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854A - 인재 추천을 활용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재 추천을 활용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854A
KR20140043854A KR1020120109686A KR20120109686A KR20140043854A KR 20140043854 A KR20140043854 A KR 20140043854A KR 1020120109686 A KR1020120109686 A KR 1020120109686A KR 20120109686 A KR20120109686 A KR 20120109686A KR 20140043854 A KR20140043854 A KR 20140043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employer
providing
recrui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민
Original Assignee
김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민 filed Critical 김지민
Priority to KR102012010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3854A/ko
Publication of KR2014004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재 추천을 활용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채용 중개 방법은, 고용주에 의해 등록된 채용정보를 기설정된 매칭기준에 따라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채용정보를 제공받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평가된 평가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용주에 의해 상기 프로필 정보가 승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고용주에 의해 요구된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고용주에 의해 채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재 추천을 활용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RECRUITMENT INTERMEDI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ALENTED PERSON RECOMMEND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재 추천을 활용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인 구직은 종전에는 각종 생활광고지 등을 이용하여 왔으나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정보망이 전세계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사람들은 이를 이용하여 구인 구직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상에는 각종 구인 구직 관련 중개 사이트가 많이 생겨났으며, 이를 통한 구인자와 구직자간의 상호 중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81103호에서는 유무선 연동 아르바이트 구인 구직 맞춤형 중개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채용 진행 시 구인자는 구직자가 제시한 서류, 구직자와의 인터뷰 또는 전문업체를 통한 레퍼런스 체크를 통해서만 구직자를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인제의 인품이나 업무역량 등을 파악하기에는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채용 중개가 가능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채용공고를 매칭된 타겟(믿을 수 있는 추천인)에게 노출하고, 인재(채용 지원자)에 대한 추천서를 매칭된 타겟인 추천인을 통해 등록받아 구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업에게는 최적인 인재를, 인재에게는 취업의 기회를, 추천인에게는 인재추천에 따른 보상을 각각 제공할 수 있는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고용주에 의해 등록된 채용정보를 기설정된 매칭기준에 따라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채용정보를 제공받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평가된 평가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용주에 의해 상기 프로필 정보가 승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고용주에 의해 요구된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고용주에 의해 채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용 중개 방법이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채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인맥분야, 경력사항, 학력사항, 능력사항, 소개정보, 주소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상기 채용정보와 단계적으로 비교하여 사용자를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맥분야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입력한 수동인맥분야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가입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관계가 설정된 인맥의 학력 및 경력 정보를 통해 분석된 자동인맥분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1) 제2 사용자의 프로필과 상기 채용정보간의 매칭정도, (2) 제2 사용자가 받는 추천서의 개수 및 추천서 평균점수, (3) 상기 제2 사용자의 성향 및 역량과 상기 고용주의 선호선향간의 매칭정도, (4) 추천서 개수, (5) 추천서 완성도 및 (6) 세부정보 완성도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이용하여 계산된 지원자 적합도를 상기 고용주에게 더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성향 및 역량은, 상기 제2 사용자가 가입한 SNS에서의 활동 성향을 분석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채용 중개 방법은, 상기 고용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채용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고용주와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고용주와 상기 제2 사용자간에 상기 채용 진행현황별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고용주에 의해 등록된 채용정보를 기설정된 매칭기준에 따라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채용정보 제공부, 상기 채용정보를 제공받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평가된 평가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프로필 정보 제공부, 상기 고용주에 의해 상기 프로필 정보가 승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고용주에 의해 요구된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세부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고용주에 의해 채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제공부를 포함하는 채용 중개 시스템이 제공된다.
채용공고를 매칭된 타겟(믿을 수 있는 추천인)에게 노출하고, 인재(채용 지원자)에 대한 추천서를 매칭된 타겟인 추천인을 통해 등록받아 구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업에게는 최적인 인재를, 인재에게는 취업의 기회를, 추천인에게는 인재추천에 따른 보상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채용 중개 시스템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채용 중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도시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재 추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천인의 추천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천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재에게 채용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천인에게 채용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용주에게 채용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재에게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용주에게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채용 중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채용 중개 시스템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구인자인 고용주(110)와 구직자 또는 지원자인 인재(120)간의 연결을 중개하기 위한 채용 중개 서비스를 고용주(110)와 인재(120)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단순히 고용주(120)와 인재(130)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 외에, 추천인(130)이 고용주(110)에게 인재(120)를 추천할 수 있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용주(110)가 채용정보를 등록하면,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채용 중개 시스템(100)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통해 고용주(110)의 채용정보를 노출할 수 있고, 매체를 통해 노출된 채용정보를 접한 추천인(130)은 고용주(110)의 채용정보에 대응하여 채용 중개 시스템(100)을 통해 인재(120)를 고용주(110)에게 추천할 수 있다.
채용 중개 시스템(100)을 이용한 전체 채용 과정은 일례로 도 2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용주(110), 인재(120) 및 추천인(130)은 각각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채용 중개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사이트(이하, 채용 중개 사이트)에 접속하여 채용 중개 시스템(10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인(130)이 인재(120)를 추천하는 것은, 추천인(130)이 추천인(130)의 단말기를 통해 채용 중개 사이트에 접속하여 추천서를 등록하는 과정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용주(110)가 구인광고를 등록하는 것은 고용주(110)가 고용주(110)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채용 중개 사이트에 접속하여 채용 중개 사이트를 통해 구인광고를 등록하는 과정일 수 있다. 다만, 이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용주(110), 인재(120) 및 추천인(130) 각각의 단말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채용 중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채용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210) 내지 단계(260)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단계들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채용 중개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단계(210) 내지 단계(26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210)에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고용주에 의해 등록된 채용정보를 기설정된 매칭기준에 따라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고용주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고용주(11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용주는 채용 중개 시스템(100)이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채용 중개 사이트의 등록 페이지를 통해 채용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채용 중개 사이트를 통해 등록된 채용정보를 기설정된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채용 중개 사이트를 적어도 포함하는 매체를 통해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다양한 매칭기준에 따라 매칭된 사용자에게만 채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채용공고매칭을 이용하여 채용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우선, 채용공고매칭은 사용자의 인맥분야와 경력, 학력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채용정보에 알맞은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일례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제1 차 내지 제3차의 단계별 매칭을 통해 채용정보가 제공될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차 매칭은 사용자의 인맥분야와 채용정보간의 매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차 매칭은 사용자의 수동인맥분야와 자동인맥분야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동인맥분야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입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인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동인맥분야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용 중개 사이트의 가입자들은 프로필 화면에서 페이스북과 같은 SNS와의 연동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가입자들은 특정 SNS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채용 중개 사이트에 가입할 수도 있고, 가입한 이후에 SNS의 정보를 가져오기 할 수도 있다.
가입자들의 프로필 화면에는 자신의 인맥분야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인맥분야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가입자들의 프로필 화면에서는 기본 1장 최대 6장까지 사진 업로드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기업들이 가입자들의 외관적인 모습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도시한 화면의 일례이다. 화면(300)은 채용 중개 사이트에서 사용자 'AAA'에게 할당된 페이지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화면(300)에서 제1 점선박스(31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인맥분야인 수동인맥분야를 나타낸다.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들을 기설정된 직종 및 업종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 후, 분류된 업종/직종이 채용정보의 업종/직종과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수동인맥분야에 따른 제1차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인맥분야에 "php, java, 개발자, 키워드광고, 온라인 마케팅"이라고 입력한 경우, "php, java, 개발자"를 통해 사용자의 직종이 "IT>웹프로그래머"로 분류될 수 있고, "키워드 광고,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사용자의 직종이 "사무>마케팅.광고.분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직종이 "IT>웹프로그래머" 및 "사무>마케팅.광고.분석"의 두 개의 직종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자동인맥분야는 사용자가 가입한 SNS(일례로, 페이스북)의 인맥(친구의 학력 및 경력)을 분석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AA"의 SNS 친구 "BBB"가 SNS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업로드 하였다고 가정하자.
(a) XX주식회사 / 과장 / 2008년 1월 ~ 현재 / 서울특별시 / YY 그룹 온라인 마켓팅 업무담당
(b) ZZ코리아 / 대리 / 2005년 6월 ~ 2008년 1월 / 서울 / 검색비즈니스 마켓플레이스 제휴, 상품기획 업무담당
이 경우,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a) 및 (b)의 정보에 기초하여 친구 "BBB"와 연관된 사용자 "AAA"의 자동인맥분야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결정할 수 있다.
(1) 온라인 마켓팅 → 사무>마켓팅.광고.분석(직종)
(2) 마켓플레이스 제휴, 상품기획 → 사무>기획전략경영(직종)
(3) YY 그룹 → 제조업>식품가공 개발(업종)
(4) ZZ코리아 → IT.웹통신>포털.인터넷(업종)
이때, 사용자 "AAA"의 자동인맥분야는 각 직종/업종 분야별로 SNS의 친구가 분포된 비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비중 이상의 자동인맥분야가 사용자 "AAA"의 자동인맥분야로 결정될 수 있으며, 만약, 결정된 자동인맥분야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상위비중순으로 기설정된 순위 이상의 자동인맥분야가 사용자 "AAA"의 자동인맥분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제2 차 매칭은 사용자의 경력사항과 채용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일 수 있으며, 제3 차 매칭은 사용자의 프로필 학력, 능력사항, 소개, 주소 중 적어도 하나와 채용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 매칭은 채용정보의 기업명, 업종, 직종과 개인 경력사항의 회사명, 업종, 직종, 그리고 구직업종, 구직직종을 비교하는 과정일 수 있으며, 제3 차 매칭은 채용정보의 근무지 주소, 경력수준, 학력사항 및 제한나이와 사용자의 거주지, 경력수준, 학력사항 및 나이를 비교하는 과정일 수 있다.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제1 매칭, 제2 매칭 및 제3 매칭을 통해 결정되는 제1 그룹, 제2 그룹 및 제3 그룹의 사용자들 중 중복을 제거한 일정수의 사용자를 선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용 중개 시스템(100)이 고용주 측의 비교 대상으로서 채용정보에서 비교대상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용주가 자신의 채용공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유형을 직접 결정할 수도 있다. 즉, 고용주는 채용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채용정보가 제공되기를 바라는 사용자들의 유형(경력, 학력, 성향, 추천서 개수, 추천서 평균점수 또는 인맥분야 등)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단계(220)에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채용정보를 제공받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평가된 평가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수신하여 고용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추천인(130)에, 제2 사용자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인재(12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즉, 단계(210)에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이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채용정보를 전달하면, 채용정보를 수신한 추천인(130)이 인재(120)를 평가하고, 평가정보가 포함된 프로필 정보를 채용 중개 시스템(1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등록된 프로필 정보의 완성도나 추천인의 정보, 평가정보 등을 체크하고, 프로필 정보에서 연락처나 이름 등의 개인정보를 삭제하여 고용주에게 전달할 수 있다. 프로필 정보에는 평가정보 외에도 인재(120) 또는 추천인(110)에 대한 간략한 경력정보 및 학력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채용 중개 사이트에서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를 용이하게 추천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재 추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400)은 제1 사용자가 가입된 SNS로부터 제1 사용자의 인맥정보를 불러와 표시한 특정 페이지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즉,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채용 중개 사이트의 특정 페이지를 통해 추천인(130)이 자신과 인맥관계가 있는 인재(120)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특정 페이지에는 제1 사용자와 SNS에서 인맥관계가 설정된 사람들의 이름, 사진, 경력, 학력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와 SNS에서 인맥관계가 설정된 사람들의 정보를 단순히 표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채용정보와 관련된 직종, 학력, 제1 사용자와의 친밀도에 따라 사람들이 리스팅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채용정보에 포함된 직종과 동일한 직종을 가진 사람들의 정보를 제1 사용자와의 친밀도에 따라 먼저 노출할 수 있으며, 직종을 표기하지 않은 사용자들의 정보를 제1 사용자와의 친밀도에 따라 나중에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직종의 사람들의 정보가 제1 사용자와의 친밀도에 따라 가장 마지막에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와의 친밀도는 SNS에서 제1 사용자의 글을 추천한 횟수나 덧글수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30일 기준으로 추천수 건당 1점, 덧글수 건당 2점과 같이 점수를 부여하여 친밀도가 계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천인의 추천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화면(500)은 채용 중개 사이트의 추천서 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추천서 페이지는 채용정보를 인재(120)에게 추천할 때 추천인(130)이 작성하기 위한 페이지뿐만 아니라,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지인에게 추천서를 작성해주거나 또는 추천서 작성을 요청할 수 있는 기능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화면(500)은 나에게 추천서를 작성해준 사람들의 점수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천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화면(600)은 추천인(130)이 인재(120)에 대해 작성한 추천서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개별 추천서에서는 정량적인 점수와 정성적인 추천서 내용이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선택사항이나 평판조회할 수 있는 사람들의 명담이 함께 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채용 중개 시스템(100)이 프로필 정보를 고용주에게 전달하면, 고용주는 프로필 정보를 검토하여 프로필 정보의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고용주에 의해 프로필 정보가 승인되는 경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로부터 고용주에 의해 요구된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고용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단순히 세부정보만을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제2 사용자에 대한 인재적합도매칭을 통해 지원자 적합도를 계산한 후, 계산된 지원자 적합도를 고용주에게 더 제공함으로써, 고용주의 채용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단계(230)에서 (1) 제2 사용자의 프로필과 상기 채용정보간의 매칭정도, (2) 제2 사용자가 받는 추천서의 개수 및 추천서 평균점수, (3) 상기 제2 사용자의 성향 및 역량과 상기 고용주의 선호선향간의 매칭정도, (4) 추천서 개수, (5) 추천서 완성도 및 (6) 세부정보 완성도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이용하여 계산된 지원자 적합도를 상기 고용주에게 더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의 성향 및 역량은, 제2 사용자가 가입한 SNS에서의 활동 성향을 분석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인재적합도매칭은 사용자가 기업의 인재상이나 채용정보에 얼마나 잘 맞는지 정량화한 적합도를 비율로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자기소개서에 포함된 키워드와 이력서의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을 기준으로 적합도를 산출하되, 추가로 이후 설명될 추천인의 추천서와 SNS에서 사용자가 활동한 성향, 기업의 채용정보와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그리고 기업이 기존에 채용한 인재의 성향패턴을 더 이용하여 인재적합도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인재적합도매칭은 채용정보와 사용자의 프로필간의 매칭정도, 사용자가 받은 추천서의 개수와 추천서 평균점수 및 기업의 선호성향과 개인성향 및 역량간의 매칭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채용정보와 사용자의 프로필간의 매칭정도는, 채용정보에 포함된 항목별 키워드들과 프로필의 항목별 키워드들간의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지수화될 수 있다. 또한, 추천서의 개수와 추천서의 평균점수에는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됨으로써 지수화될 수 있다.
기업의 선호성향은 기업의 인재상과 오픈된 포지션별로 기존 채용 완료된 인재성향의 패턴을 분석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개인성향 및 역량은, 사용자의 SNS 에서 사용자의 활동이나 인맥 등을 분석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때, 기업의 선호성향과 개인성향 및 역량은 기설정된 유형들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업의 선호성향과 개인성향 및 역량이 서로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매칭정도가 지수화될 수 있다.
인재의 기설정된 유형은 일례로, 외향성, 신경증,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과 같은 5가지 성향을 기준으로, 관찰자형, 불안형, 회의주의자, 생각부풀리기형, 쾌락주의자, 충동형, 기획자형, 복잡다단형과 같이 8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단계(240)에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의 세부정보가 승인되는 경우에 진행되는 인터뷰의 스케쥴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고용주의 가능 스케쥴과 제2 사용자의 가능 스케쥴을 비교하여 최적의 스케쥴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프로필 정보나 세부정보에서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연락처, 이름 등을 삭제한 후, 직접 스케쥴을 중개할 수 있다.
단계(250)에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채용이 성사되는 경우, 제2 사용자로 합격을 통보할 수 있다. 스케쥴을 조정하거나 합격을 통보하는 단계(240) 또는 단계(25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용 중개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260)에서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제2 사용자가 고용주에 의해 채용되는 경우, 제1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보상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보상은 금전적 보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간을 나누어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2 사용자의 입사일에 30%, 재직 3개월 이후에 70%의 보상금을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채용 중개 방법은 상술한 단계들 중 적어도 두 단계의 사이에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고용주,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채용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미도시) 및 고용주와 제1 사용자 또는 고용주와 제2 사용자간에 채용 진행현황별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재에게 채용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개인 지원화면(700)은 인재(120)에게 자신의 지원현황에 대해 단계별 알림, 메일 등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현재의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개인 지원화면(700)에서는 고용주(110)가 요구하는 추가사항에 대한 정보(710)도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용공고 지원 시 지원자(인재(120))는 기업(고용주(130))이 자신의 이력서를 확인했는지 여부와 현재, 어느 단계까지 진행되고 있는가에 대해 궁금해하나, 기업에서는 일일이 개인적으로 지원자들에게 알림을 보내거나 단계별 진행내역을 공유해주는 것을 번거로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별 진행현황을 지원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원자들의 궁금증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추천인에게 채용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추천관리화면(800)은 추천인(130)이 추천한 인재(120)의 채용이 현재 어느 단계인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인재(120)의 채용 시 등록된 계좌를 통해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추천인(130)에게도 단계별 진행현황이 제공되어 추천인이 현재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용주에게 채용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추천관리화면(900)은 고용주(110)에게 제공되는 화면으로, 기업이 각 단계별 진행상황과, 각 단계별 지원자들의 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재에게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고용주에게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면(1000)과 화면(1200)에서는 인재와 고용주간에 일대일 대화가 가능한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즉, 단순히 Q&A와 같은 게시판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인재와 고용주가 각 단계별로 일대일 대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채용 중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용 중개 시스템(1200)은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채용 중개 시스템(100)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채용 중개 시스템(12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용정보 제공부(1210), 프로필 정보 제공부(1220), 세부정보 제공부(1230) 및 보상 제공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채용정보 제공부(1210)는 고용주에 의해 등록된 채용정보를 기설정된 매칭기준에 따라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고용주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고용주(11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용주는 채용 중개 시스템(100)이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채용 중개 사이트의 등록 페이지를 통해 채용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채용정보 제공부(1210)는 채용 중개 사이트를 통해 등록된 채용정보를 기설정된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채용 중개 사이트를 적어도 포함하는 매체를 통해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채용정보 제공부(1210)는 다양한 매칭기준에 따라 매칭된 사용자에게만 채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용정보 제공부(1210)는 채용공고매칭을 이용하여 채용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우선, 채용공고매칭은 사용자의 인맥분야와 경력, 학력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채용정보에 알맞은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일례로, 채용정보 제공부(1210)는 제1 차 내지 제3차의 단계별 매칭을 통해 채용정보가 제공될 사용자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차 매칭은 사용자의 인맥분야와 채용정보간의 매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차 매칭은 사용자의 수동인맥분야와 자동인맥분야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채용정보 제공부(121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동인맥분야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입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인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동인맥분야를 결정할 수 있다.
자동인맥분야는 사용자가 가입한 SNS(일례로, 페이스북)의 인맥(친구의 학력 및 경력)을 분석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AA"의 SNS 친구 "BBB"가 SNS에 다음과 같은 정보를 업로드 하였다고 가정하자.
(a) XX주식회사 / 과장 / 2008년 1월 ~ 현재 / 서울특별시 / YY 그룹 온라인 마켓팅 업무담당
(b) ZZ코리아 / 대리 / 2005년 6월 ~ 2008년 1월 / 서울 / 검색비즈니스 마켓플레이스 제휴, 상품기획 업무담당
이 경우, 채용정보 제공부(1210)는 (a) 및 (b)의 정보에 기초하여 친구 "BBB"와 연관된 사용자 "AAA"의 자동인맥분야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결정할 수 있다.
(1) 온라인 마켓팅 → 사무>마켓팅.광고.분석(직종)
(2) 마켓플레이스 제휴, 상품기획 → 사무>기획전략경영(직종)
(3) YY 그룹 → 제조업>식품가공 개발(업종)
(4) ZZ코리아 → IT.웹통신>포털.인터넷(업종)
이때, 사용자 "AAA"의 자동인맥분야는 각 직종/업종 분야별로 SNS의 친구가 분포된 비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비중 이상의 자동인맥분야가 사용자 "AAA"의 자동인맥분야로 결정될 수 있으며, 만약, 결정된 자동인맥분야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상위비중순으로 기설정된 순위 이상의 자동인맥분야가 사용자 "AAA"의 자동인맥분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제2 차 매칭은 사용자의 경력사항과 채용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일 수 있으며, 제3 차 매칭은 사용자의 프로필 학력, 능력사항, 소개, 주소 중 적어도 하나와 채용정보를 매칭하는 과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 매칭은 채용정보의 기업명, 업종, 직종과 개인 경력사항의 회사명, 업종, 직종, 그리고 구직업종, 구직직종을 비교하는 과정일 수 있으며, 제3 차 매칭은 채용정보의 근무지 주소, 경력수준, 학력사항 및 제한나이와 사용자의 거주지, 경력수준, 학력사항 및 나이를 비교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채용정보 제공부(1210)는 제1 매칭, 제2 매칭 및 제3 매칭을 통해 결정되는 제1 그룹, 제2 그룹 및 제3 그룹의 사용자들 중 중복을 제거한 일정수의 사용자를 선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채용정보 제공부(1210)는 고용주 측의 비교 대상으로서 채용정보에서 비교대상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용주가 자신의 채용공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유형을 직접 결정할 수도 있다. 즉, 고용주는 채용정보를 등록하는 경우, 채용정보가 제공되기를 바라는 사용자들의 유형(경력, 학력, 성향, 추천서 개수, 추천서 평균점수 또는 인맥분야 등)을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프로필 정보 제공부(1220)는 채용정보를 제공받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평가된 평가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수신하여 고용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추천인(130)에, 제2 사용자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인재(12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즉, 채용정보 제공부(1210)가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채용정보를 전달하면, 채용정보를 수신한 추천인(130)이 인재(120)를 평가하고, 평가정보가 포함된 프로필 정보를 채용 중개 시스템(1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필 정보 제공부(1220)는 등록된 프로필 정보의 완성도나 추천인의 정보, 평가정보 등을 체크하고, 프로필 정보에서 연락처나 이름 등의 개인정보를 삭제하여 고용주에게 전달할 수 있다. 프로필 정보에는 평가정보 외에도 인재(120) 또는 추천인(110)에 대한 간략한 경력정보 및 학력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프로필 정보 제공부(1220)는, 채용 중개 사이트에서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를 용이하게 추천할 수 있도록 도 4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필 정보 제공부(1220)는 채용 중개 사이트의 특정 페이지를 통해, 제1 사용자와 SNS에서 인맥관계가 설정된 사람들의 이름, 사진, 경력, 학력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필 정보 제공부(1220)는 제1 사용자와 SNS에서 인맥관계가 설정된 사람들의 정보를 단순히 표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채용정보와 관련된 직종, 학력, 제1 사용자와의 친밀도에 따라 사람들이 리스팅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 정보 제공부(1220)는 채용정보에 포함된 직종과 동일한 직종을 가진 사람들의 정보를 제1 사용자와의 친밀도에 따라 먼저 노출할 수 있으며, 직종을 표기하지 않은 사용자들의 정보를 제1 사용자와의 친밀도에 따라 나중에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직종의 사람들의 정보가 제1 사용자와의 친밀도에 따라 가장 마지막에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와의 친밀도는 SNS에서 제1 사용자의 글을 추천한 횟수나 덧글수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30일 기준으로 추천수 건당 1점, 덧글수 건당 2점과 같이 점수를 부여하여 친밀도가 계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프로필 정보 제공부(1220)가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채용정보 제공부(1210)에 의해 제공되거나 별도의 구성(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필 정보 제공부(1220)가 프로필 정보를 고용주에게 전달하면, 고용주는 프로필 정보를 검토하여 프로필 정보의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세부정보 제공부(1230)는 고용주에 의해 프로필 정보가 승인되는 경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로부터 고용주에 의해 요구된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고용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세부정보 제공부(1230)는 단순히 세부정보만을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제2 사용자에 대한 인재적합도매칭을 통해 지원자 적합도를 계산한 후, 계산된 지원자 적합도를 고용주에게 더 제공함으로써, 고용주의 채용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부정보 제공부(1230)는 (1) 제2 사용자의 프로필과 상기 채용정보간의 매칭정도, (2) 제2 사용자가 받는 추천서의 개수 및 추천서 평균점수, (3) 상기 제2 사용자의 성향 및 역량과 상기 고용주의 선호선향간의 매칭정도, (4) 추천서 개수, (5) 추천서 완성도 및 (6) 세부정보 완성도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이용하여 계산된 지원자 적합도를 상기 고용주에게 더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용자의 성향 및 역량은, 제2 사용자가 가입한 SNS에서의 활동 성향을 분석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인재적합도매칭은 사용자가 기업의 인재상이나 채용정보에 얼마나 잘 맞는지 정량화한 적합도를 비율로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채용 중개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자기소개서에 포함된 키워드와 이력서의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을 기준으로 적합도를 산출하되, 추가로 이후 설명될 추천인의 추천서와 SNS에서 사용자가 활동한 성향, 기업의 채용정보와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그리고 기업이 기존에 채용한 인재의 성향패턴을 더 이용하여 인재적합도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인재적합도매칭은 채용정보와 사용자의 프로필간의 매칭정도, 사용자가 받은 추천서의 개수와 추천서 평균점수 및 기업의 선호성향과 개인성향 및 역량간의 매칭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채용정보와 사용자의 프로필간의 매칭정도는, 채용정보에 포함된 항목별 키워드들과 프로필의 항목별 키워드들간의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지수화될 수 있다. 또한, 추천서의 개수와 추천서의 평균점수에는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됨으로써 지수화될 수 있다.
기업의 선호성향은 기업의 인재상과 오픈된 포지션별로 기존 채용 완료된 인재성향의 패턴을 분석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개인성향 및 역량은, 사용자의 SNS 에서 사용자의 활동이나 인맥 등을 분석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때, 기업의 선호성향과 개인성향 및 역량은 기설정된 유형들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업의 선호성향과 개인성향 및 역량이 서로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매칭정도가 지수화될 수 있다.
인재의 기설정된 유형은 일례로, 외향성, 신경증,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과 같은 5가지 성향을 기준으로, 관찰자형, 불안형, 회의주의자, 생각부풀리기형, 쾌락주의자, 충동형, 기획자형, 복잡다단형과 같이 8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보상 제공부(1240)는 제2 사용자가 상기 고용주에 의해 채용되는 경우, 제1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보상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보상은 금전적 보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간을 나누어 보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2 사용자의 입사일에 30%, 재직 3개월 이후에 70%의 보상금을 제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채용 중개 시스템(1200)은 필요에 따라, 제2 사용자의 세부정보가 승인되는 경우에 진행되는 인터뷰의 스케쥴을 조정하는 스케쥴 조정부(미도시), 채용이 성사되는 경우, 제2 사용자로 합격을 통보하는 합격 통보부(미도시), 고용주,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채용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채용 진행현황 제공부(미도시) 및 고용주와 제1 사용자 또는 고용주와 제2 사용자간에 채용 진행현황별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 생략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채용공고를 매칭된 타겟(믿을 수 있는 추천인)에게 노출하고, 인재(채용 지원자)에 대한 추천서를 매칭된 타겟인 추천인을 통해 등록받아 구인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업에게는 최적인 인재를, 인재에게는 취업의 기회를, 추천인에게는 인재추천에 따른 보상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채용 중개 시스템
110: 고용주
120: 인재
130: 추천인

Claims (5)

  1. 고용주에 의해 등록된 채용정보를 기설정된 매칭기준에 따라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채용정보를 제공받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평가된 평가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용주에 의해 상기 프로필 정보가 승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고용주에 의해 요구된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고용주에 의해 채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용 중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인맥분야, 경력사항, 학력사항, 능력사항, 소개정보, 주소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상기 채용정보와 단계적으로 비교하여 사용자를 매칭하고,
    상기 인맥분야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입력한 수동인맥분야 정보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가입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관계가 설정된 인맥의 학력 및 경력 정보를 통해 분석된 자동인맥분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용 중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1) 제2 사용자의 프로필과 상기 채용정보간의 매칭정도, (2) 제2 사용자가 받는 추천서의 개수 및 추천서 평균점수, (3) 상기 제2 사용자의 성향 및 역량과 상기 고용주의 선호선향간의 매칭정도, (4) 추천서 개수, (5) 추천서 완성도 및 (6) 세부정보 완성도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이용하여 계산된 지원자 적합도를 상기 고용주에게 더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성향 및 역량은, 상기 제2 사용자가 가입한 SNS에서의 활동 성향을 분석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용 중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주, 상기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2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채용 진행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고용주와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고용주와 상기 제2 사용자간에 상기 채용 진행현황별 실시간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용 중개 방법.
  5. 고용주에 의해 등록된 채용정보를 기설정된 매칭기준에 따라 매칭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채용정보 제공부;
    상기 채용정보를 제공받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가 평가된 평가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프로필 정보 제공부;
    상기 고용주에 의해 상기 프로필 정보가 승인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고용주에 의해 요구된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용주에게 제공하는 세부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고용주에 의해 채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게 기설정된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제공부
    를 포함하는 채용 중개 시스템.
KR1020120109686A 2012-10-02 2012-10-02 인재 추천을 활용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3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686A KR20140043854A (ko) 2012-10-02 2012-10-02 인재 추천을 활용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686A KR20140043854A (ko) 2012-10-02 2012-10-02 인재 추천을 활용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854A true KR20140043854A (ko) 2014-04-11

Family

ID=5065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686A KR20140043854A (ko) 2012-10-02 2012-10-02 인재 추천을 활용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3854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876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홈스토리생활 O2o 기반 구인 구직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WO2018169338A1 (ko) * 2017-03-17 2018-09-20 (주) 어라운드어스 인터넷기반 사회 연결망 서비스에서 회원 프로필의 순위 및 등급 산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90108906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이너링크컨설팅 구직자 및 구인대행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구인구직 채용방법
KR20200033003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후이즈시스템 인적 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178935B1 (ko) * 2020-02-21 2020-11-13 (주)이음길에이치알 인공지능을 이용한 전직지원 관리서버 및 전직지원 관리방법
KR20210012197A (ko) * 2019-07-24 2021-02-03 (주)사람인에이치알 정보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319077B1 (ko) * 2020-12-18 2021-10-29 주식회사 컴퍼니제이 온라인 지원자 이력 제공 및 채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57717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위크루트 인재선발을 위한 인재검증 및 관리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210157724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위크루트 인재채용을 위한 레퍼런스 체크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2522192B1 (ko) 2022-06-20 2023-04-14 주식회사 위세스 자가 실시 평판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채용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4459B1 (ko) 2022-09-01 2023-07-11 주식회사 위세스 채용 플랫폼 이용자 간의 매칭을 통한 평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876A (ko) * 2015-02-25 2016-09-02 주식회사 홈스토리생활 O2o 기반 구인 구직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WO2018169338A1 (ko) * 2017-03-17 2018-09-20 (주) 어라운드어스 인터넷기반 사회 연결망 서비스에서 회원 프로필의 순위 및 등급 산출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90108906A (ko) *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이너링크컨설팅 구직자 및 구인대행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구인구직 채용방법
KR20200033003A (ko) * 2018-09-19 2020-03-27 주식회사 후이즈시스템 인적 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WO2020060181A3 (ko) * 2018-09-19 2020-05-28 주식회사 후이즈시스템 인적 자원 정보 활용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210012197A (ko) * 2019-07-24 2021-02-03 (주)사람인에이치알 정보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178935B1 (ko) * 2020-02-21 2020-11-13 (주)이음길에이치알 인공지능을 이용한 전직지원 관리서버 및 전직지원 관리방법
KR20210157717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위크루트 인재선발을 위한 인재검증 및 관리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210157724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위크루트 인재채용을 위한 레퍼런스 체크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2319077B1 (ko) * 2020-12-18 2021-10-29 주식회사 컴퍼니제이 온라인 지원자 이력 제공 및 채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22192B1 (ko) 2022-06-20 2023-04-14 주식회사 위세스 자가 실시 평판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채용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4459B1 (ko) 2022-09-01 2023-07-11 주식회사 위세스 채용 플랫폼 이용자 간의 매칭을 통한 평판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962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indexing user data for unknown users
He et al.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social media adoption by small businesses
KR20140043854A (ko) 인재 추천을 활용한 채용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00689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s to manage company employee networks
Akareem et al. Determinants of education quality: what makes students’ perception different?
Lockett Online marketing strategies for increasing sales revenues of small retail businesses
Kang et al. Determinants of sharing travel experiences in social media
US9547832B2 (en) Identifying individual intentions and determining responses to individual intentions
US11189187B2 (en) Online personality testing providing individual contextual assessments in a secure integrated environment
US201302826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Profile Creation and Access Control
US20130046704A1 (en) Recruitment Interaction Management System
Kim et al. Representation and diversity, advocacy, and nonprofit arts organizations
Baykal Digital era and new methods for employee recruitment
Matidza et al. Use of digital marketing in estate agency industry in Malawi
US20160162840A1 (en) Talent acquisi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13246453A (ja) 求人・求職活動支援システム及び求人・求職活動支援プログラム
US20130006681A1 (en) Human resource analytics with profile data
Saad Contemporary challenges of human resource planning in tourism and hospitality organizations: A conceptual model
Lahav Public relations activity in the new media in Israel 2012: Changing relationships
US201300242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company culture
Cowgill et al. Delegation in hiring: Evidence from a two-sided audit
US20170109702A1 (en) Campus hiring workflow
Mukherjee et al. Understanding promotional service interactions through social exchange theory of affect
Hizam-Hanafiah et al. Critical Success Factors of Franchising Firms: A Study on Franchisors and Franchisees
Hwang Investigating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otivation in a mandatory adoption of content manageme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