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556A - 공기 방전 장치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방전 장치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556A
KR20140044556A KR1020120110668A KR20120110668A KR20140044556A KR 20140044556 A KR20140044556 A KR 20140044556A KR 1020120110668 A KR1020120110668 A KR 1020120110668A KR 20120110668 A KR20120110668 A KR 20120110668A KR 20140044556 A KR20140044556 A KR 20140044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rum
active species
rinsing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531B1 (ko
Inventor
타다시 아사미
이쿠마 후쿠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5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2Washing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면서도 세탁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세탁수가 상기 터브에 공급된 후 세탁이나 헹굼을 위해 모터를 통한 상기 드럼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드럼의 구동과 병행하여 상기 공기 방전 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활성종 발생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방전 장치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laundry machine including an air discharg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면서도 세탁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는 세제와 물(세탁수)을 이용하여 의류 등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이 이루어지는 메카니즘은 화학적 작용과 기계적 작용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세제가 물에 용해되고 세제와 오염물 사이의 화학적 작용으로 오염물이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의류와 세탁수 사이의 기계적 작용이나 의류와 드럼 사이의 기계적 작용으로 오염물이 분리될 수 있다.
수직축 세탁장치(top loader)인 경우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겨 세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직축 세탁장치에서는 의류와 세탁수 사이의 기계적 작용, 즉 물살에 의한 기계적 작용이 이루어진다. 반면에, 수평축 세탁장치(front loader)인 경우에는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서 텀블링되어 세탁이 이루어지므로, 드럼과 세탁물 사이이 마찰이나 충격과 같은 기계적 작용이 이루어진다.
세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계적 작용과 화학적 작용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적 작용의 증가는 세탁물의 손상과 관련되어 그 증가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화학적 작용을 더욱 활발히 하기 위해서는 세제가 활성화되는 온도로 세탁수를 가열할 필요가 있다. 즉, 상온의 세탁수가 아닌 온수를 사용하여 세탁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세탁수의 온도를 더욱 높여 세탁 효과 및 살균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많은 경우,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해서 세탁장치 내에 히터를 구비하고 있다. 즉,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의 하부에 히터를 구비하여 세탁수를 가열한다. 물론, 외부에 급탕 환경이 지원이 되는 경우, 외부에서 온수가 세탁장치로 공급될 수도 있다.
여기서, 히터 구동을 통한 에너지의 소모는 세탁장치에서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세탁 효율 증진과 살균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에너지의 양은 일반적인 세탁보다 매우 큰 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세탁수를 가열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면서도 세탁 효과와 살균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세탁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히터를 통해 온수를 생성하지 않고 적은 에너지를 통해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기름 얼룩이나 색소 얼룩과 같이 세정이 어려운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적은 에너지를 통해 살균 효과를 증진시켜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동일 세탁 성능 대비 세탁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마찬가지로, 동일 세탁 시간 대비 세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세탁수가 상기 터브에 공급된 후 세탁이나 헹굼을 위해 모터를 통한 상기 드럼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드럼의 구동과 병행하여 상기 공기 방전 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활성종 발생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는,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는,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는 공기 방전 디바이스 그리고 활성종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송풍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는, 활성종을 원활히 드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상기 공기 방전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가 동시에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방전 디바이스와 상기 송풍 장치는 상기 송풍유로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로의 유입구(유입유로)는 상기 터브의 후방 상측과 연통되고 상기 송풍유로의 토출구(유출유로)는 상기 드럼의 전방 상측과 연통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는 공기 방전 디바이스의 업스트림 측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유로는 상기 공기 방전 디바이스의 다운스트림 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방전 디바이스는 상기 드럼의 전방 측에 치우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전된 공기가 신속하게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는, 콜로나 방전, 스트리머 방전 그리고 유전제 배리어 방전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을 통해 세탁을 수행하는 수평축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에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 단계;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물에 세탁수를 적시거나,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하는 드럼 구동 단계; 그리고 상기 드럼 구동 단계 도중,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물을 세탁수와 세제로 적시는 포적심 단계; 상기 포적심 단계 후, 기설정된 드럼의 구동 실동률과 드럼 구동 패턴에 따라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하는 세탁 단계; 그리고 상기 세탁 단계 도중,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 단계를 갖는 세탁 행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활성종 공급 단계는 드럼이 구동될 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포적심 단계 도중에도 상기 활성종 공급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세탁장치는 수평축 세탁장치이며, 상기 드럼의 구동 패턴은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서 들어 올려진 후 낙하하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텀블링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 행정 종료 후 세탁물을 배수하고 드럼을 스핀 구동하는 중간 탈수 단계; 그리고 세탁수를 급수하고, 기설정된 드럼의 구동 실동률과 드럼 구동 패턴에 따라 드럼을 구동하여 헹굼하는 헹굼 단계를 갖는 헹굼 행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헹굼 단계 도중, 상기 활성종 공급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행정 종료 후 세탁물을 배수하고 드럼을 스핀 구동하는 중간 탈수 단계; 세탁수를 급수하고, 기설정된 드럼의 구동 실동률과 드럼 구동 패턴에 따라 드럼을 구동하여 헹굼하는 헹굼 단계; 상기 헹굼 단계 도중,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 단계를 갖는 헹굼 행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헹굼행정에서의 단계들은 순차적으로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헹굼행정을 이루고, 최초 중간 탈수 단계를 제외하고 후속하는 중간 탈수 단계 도중에는, 상기 활성종 공급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중간 탈수는 저속 회전 탈수와 고속 회전 탈수를 포함할 수 있다. 고속 회전 탈수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헹굼 행정 종료 후 수행되는 탈수 행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 행정은, 초기 탈수와 초기 탈수 후 정상 탈수 RPM으로 탈수하는 본 탈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 탈수 도중 상기 활성종 공급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을 갖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코스 선택부; 상기 코스와 연관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옵션 선택부;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장치;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기방전 선택부; 그리고 상기 코스 선택부와 옵션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결과에 따라 기설정 조건으로 상기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기방전 선택부가 선택되면, 상기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도중 상기 활성종의 생성과 공급이 병행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옵션 선택부는 복수 개의 세탁수 온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수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공기방전 선택부와 배타적으로 선택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코스 선택부를 통한 코스 선택으로 디폴트 세탁수 온도가 결정되며, 상기 공기방전 선택부의 추가 선택으로 인해 상기 디폴트 세탁수 온도가 낮은 온도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코스 선택부를 통한 코스 선택 또는 상기 코스 선택과 상기 옵션 선택부를 통한 세탁 옵션 선택으로 디폴트 세탁 시간이 결정되며, 상기 공기방전 선택부의 추가 선택으로 인해 상기 디폴트 세탁 시간이 줄어들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에서 세탁수가 공급된 후 드럼이 텀블링 구동하고, 상기 텀블링 구동과 상기 활성종 생성 및 공급이 병행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히터를 통해 온수를 생성하지 않고 적은 에너지를 통해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기름 얼룩이나 색소 얼룩과 같이 세정이 어려운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적은 에너지를 통해 살균 효과를 증진시켜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동일 세탁 성능 대비 세탁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마찬가지로, 동일 세탁 시간 대비 세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세탁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 및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1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드럼(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에는 드럼(120)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드럼(120)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도어(1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 드럼(120) 내부에서 드럼의 회전과 함께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드럼(120)을 구동하기 위해 모터(160)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160)의 회전력이 드럼(120)으로 전달되어, 드럼이 다양한 패턴의 구동을 할 수 있다. 이런한 드럼의 구동 패턴은 세탁이나 헹굼, 그리고 탈수에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한편, 터브(110)에는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터브 히터(18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급수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가열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급탕 환경에 따라서 세탁기 외부에서 온수가 세탁기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캐비닛(100)과 터브(110) 사이에는 가스켓(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150)을 통해서 터브(1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세탁기를 이루는 구성들은 일반적인 세탁기와 동일할 수 있으며, 그 기능이나 구조 또는 형상들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활성종 공급장치(130)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상기 드럼(120)으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130)는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는 공기방전 디바이스(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방전 디바이스(131)를 이용하여 방전을 일으키면, 고에너지 전리체(플라즈마)나 산소 라디칼, 오존, UV 등의 다양한 활성종이 생성된다. 이 활성종을 포함하는 공기를 드럼 내에 투입하여 세탁물과 접촉하도록 하여, 세탁물에 묻은 얼룩을 보다 작은 분자로 분해하여 친수화하고, 얼룩 제거를 향상시킨다. 즉, 세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방전 디바이스(131)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세제액, 거품 그리고 세탁수와 격리될 필요가 있다. 즉, 이러한 세탁수 등이 공기방전 디바이스(131)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방전된 공기를 드럼(120)에 공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활성종 공급장치(130)는 송풍유로(13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방전 디바이스(131)는 드럼(120)과 터브(110)의 외부에서 활성종을 발생시키고, 상기 송풍장치(132)와 송풍유로(134)는 방전된 공기를 드럼(120)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로(134)는 방전된 공기를 드럼(120)으로 공급하고, 드럼 내부에서 다시 공기를 흡입하여 방전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송풍유로(134)는 활성종이 젖은 세탁물과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젖은 세탁물과 접촉 면적이 늘어날 수 있도록 활성종 공급 방향과 위치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기방전 디바이스(131)로 세탁수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활성종 공급장치(130)는 터브(110)의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유로(134)는 공기방전 디바이스(131)의 전단에 연결될 수 있는 유출유로(136)와 후단에 연결될 수 있는 유입유로(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136)는 드럼(120) 상부 내부로 활성종이 공급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15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출유로(136)의 설치 위치와 상기 도어(140)의 형상으로 인해, 유출유로(136)에서 토출되는 활성종이 드럼 상부를 통해 드럼 하부 후방까지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목적을 위하여, 유입유로(135)는 터브의 후방 상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의 후방 상부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가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과 드럼 내부에서 유출되는 방향과의 관계로 인해, 활성종이 드럼 내부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유입유로(135)를 통해 세탁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유로(135)는 직접 터브(11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배기유로(137)를 통해 터브(110)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유로(135)는 배기유로(137)에서 분지되거나 배기유로(13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137)는 터브 내부가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로라 할 수 있다. 즉, 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도 최소한 상기 배기유로(137)를 통해 공기가 터브(110) 내부와 세탁기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유로(135)의 설치로 인해 상기 유입유로(135)는 배기유로(137)를 통해서 터브(110)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유로(135)를 통해 공기 외에 세탁수 등이 침투하는 것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활성종은 가급적 세탁물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은 수록 효과적이다. 따라서, 공기 방전이 발생된 후 가급적 짧은 시간 내에 드럼 내의 세탁물로 공급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기방전 디바이스(131)는 송풍유로(134) 상에서 드럼(120)의 전방과 더욱 인접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출유로(136)의 말단에 노즐을 설치하고, 노즐로부터의 토출 방향이 드럼(120) 내부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접적으로 활성종이 드럼 내의 세탁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활성종의 발생과 함께 공급 시점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130)는 송풍장치(13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공기방전 디바이스(131)의 후단, 즉 업스트림(upstream) 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장치(132)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공기방전 디바이스(131)에서 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방전된 공기를 송풍장치(132)에서 송풍하여 드럼(120) 내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송풍장치(132)를 통해서 송풍 시점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방전 디바이스(131)과 송풍장치(132)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방전 박스(133) 내부에 상기 공기방전 디바이스(131)과 송풍장치(132)를 설치하여, 조립이나 설치 그리고 취급이 매우 편리할 수 있다. 상기 방전 박스(133)를 송풍유로(134)와 연결하여 드럼으로 활성종이 원활히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송풍장치(132)를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수의 분사나 스팀 분사 유로와 상기 송풍유로(134)와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나 스팀 분사에 의해 압력 차이를 통해서 활성종이 드럼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기방전 디바이스는 콜로나 방전, 스트리머 방전, 유전체 배리어 방전 등 다양한 방전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고에너지 전리체인 플라즈마 이온, 마이너스 이온, 히드록시 라디칼 등의 라디칼종이 효율 좋게 생성되는 디바이스의 선정이 필요하다. 이들은 주로 트리올레인 등의 고분자를 분해하는 경우에 높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중성의 오존 등의 활성종도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들은 탈색에도 높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이들 일련의 활성종은 제균 소취능력이 있으며, 위생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거하고자 하는 얼룩의 종류나 분해 능력 목표치를 정하여 적절한 공기방전 디바이스를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며, 마찬가지로 활성종 공급장치(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과 건조가 가능한 세탁장치에는 건조 열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된다. 즉, 공기를 가열하여 송풍하는 한편,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건조 덕트(176)가 마련될 수 있고, 응축덕트(175)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120) 내부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덕트에 활성종 공급장치(174)를 구비한 것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덕트 구조에 공기방전 디바이스(131)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활성종 공급장치(174)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송풍장치(172)는 열풍 공급을 위한 송풍장치를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많은 경우, 응축덕트(172)은 터브(110)의 하부와 연통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덕트(172)가 터브 후방 상측과 연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응축덕트(172)는 응축 기능을 수행하는 덕트가 아닌, 터브 후방 상측에서 공기가 공기방전 디바이스(131)로 유입하도록 하는 덕트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응축덕트가 터브 하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열풍 공급 시와 활성 종 공급 시 유로를 전환하는 댐퍼 등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구성들의 제어 로직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세탁장치는 일반적으로 캐비닛 전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가 다양한 입력을 할 수 있는 입력 수단들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세탁코스 또는 건조코스 등 다양한 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코스 선택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코스라 함은 복수 개의 행정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시작과 종료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세탁 코스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그리고 탈수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세탁을 종료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코스 선택부(21)를 통해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은 각각 세탁행정, 헹굼행정 그리고 탈수행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행정에서의 조건들은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요 시간이나 드럼 구동 RP 또는 패턴들이 각 코스마다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각종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옵션 선택부(22)를 통해, 상기 코스와 연관된 다양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옵션 선택부(22)는 예를 들어, 세탁(22a), 헹굼(22b), 온도(22c) 그리고 탈수(22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22a)는 세탁 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염 정도에 따라 세탁 시간이나 세탁 세기를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탁 세기는 드럼이 구동하는 시간, 즉 실동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키울 수 있다.
헹굼(22b)는 헹굼 횟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온도(22c)는 세탁수의 온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수(약 섭씨 20도), 섭씨 30도, 섭씨 40도, 섭씨 60도 그리고 섭씨 90도 등 다양한 세탁수 온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가능한 온도 종류는 세탁기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탈수(22d)는 탈수 시의 정상 탈수 RPM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수 없음, 600 RPM, 800 RPM 그리고 1000RPM 등 다양한 RPM을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코스 선택부(21) 그리고 옵션 선택부(22)와 아울러 공기 방전 선택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공기 방전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코스 선택부(21), 옵션 선택부(22) 그리고 공기 방전 선택부(23) 등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며, 제어부(10)은 입력된 정보에 따라 세탁장치를 구동하게 된다.
모터(11)를 구동하여 드럼(120)을 회전하게 하고, 급수 밸브(12)를 구동하여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터브 히트(16)를 구동하여 세탁수가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활성종 공급장치(130)를 구동하여 공기 방전을 수행하여 활성종이 드럼(12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방전 장치(131)를 구동하여 활성종을 발생시키고, 송풍장치(132)를 구동하여 활성종이 드럼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방전 선택부(23)의 입력 여부에 따라 제어부(10)를 통한 세탁장치의 제어는 다른 양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기 방전 선택부(23)와 연관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따르면, 세탁행정(S100), 헹굼행정(200) 그리고 탈수행정(S300)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세탁이 종료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행정에서 활성종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행정(S100)에서 활성종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즉, 세탁 진행과 함께 활성종이 공급될 수 있다.
세탁행정(S100)은 급수와 포적심(S10)과 세탁(S20)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세탁물이 투입되어 코스 선택부(21)를 통한 코스 선택 또는 코스 선택부(21)와 옵션 선택부(22)를 통한 옵션 선택이 이루어진 후 세탁장치가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먼저, 세탁수와 세제를 혼합하여 터브(110) 내부로 공급하고, 세탁수와 세제가 세탁물에 골고루 적시도록 포적심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급수와 포적심은 세탁행정(S100)의 초기 단계이다. 초기 단계에서 세탁물이 충분히 적셔지게 되면 본격적인 세탁(S20)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급수와 포적심(S10)에서 포량이 감지될 수 있고, 감지된 포량에 따라 코스 소요시간이 증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량이 많은 경우 소요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S20)이 시작되기 전에는 터브 히터(180)가 구동되어 세탁수를 가열하고, 세탁수가 목표 온도로 가열되면 본격적인 세탁(S20)가 수행된다.
세탁(S20)은 보통 텀블링을 통해 수행된다. 즉,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세탁물이 상승 후 낙하하게 되고, 이러한 충격으로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행정(S100)에서 활성종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의 온수 공급이나 터브 히터(180)의 구동에 의한 가열이 아닌, 공기방전 디바이스로부터 발생하는 활성종의 화학적 작용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름 얼룩의 저분자화, 색소 얼룩의 탈색 등을 행하여, 수온을 올리지 않고 본질 기능인 세정력의 향상을 실현함으로써 대폭적인 에너지 절약 세탁이 실현될 수 있다.
세탁물에 묻은 얼룩에 활성종을 보다 작용시키기 위해서는, 가급적 활성종 공급시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초기의 급수 및 세제 투입 시점부터 활성종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세탁물이 적셔지는 시점부터 활성종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드럼이 구동되기 시작할 때부터 활성종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드럼 하부에 뭉쳐있던 세탁물들이 들어 올려져 낙하함에 따라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이 더욱 넓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젖은 의류에 대해서 활성종을 작용시킨 쪽이 건조한 의류에서 접촉시키는 것보다 우수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미크로적 시점으로부터 봐서, 물이 개재된 쪽이 화학적 분해반응의 발현 가능성이 보다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수가 상기 터브(110)에 공급된 후 활성종의 발생과 공급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드럼의 구동과 병행하여 활성종의 발생과 공급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활성종의 공급으로 세제의 계면활성제 성분을 분해하는 손실을 발생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급수와 포적심 과정에서는 세제가 투입되지 않도록 급수 유로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급수와 포적심 과정에서 활성종 공급으로 얼룩을 분해하고, 이 후, 세제 공급으로 인해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세제는 필요한 양보다 많이 투입되는 것이 현실이므로, 활성종으로 인해 세제 손실은 무시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 공급과 무관하게 세탁행정(S100)에서 활성종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탁(S20)에서는 본격적으로 드럼(120)이 구동하여 세탁물의 세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활성종이 드럼(1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S21). 즉, 기계 작용, 세제의 화학적 작용 그리고 활성종을 통한 화학적 작용으로 인해 세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드럼(120)은 세탁(S20) 수행을 위해 통상 텀블링 패턴으로 구동된다. 텀블링 패턴에서는 드럼 내의 세탁물이 들어올려진 후 낙하를 반복한다. 일방향으로 텀블링이 종료되면 다시 다른 방향으로 텀블링 이루어진다.
드럼의 회전과 정지는 일반적으로 드럼의 실동율에 따라 기설정된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드럼의 실동율은 드럼 정지에 대한 드럼 구동의 비율이다. 실동율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세탁 세기가 커 기계 작용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드럼의 구동 패턴은 텀블링 외에, 스핀, 스크럽, 스윙, 스퀴징 그리고 스텝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드럼 구동 패턴은 식스 모션(6 motion)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종의 발생과 공급은 드럼 구동과 연동될 수 있다. 즉, 드럼의 구동과 병행하여 공기 방전 장치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드럼 구동 패턴(실동율 포함)으로 드럼이 구동될 때 공기 방전 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드럼이 정지하지 않고 회전할 때 공기 방전 장치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동율과 연동되어 공기 방전 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이 구동하는 도중 활성종을 공급하면, 드럼 내의 세탁물이 유동하기 때문에, 드럼이 정지시 활성종을 공급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인 활성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60), 공기방전 디바이스(131) 그리고 송풍장치(132)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직축 세탁기에서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긴 상태에서 세탁이나 헹굼이 이루어진다. 반면에, 수평축 세탁기에서는 세탁수에 적셔진 세탁물이 드럼 내에서 유동하면서 세탁이나 헹굼이 이루어진다. 즉, 수평축 세탁기에서는 세탁물이 세탁수에 거의 잠기지 않는다. 이는 드럼 내부에 공급된 활성종과 세탁물이 접촉할 수 있는 확률이 수평축 세탁기에서 매우 높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수평축 세탁장치임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세탁행정 시 활성종 공급으로 인한 효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냉수(섭씨 20도)에서의 일반 세탁, 냉수에서의 활성종 공급 세탁 그리고 섭씨 30도 세탁수에서의 일반 세탁에서의 세탁력 효과를 비교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세탁 시간은 20.5 분으로 모두 동일하다. 오염물로는 피지(sebum), 숯 가루(carbon black), 혈흔(blood), 코코아(cocoa) 그리고 붉은 포도주(red wine)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한번 세탁행정을 하기 위한 세탁수의 양이 22리터라고 할 때, 세탁수를 섭씨 10도 상승하는데에는 255.7Wh의 전력이 소비된다. 반면, 활성종 발생과 공급을 위해서 30Wh가 소비되었다. 따라서, 에너지 자체만 보면 약 94%의 에너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냉수 조건에서는 활성종을 공급하여 세탁하는 것이 6가지의 오염물 대상으로 세탁 효과가 증진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활성종 공급만을 통하여 세탁 효과가 더욱 증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피지를 제외하고는 활성종을 공급함으로써 낮은 온도에서도 더욱 증진된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세탁수의 온도가 섭씨 30도일 때와 활성종 공급 및 세탁수 섭씨 20도일 때의 세탁효과가 피지를 제외하고는 더욱 좋기 때문이다. 피지에 대한 세탁 효과도 양자 간에 큰 차이가 없음 또한 알 수 있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활성종 공급으로 인해 에너지 소모를 96% 줄이면서도 실질적으로 세탁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도 5와 동일 조건이지만, 세탁수의 온도가 아닌 세탁 시간을 51분으로 증가한 것과 비교한 세탁 효과가 도시되어 있다.
붉은 포도주 오염물인 경우 세탁 시간과 무관하게 활성종으로 인한 세탁 효과 증진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오염물은 활성종 공급에도 불구하고 세탁 시간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세탁 효과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6을 통해서 동일 조건에서는 활성종을 공급하는 것이 훨씬 세탁 효과가 증진됨을 알 수 있다. 이는, 활성종을 공급하면 세탁 시간이 51분보다 적더라도 동일한 세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세탁 시간이 증가되는 것은 드럼 구동과 아울러 에너지가 소비될 수 있는 시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일 세탁 효과를 얻기 위하여 세탁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는 활성종 발생과 공급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세탁 시간 증가로 인해 더 소요되는 에너지보다 작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5와 도 6을 통한 활성종 공급으로 인한 효과는 세탁수 온도의 상승과 세탁 시간 증가가 항상 필요하지 않음을 도시하고 있다. 즉, 활성종 공급으로 인해 세탁수 온도의 상승과 세탁 시간 증가가 일정 부분 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행정(S100)이 종료하면 헹굼행정(S200)이 수행될 수 있다.
헹굼행정은(S200)은 배수와 간탈(S30), 급수(S40) 그리고 헹굼(S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계들은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상기 간탈(S30)은 스핀 구동을 통해 세탁물에서 세제와 세탁수를 분리하는 과정이다. 스핀 구동 후 짧은 시간 동안 고회전을 해서 세제 성분을 가급적 많이 분리할 수 있다.
세탁 직후의 간탈 시의 저회전 과정에서는 의류로부터 나오는 물거품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 방전 디바이스(131)로 상기 물거품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직후의 간탈 시에는 활성종 공급이 지양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간탈 시의 고회전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활성종 공급이 지양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고회전 과정은 짧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어, 활성종 공급으로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배수와 같날(S30)이 종료하면, 헹굼을 위한 급수(S40)가 수행되고, 급수 후에는 드럼 구동을 통해 헹굼(S50)이 본격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급수(S40)에도 활성종이 공급될 수 있고, 헹굼(S50) 도중 활성종 공급(S51)이 이루어질 수 있다.
헹굼(S50) 도중에도 드럼이 텀블링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S20)에서와 마찬가지로 활성종이 골고루 세탁물에 공급될 수 있다.
헹굼(S50) 과정에서도 남아있는 세제 성분으로 세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활성종을 통한 오염물들의 분해가 더욱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는, 헹굼(S50) 과정은 세탁물에서 세제 성분을 최대한 분리하는 것이다. 헹굼(S50) 과정에서 활성종의 공급은 잔류하는 세제성분, 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 성분을 분해하기 때문에 헹굼 성능의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헹굼행정(S200)은 배수 간탈(S30), 급수(S40) 그리고 헹굼(S50)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회 반복될 수 있다. 하나의 코스 선택으로 헹굼행정(S200)이 3회로 설정될 수 있고, 전술한 헹굼(22b)를 통해 헹굼행정 횟수를 4회로 늘리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처음 한번의 헹굼행정(S200)에서는 활성종 공급을 지양하고, 후속하는 헹굼행정에서는 활성종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처음 배수 간탈시에는 활성종 공급을 지양하고 후속하는 배수 간탈시에는 활성종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헹굼행정(S200)이 종료되면 배수(S60)가 수행되고, 이 후 드럼의 회전으로 원심 탈수가 수행된다. 즉, 드럼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세탁물에 함유된 세탁수가 터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탈수행정(S300)은 배수(S60) 후 탈수(S70, S80)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탈수는 고속 회전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고속 회전 진입을 위한 초기 탈수(S70)가 수행되고 초기 탈수(S70) 수행 후 본 탈수(S8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탈수(S80)은 예를 들어 1000RPM으로 소정 시간 동안 드럼이 회전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본 탈수(S80)은 전술한 간탈(S30)와 초기 탈수(S7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 탈수(S80) 과정에서도 활성종이 공급(S81)될 수 있다.
전술한 헹굼행정(S200)에서와 마찬가지로 탈수행정(S300)에서 활성종을 공급하면 위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세균 등의 먹이가 되는 오염물을 줄이는 한편, 세균 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세탁 종료 후 터브 내의 세균 증식이나 곰팡이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행정(S100), 헹굼행정(S200) 그리고 탈수행정(S300)에 이르기까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행정 도중, 활성종을 드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활성종의 공급은 추가적인 과정인 아닌 다른 행정들을 진행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다른 행정과 병행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는 공기 방전이 매우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탁장치 전체적으로 과부하가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병행적 진행은 초기 설정된 세탁 시간의 변경이나 추가가 발생될 우려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활성종 공급으로 인하여 세탁 시간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더욱 증진된 세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활성종에 의한 세정 메카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방전을 일으키면, 고에너지 전리체(플라즈마)나 산소 라디칼, 오존, UV 등 다양한 활성종이 생성된다. 이 활성종을 포함하는 공기를 생성하고, 이것을 순환공기와 함께 드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젖어있는 세탁물에 활성종을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드럼 구동 중에 활성종을 공급할 수 있어, 접촉 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활성종의 공급으로 세탁물에 묻은 얼룩을 보다 작은 분자로 분해하여 친수화할 수 있어 물에 의한 세탁에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활성종에 의한 분해는 상대적으로 큰 유해물 얼룩에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인체에서 분비되는 피지에 아주 효과적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지 얼룩 제거에 활성종 공급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세탁행정을 통한 세탁 효과에 불과하다. 따라서, 헹굼행정 등에도 활성종이 공급된다면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피지 얼룩의 주성분인 트리올레인은 일반적으로 그 일부가 세탁 과정에서 분해되어 저분자된 후, 보다 물로 씻어서 제거하기 어려운 성분이 된다. 의류가 오래되면 누렇게 변색될 수 있다. 이러한 변색의 원인은 세탁 후에도 잔류하는 피지 얼룩이 경년 산화되어 변셕된 것일 수 있다. 피지 얼룩은 분진이나 진흙, 때 등과 동시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얼룩 제거를 알기 어렵고, 세탁 후에도 이러한 피지 얼룩의 잔류가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활성종 공급으로 인해 피지 얼룩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의류가 누렇게 변색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매우 줄일 수 있게 된다.
활성종에 의한 젖은 의류 속의 얼룩 분해 접근방법은 종래의 세정보다 이와 같은 기름 얼룩에 대해서 특히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플로우 또는 사용자인터페이스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코스 선택부(21)의 선택을 통해 코스가 수행될 때, 제어부(S10)는 기설정된 코스 조건에 따라 세탁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코스 선택부(21)와 옵션 선택부(S22)의 선택을 통해 코스가 수행될 때에도, 제어부(S10)는 기설정된 코스 조건과 옵션 조건에 따라 세탁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코스 선택부(21)나 옵션 선택부(22)의 선택에 따라 많은 조건들이 디플트로 설정되어 세탁장치가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스 선택부(21)나 옵션 선택부(22)의 선택에 따른 디폴트 조건(기설정 조건)에 따라 수행되는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행정과 병행하여 활성종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공기 방전 선택부(23)의 선택이 있는 경우, 기설정 조건에 따른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행 도중, 활성종의 생성과 공급이 병행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방전 선택(23)의 선택으로 인해 세탁 시간이 변경되거나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종 공급으로 인해 낮은 세탁수 온도 또는 적은 세탁 시간으로도 더욱 효과적인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기 방전 선택부(23) 선택으로 인해 세탁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세탁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 관점에서는, 사용자가 공기 방전 선택이 어떠한 의미가 있고, 어떠한 결과를 나타내는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코스 선택부(21)를 통해 코스가 선택되면 세탁수의 온도와 세탁 정도(세탁 시간)가 디폴트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코스인 경우, 세탁수의 온도가 섭씨 30도 그리고 세탁 정도가 일반(normal, 예를 들어 세탁시간 21분)으로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옵션 선택부(22)의 온도(22c)와 세탁(22a)의 선택으로 이러한 디폴트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스 선택부(21)를 통한 코스 선택 후 상기 공기 방전 선택부(23)의 선택이 있으면 상기 디폴트 조건들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을 제시할 수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로 결정되는 세탁수의 온도가 낮은 온도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씨 30도의 세탁수 온도가 디폴트로 결정됨에도 불구하고, 공기 방전 선택부(23)의 선택으로 디폴트 온도가 찬물(섭씨 20도, 미가열)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디폴트로 결정되는 세탁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40분인 세탁 시간이 30분으로 줄어들 수도 있을 것이다.
공기 방전 선택부(23)의 선택으로 이러한 디폴트 조건이 가변되는 것을 사용자는 각종 표시부를 통해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사용자는 세탁수의 가열이 없거나 세탁 시간이 줄어도 효과적인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 터브 히터(180)의 구동이 완전히 배제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수의 온도가 섭씨 60도나 90도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터브 히터(180)가 구동될 수 있다. 그러나, 선택된 60도나 90도로 세탁수를 가열하고 활성종을 공급되는 것을 지양될 수 있다. 즉, 선택된 세탁수의 온도까지 가열되지 않더라도, 활성종 공급으로 인해 목표하는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 방전 선택부(23)가 선택이 되는 경우, 복수 개의 세탁수 온도(사용자가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공기 방전 선택부(23)의 선택과 배타적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방전 선택부(23)가 선택이 되면, 섭씨 30도에 대한 세탁수 온도가 선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방전과 찬물(섭씨 20도)에서 더욱 증진된 세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공기 방전 선택부(23)가 선택되면, 섭씨 60도에 대한 세탁수 온도가 선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활성종 공급과 함께 섭씨 60도 보다 낮은 온도까지 세탁수를 가열하여 동등 이상의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세탁수의 온도를 한 단계씩 낮출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택할 수 있는 세탁 정도(세탁 시간)를 한 단계씩 낮출 수 있다.
세탁수의 가열은 가열에 의한 에너지 소모뿐만 아니라 가열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세탁 시간의 증가를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탁 정도를 높이는 것은 그 자체로 세탁 시간의 증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은 에너지만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세탁 시간을 상대적으로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에너지 절감 및 세탁 시간 감소를 명확히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게 된다.
100 : 캐비닛 110 : 터브
120 : 드럼 130 : 활성종 공급장치
131 : 공기 방전 디바이스 132 : 송풍장치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장치; 그리고
    상기 세탁수가 상기 터브에 공급된 후 세탁이나 헹굼을 위해 모터를 통한 상기 드럼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드럼의 구동과 병행하여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활성종 발생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는,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는 공기 방전 디바이스;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 그리고
    활성종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비된 송풍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상기 공기 방전 디바이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가 동시에 구동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방전 디바이스와 상기 송풍 장치는 상기 송풍유로 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로의 유입구는 상기 터브의 후방 상측과 연통되고 상기 송풍유로의 토출구는 상기 드럼의 전방 상측과 연통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는,
    콜로나 방전, 스트리머 방전 그리고 유전체 배리어 방전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방전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을 통해 세탁을 수행하는 수평축 세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에서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 단계;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물에 세탁수를 적시거나, 세탁 또는 헹굼을 수행하는 드럼 구동 단계; 그리고
    상기 드럼 구동 단계 도중,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8. 세탁수를 급수하여 세탁물을 세탁수와 세제로 적시는 포적심 단계;
    상기 포적심 단계 후, 기설정된 드럼의 구동 실동률과 드럼 구동 패턴에 따라 드럼을 구동하여 세탁하는 세탁 단계; 그리고
    상기 세탁 단계 도중,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 단계를 갖는 세탁 행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종 공급 단계는 드럼이 구동될 때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적심 단계 도중에도 상기 활성종 공급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는 수평축 세탁장치이며, 상기 드럼의 구동 패턴은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서 들어 올려진 후 낙하하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텀블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행정 종료 후 세탁수를 배수하고 드럼을 스핀 구동하는 중간 탈수 단계; 그리고
    세탁수를 급수하고, 기설정된 드럼의 구동 실동률과 드럼 구동 패턴에 따라 드럼을 구동하여 헹굼하는 헹굼 단계를 갖는 헹굼 행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헹굼 단계 도중, 상기 활성종 공급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3. 세탁 행정 종료 후 세탁수를 배수하고 드럼을 스핀 구동하는 중간 탈수 단계;
    세탁수를 급수하고, 기설정된 드럼의 구동 실동률과 드럼 구동 패턴에 따라 드럼을 구동하여 헹굼하는 헹굼 단계;
    상기 헹굼 단계 도중,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 단계를 갖는 헹굼 행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순차적으로 복수 회 수행되어 하나의 헹굼 행정을 이루고, 최초 중간 탈수 단계를 제외하고 후속하는 중간 탈수 단계 도중에는, 상기 활성종 공급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 행정 종료 후 수행되는 탈수 행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수 행정은,
    초기 탈수와 초기 탈수 후 정상 탈수 RPM으로 탈수하는 본 탈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 탈수 도중 상기 활성종 공급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16.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을 갖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코스 선택부;
    상기 코스와 연관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옵션 선택부;
    공기를 방전하여 활성종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종을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활성종 공급장치;
    상기 활성종 공급장치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공기방전 선택부; 그리고
    상기 코스 선택부와 옵션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결과에 따라 기설정 조건으로 상기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기방전 선택부가 선택되면, 상기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도중 상기 활성종의 생성과 공급이 병행적으로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탁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선택부는 복수 개의 세탁수 온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되는 온도 선택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수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공기방전 선택부와 배타적으로 선택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 선택부를 통한 코스 선택으로 디폴트 세탁수 온도가 결정되며, 상기 공기방전 선택부의 추가 선택으로 인해 상기 디폴트 세탁수 온도가 낮은 온도로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 선택부를 통한 코스 선택 또는 상기 코스 선택과 상기 옵션 선택부를 통한 세탁 옵션 선택으로 디폴트 세탁 시간이 결정되며, 상기 공기방전 선택부의 추가 선택으로 인해 상기 디폴트 세탁 시간이 줄어들게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에서 세탁수가 공급된 후 드럼이 텀블링 구동하고, 상기 텀블링 구동과 상기 활성종 생성 및 공급이 병행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KR1020120110668A 2012-10-05 2012-10-05 공기 방전 장치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40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68A KR101940531B1 (ko) 2012-10-05 2012-10-05 공기 방전 장치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668A KR101940531B1 (ko) 2012-10-05 2012-10-05 공기 방전 장치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556A true KR20140044556A (ko) 2014-04-15
KR101940531B1 KR101940531B1 (ko) 2019-01-21

Family

ID=5065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668A KR101940531B1 (ko) 2012-10-05 2012-10-05 공기 방전 장치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2334A1 (en) * 2017-12-22 2019-06-26 BSH Hausgeräte GmbH Method for sterilizing clothing by using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307Y1 (ko) * 1992-10-16 1999-05-15 윤종용 오존 발생장치를 가진 세탁기
JP2004275271A (ja) * 2003-03-13 2004-10-07 Toshiba Corp 洗濯機
KR20100052051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2010259916A (ja) * 2010-08-27 2010-11-18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307Y1 (ko) * 1992-10-16 1999-05-15 윤종용 오존 발생장치를 가진 세탁기
JP2004275271A (ja) * 2003-03-13 2004-10-07 Toshiba Corp 洗濯機
KR20100052051A (ko) * 2008-11-10 2010-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2010259916A (ja) * 2010-08-27 2010-11-18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2334A1 (en) * 2017-12-22 2019-06-26 BSH Hausgeräte GmbH Method for sterilizing clothing by using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method
CN109957909A (zh) * 2017-12-22 2019-07-0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洗衣机对衣物除菌的方法及可实施该方法的洗衣机
CN109957909B (zh) * 2017-12-22 2021-12-0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洗衣机对衣物除菌的方法及可实施该方法的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531B1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18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A2656678C (en) Drum-type washer and tub cleaning method of the same
US816800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US9388520B2 (en) Washing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to perform washing using bubbles
CN101512060B (zh) 洗衣机的操作方法
JP2006141986A (ja) スチーム発生装置を備えた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7043326A1 (ja) 衣類乾燥機、洗濯機および衣類乾燥機能付き洗濯機
KR20060046025A (ko) 세탁 건조기 및 세탁기
EP1983086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K50302012U1 (sk) A method of removing folds of the laundry and corresponding washing machine
EP2837730B1 (en) Operating method for laundry machine and laundry machine for carrying out said operation method
JP4636155B2 (ja) 洗濯乾燥機
JPH0723199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5012937B2 (ja) 洗濯乾燥機
US8522380B2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JP4915442B2 (ja) 洗濯乾燥機
KR20100110676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제어방법
KR10248786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57119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1940531B1 (ko) 공기 방전 장치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2326759B1 (en) A washing machine
JP5008759B2 (ja) 洗濯機
KR100777687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155283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