 초음파 진단장치
CN112034456A (zh) 烟雾巡检系统、方法、控制装置及存储介质
KR20180033954A (ko)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아날로그 계측 기반 가스 설비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884208B2 (en) Danger detec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and danger location dete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