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833A -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833A
KR20140042833A KR1020140018367A KR20140018367A KR20140042833A KR 20140042833 A KR20140042833 A KR 20140042833A KR 1020140018367 A KR1020140018367 A KR 1020140018367A KR 20140018367 A KR20140018367 A KR 20140018367A KR 20140042833 A KR20140042833 A KR 20140042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rs
abudefduf
vaigiensis
female
h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586B1 (ko
Inventor
정현호
김경철
양완길
정정민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40018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5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3Genetically modified invertebrates, e.g. transgenic, polyplo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암컷과 수컷의 방란과 방정으로 산란하여 부화하는 과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해포리고기의 인공 종묘를 이룸으로써 생존율과 부화율이 향상되어 자어의 배양생산을 활성화하여서 안정적인 해포리고기의 계획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Method for mass producing artificial seed of Abudefduf vaigiensis}
본 발명은 해포리고기의 인공 종묘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컷과 수컷의 방란과 방정으로 산란에서 부화하는 과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해포리고기의 인공 종묘를 이룸으로써 생존율과 부화율이 향상되어 자어의 배양생산을 활성화하여서 안정적인 해포리고기의 계획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포리고기(Abudefduf vaigiensis)는 자리돔과로 우리나라는 해포리고기와 흑줄돔(Abudefduf bengalensis), 동갈자돔(Abudefduf notatus), 검은줄꼬리돔(Abudefduf sexfasciatus), 줄자돔(Abudefduf sordidus) 5종이 있고 일본 6종, 세계 13종이 있다.
이러한 열대 및 아열대에서 분포하는 해수 관상어인 해포리고기는 세계 여타의 아쿠아리움에 필수 전시품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해포리고기가 환경적응력이 강하고 줄이 네 개면 병장물고기, 다섯 개면 하사물고기라고 하여 유명세를 타고 있으며, 노란색과 파랑색, 흰색의 바탕에 검은 줄이 있어 매우 아름다운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해포리고기는 세계적으로 열대, 아열대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 분포, 지구온난화에 의한 수온 상승으로 우리나라 남해안 일부 해역까지 진출하여 서식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어류에 있어서 양식으로 성공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은 대상종 친어의 짝짓기, 최적의 산란어소 제공, 수정란의 안정적 부화, 자치어 사육 등이다. 열대, 아열대성 어종인 해포리고기도 기후변화에 대비한 새로운 양식품종 개발과 관상어로써의 개발 필요성에 따라 상기 사항과 같이 인공종묘생산방법의 연구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037876호 등록특허 제10-990093호 등록특허 제10-764515호 등록특허 제10-722339호
따라서, 본 발명은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를 생산하는 방법은 물론 해포리고기 치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동안 인공종묘의 어려움으로 인공종묘생산이 불가능했던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를 통해 관상어 산업을 육성 발전해 나가며, 또한 국내는 물론 해외 수출 등을 통해 어업인들에게 고부가가치 관상어 양식으로 소득증대를 이룰 수 있는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포리고기의 암수를 동일비율로 확보하고, 친어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자어조에서 수컷의 유도로 암컷과 방란 및 방정으로 발생된 란을 수온 26℃~29℃를 유지하고 햇빛 60%~80%의 부화조에서 부화시키는 단계; 상기 부화조에서 부화된 유어를 수조로 옮겨 27℃~29℃ 수온을 유지하고 햇빛 70%(햇빛이 수조를 비추는 면적)에서 부화 직후 자어에 초기먹이로 로티퍼를 3일~10일간 공급하고 10일 이후에는 알테미아를 공급하여 사육하는 단계; 및 최종적으로 단독으로 큰먹이를 공급을 하여 종묘용 치어로 성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해포리고기는 그 동안 자연종묘에 의존하던 관상어 인공종묘를 가능하게 하여서 국내는 물론 해외 수출 등을 통해 어업인들에게 소득증대 효과가 기대되고 어민들이 고부가가치 관상어를 양식할 수 있으며, 또한 관상어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편리하고 안정된 인공종묘 생산 방법의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정에서 부화과정의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어의 발달과정 사진이고,
도 3은 성숙된 해포리고기의 사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해포리고기와 흑줄돔, 동갈자돔, 검은줄꼬리돔, 줄자돔의 5종으로 해포리고기와 같은 자리돔과이다. 해포리고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경적 응력이 강하고 줄이 네 개면 병장, 다섯 개면 하사물고기라고 하여 유명세를 타고 있으며 다색에 검은 줄이 있어 아름다운 관상어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생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해포리고기 자연상태 또는 양식을 통해서 암·수를 확보하는 단계이다. 즉, 친어조에 암, 숫 비율을 1/2씩 최소한 사육밀도는 15~20마리/ 정도로 채집하여 사용하고, 친어조 내에는 산란상(납작한 돌)이나 합성수지 구조물을 설치하여 숫놈이 산란 상을 청소하여 암컷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수컷은 적당한 암반을 골라 약 30~40시간 정도를 주둥이로 깨끗하게 청소하여 산란상을 만든 후 반경 1m를 벗어나지 않고 암컷을 유인한다.
이어서, 수컷의 유인으로 암컷과 짝이 이루어지면 산란상으로 유도하여 암컷의 몸을 입으로 쪼으면서 암컷이 방란을 하도록 자극을 주게 된다.
암컷이 방란을 하면 수컷이 방정을 하는데 방정과 방란을 지속하면서도 수컷은 다른 개체들이 다가오지 못하도록 계속 공격을 가해 보호한다.
산란행동은 약 1시간~2시간에 걸쳐 계속된 이후 산란이 완료되면 암컷은 떠나고 수컷이 알을 지키면서 지느러미로 산소를 공급하는 행동을 계속한다.
이렇게 산란된 알은 보통 자리돔류의 경우 적게는 1,000립에서 많게는 3,500립 정도 되는 것으로 보아서 해포리고기도 유사한 범위로 산란과정을 이루게 되고, 산란이 완성되면 부화조에 옮겨 부화를 유도한다.
이때 부화조의 수온은 26℃~29℃로 하고 조도는 70%(햇빛이 수조를 비추는 면적)로 하고 수질개선을 위해 수질안정제를 넣으며 별도의 물 분사장치를 설치하여 준다.
부화는 수온에 따라 다르나 수온이 26℃ 내외에서는 100시간 이내에 대부분 부화가 이루어지며,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2.55~2.86㎜,n(평균 2.69㎜, n=10마리, 실험마리수)이다.
이어서 부화가 되면 물 분사장치는 제거하고 부화과정을 거치게 한다.
부화과정을 보면, 수정 후 6시간에 난막이 타원형으로 장경이 1.048~1.058㎜,n(평균 1.052㎜, n=10마리, 실험마리수)단경이 0.535~0.561㎜,n(평균 0.545㎜, n=10마리, 실험마리수)로 32세포기에 달하였고, 3~6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다.(도1, A)
수정 후 7시간 30분에는 64세포기(도1,B), 8시간에 상실기(도1,C), 8시간 30분에 포배기(도1, D), 12시간30분에는 포배가 난황을 덮어 내려와 초기낭배기에 도달하였다.(도1, E).
수정 후 15시간에 원구가 폐쇄되고 배체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도1f), 21시간30분에는 배체의 머리부분이 발달하였다(도1, G).
수정후 22시간에는 배체에 안포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꼬리쪽 쿠퍼스 베시클(Kupper's vesicle)이 생기며, 난황에 흑색소포가 출현하였다(도1, H).
수정 후 26시간 30분에는 심장과 눈에 렌즈가 분화하기 시작하였고, 16-19개의 근절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유구는 1개로 줄어들었다. 이 시기에 배체의 머리부분이 부착사쪽을 향하는 역자형(agrippa eggs)의 난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도1, I).
수정 후 31시간에는 난황 위의 흑색소포와 근절은 20~24개로 증가하였다(도1, J).
수정 후 33시간 30분에는 이포와 콧구멍이 분화하기 시작하고 심장박동이 시작되었으며, 배체의 몸에 흑색소포가 출현하면서 꼬리부분이 난황이 분리되어 막지느러미가 분화하였다(도1, K).
수정 후 39시간 30분에 눈에 색소포가 착색되기 시작하였으며, 꼬리는 더욱 길어졌고 1개의 큰 유구를 가졌다. 난황 위에 혈액이 흐르기 시작하면서 배체는 움직이기 시작하였으며, 근절은 28~30개로 증가하였다(도1,L).
수정 후 46시간에는 가슴지느러미와 부레가 분화하기 시작하였으며, 배체와 난황위의 흑색소포는 증가하였다.
이 시기에 심장박동수는 1분에 120~130회였다(도1, M)
수정 후 47시간 30분에는 항문 위에 흑색소포가 형성되었다(도 1, N).
수정 후 53시간에 사육수온 25℃~28℃(평균27℃)에서 머리 윗부분에서 과립상의 부화효소가 분비되면서 54시간만에 머리 부분이 난막의 선단부를 향하여 부화하였다(도1, O).
[자어의 형태발달]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2.55~2.86㎜,n(평균 2.69㎜, n=10마리, 실험마리수)입과 항문이 열려 있었고, 흑색소포는 부레 위, 항문주변, 꼬리부분의 배쪽에 산재되어 있었다.
모든 지느러미는 막상이었으며, 항문이 몸의 중앙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근절은 20~23개였다(도2, A).
부하 후 3~4 일째 자어는 전장 2.74~2.97㎜,n(평균 2.58㎜, n=10마리, 실험마리수) 소화관이 발달하여 초기사료인 소형로티퍼(rotifer)를 먹기 시작하였다.
흑색소포는 배쪽 기저부에서 점모양으로 증가하였고, 유구는 소화관과 흡수되어 연결되기 시작하였으며, 막상의 가슴지느러미는 부채모양으로 발달하였다(도2, B).
부하 후 10일째의 후기자어는 전장이 3.85~4.20㎜,n(평균 4.00㎜, n=10마리, 실험마리수) 머리부분이 더욱 분화하여 발달하였다.
흑색소포는 부레위와 항문주변에 더욱 증가하였고 항문의 위치는 몸의 중앙에 위치하였다(도2, C).
본 발명에 의하면, 물분사장치의 펌프주변은 망을 씌우고 용존 산소가 충분하도록 에어레이션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화 후 초기 먹이로는 로티퍼(윤충류) 120 ~ 350마리를 고밀도로 배양하여 부화 10일령까지 공급하되 공급량은 15 내지 40개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급횟수는 3회/일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로티퍼 배양이 어려울 경우 원가절감을 위하여 냉동 로티퍼를 공급하는 방법도 연구해 볼만하다.
다음에 부화 후 10일부터는 알테미아(큰먹이)를 약 3 ~ 5일까지 공급하며, 초기에는 적게하고 성장에 따라 공급량을 늘려주며, 2~3회/일로 공급하는 것이 좋다.
최종적으로 치어에 단독으로 큰먹이를 10회/일 정도로 하여 30일까지 사육성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어미의 준비
수조에서 사육하고 있는 해포리고기 친어 100마리 중 짝짓기가 이루어져 산란이 준비된 해포리고기 암, 수 친어를 사용하였다.
(2) 어미의 선별
복부가 팽만하고 짝짓기가 이루어진 친어 1쌍(체중 20g내외)을 선발 하였다.
(3) 친어조 투입
암수 각 1쌍을 친어조에 투입하고 산란상과 합성수지계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수컷은 산란준비를 위해 주동이로 약 30~40시간 정도를 청소하여 반경 1m 범위에서 암컷을 유도하였다.
(4) 산란
해포리고기의 산란행동은 약1~2시간에 걸쳐 계속되고 산란한 알은 보통 1,000~3,500립 정도 산란을 하였다.
이때 수온 26℃ 내외에서 100시간 이내에 부화가 이루어진다.
산란이 이루어지면 산란조에 수질안정제를 넣고 별도의 물분사장치로 물을 분사하여 양호한 환경에 산란된 알을 넣는다.
(5) 난 발생
수정 후 6시간에 난막이 타원형으로 장경이 1.048~1.058㎜,n(평균 1.052㎜, n=10마리, 실험마리수) 단경이 0.535~0.561㎜,n(평균 0.545㎜, n=10마리, 실험마리수)로 32세포기에 달하였고, 3~6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으며, 난은 유백색의 투명한 분리침성부착란으로 부착사에 의해 부착한다.
수정후 7시간 30분에는 64세포기, 8시간에 상실기, 8시간 30분에 포배기, 12시간30분에는 포배가 난황을 덮어 내려와 초기낭배기에 도달하였다.
수정 후 15시간에 원구가 폐쇄되고 배체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21시간30분에는 배체의 머리부분이 발달하였다.
수정후 22시간에는 배체에 안포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꼬리쪽 쿠퍼스 베시클(Kupper's vesicle)이 생기며, 난황에 흑색소포가 출현하였다.
수정 후 26시간 30분에는 심장과 눈에 렌즈가 분화하기 시작하였고, 16-19개의 근절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유구는 1개로 줄어들었다. 이 시기에 배체의 머리부분이 부착사쪽을 향하는 역자형(agrippa eggs)의 난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수정 후 31시간에는 난황 위의 흑색소포와 근절은 20~24개로 증가하였다.
수정 후 33시간 30분에는 이포와 콧구멍이 분화하기 시작하고 심장박동이 시작되었으며, 배체의 몸에 흑색소포가 출현하면서 꼬리부분이 난황이 분리되어 막지느러미가 분화하였다.
수정 후 39시간 30분에 눈에 색소포가 착색되기 시작하였으며, 꼬리는 더욱 길어졌고 1개의 큰 유구를 가졌다. 난황 위에 혈액이 흐르기 시작하면서 배체는 움직이기 시작하였으며, 근절은 28~30개로 증가하였다.
수정 후 46시간에는 가슴지느러미가 부레가 분화하기 시작하였으며, 배체와 난황위의 흑색소포는 증가하였다.
이 시기에 심장박동수는 1분에 120~130회였다.
수정 후 47시간 30분에는 항문 위에 흑색소포가 형성되었다.
수정 후 53시간에 사육수온 25℃~28℃(평균27℃)에서 머리 윗부분에서 과립상의 부화효소가 분비되면서 54시간만에 머리 부분이 난막의 선단부를 향하여 부화하였다.
(6) 부화 및 자어관리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2.55~2.86㎜,n(평균 2.69㎜, n=10마리, 실험마리수) 입과 항문이 열려 있었고, 흑색소포는 부레 위, 항문주변, 꼬리부분의 배쪽에 산재되어 있었다.
모든 지느러미는 막상이었으며, 항문이 몸의 중앙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근절은 20~23개였다.
부하 후 3~4 일째 자어는 전장 2.74~2.97㎜,n(평균 2.58㎜, n=10마리, 실험마리수) 소화관이 발달하여 초기사료인 로티퍼(rotifer)를 먹기 시작하였다.
흑색소포는 배쪽 기저부에서 점모양으로 증가하였고, 유구는 소화관과 흡수되어 연결되기 시작하였으며, 막상의 가슴지느러미는 부채모양으로 발달하였다.
부하 후 10일째의 후기 자어는 전장이 3.85~4.20㎜,n(평균 4.00㎜, n=10마리, 실험마리수) 머리 부분이 더욱 분화하여 발달하였다.
흑색소포는 부레 위와 항문주변에 더욱 증가하였고 항문의 위치는 몸의 중앙에 위치하였다.

Claims (1)

  1.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포리고기의 암수를 동일비율로 확보하고, 친어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친어조에서 수컷의 유도로 암컷과 방란 및 방정으로 발생된 란을 수온 26℃~29℃를 유지하고 조도 햇빛의 60%~80%(햇빛이 수조를 비추는 면적)의 부화조에서 부화시키는 단계;
    상기 부화조에서 부화된 유어를 수조로 옮겨 27℃~29℃ 수온을 유지하고 햇빛 70%에서 부화 직후 자어에 초기먹이로 소형로티퍼를 3일~10일간 공급하고 10일 이후에는 알테미아를 공급하여 사육하는 단계; 및
    최종적으로 단독으로 큰먹이를 공급을 하여 종묘용 치어로 성장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KR1020140018367A 2014-02-18 2014-02-18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KR101465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367A KR101465586B1 (ko) 2014-02-18 2014-02-18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367A KR101465586B1 (ko) 2014-02-18 2014-02-18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608A Division KR20130057722A (ko) 2011-11-24 2011-11-24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833A true KR20140042833A (ko) 2014-04-07
KR101465586B1 KR101465586B1 (ko) 2014-11-28

Family

ID=5065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367A KR101465586B1 (ko) 2014-02-18 2014-02-18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5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6055A (zh) * 2014-07-02 2014-09-10 四川农业大学 一种鱼卵孵化期水霉病的控制新方法
CN104082199A (zh) * 2014-06-17 2014-10-08 怀远县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泥鳅苗孵化后的前期培育方法
CN104094875A (zh) * 2014-06-13 2014-10-15 安徽强英鸭业集团有限公司 高存活率泥鳅药物催产技术
CN104642229A (zh) * 2015-03-12 2015-05-27 中国水产科学研究院长江水产研究所 一种高原鱼类苗种运输和驯养方法
CN105660478A (zh) * 2015-09-30 2016-06-15 江西省水产科学研究所 一种亲鱼水族箱内自繁金鱼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52B1 (ko) 2018-05-09 2019-03-25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한해성 어류의 부화 자어 생존율 향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419B1 (ko) * 2004-04-22 2006-06-12 방인철 말쥐치의 조기산란유도 및 종묘 생산방법
KR100991274B1 (ko) * 2008-07-30 2010-11-01 경상북도(수산자원개발연구소) 대게의 치게 양식방법
KR101059515B1 (ko) * 2011-05-25 2011-08-26 전라남도 참조기의 환경수온자극을 통한 조기산란유도 및 양성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94875A (zh) * 2014-06-13 2014-10-15 安徽强英鸭业集团有限公司 高存活率泥鳅药物催产技术
CN104094875B (zh) * 2014-06-13 2016-09-14 安徽强英鸭业集团有限公司 高存活率泥鳅药物催产方法
CN104082199A (zh) * 2014-06-17 2014-10-08 怀远县孔津湖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泥鳅苗孵化后的前期培育方法
CN104026055A (zh) * 2014-07-02 2014-09-10 四川农业大学 一种鱼卵孵化期水霉病的控制新方法
CN104642229A (zh) * 2015-03-12 2015-05-27 中国水产科学研究院长江水产研究所 一种高原鱼类苗种运输和驯养方法
CN105660478A (zh) * 2015-09-30 2016-06-15 江西省水产科学研究所 一种亲鱼水族箱内自繁金鱼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586B1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586B1 (ko) 해포리고기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CN102763617B (zh) 一种熊本牡蛎的人工繁育方法
CN100364488C (zh) 鳜鱼提早人工繁殖方法
CN101317552B (zh) 一年两茬曼氏无针乌贼工厂化养殖方法
CN105746404A (zh) 一种赤点石斑鱼苗种培育方法
CN102919179B (zh) 一种黄鳝半人工仿生态育苗的方法
CN103621442B (zh) 一种海蜇室内全人工繁育方法
CN103749361A (zh) 一种提早孵化大口黑鲈的方法
KR20130041464A (ko) 동자개 조기종묘생산 방법
CN104719199A (zh) 一种黄颡鱼与江黄颡鱼的杂交繁育方法
CN108967278A (zh) 一种金钱鱼的人工繁殖方法
KR20170104014A (ko) 셰들아네모네피쉬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JP2008206437A (ja) カキの養殖法およびカキ
CN103651220A (zh) 抚仙四须鲃人工繁殖技术
CN100355337C (zh) 雄性夏鲆与雌性牙鲆人工杂交及育苗方法
CN106852281A (zh) 一种许氏平鮋人工繁育的方法
CN103843709B (zh) 一种控制河川沙塘鳢早繁的方法
CN108056049A (zh) 一种大口黑鲈秋季繁育方法
CN103444605B (zh) 一种鲥鱼自然繁殖方法
CN107173268A (zh) 一种斜带石斑鱼的人工苗种培育方法
CN102388825B (zh) 一种脉红螺人工育苗中稚螺的培育方法
CN101933482A (zh) 花鲈南北杂交及生殖调控选育方法
KR20180019620A (ko) 셰들아네모네피쉬의 인공종묘 생산방법
CN107155956B (zh) 一种玫瑰毒鮋的人工苗种培育方法
CN105052802A (zh) 一种近江牡蛎新品种培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