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182A -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182A
KR20140044182A KR1020120110230A KR20120110230A KR20140044182A KR 20140044182 A KR20140044182 A KR 20140044182A KR 1020120110230 A KR1020120110230 A KR 1020120110230A KR 20120110230 A KR20120110230 A KR 20120110230A KR 20140044182 A KR20140044182 A KR 20140044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information
mobile terminal
product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962B1 (ko
Inventor
전찬성
박상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962B1/ko
Priority to US14/043,537 priority patent/US9407330B2/en
Priority to CN201310464459.2A priority patent/CN103716067B/zh
Publication of KR2014004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제품 등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단계와, 태깅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제품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n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 배치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중 냉장고는, 사용자를 위해, 음식을 저장하고,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조정하거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다양한 통신 방식이 발달함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하려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제품 등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단계와, 태깅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제품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단계와, 태깅에 기초하여, 저장된 제품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품 등록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과,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과, 제품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경우, 저장된 제품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품 정보를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품 등록 완료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품 등록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가 태깅되는 경우, 간편하게,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제품 등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버로의 제품 정보 전송을 위해, 인접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를 표시하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선택함으로써, 서버로의 전송을 간편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제품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경우, 제품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는, 전원 온시,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 내의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에 저장하므로,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경우, 제품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 사이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b는 도 7 또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이동 단말기(600), 및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전원 온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를 NFC 모듈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품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종류 정보(냉장고, 세탁기 등), 제품 제조 일자 정보, 제품 시리얼 번호, 제품에 설치된 펌웨어의 종류/버젼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하고,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근거리 자기장 통신 및 이동 단말기(600)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제품 등록 결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그 밖에,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는, 제품 정보 외에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전원 온 상태에서, 수시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가 태깅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저장된 홈 어플라이언스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상태 정보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현재 운전 중인 경우, 운전 기간 정보, 현재 운전 시간 정보, 남은 운전 시간 정보, 현재 운전 종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태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가 고장난 경우, 고장난 시점에서, 동작이 안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 고장 시점 정보, 고장시, 운전 중이던 운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태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 정보, 또는 전력 소비에 따른 비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를 위한 전자 기기(electric device)로서, 예를 들어, 냉장고(200a), 세탁기(200b), 에어컨(200c), 조리기기(200d), 청소기(200e)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그 외, TV 등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 핸드폰,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이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2e는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 사이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이동 단말기(600)와 냉장고(200a)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b는,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c는, 이동 단말기(600)와, 에어컨(200c)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d는, 이동 단말기(600)와, 조리기기(200d)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e는, 이동 단말기(600)와 청소기(200e)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3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220),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30), 다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22),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하는 구동부(245), 및 내부 제어를 위한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인 경우, 구동부(245)는, 냉장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실 팬을 동작시키는 냉장실 구동부, 냉동실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실 팬을 동작시키는 냉동실 구동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를 동작시키는 압축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세탁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드럼 또는 터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에어컨인 경우, 구동부(245)는, 실외기 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압축기 구동부, 열교환을 위한 실외기 팬을 동작시키는 실외기 팬 구동부, 열교환을 위한 실내기팬을 동작시키는 실내기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조리기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캐비티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구동부를 포함할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청소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공기 흡입을 위한 팬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22)는, 적어도, 근거리 자기장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217)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어플라이언스(200)는, 홈 어플라이언스 내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600)는, NFC 메모리(617), NFC 제어부(626)와 안테나(628)를 구비하는 NFC 모듈(21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NFC 메모리(218), NFC 제어부(226)와 안테나(226)를 구비하는 NFC 모듈(225)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600)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 자기장이 제공되며, 자기장 변화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의, 정보 교환은, NFC의 CE(card Emulation) 모드, Reader/Wrtiter 모드, 및 peer to peer 모드 중 Reader/Wrtiter 모드, 또는 peer to peer 모드 기반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NFC 제어부와 안테나를 구비하는, 액티브 형태의 NFC 모듈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태그 형태의 NFC 저장부와 안테나를 구비하는, 패시브 형태의 NFC 모듈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액티브 형태의 NFC 모듈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 또는 NFC 모듈(217) 내의 NFC 제어부(226)는, 전원 온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제품 정보를,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는, 전원 온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가 태깅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안테나(628)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안테나(228)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한다. 즉,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안테나(228)는,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안테나(628)로 제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태깅시,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원이 온 되는 경우는 물론,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도,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안테나(228)는,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안테나(628)로 제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근거리 자기장 통신 방법에 따르면,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600)가 자기장을 제공하므로, 자기장 변화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안테나(228)가 제품 정보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서버(5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후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가 다시 태깅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안테나(628)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안테나(228)로부터 제품 정보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제품 정보가 기 수신되어 저장된 제품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제어부(226)는, 추가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로부터 상태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서버(5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버(500)는, 통신 모듈(530), 저장부(540), 및 프로세서(52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모듈(530)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530)은,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에 대한 제품 정보 등록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530)은,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진단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전력 가격 정보, 온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2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저장부(540)에 저장된 고장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진단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저장부(540)에 저장된, 전력 가격 정보, 온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 등을 전력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제조자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관련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70), 제어부(68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인터넷 모듈(615), NFC 모듈(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617)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617)은, NFC 태그 또는 NFC 모듈이 탑재된 홈 어플라이언스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6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651), 음향출력 모듈(653), 알람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51)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6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653)은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660)는 제어부(6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9 내지 도 13b는 도 7 또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705).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710). 한편, 도 9의 제905 단계(S905)는 도 7의 제705 단계(S705)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10 단계(S910)는 도 7의 제710 단계(S710)에 대응한다.
도 10a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0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기 설치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서버(500)에 접속하여,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download)하고, 이동 단말기(600) 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 10a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1010)은, 사용자 로그인 항목(아이디, 비밀번호), 회원가입이 되지 않은 경우 g회원 가입을 위한, 회원 가입 항목 등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된 이후, 로그인 등이 수행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된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내의 제품 등록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S715), 그리고, 제품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S720). 한편, 도 9의 제915 단계(S915)는 도 7의 제715 단계(S715)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20 단계(S920)는 도 7의 제720 단계(S720)에 대응한다.
다음, 도 10b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020) 중, 더 보기 항목(1025)가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0c와 같이, 제품 등록 화면(1030)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c는 제품 등록 화면(1030) 내에, 제품 등록 항목(1035)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0d와 같이, 제품 등록 화면(104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0b의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02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b의 애플리케이션 화면(1020)은,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억세스(smart access) 항목, 레시피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레시피(smart recipe) 항목, 냉장고 또는 조리기기와 관련하여 쇼핑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쇼핑 리스트(shopping list) 항목,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진단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진단(smart diagonosis) 항목, 및 다른 추가 항모 보기를 위한 더 보기(more)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0d의 제품 등록 화면(1040)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한 진단 방법인, 'NFC 제품등록' 항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NFC 제품등록' 항목(미도시)이 선택된 이후, 다음의 제740 단계(S740) 이하가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과 관련하여, 홈 어플라이언스(60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NFC 모듈(217)에 저장한다(S830). 한편, 도 9의 제930 단계(S930)는 도 8의 제830 단계(S830)에 대응한다.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27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NFC 모듈(217)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200b)에 전원이 온 되는 경우, 특히, 최초로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세탁기(200b)의 NFC 모듈은, 세탁기(200b)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있던, 세탁기의 제품 정보를 세탁기(200b)의 NFC 모듈(217)로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세탁기 제품 정보는, 제품 종류가 세탁기임을 나타내낸 제품 종류 정보, 제품 제조 일자 정보, 제품 시리얼 번호, 제품에 설치된 펌웨어의 종류/버젼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러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740). 그리고, 태깅이 있는 경우, 태깅에 기초하여, 제품 등록과 관련된 정보인 제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한다(S745). 한편, 도 9의 제940 단계(S940)는 도 7의 제740 단계(S740), 및 도 8의 제840 단계(S840)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45 단계(S945)는 도 7의 제745 단계(S745), 및 도 8의 제845 단계(S845)에 대응한다.
도 10e는, 이동 단말기(600)에 제품 등록 화면(104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마기(600)를 냉장고(200a)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와 냉장고(200a)가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가능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 내의 NFC 모듈(617)은, 냉장고(200a)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그 역으로, 냉장고(200a)의 NFC 모듈(217)이 이동 단말기(600)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냉장고(200a) 내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로부터 제품 정보를 독출(read) 또는 수신한다.
이와 같이, 제품 등록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가 태깅되는 경우, 간편하게,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제품 등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는,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메모리(618)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NFC 제어부(626)는, 메모리(618)에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플래그를, '0'에서 '1'로 변환시켜,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로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에,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제품 정보 수신에 따른 제품 등록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f는 이동 단말기(600)가 수신한 제품 정보를 알려주며, 제품 정보에 따라 제품 등록을 수행할 지 여부를 나타내는 호면(105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제품 등록 항목(1055)을 선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제품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된 제품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760).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인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S765). 그리고,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770). 한편, 도 9의 제960 단계(S960)는 도 7의 제760 단계(S760)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65 단계(S965)는 도 7의 제765 단계(S765)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70 단계(S970)는 도 7의 제770 단계(S770)에 대응한다.
도 10g는 이동 단말기(600)가 홈 어프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Spr)를 서버(500)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며, 서버(500)가, 이동 단말기(600)로 제품 등록 완료 결과 정보(Sres)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600)의 제품 정보(Spr) 전송에 따라, 서버(500)의 통신 모듈(530)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Spr)를 수신한다.
서버(500)의 프로세서(520)는, 저장부(540)에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Spr)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제품 정보(Spr)에 기초하여, 제품 등록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품 등록시, 제품 종류 정보, 제품 제조 일자 정보, 제품 시리얼 번호, 제품에 설치된 펌웨어의 종류/버젼 정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그 밖에, 제품 등록시, 사용자 정보(사용자의 이름, 아이디, 비밀번호, 주소, 나이, 가족관계 등)가 필요한 경우, 서버(500)의 프로세서(520)는, 이동 단말기(600)로 제품 등록시 필요한 추가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등에 대한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서버(600)로부터 사용자 정보 전송 요청이 있음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 전송을 승인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이동 단말기(600) 내에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 등을 활용하여, 서버(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정보가 이동 단말기(600) 내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사용자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서버(500)는, 입력되는 제품 정보, 그 외 추가 정보 등을 활용하여, 서버(500)에 제품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00)의 프로세서(52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500)의 통신 모듈(530)은,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의 무선 통신부(610),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모듈(613)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서버(500)의 통신 모듈(530)로부터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제품 등록 결과 정보는, 제어부(680)로 전달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수신되는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 등록 결과 화면을 생성하고,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h는, 수신되는 제품 등록 완료 결과 화면(106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품 등록 완료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h의 제품 등록 완료 결과 화면(1060)은, 홈 화면 이동 화면(1065)을 포함할 수 있다. 홈 화면 이동 화면(1065) 중 이동 항목(1067)이 선택되는 경우, 도 10i와 같이,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억세스(smart access) 항목, 레시피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레시피(smart recipe) 항목, 냉장고 또는 조리기기와 관련하여 쇼핑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는 쇼핑 리스트(shopping list) 항목,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진단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진단(smart diagonosis) 항목, 및 다른 추가 항모 보기를 위한 더 보기(more) 항목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1020)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10h의 홈 화면 이동 화면(1065) 중 이동 항목(1067)이 선택되는 경우, 도 10a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 중 로그인 화면(1010)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와 서버(500)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은, 인접하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a는 이동 단말기(600)가 AP 장치(400)로 제품 정보(Spr)를 전송하고, AP 장치(4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500)로 제품 정보(Spr)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1b는 서버(500)가 네트워크를 통해 AP 장치(400)로 제품 등록 결과 정보(Sres)를 전송하고, AP 장치(400)가 이동 단말기(600)로 제품 등록 결과 정보(Sres)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와 서버(500)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은, 인접하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400)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제품 정보를 서버(500)로 송신하기 전에, 도 11c와 같이, AP 장치 리스트 화면(1110)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0f와 도 10h 사이에, 도 11c와 같은 AP 장치 리스트 화면(1110)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1c는 복수의 AP 장치 항목(AP1.AP2,AP3...)를 포함하는 AP 장치 리스트 화면(1110)을 예시한다. AP 장치 리스트 화면(1110)은, 복수의 AP 장치 항목에 대한, 이름, 네트워크 상태 정보, 암호화 여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제1 AP 장치 항목(111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1d와 같이, 비밀 번호 입력 항목(1115)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d와 달리, 비밀 번호 입력 항목(1115)이, 도 11c에 팝업 창으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c의 AP 장치 리스트 화면(1110)은,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제품 등록 수행하기 이전에, AP 장치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식별자 정보(SSID)가 수신되는 경우,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 선택에 의해, AP 장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AP 장치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AP 장치로 무선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품 등록시에도, AP 장치 리스트 화면(1110) 표시 없이, 기 선택된 AP 장치를 이용하여, 서버(500)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홈 어플라이언스 내의 제어부(270)와 NFC 모듈(217) 사이에 신호 흐름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27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전원 온 신호를 입력받는다(S1205). 이에 따라, 대기 모드 상태엿던, 홈 어플라이언스 내의 각 유닛들에 전원이 공급된다.
다음, 제어부(270)는,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 내의 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독출한다(1210). 그리고, 제어부(270)는, 독출된 식별자 정보가, 기 저장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 저장 식별 정보를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기록(write)한다.
제어부(270)는, 전원 온, 특히 처음으로 전원이 온되는 경우,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 내의 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NFC 모듈(217)과 동기화를 수행한다. 즉, 기 저장 식별 정보를 NFC 모듈(217)로 전송하여,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그 밖에,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 내의 데이터 헤더(data header)를 독출하고, 기 저장 데이터 헤더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 저장 데이터 헤더 정보를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기록(write)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 내에 제품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없는 경우, 제품 정보를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기록(write)한다. 이는, 상술한, 도 8의 제830 단계(S830)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600),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 내의 NFC 모듈(217)가 태깅하는 경우(S1240), 홈 어플라이언스 내의 NFC 모듈(217)은 메모리(218) 내에 기록된 제품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한다(S1245).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는, 간편하게,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제품 등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다양한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가 태깅하는 경우, 태깅에 기초하여, 제품 등록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 중 제품 등록 화면(104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 에어컨(200c), 조리기기(200d), 또는 청소기(200e)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3b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세탁기(200b), 에어컨(200c), 조리기기(200d), 또는 청소기(200e)의, NFC 모듈(217)로부터 제품 정보(Spr)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 정보는, 제품 종류 정보, 제품 제조 일자 정보, 제품 시리얼 번호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3c는 이동 단말기(600)가 수신한 제품 정보(Spr)를 서버(500)로 전송하고, 서버(500)는, 이동 단말기(600)로 제품 등록 완료 결과 정보(Sres)를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서버(50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Spr)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품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양한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해서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간단하게 제품 등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도 13d와 같이, 수신되는 제품 등록 완료 결과 화면(1360)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품 등록 완료 결과 화면(1360)은, 도 10h와 유사하게, 홈 화면 이동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도 10h와 같이, 홈 화면 이동 화면(1065) 중 이동 항목(1067)이 선택되는 경우, 도 10a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 중 로그인 화면(1010)이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제품 등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단계;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의 제품 등록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품 정보 수신에 따른 제품 등록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제품 정보 수신을 위해, 인접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로의 제품 정보 전송은, 상기 선택된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6.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단계;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저장된 제품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이 전원이 온 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 내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자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상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8. 제품 등록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에 의해,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제품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내의 제품 등록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제품 등록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제품 등록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품 정보 수신에 따른 제품 등록 수행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서버로 제품 정보 수신을 위해, 인접하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억세스 포인트 장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억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저장하고,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제품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온 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 내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식별자 정보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를 상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은,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제품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120110230A 2012-10-04 2012-10-04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924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230A KR101924962B1 (ko) 2012-10-04 2012-10-04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US14/043,537 US9407330B2 (en) 2012-10-04 2013-10-01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310464459.2A CN103716067B (zh) 2012-10-04 2013-10-08 移动终端、家用电器及移动终端的工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230A KR101924962B1 (ko) 2012-10-04 2012-10-04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182A true KR20140044182A (ko) 2014-04-14
KR101924962B1 KR101924962B1 (ko) 2018-12-04

Family

ID=5040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230A KR101924962B1 (ko) 2012-10-04 2012-10-04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07330B2 (ko)
KR (1) KR101924962B1 (ko)
CN (1) CN10371606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982A (ko) * 2014-11-12 2016-05-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버전스 홈 서비스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컨버전스 홈 서비스 방법
KR20160109847A (ko) * 2015-03-13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80097A (zh) * 2012-09-24 2014-03-26 Lg电子株式会社 利用移动终端的家用电器及其运行方法
US9385784B2 (en) * 2012-09-24 2016-07-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114860B1 (ko) * 2013-09-04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1435B1 (ko) * 2014-09-05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US20160112932A1 (en) * 2014-10-20 2016-04-21 Xiaomi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ing wireless device list
CN104330994A (zh) * 2014-10-30 2015-02-04 成都新光微波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控制智能电器的方法
KR101784074B1 (ko) * 2015-09-03 2017-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센싱 장치
KR101900741B1 (ko) * 2017-01-16 2018-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08572565A (zh) * 2017-03-07 2018-09-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US10536859B2 (en) 2017-08-15 2020-01-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trol and utilization of quasi-licensed wireless spectrum
US10340976B2 (en) 2017-10-16 2019-07-0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ed utilization of quasi-licensed wireless spectrum
CN108053292A (zh) * 2017-12-28 2018-05-18 张士伟 食品净化设备的控制系统
JP7081179B2 (ja) * 2018-01-31 2022-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190099586A (ko) 2018-02-19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및 서버
CN111083021A (zh) * 2018-10-19 2020-04-2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显示终端及显示系统
US10980025B2 (en) 2019-01-31 2021-04-1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quency transition management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US11129171B2 (en) 2019-02-27 2021-09-2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signal maximization and management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US11438771B2 (en) 2019-07-11 2022-09-0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heterogeneous coverage and use cases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CN112255922A (zh) * 2019-07-22 2021-01-22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用于家电设备信息推送的方法、家电设备及移动终端
US11182222B2 (en) 2019-07-26 2021-11-2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rocessor device software development and operation
CN112449329A (zh) * 2019-08-30 2021-03-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发送终端、接收终端及电子设备
US11528748B2 (en) 2019-09-11 2022-12-13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arrier unlicensed heterogeneous channel access
US11368552B2 (en) 2019-09-17 2022-06-2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latfor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and operation
US11317296B2 (en) 2019-10-02 2022-04-2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handling and switching operating frequencies for devices being supported by a wireless access node
US11026205B2 (en) * 2019-10-23 2021-06-0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registration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US11581911B2 (en) 2019-10-28 2023-02-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hase noise mitigation in wireless systems
US11457485B2 (en) 2019-11-06 2022-09-27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verage in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s
US11363466B2 (en) 2020-01-22 2022-06-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ntenna optimization in a quasi-licensed wireless system
US11877344B2 (en) 2020-12-14 2024-01-1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less coverage enhancement using technology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156A (ja) * 1997-10-17 1999-04-30 Nec Corp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通信方式
JP2002085885A (ja) 2000-09-11 2002-03-26 Toshiba Corp ランドリーシステム
US9164867B2 (en) * 2005-06-09 2015-10-20 Whirlpool Corporation Network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onsumable to an appliance
JP4935275B2 (ja) * 2006-03-14 2012-05-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等
JP4939152B2 (ja) * 2006-09-13 2012-05-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管理方法
US8013717B2 (en) * 2007-09-14 2011-09-06 Motorola Mobility, Inc.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environmental sensor
US8875270B2 (en) * 2009-04-15 2014-10-28 Nec Corporation ID authentication system, ID authentic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ID authentication program
KR101563487B1 (ko) 2009-05-11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CN102498691B (zh) * 2009-08-05 2015-05-20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及其操作方法
US9020432B2 (en) 2009-11-30 2015-04-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program
CN102014171B (zh) * 2010-07-09 2013-01-23 北京哈工大计算机网络与信息安全技术研究中心 物联网中处理物品注册信息的方法和系统
JP5897462B2 (ja) 2010-11-30 2016-03-3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機器、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2783041B (zh) * 2010-12-28 2015-04-15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通信装置以及通信方法
US10402781B2 (en) * 2011-09-15 2019-09-03 Dell Products L.P. Multidimensional barcodes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service information
US8880028B2 (en) * 2012-02-08 2014-11-04 Blackberry Limite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ccessory providing enhanced data transfer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20130282592A1 (en) * 2012-04-24 2013-10-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gistering Products and Promoting Customer Relationships
US9385784B2 (en) * 2012-09-24 2016-07-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3680097A (zh) * 2012-09-24 2014-03-26 Lg电子株式会社 利用移动终端的家用电器及其运行方法
KR102051369B1 (ko) * 2013-04-09 201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982A (ko) * 2014-11-12 2016-05-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컨버전스 홈 서비스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컨버전스 홈 서비스 방법
KR20160109847A (ko) * 2015-03-13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07330B2 (en) 2016-08-02
CN103716067A (zh) 2014-04-09
US20140106672A1 (en) 2014-04-17
KR101924962B1 (ko) 2018-12-04
CN103716067B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962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631435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KR101924961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US9773408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640174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385784B2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40087661A1 (en) Home appliance us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42117B1 (ko)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KR101587465B1 (ko) 홈 어플라이언스
KR20140089795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545486B1 (ko) 홈 어플라이언스
KR20140081270A (ko) 이동 단말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33932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969036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636722B1 (ko) 홈 어플라이언스
KR101969031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0775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210690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923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88453A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33593A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53553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