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003A -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003A
KR20140044003A KR1020120109855A KR20120109855A KR20140044003A KR 20140044003 A KR20140044003 A KR 20140044003A KR 1020120109855 A KR1020120109855 A KR 1020120109855A KR 20120109855 A KR20120109855 A KR 20120109855A KR 20140044003 A KR20140044003 A KR 20140044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nsemble
performance
instrument
uc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노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4003A/ko
Publication of KR2014004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UCC(User Created Contents)를 합주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 및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고,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연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며,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다운로드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의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연주 컨텐츠를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합주 컨텐츠 등록이 요청된 경우, 상기 합주 컨텐츠를 등록하는 UCC 합주 서비스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reated Contents playing service}
본 발명은 UCC(User Created Contents)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이 UCC 합주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 및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면,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연주 컨텐츠를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며,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다운로드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웹 기반의 웹 컨텐츠 산업과 웹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이란, 웹(Web) 기반의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CSS(Cascading Style Sheets) 등의 웹 코드로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단말에서 실행 시에 브라우저 엔진(browser engine)을 통해 해석되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여기서, 브라우저 엔진의 해석 과정은, 웹 서핑을 위하여 인터넷 브라우저가 웹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웹 코드로 된 웹 페이지를 해석하여 보여주는 과정과 유사하다. 그리고, 웹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웹 코드로 정의된 사항에 따라 필요한 웹 코드로 작성된 데이터 또는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웹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해석하여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웹 애플리케이션은 관리가 용이하고 확장성이 뛰어나다.
최근에 발표된 웹 코드인 HTML5는 <audio>태그를 지원하며 웹 브라우저에서 플러그인 없이도 오디오 기능 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 여러 디바이스 환경에서 브라우저만으로 오디오 플레이가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급속한 보급에 기인하여, 최근 온라인상의 음원 시장은 점차적으로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음원 시장의 수요자들의 음악 소비 형태는 음악을 듣고, 부르고, 자랑하는 세가지 형태로 정립되어 있다.
즉, 수요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음원을 획득하고 이를 재생하여 들을 뿐만 아니라, 가수의 음성이 제거되고 반주만이 제공되는 음원을 재생한 상태에서 가수의 노래를 부르며, 자신이 부른 노래를 반주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UCC(User Created Contents)를 제작하여 이를 타인에게 보여주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상에서 악기를 연주하면서 다른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는 기술이 없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1192호, 발명의 명칭 '미디어 편집 장치, 미디어 편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웹서버'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웹 브라우저상에서 컨텐츠 합주를 위한 플레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 관련 웹사이트를 방문하지 아니하고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 합주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UCC 합주 서비스를 제공할 때, Web Audio의 기능을 사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음악 보정 및 판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UCC 합주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 및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고,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연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며,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다운로드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mixing)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의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연주 컨텐츠를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합주 컨텐츠 등록이 요청된 경우, 상기 합주 컨텐츠를 등록하는 UCC 합주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 악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를 통해 연주 컨텐츠가 선택되고, 악기 선택 메뉴를 통해 악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UCC 합주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부, 상기 오디오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악기 연주 데이터를 인식하는 오디오 인식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고,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연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며,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다운로드된 연주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면서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인식부에서 인식된 연주 컨텐츠와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에 등록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합주 컨텐츠를 특정 구간의 반복, 늘이기, 줄이기, 잘라내기, 에코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편집 및 저장하고, 사이버 악기 모듈의 제어에 따라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는 연주 컨텐츠 관리 모듈, 상기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 악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를 통해 연주 컨텐츠가 선택되고, 악기 선택 메뉴를 통해 악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연주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면서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이버 악기 모듈, 상기 연주 컨텐츠 관리 모듈을 통해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사이버 악기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UCC 합주 서비스 장치에 등록하는 합주 컨텐츠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각 곡별로 서로 다른 악기로 연주된 연주 컨텐츠들이 저장된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합주 컨텐츠들이 저장된 합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주 컨텐츠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연주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연주 컨텐츠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합주 컨텐츠를 포함하는 합주 컨텐츠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합주 컨텐츠를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합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합주 컨텐츠 처리부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접속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주 컨텐츠 요청 신호를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가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연주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연주 컨텐츠를 저장하고,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포함하는 합주 컨텐츠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가 상기 합주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UCC 합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 (c)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 악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를 통해 연주 컨텐츠가 선택되고, 악기 선택 메뉴를 통해 악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포함하는 합주 컨텐츠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 (c)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전자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 브라우저상에서 컨텐츠 합주를 위한 플레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 관련 웹사이트를 방문하지 아니하고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 합주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UCC 합주 서비스를 제공할 때, Web Audio의 기능을 사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음악 보정 및 판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CC 합주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연주 컨텐츠를 수신하고, 그 연주 컨텐츠를 이용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여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에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웹 브라우저에 등록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연주 컨텐츠를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다운로드하고,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다운로드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에 등록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연주 컨텐츠들을 재생하고, 합주 컨텐츠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에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와,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가 제공하는 연주 컨텐츠를 이용한 UCC 합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 형식으로 작성되어, 연주 컨텐츠를 이용한 UCC 합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기능 및 근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트북, 무선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된 연주 컨텐츠를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또한,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합주 컨텐츠를 포함하는 합주 컨텐츠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합주 컨텐츠를 합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또한,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200)이 접속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오디오 재생부(140), 오디오 인식부(160),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0)과 UCC 합주 서비스 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및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는 키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키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한 웹 사이트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른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소형 평판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입력부(120)와 겹쳐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재생부(140)는 오디오 데이터 재생에 따라 발생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오디오 재생부(140)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54)의 오디오 데이터 처리 결과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오디오 인식부(160)는 마이크 등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다. 즉, 오디오 인식부(160)는 오디오 재생부(140)를 통해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악기 연주 데이터를 인식한다. 이때, 오디오 인식부(160)는 연주 컨텐츠와 악기 연주 컨텐츠를 함께 녹음할 수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실행 명령이 입력된 웹 애플리케이션, 예컨대,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54)을 브라우저 엔진(152)을 통해 실행한다.
브라우저 엔진(152)은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54)을 실행할 경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54)의 웹 코드로 구현된 로직을 해석하여 실행한다. 브라우저 엔진(152)은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54)에 포함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과 같은 마크업(Mark-Up) 언어, 스크립트 및 CSS 등의 웹 기반의 로직을 해석하여 실행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54)을 등록한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50)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54)을 이용하여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연주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연주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50)는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주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고, 오디오 인식부(160)에서 인식된 연주 컨텐츠와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에 등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블럭도이다.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54)은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54)은 연주 컨텐츠 관리모듈(155), 사이버 악기 모듈(156), 합주 컨텐츠 생성 모듈(157)을 포함한다.
연주 컨텐츠 관리 모듈(155)은 연주 컨텐츠 리스트의 관리 기능과 연주 컨텐츠의 재생기능을 제공한다. 연주 컨텐츠 관리 모듈(155)은 HTML5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JavaScript API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audio> 태그는 src 속성값에 연주 컨텐츠 경로(URL)를 대입시키면 재생이 가능하므로, 연주 컨텐츠 리스트는 각각의 연주 컨텐츠의 경로, 제목, 가수명, 등의 정보들을 추가, 변경, 삭제한다. 여기서, 연주 컨텐츠는 캐논 변주곡의 피아노 연주, 일렉 기타 연주 등과 같이 각 곡별로 서로 다른 악기로 연주된 컨텐츠를 말할 수 있다.
또한, 연주 컨텐츠 관리 모듈(155)은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연주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즉, 연주 컨텐츠 관리 모듈(155)은 연주 컨텐츠의 재생, 정지, 중지, 늘이기, 줄이기, 구간반복, 합성(두 곡 이상 동시 재생), 필터(에코, 메아리 울림과 같은 음향 효과) 등과 같은 편집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그 편집 정보에 따라 해당 연주 컨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
사이버 악기 모듈(156)은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사이버 악기 모듈(156)은 실제 악기가 아니더라도 악기처럼 보이는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는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클릭이나 키보드 입력으로 악기 연주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이버 악기 모듈(156)은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 악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를 통해 연주 컨텐츠가 선택되고, 악기 선택 메뉴를 통해 악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연주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면서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의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를 통해 '캐논 변주곡의 기타 연주 컨텐츠'를 선택하고, 악기 선택 메뉴를 통해 '피아노'를 선택하면, 사이버 악기 모듈(156)은 피아노 건반이 표시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에 표시된 건반을 클릭, 키보드 입력, 터치 입력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피아노 연주를 하게 된다. 이때, 사이버 악기 모듈은 '캐논 변주곡의 기타 연주 컨텐츠'을 재생하므로, 합주 컨텐츠 생성 모듈(157)은 재생되는 '캐논 변주곡의 기타 연주 컨텐츠'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피아노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합주 컨텐츠 생성 모듈(157)은 연주 컨텐츠 관리 모듈(155)을 통해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사이버 악기 모듈(156)을 통해 입력되는 악기 연주 정보를 믹싱(mixing)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UCC 합주 서비스 장치에 등록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54)은 사용자 단말(100)의 웹 브라우저상에 구현되어,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합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지 않더라도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합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상관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400)은 오픈 API를 통해 악기 연주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합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CC 합주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UCC 합주 서비스 장치(200)는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 접속 처리부(220), 연주 컨텐츠 제공부(230), 합주 컨텐츠 처리부(240), 합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한다.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에는 각 곡별로 서로 다른 악기로 연주된 연주 컨텐츠들이 저장되어 있다.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재생을 위한 연주 컨텐츠 파일 혹은, 연주 컨텐츠를 제공하는 URL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서로 다른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연주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접속 처리부(220)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된 경우,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접속 처리부(220)는 사용자 단말에 웹 애플리케이션 형식의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에 컨텐츠 플레이어를 등록한다. 브라우저에 등록되는 컨텐츠 플레이어는 웹 코드로 작성되어 브라우저 엔진에 의해 실행된다.
연주 컨텐츠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주 컨텐츠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해당 연주 컨텐츠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연주 컨텐츠 요청 신호는 연주 컨텐츠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므로, 연주 컨텐츠 제공부(230)는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연주 컨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연주 컨텐츠를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합주 컨텐츠 처리부(2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합주 컨텐츠를 포함하는 합주 컨텐츠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합주 컨텐츠를 합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50)에 등록한다. 이때, 합주 컨텐츠 처리부(240)는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합주 컨텐츠를 등록한다. 합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50)에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합주 컨텐츠들이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다.
또한, 합주 컨텐츠 처리부(240)는 기 설정된 판매료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판매료를 합주 컨텐츠에 설정하여, 해당 합주 컨텐츠를 요청하는 사용자에게 유료로 판매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이 UCC 합주 서비스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면(S502), UCC 합주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의 브라우저에 컨텐츠 플레이어를 등록할 수 있다(S504). 여기서, 컨텐츠 플레이어의 등록 전에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에게 권한을 승인받을 수 있다.
단계 S504의 수행 후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연주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하고(S506), 수신된 연주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연주 컨텐츠를 선택 및 다운로드하여 편집한다(S508). 즉, 사용자 단말이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면, 사용자 단말에는 연주 컨텐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연주 컨텐츠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연주 컨텐츠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다운로드된 연주 컨텐츠의 재생, 정지, 중지, 늘이기, 줄이기, 구간반복, 합성(두 곡이상 동시 재생) 및 필터(에코, 메아리 울림과 같은 음향 효과) 등을 수행하여 연주 컨텐츠를 편집하고, 그 편집된 연주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508의 수행 후, 사용자가 합주 서비스 명령을 선택하면(S510), 사용자 단말은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을 통해 연주 컨텐츠 및 합주를 위한 악기를 선택 받는다(S512).
즉, 사용자가 합주 서비스 명령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은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 악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합주를 원하는 연주 컨텐츠를 선택하고, 악기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합주를 원하는 악기를 선택한다.
단계 S512가 수행되면,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514).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에는 실제 악기는 아니더라도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사이버 악기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에서 클릭이나 키보드 입력으로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단계 S514의 수행 후,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516). 즉,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고, 사용자는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에 맞춰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516이 수행되면, 사용자 단말은 재생되고 있는 연주 컨텐츠와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한다(S518).
그런 후, 사용자 단말은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포함하는 합주 컨텐츠 등록 요청 신호를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S520), UCC 합주 서비스 장치는 상기 합주 컨텐츠를 합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22).
UCC 합주 서비스 장치는 합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합주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여,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 (c)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전자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웹 브라우저상에서 컨텐츠 합주를 위한 플레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 관련 웹사이트를 방문하지 아니하고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컨텐츠 합주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사용자 단말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오디오 재생부 150 :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152 : 브라우저 엔진 154 :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
155 : 연주 컨텐츠 관리 모듈 156 : 사이버 악기 모듈
157 : 합주 컨텐츠 생성 모듈 160 : 오디오 인식부
200 : UCC 합주 서비스 장치 210 : 연주 컨텐츠 DB
220 : 접속 처리부 230 : 연주 컨텐츠 제공부
240 : 합주 컨텐츠 처리부 250 : 합주 컨텐츠 DB

Claims (11)

  1. UCC(User Created Contents) 합주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 및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고,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연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며,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다운로드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mixing)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의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연주 컨텐츠를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합주 컨텐츠 등록이 요청된 경우, 상기 합주 컨텐츠를 등록하는 UCC 합주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 악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를 통해 연주 컨텐츠가 선택되고, 악기 선택 메뉴를 통해 악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통신망을 통해 UCC 합주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부;
    상기 오디오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악기 연주 데이터를 인식하는 오디오 인식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고,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연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며,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다운로드된 연주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면서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오디오 인식부에서 인식된 연주 컨텐츠와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에 등록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된 합주 컨텐츠를 특정 구간의 반복, 늘이기, 줄이기, 잘라내기, 에코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편집 및 저장하고, 사이버 악기 모듈의 제어에 따라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는 연주 컨텐츠 관리 모듈;
    상기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 악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를 통해 연주 컨텐츠가 선택되고, 악기 선택 메뉴를 통해 악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연주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면서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는 사이버 악기 모듈; 및
    상기 연주 컨텐츠 관리 모듈을 통해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사이버 악기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UCC 합주 서비스 장치에 등록하는 합주 컨텐츠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5. 각 곡별로 서로 다른 악기로 연주된 연주 컨텐츠들이 저장된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합주 컨텐츠들이 저장된 합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로부터 연주 컨텐츠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연주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연주 컨텐츠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합주 컨텐츠를 포함하는 합주 컨텐츠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합주 컨텐츠를 사용자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합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합주 컨텐츠 처리부;
    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 브라우저에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접속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장치.
  7. 사용자 단말이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주 컨텐츠 요청 신호를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가 연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연주 컨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연주 컨텐츠를 저장하고,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포함하는 합주 컨텐츠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가 상기 합주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
  8. 사용자 단말이 UCC 합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c)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 악기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사이버 악기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연주 컨텐츠 선택 메뉴를 통해 연주 컨텐츠가 선택되고, 악기 선택 메뉴를 통해 악기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상기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합주 컨텐츠를 포함하는 합주 컨텐츠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
  11. (a)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웹 브라우저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주 컨텐츠를 상기 UCC 합주 서비스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c) 합주 서비스 명령이 입력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주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사이버 악기 연주 화면을 통해 악기 연주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재생되는 연주 컨텐츠와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를 믹싱하여 합주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CC 합주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전자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109855A 2012-10-04 2012-10-04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4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855A KR20140044003A (ko) 2012-10-04 2012-10-04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855A KR20140044003A (ko) 2012-10-04 2012-10-04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003A true KR20140044003A (ko) 2014-04-14

Family

ID=5065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855A KR20140044003A (ko) 2012-10-04 2012-10-04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40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6556A1 (en) * 2018-06-29 2020-01-02 Smule, Inc. Audiovisual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seed/join mechanic
KR20200121263A (ko) * 2019-10-30 2020-10-23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컨텐츠 재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6556A1 (en) * 2018-06-29 2020-01-02 Smule, Inc. Audiovisual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seed/join mechanic
KR20200121263A (ko) * 2019-10-30 2020-10-23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컨텐츠 재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8996B (zh) 用於控制複數個媒體玩家之瀏覽器可解釋文件與系統及其方法
KR101890376B1 (ko) 전자책 확장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51344A1 (en) Dynamic point referencing of an audiovisual performance for an accurate and precise selection and controlled cycling of portions of the performance
US20080235588A1 (en) Media player playlist creation and editing within a browser interpretable document
US20110153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text synchronized audio
CN110275982A (zh) 使用媒体消费历史的查询响应
CN102867526A (zh) 用于分布式音频文件编辑的门户网站
US20080235142A1 (en) System and methods for obtaining rights in playlist entries
CN101657816A (zh) 用于分布式音频文件编辑的门户网站
CN108292411A (zh) 使用对象资产生成视频内容项目
KR102029167B1 (ko) 사용자 상황에 따른 음악감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4003A (ko) Ucc 합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5046023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再生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バ及び方法
Herrero et al. An html5 interactive (mpeg-a im af) music player
US9720641B2 (en) Playback management device and program used therefor
KR102020341B1 (ko)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Turchet et al. FreesoundVR: soundscape composition in virtual reality using online sound repositories
JP6234080B2 (ja) 複数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可能な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Stolfi et al. Participatory musical improvisations with playsound. space
US8990087B1 (en) Providing text to speech from digital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JP6580927B2 (ja) カラオケ用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166370B2 (ja) 音声記録のための音声認識率を向上させ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2597327B1 (ko) 음원 홍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Harvell Make music with your iPad
JP2012220744A (ja) 楽曲の評価のための方法、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