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548A -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548A
KR20140043548A KR1020120105786A KR20120105786A KR20140043548A KR 20140043548 A KR20140043548 A KR 20140043548A KR 1020120105786 A KR1020120105786 A KR 1020120105786A KR 20120105786 A KR20120105786 A KR 20120105786A KR 20140043548 A KR20140043548 A KR 20140043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cohol
hair
composition
hair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008B1 (ko
Inventor
김보현
황재훈
허준
김기철
유환희
Original Assignee
소망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망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망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0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4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염모제 조성물은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과 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은,
(a-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폴리옥시에칠렌알킬에텔 및 C8~C16 알킬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비이온 계면활성제;
(a-2) PEG-4, PEG-6 및 PEG-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콕시레이트알콜; 및
(a-3)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및 포타슘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A hair-dyeing composition keeping stable foaming form}
본 발명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양이온계면활성제, 킬레이트화제, 산화방지제, 산화염료, 알칼리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혼자서 쉽게 염색이 가능한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로서, 기존의 크림 또는 로션제형의 염모제를 탈피하여 거품을 발생시켜 모발에 20~30분 이상 안정적으로 접착하여 흘러내림이 없을 뿐 아니라 거품 형태도 안정적으로 지속되어 타인의 도움 없이 모발 도포가 용이한 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모제는 모발에 염색된 색의 지속성과 내구성에 따라 일시적 염모제, 반영구적 염모제, 영구적 염모제로 구별할 수 있다. 이 중 영구적 염모제에는 사용되는 염료에 따라 산화 염모제, 금속 염모제 및 식물성 염모제 등이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염모제는 산화 염료 전구체와 아미노 화합물과 같은 산화염료를 사용하는 산화 염모제이다.
기존의 산화 염모제는 1제(염모제)와 2제(산화제)로 된 로션 또는 크림상의 제형으로서, 각종 유용한 성분물질과 유상물질을 안정적으로 유화함은 물론 모발 부착성이 좋아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제형의 경우 일반적으로 브러시를 사용하여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게 되나 모발에 도포가 되지 않은 부분, 즉 빗질이 잘 되지 않은 부분은 염색이 되지 않기 때문에 꼼꼼히 발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욱이 경험이 적은 일반 사용자들은 꼼꼼히 바르지 못하는 문제점에 더하여 소요시간도 많이 걸리는바, 결국 도포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여 첫 도포된 부분과 마지막에 도포된 부분의 염색 정도가 달라지는 단점까지 따른다.
이와 같이 1, 2제의 혼합 크림은 사용자 개인이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기에는 일부 제약과 불편함이 따르며, 모발의 단위 부피 대비 혼합 크림의 사용량도 높은 결점을 지닌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점성의 크림 또는 로션 제형을 대신하여, 1제와 2제 내용물에 LPG가스를 충전하여 무스형의 거품을 발생시키는 방식이 연구되었다. 이는 브러시질을 하지 않고 손으로 모발에 도포하기 때문에 혼자서 쉽게 컨트롤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하지만 가스를 충전하여 쓰는 무스 타입의 경우 가스 충전에 따른 위험성은 물론, 내용물 용기와 1, 2제 혼합용 캡의 접착의 불안정성 때문에 1, 2제가 고루 섞이지 않고 한쪽만 흘러나오는 경우가 발생하여 1, 2제의 적절한 양을 맞추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상황하에서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1제, 2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발생된 거품을 모발에 도포하는 거품 타입의 염모제로서, 브러시를 이용하는 로션 또는 크림 제형의 산화형 영구 염모제에 비해 도포시간이 짧아, 염색 시간 차이에 따른 염색 정도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으며, 거품 형태도 안정적으로 지속되어 타인의 도움 없이 모발 도포가 용이한 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은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과 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은,
(a-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폴리옥시에칠렌알킬에텔 및 C8~C16 알킬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비이온 계면활성제;
(a-2) PEG-4, PEG-6 및 PEG-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콕시레이트알콜; 및
(a-3)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및 포타슘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에서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은,
(a-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폴리옥시에칠렌알킬에텔 및 C8~C16 알킬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비이온 계면활성제;
(a-2) PEG-4, PEG-6 및 PEG-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콕시레이트알콜;
(a-3)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및 포타슘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a-4) 무수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 및 암모늄치오글라이콜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
(a-5)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인 킬레이트화제;
(a-6) p-페닐렌디아민, o-페닐렌디아민, 레조시놀, 2-메칠레조시놀, m-페닐렌디아민, m-아미노페놀, o-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톨루엔디아민류, 아미노니트로페놀류, 디페닐아민류, N-페닐디아민류 및 디아미노피리딘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염료;
(a-7) 모노에탄올아민 및 암모니아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칼리제;
(a-8)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콜 및 베헤닐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방알코올;
(a-9)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및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a-10)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습제; 및
(a-11)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은,
(b-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폴리옥시에칠렌알킬에텔 및 C8~C16 알킬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b-2) 소듐라우릴설페이트, 포타슘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및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계면활성제;
(b-3)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방알코올;
(b-4) 메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하이드록시구아닌,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릭애씨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및 폴리쿼터늄-2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점증제;
(b-5) 인산 및 소듐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pH조정제;
(b-6) 에티드로닉애씨드 및 디소듐이디티에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
(b-7) 35% 과산화수소수인 산화제; 및
(b-8)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과 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의 각 성분 함량은,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의 경우, 비이온 계면활성제 1.0~10.0 중량%(염모제 1제 조성물 전체 대비 비율임, 이하 같음), 알콕시레이트알콜 0.1~5.0 중량%,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0.1~10.0 중량%, 산화방지제 0.1~1.0 중량%, 킬레이트화제 0.05~0.5 중량%, 산화염료 0.1~8.0 중량%, 알칼리제 1.0~15.0 중량%, 지방알코올 0.1~10.0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0.1~5.0 중량%, 보습제 1.0~5.0 중량%, 정제수 30.50~96.35 중량%이고,
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의 경우, 비이온 계면활성제 1.0~10.0 중량%(염모제 2제 조성물 전체 대비 비율임, 이하 같음), 음이온계면활성제 0.1~5.0 중량%, 지방알코올 0.1~1.0 중량%, 점증제 0.1~1.0 중량%, pH조정제 0.01~2.0 중량%, 킬레이트화제 0.05~0.5 중량%, 산화제 8.0~17.0 중량%, 정제수 72.5%~90.64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1제, 2제의 제형을 액상으로 한다. 또한 거품을 내고 성분을 가용화하여 투명 액상을 유지하기 위해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과 폴리옥시에칠렌알킬에텔로 된 비이온계면활성제를 투입하고, 거품을 풍성하게 하기 위해 C8~C16 알킬글로코사이드로 된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주 계면활성제로 투입한다. 또한 PEG-4, PEG-6, PEG-8 등의 알콕시레이트알콜을 적용하여 모발에 보습성과 폼의 조밀성을 부여하며,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포타슘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등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모발 보습과 거품의 안정성, 제형의 투명성을 동시에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산화형 염모제는 액상의 1제 조성물과 액상의 2제 조성물을 혼합 시 발생한 거품을 모발에 샴푸하듯 손으로 도포하는 것만으로도 30분 이상 모발에 안정적으로 부착하기 때문에, 빗질을 하여 꼼꼼하게 바를 필요 없이 간단히 모발을 골고루 염색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로션, 크림 제형의 염모제 모발 도포 시간에 비하여 도포 시간이 대폭 단축되므로, 시술시간의 단축 및 도포 시간 차이로 인한 모발의 얼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물에 쉽게 씻겨 나가기 때문에 염색 후 세정시간 역시 단축된다.
본 발명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알콕시레이트알콜, 산화방지제, 킬레이트화제, 산화염료, 알칼리제 등을 포함하는 1제 조성물과,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 지방알코올, 점증제, pH조정제 등을 포함하는 2제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점성의 크림 또는 로션 제형을 대신하여 1제와 2제 내용물에 LPG가스를 충전하여 무스형의 거품을 발생시키는 방식이 연구되었지만, 가스를 충전하여 쓰는 무스타입의 경우 가스 충전에 따른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용기에 염모제 조성물과 가스를 함께 충전할 경우 제품 운반이나 보관 중에 용기가 파손될 경우 압력 차이에 의해 내용물과 가스가 외부로 토출되어 1제 내용물에 의해 바닥이나 벽면, 기타 사물이 변색되거나, 2제 내용물의 산화제에 의해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1제와 2제가 정확한 비율로 혼합토출되어야 하지만, 시중에 출시된 가스 충전형 제품의 경우 간혹 1제 혹은 2제만 토출되거나 1:1의 비율로 토출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이 투명한 액상으로, 사용 직전에 필요한 양을 혼합용기에 붓고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거품을 발생시켜 모발에 도포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가 없을 뿐 아니라 빗질을 하여 꼼꼼히 모발에 도포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발생된 거품은 일반적인 염색시간(20~40분) 동안 모발에 안정적으로 부착하여 흘러내리지 않는 편리함이 있다.
더욱이 모발 도포시간이 1~3분 정도로 단축되어, 종래의 로션, 크림 제형의 염모제가 모발에 도포하는 데 5~30분 소요되는 것을 감안할 때, 시술시간의 단축 및 도포시간 차이로 인한 모발의 얼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물에 쉽게 씻겨 나가기 때문에 염색 후 세정시간의 단축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투명 제형의 염모용 조성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크림 제형보다 모발 컨디셔닝에 도움을 줄 유상물질을 가용화하는 데 있어서 그 양이 제한적이고 제형의 안정성도 떨어지는 결과, 가용화 범위 내에서의 유상물질로는 모발에 컨디셔닝을 부여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그래서 로션, 크림 제형에 비해 모발에 적용한 후에 모발이 뻣뻣하거나 거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극복하고자 PEG-4, PEG-6, PEG-8 등의 알콕시레이트알콜을 적용하여 모발에 보습성을 부여하는 한편,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포타슘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적용하여 모발 보습과 거품의 안정성, 제형의 투명성을 동시에 확보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염모용 조성물의 대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산화 염료로서 레조시놀 0.4 중량%, m-아미노페놀 0.03 중량%, 황산톨루엔-2,5-디아민(톨루엔디아민류) 0.7 중량%, p-아미노페놀 0.35 중량%, o-아미노페놀 0.15 중량%, 킬레이트화제로서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0.1 중량%, 산화방지제로서 무수아황산나트륨 0.4 중량%와 아스코르빈산 0.4 중량%, 비이온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1.5 중량%와 폴리옥시에칠렌알킬에텔 3.0 중량%, 보습제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3.0 중량%, 양이온계면활성제로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0.8 중량%, 지방알코올로서 미리스틸알코올 0.5 중량%, 알칼리제로 모노에탄올아민 6.0 중량%, 용제로 정제수를 사용하여 1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fig. 1).
Figure pat00001

[실시예 #1-2]
상기 #1-1에서 알콕시레이트 알코올로서 PEG-8 3.0 중량%를 추가하였다.
[실시예 #1-3]
상기 #1-1에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서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 2.0 중량%를 추가하였다.
[실시예 #1-4]
상기 #1-1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알킬(C8~C16)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4.0 중량%를 추가하였다.
[실시예 1-5]
상기 #1-1에서 알콕시레이트 알코올로서 PEG-8 3.0 중량%,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로서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 2.0 중량%, 그리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알킬(C8~C16)글루코사이드 (Decyl glucoside) 4.0 중량%를 추가하였다.
[실시예 2]
점증제로서 폴리쿼터늄-10 0.2 중량%,
킬레이트화제로 에티드로닉애씨드 0.05 중량%,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와 폴리옥시에칠렌알킬에텔 3.0 중량%,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1.5 중량%
지방알코올로 미리스틸알코올 0.5 중량%,
pH 조정제로 인산과 소듐포스페이트 각각 0.1 중량%,
산화제로 35% 과산화수소수 17.0 중량%,
용제로 정제수를 사용하여 2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fig. 2).
Figure pat00002

[실험예 1] 거품 발생력에 대한 평가
1, 2제 조성물을 1:1의 비율로 거품발생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편편한 유리판에 거품을 발생하게 하고 거품의 상태를 평가하였다(fig. 3).
Figure pat00003

1, 2제 조성물을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디스펜서로 거품을 만들어본 결과, PEG-8 3.0 중량%를 첨가하였을 때(실시예 #1-2),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 2.0 중량% 첨가하였을 때(실시예 #1-3), 알킬(C8~C16)글루코사이드 4.0 중량%를 첨가하였을 때(실시예 #1-4), 그리고 PEG-8 3.0 중량%,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 2.0 중량%, 알킬(C8~C16)글루코사이드 4.0 중량%를 모두 첨가하였을 때(실시예 #5) 등 네 가지 경우 모두 거품이 고르게 형성되고, 거품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실시예 #1-1의 경우는 거품의 형태가 거의 없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위 결과로부터는 실시예 #1-2부터 실시예 #1-5까지 모두가 실시예 #1-1보다 효과가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더욱 정밀하게 확인하기 위해 실험예 2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2] 거품 유지력에 대한 평가
1, 2제 조성물을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거품발생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메스실린더에 거품을 발생시켜 시간 경과에 따라 거품이 터져 액화가 되는 양을 측정하였다.
보통의 염색시간이 1, 2제 혼합물을 모발에 20~40분간 도포하여 방치하는 것을 감안하여 30분 경과 때의 액의 발생량을 확인한 결과(fig. 4),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fig. 5).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실험 결과 실시예 #1-1에 비해 실시예 #1-2부터 실시예 #1-5까지 모두가 거품이 터져 액화되는 양이 적었으며, 특히 실시예 #1-5의 거품 유지력이 가장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는 실시예 #1-5가 알콕시레이트 알콜과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3] 염색 후 모발 컨디셔닝에 대한 평가
자연모를 길이 15cm로 3g을 취하여 3개의 샘플을 준비하고 각각 A, B, C로 라벨링을 한 후 아래와 같이 처리하였다.
A :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음
B : 실시예 #1-5와 실시예 #2의 조성물을 1:1로 혼합하여 디스펜서로 거품을 내어 20분간 처리한 후 흐르는 물에 1분간 세척한다. 그 후 자연건조 시킨다.
C : 기존 타입의 크림 제형 염모제를 구현하기 위하여 B와 동일한 양의 산화염료, 알카리제, 과산화수소로 구성된 크림 타입(fig. 6)을 제조하여 1, 2제를 1:1로 혼합한 다음 20분간 처리한 후 흐르는 물에 1분간 세척한다. 그 후 자연건조시킨다.
Figure pat00006

불특정 100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2가지 항목에 대해 관능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1. 손으로 매만졌을 때 모발의 촉감
2. 손빗질시 전체적인 모발의 엉김
가장 높은 점수는 5점, 가장 낮은 점수는 1점으로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5점 : 매우 좋다, 4점 : 좋다, 3점 : 보통, 2점 : 나쁘다, 1점: 매우 나쁘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실험 결과(fig. 7 및 8)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자연모발의 경우 테스트 1, 2 모두 가장 좋은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의 경우에도 기존의 크림제형의 염모제와 비교 시 더 높은 결과를 얻었으며, 이로부터 염색 후에도 모발의 손상되는 정도가 더 작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염모력에 대한 평가
염모력을 평가하기 위해 질량 1.0g 길이 5.0cm의 표준백모 샘플을 준비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염모제 1제 조성물과 2제 조성물의 1:1로 혼합물로 20분간 염모처리한 후 2분간 흐르는 물에 세척, 건조하여 염모력을 평가하였다.
염모력에 대한 평가 방법은 색차계(Spectrophotometer CM-5, KONICA MINOLTA SENSING, INC)를 이용하여 표준백모를 기준으로 각각의 시료의 색차값(ΔE)을 측정하였다. ΔE 값은 표준시료(백모)와 시료의 색에 대한 차이에 대한 값이며 이 값이 클수록 염모력이 뛰어남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9

실험 결과(fig. 9) 각각의 액상 제형의 실시예 #1-1~#1-5 조건에 대해서는 ΔE값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종래의 크림 제형(실험예 3의 내용물 C)의 값과 비교하였을 때 약 11% 정도 염모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실험예 1부터 실험예 4까지를 통하여 1제 실시예 #1-5과 2제 조성물을 1:1로 혼합하였을 때 거품의 안정성이 높고, 염색 후 모발의 손상이 덜하며, 염색력 또한 기존 크림 타입의 염모제와 비교해 떨어지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3)

  1.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과 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은,
    (a-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폴리옥시에칠렌알킬에텔 및 C8~C16 알킬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비이온 계면활성제;
    (a-2) PEG-4, PEG-6 및 PEG-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콕시레이트알콜; 및
    (a-3)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및 포타슘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은,
    (a-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폴리옥시에칠렌알킬에텔 및 C8~C16 알킬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비이온 계면활성제;
    (a-2) PEG-4, PEG-6 및 PEG-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콕시레이트알콜;
    (a-3) 포타슘코코일글루타메이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및 포타슘 N-코코일-L-글루타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a-4) 무수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 및 암모늄치오글라이콜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
    (a-5)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인 킬레이트화제;
    (a-6) p-페닐렌디아민, o-페닐렌디아민, 레조시놀, 2-메칠레조시놀, m-페닐렌디아민, m-아미노페놀, o-아미노페놀, p-아미노페놀, 톨루엔디아민류, 아미노니트로페놀류, 디페닐아민류, N-페닐디아민류 및 디아미노피리딘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염료;
    (a-7) 모노에탄올아민 및 암모니아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칼리제;
    (a-8)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콜 및 베헤닐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방알코올;
    (a-9)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및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a-10)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습제; 및
    (a-11)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은,
    (b-1)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에텔, 폴리옥시에칠렌알킬에텔 및 C8~C16 알킬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b-2) 소듐라우릴설페이트, 포타슘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및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계면활성제;
    (b-3)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방알코올;
    (b-4) 메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하이드록시구아닌, 세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릭애씨드,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및 폴리쿼터늄-2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점증제;
    (b-5) 인산 및 소듐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pH조정제;
    (b-6) 에티드로닉애씨드 및 디소듐이디티에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킬레이트화제;
    (b-7) 35% 과산화수소수인 산화제; 및
    (b-8) 정제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과 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의 각 성분 함량은,
    산화형 염모제 1제 조성물의 경우, 비이온 계면활성제 1.0~10.0 중량%(염모제 1제 조성물 전체 대비 비율임, 이하 같음), 알콕시레이트알콜 0.1~5.0 중량%,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0.1~10.0 중량%, 산화방지제 0.1~1.0 중량%, 킬레이트화제 0.05~0.5 중량%, 산화염료 0.1~8.0 중량%, 알칼리제 1.0~15.0 중량%, 지방알코올 0.1~10.0 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0.1~5.0 중량%, 보습제 1.0~5.0 중량%, 정제수 30.50~96.35 중량%이고,
    산화형 염모제 2제 조성물의 경우, 비이온 계면활성제 1.0~10.0 중량%(염모제 2제 조성물 전체 대비 비율임, 이하 같음), 음이온계면활성제 0.1~5.0 중량%, 지방알코올 0.1~1.0 중량%, 점증제 0.1~1.0 중량%, pH 조정제 0.01~2.0 중량%, 킬레이트화제 0.05~0.5 중량%, 산화제 8.0~17.0 중량%, 정제수 72.5%~90.64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20120105786A 2012-09-24 2012-09-24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39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786A KR101398008B1 (ko) 2012-09-24 2012-09-24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786A KR101398008B1 (ko) 2012-09-24 2012-09-24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548A true KR20140043548A (ko) 2014-04-10
KR101398008B1 KR101398008B1 (ko) 2014-05-30

Family

ID=5065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786A KR101398008B1 (ko) 2012-09-24 2012-09-24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0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8837B2 (en) 2016-02-29 2020-03-17 Conopco, Inc. Oxidative coloration of hair with reduced hair damage
CN115350112A (zh) * 2022-04-18 2022-11-18 广州艾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染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以及染发慕斯
KR20220155632A (ko) 2021-05-17 2022-11-24 김춘식 건축용 외장 패널의 줄눈 덮개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711A (ko) * 2003-05-20 2004-12-02 (주) 성림 암모니아를 함유하지 않는 무스타입 염모제 조성물
JP5630989B2 (ja) * 2009-03-11 2014-11-26 花王株式会社 二剤式染毛剤
JP2011105620A (ja) * 2009-11-13 2011-06-02 Hoyu Co Ltd 毛髪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076914B1 (ko) 2011-04-22 2011-10-25 동성제약주식회사 거품형 모발 염색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8837B2 (en) 2016-02-29 2020-03-17 Conopco, Inc. Oxidative coloration of hair with reduced hair damage
KR20220155632A (ko) 2021-05-17 2022-11-24 김춘식 건축용 외장 패널의 줄눈 덮개 구조
CN115350112A (zh) * 2022-04-18 2022-11-18 广州艾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染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以及染发慕斯
CN115350112B (zh) * 2022-04-18 2024-04-19 广州艾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染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应用以及染发慕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008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2334C2 (ru)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ая краска для волос
RU2493820C2 (ru)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ая пенообразующая краска для волос
TW527191B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
JP4950749B2 (ja) 毛髪化粧料
CN103379894B (zh) 包含1-己基/庚基-4,5-二氨基吡唑和1,3-苯二胺及其衍生物的氧化性染色组合物
CN102639103B (zh) 双剂型染发剂
US8636812B2 (en) Two-part foam hair dye
JP2006124279A (ja) 2剤式毛髪化粧料
KR101398008B1 (ko) 안정적인 거품 형태를 유지하는 염모제 조성물
JP2024069683A (ja) 染毛剤組成物
JP5940324B2 (ja) 2剤式染毛剤
WO2011065550A1 (ja) 二剤式染毛剤
US9987206B2 (en) Cosmetic product for hair decoloring or hair coloring
JP2015083555A (ja) 頭髪の染色又は脱色方法
JP2014533724A (ja) 毛髪の柔らかさを改善し、流れない泡状染毛剤組成物
JP6591245B2 (ja) エアゾール型泡状酸化染毛剤第1剤組成物
TW201605484A (zh) 毛髮脫色用或染毛用化妝品
JP2015229670A (ja) 染毛剤組成物
RU2462230C2 (ru) Двухкомпонен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крашивания волос
JP2023006942A (ja) 染毛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