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036A -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 Google Patents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036A
KR20140042036A KR1020120107714A KR20120107714A KR20140042036A KR 20140042036 A KR20140042036 A KR 20140042036A KR 1020120107714 A KR1020120107714 A KR 1020120107714A KR 20120107714 A KR20120107714 A KR 20120107714A KR 20140042036 A KR20140042036 A KR 20140042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
underground
pigs
wall
pyth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472B1 (ko
Inventor
신일식
Original Assignee
신일식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식,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filed Critical 신일식
Priority to KR2012010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4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1Cubicle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가 기거하고 배설하는 분뇨등으로 발생되는 악취와, 해마다 발생되는 유행성 질병, 그리고 대단위로 형성됨으로서 주변환경의 악화 등에 의한 주변 주민들이 제기하는 환경민원과 돈사에서 기거하는 돼지의 서식환경을 위한 온도유지와, 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전력낭비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돈사(돼지, 소, 양계등의 가축을 통칭하는 축사를 통칭한다)를 지하로 구축하여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도록함과, 돈사에서 발생된 악취가 멀리 비산되지 않고 쉽게 포집하여 탈취할 수 있도록 함과 발생된 악취를 물, 안개분사와 함께 수생식물 또는 산림에 의한 대량의 탈취와 제거로 악취를 최소화함과함께 해마다 발생되는 유행성질병에 오염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안전성과 관리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한편 주변주으로부터의 민원이 없고 지면으로 노출되지 않아 오염시설로 오해되는 문제를 개선하는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를 제공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To build underground underground pigsty}
본 발명은 돼지가 기거하고 배설하는 분뇨등으로 발생되는 악취와, 해마다 발생되는 유행성 질병, 그리고 대단위로 형성됨으로서 주변환경의 악화 등에 의한 주변 주민들이 제기하는 환경민원과 돈사에서 기거하는 돼지의 서식환경을 위한 온도유지와, 환기를 제공하기 위한 전력낭비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돈사(돼지, 소, 양계등의 가축을 통칭하는 축사를 통칭한다)를 지하로 구축하여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도록함과, 돈사에서 발생된 악취가 멀리 비산되지 않고 쉽게 포집[捕執]하여 탈취할 수 있도록 함과 발생된 악취를 물, 안개분사와 함께 수생식물 또는 산림에 의한 대량의 탈취와 제거로 악취를 최소화함과 함께 해마다 발생되는 유행성 질병에 오염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안전성과 관리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한편 주변 주민으로부터의 민원이 없고 지면으로 노출되지 않아 오염시설로 오해되는 문제를 개선하는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 향상과 서구형 식문화로 변화되면서 육류소비의 증가에 따른 축산업계의 대량생산을 위한 대, 소형 돈사들이 많이 구축되고 있으나, 이러한 돈사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인인 악취와 주변환경 저해 및 해마다 반복되는 유행성 질병으로 주변 주민의 민원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민원의 방지책으로 대형화와 자동화 시설로서 환기, 배설물의 배출과 악취제거 등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된 데이터에 의한 관리를 이루고 있으나, 대량의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탈취 및 제거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한 악취로 인한 혐오시설로 인식되고 이러한 혐오시설들은 지역민원이나 집단이기주의로 인하여 많은 민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문제를 방지하도록 많은 축산 농가들은 산속의 계곡 또는 주변 민가와 멀리 떨어진 외진 곳에 증축함으로서 전기설치, 도로의 개설 등에 따른 건축 및 관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 되고 이러한 비용의 증가는 결국 최종 소비자인 육류 소비자들에게 부담을 주게 된다.
그리고 최대 오염원으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선행된 기술들이 다수 출원되고 있으나, 그 방법이 극히 소량의 악취제거에 국한되는 단점이 있고 대량의 용량을 처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시설비용 및 관리비용에 따른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축산농가에서의 해결하여야 할 문제는 첫번째로, 돈사의 서식과정과 배출 분뇨 등으로부터 발생 되는 악취제거와,
둘째로, 악취와 돈사 시설물이 자연환경과 친화적이지 못하고 낙후된 시설로 혐오성에 의한 주변환경 저해에 따른 혐오시설에 대한 환경 민원, 그리고
셋째로, 최소비용으로 효과적인 사육을 위한 돈사내의 환기시스템,
넷째로, 최소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돈사 내의 일정한 서식 온도유지 및 그 관리비용과 함께
다섯째로, 해마다 발생되는 유행성 질병의 감염방지에 따른 방역과 통제를 말할 수 있다.
상기한 악취제거에 대하여 볼때, 돈사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축산분뇨처리장 등과 같이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하메틸, 이황화메틸, 아민류, 아세트알데히드 등으로 밝혀지고 있으나, 실제 악취 유발 원인은 그 보다 훨씬 더 많으며 악취물질 또한 수백 종류에 달한다.
이러한 다양한 오염원의 악취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기술로 악취성분을 자양분으로 하는 미생물에 의해 악취가스를 제거하고자 하는 Bio-Filter를 이용하는 기술분야와, 악취가스를 토양층에 통과시켜 미생물에 의한 자연분해 및 토양입자의 흡착 등에 의해 악취물질을 제거시키고자 하는 토양탈취법에 관한 기술분야와, 산 또는 염기성 물질로 악취 발생물질을 중화시켜 악취물질을 제거시키고자 하는 수세에 관한 기술분야 및 활성 탄소 등과 같은 흡착제를 사용하여 악취의 유발 물질을 흡착 제거시키고자 하는 흡착법에 관한 기술분야, 방향성 물질의 향기를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제거시키고자 하는 마스킹법에 관한 기술 분야, 그리고 오존의 산화작용을 이용하여 악취물질을 산화 및 분해시키고자 하는 오존산화법 등이 개시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돈사는 주변이 농토로 이루어지고 사육되는 돼지, 소, 닭 등은 식탁으로 제공됨으로 사람들이 먹게 될 때 인체 유해물질, 환경오염물질 등이 없거나 최소화 하는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 의하여 최근에 적용되는 것이 아염소산나트륨(NaClO2)이나,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등을 염산(HCl)과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활성화 이산화염소(ClO2)를 발생시키고 이를 악취발생원과 신속히 접촉시킴으로써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알려지고 있다.
이산화염소는 비염소계 살균제 및 소독제로서 오존에 이어 가장 강력한 살균력과 표백력을 갖고 있으며 이산화염소 가스가 용액에 녹아있는 수용성 산화제의 형태로 사용되고, 그 특성상 정수장 등의 살균 소독제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한 이산화염소는 광범위한 pH 범위에 강력한 산화력이 있으며, 특히 하수 처리장에서 악취를 발생시키는 페놀류, 아민류, 황하수소 등을 근원적으로 산화 제거하는데 탈취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이와 같이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은 인체에 무해하고 토양오염이 적고, 적은 비용으로 무한의 생성성과 사용의 편리성, 특히, 돈사에서 발생하는 악취에 대한 제거능력이 탁월하여 돈사에 적용된바 있다.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은 소독제의 일종으로 식품가공 산업에 살균제 및 소독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오,폐수처리 산업에 소독제와 식수 처리제로써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적용에서도 돈사 주변의 민원을 방지하기 어렵고 또한 악취가 소망하는 정도의 완전탈취 및 제거가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없는 상태이다.
그리고 돈사 시설물의 낙후와 혐오성에 의한 주변환경 저해에 따른 혐오시설에 대한 환경 민원은 축산농가들이 주변마을과 멀리 떨어진 산속의 계곡 등으로 돈사를 이전하고 있으나 국내의 국토조건 및 자연마을의 여건상 완전한 독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최소비용으로 효과적인 사육을 위한 돈사내의 환기시스템과 돈사내의 일정한 온도유지와 관리비용의 절감을 위한 본 출원인에 의한 개선된 선행기술들 특허 제100790345호, 제100901756호, 제100886447호, 제100693071호, 제 100973723호, 제100980735호, 제 100388265호, 그리고 실용신안 등록 제 200351889호, 제 200352121호, 제 200333829호, 제 200309014호를 등록한바 있으나, 돈사내의 환기를 위한 배기팬을 가동하는 전력 및 동,하절기에 따른 높은 온도차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과 함께 태풍, 폭설시에 전기 단전 등에 따른 사고의 발생이 있다.
이와 함께 해마다 발생되는 유행성 질병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로에서 관리인으로 하여금 출입인과 차량들을 감시하고 감염방지를 하기 위한 비용과 관리의 어려움이 해소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현재까지의 돈사(돼지, 소, 양계등의 가축을 통칭한다)는 관리와 시설구축 등의 여건과 관례에 따라 모든 돈사가 지상에 건축됨으로서 돈사에서 발생된 악취가 돈사의 창, 출입문 그리고 벽면의 틈새등으로 많이 유출되고 또한 멀리 비산되는 문제, 낙후된 건축물로 구축되고 돈사관리를 등안시함으로 인한 미려하지 못한 혐오시설로 오인 낙인된 돈사로 인식되는 환경오염원, 또한 지면에서 지상으로 높게 구축되어 주변환경과 조화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한 지역주민의 혐오시설로 오인한 민원제기,
그리고 지상에 구축됨으로서 동,하절기의 극대화된 온도차를 조절하기 위한 전력낭비와 함께 온도 차로 인한 질병 발생 및 단시간의 단전 등의 사고에도 대량의 가축이 죽거나 호흡기등의 질병에 감염되는 문제와, 환기조절시스템의 설치와 관리, 고장등으로 인한 문제, 그리고 유행성 질병을 일으키는 각종 유행성 유해균들이 비산으로 유입되는 문제와 함께 유행성질병의 차단을 목적으로하는 외부인과 차량의 방역에서 보다 완벽한 방역이 실현되지 못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돈사를 지하로 구축함으로서 상기한 지금까지의 문제점들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돈사가 지하로 구축됨으로서 돈사내의 서식돼지로부터 발생된 악취와 분뇨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비산되는 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발생된 악취가 멀리 비산되지 않는 특징으로 악취로 인한 주변민원 방지와,
낙후된 돈사시설이 지상으로 노출되지 않아 주변환경이 친화적이고 혐오시설로 오인되지 않는 주변환경과 친화적 환경의 제공 및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돈사 외부와 주변이 주변지역의 자연환경과 유사한 자연친화적인 돈사,
그리고 주변으로 비산되는 발생 소음의 차단과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로 사육요건에 따른 최적의 시설과 환경을 제공함과 지하의 지열을 이용하여 여름철에는 시원하고 겨울철에는 따뜻한 온도를 보다 쉽게 유지시킬 수 있는 냉난방 효과와 일정한 온도로 쉽게 조절하여 공급되는 입기공기에 따른 환기시스템으로 전력사용의 절약과 온도차에 따른 질병방지 및 해마다 발생되는 유행성 질병의 유해균들이 비산으로 돈사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감염방지를 이룰 수 있는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단위로 구성되는 돈사의 관리와 돼지의 입출입 및 사료의 공급등에서의 안전성과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각종질병의 유해균의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돼지가 기거하는 바닥재(11)에 돈방(10)과, 돈분이 모집되는 돈분집류실(12)을 구성하고 모집된 돈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파이프라인(13)에 의해 돈분처리장(20)으로 배출함과 함께 돈사(100)내에서 생성된 악취와 오염공기를 배기팬으로 배출하고 배기되는 악취공기로 형성되는 돈사(100)내 음압으로 외부의 신선한 외기가 돈분집류실(12)로 연결된 외기입기공(14)를 통해 돈사(100)내로 흡기하도록 하는 통상의 돈사에 있어서,
상기 외기입기공(14)이 뚫린 돈사(100) 내벽(5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외벽(51)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 2열교환실(52)과,
상기 돈사(100) 외벽(51)에 입기창(54)을 구성하고 상기 외벽(51)과 지면(20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와 깊이로 바닥면(210)을 형성하여 바닥면(210)으로부터 지면(200)까지 수직된 토류방지벽(220)을 구축하여 구성되는 제 1열교환실(230)을 구성하는 돈사(100)의 지붕(40)면이 지면(200)과 수평이거나, 수평이하의 지하로 위치 되도록 돈사(100)전체가 지하로 구축됨을 특징함과,
상기 돈사(100)의 지붕(40)상면에 사각벽(41)으로 구성되어 물이 채워지는 수조(60)와 흙이 채워지는 수목원(65)을 구성하되, 상기 수조(60)에는 상부로 구성되는 투명한 비닐, 목재, 합판,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하나로 구성된 온실(61)를 구성하며,
상기 온실(61)에는 돈사(100)로부터 배기되는 오염공기의 악취를 흡착으로 탈취시키기 위한 안개분사장치(62)와,
온실(61)내의 수조(60)에는 식생하면서 배기 악취의 탈취와 제거능력이 좋은 각종 수생식물(63)과 물정화를 위한 수생어류와 곤충들이 서식하도록 함과 함께, 분수 또는 폭기장치, 그리고 흙(66)이 채워지는 수목원(65)에는 농장 직원과 관리인 또는 방문객들이 휴식과 놀이 등을 즐길수 있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정원수(67)와 각종 조각품, 편의시설, 및 분수 등을 구비하는 휴식공간의 공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60)와 수목원(65)은 지붕(40) 상면에 사각벽(41)을 콘크리트몰탈로 구축됨과 함께 방수처리 또는 사각벽(41)내에 FRP로 마감처리시켜 완전방수를 이루도록 한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 돈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 의한 본 발명은 현재까지의 돈사(돼지, 소, 양계등의 가축을 통칭한다)들은 관리와 시설구축 등의 여건과 관례에 따라 모든 돈사가 지상에 건축됨으로서 돈사에서 발생된 악취가 멀리 비산되는 문제, 혐오시설로 낙인된 돈사로 인식되고 환경오염원 및 주변환경과 조화되지 못하는 단점으로 인한 지역주민의 혐오시설로 오인한 민원제기 등이 발생 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돈사와 분뇨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멀리 비산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악취로 인한 주변민원 방지의 효과와,
혐오시설로 오인된 돈사시설을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혐오스러운 돈사 건물이 지상으로 높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혐오시설의 노출이 없고 주변지역의 자연환경과 유사한 자연친화적 돈사로 구축되는 돈사의 제공,
주변의 소음차단과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로 사육요건에 따른 최적의 시설과 환경을 제공함과 함께 지하의 지열을 이용하여 여름철에는 시원하고 겨울철에는 따뜻한 온도를 보다 쉽게 유지시킬 수 있는 냉난방과 일정한 온도로 쉽게 조절하여 공급되는 입기공기에 따른 환기시스템으로 전력사용의 절약과 온도차에 따른 질병방지 및 해마다 발생되는 유행성 질병의 유해균들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감염방지의 효과를 달성하는 한편,
본 발명은 대단위로 구성되는 돈사의 관리와 돼지의 입출입 및 사료의 공급등에서의 안전성과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어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각종질병의 유해균의 차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여 돈사로 인한 민원을 간편히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 돈사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돈사단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돈사시설을 도시한 도 4의 A-A 선단면도.
(b)는 본 발명의 돈사시설을 도시한 도 4의 B-B선 단면도.
(c)는 본 발명의 돈사시설을 도시한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지하구축 돈사의 실시예를 도시한 돈사시설 설명도.
도 5은 본 발명의 돈사가 적용된 돈사 내부를 보인 돈사시설 조감도.
도 6은 본 발명의 돈사가 적용된 돈사시설 조감도.
본 발명의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돼지가 서식하기 위한 최적의 돈사를 제공함과함께, 돈사 관리와 편리성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행성 유해균의 차단, 그리고 적은 비용으로 최적의 돼지 기거 온도와 환경 유지 및 환기, 또한 기피시설로 인식되는 돈사를 지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주변 주민들로부터의 민원발생 방지와 오염 악취의 비산방지를 최소화시키고 발생되는 악취를 배기하면서 친화적인 탈취와 자연탈취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돈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돈사를 방문하는 방문객과 돼지의 입고와 출고, 사료 차량의 출입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통제 관리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유행성 유해균 등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돈사및, 주변과 친화적인 돈사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지역의 마을과 일정한 거리로 떨어진 위치와 산기슭에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돈사(100)는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돼지가 기거하는 바닥재(11)에 복수개로 분할된 돈방(10)과, 바닥재(11)밑에는 돈분이 모집되는 돈분집류실(12)을 구성하고, 모집된 돈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파이프라인(13)에 의해 돈분처리장(20)으로 보내져 미도시한 고액분리장치로 액과 뇨 및 불순물등을 분리 한 후 발효와 뇨를 혼합발효시켜 배출함과 함께, 상기 돈사(100)내에서 서식하는 돼지와 배출된 분뇨 등으로 생성된 악취와 오염공기를 배기팬을 구성한 배기관(30)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돈사(100)를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돈사(100)내에서 생성된 악취 등의 오염공기를 미도시한 배기팬을 구성한 배기관(30)을 통해 돈사(100) 천정 상단 지붕(40) 밖으로 배기함으로서 돈사(100)내에 형성되는 음압으로 외부의 신선한 외기를 돈사(100)내로 흡기시켜 입기되도록 함과,
상기에 음압에 의해 입기되는 신선한 외기는 돈사(100) 내벽(50)의 바닥재(11)밑으로 형성된 돈분집류실(12)로 연결되는 외기입기공(14)으로 흡기하여 바닥재(11)를 거쳐 돼지가 기거하는 돈방(1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돈사(100)내벽(5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외벽(51)을 형성하여 제 2열교환실(52)을 구성시켜 외부로부터 입기되는 외기를 상기 제 2열교환실(52)내에서 2차 열교환한 후 돈사(100)내로 입기되도록 함과,
상기 제 2열교환실(52)에 입기되는 외기 온도를 강제적으로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히터 또는 냉방기기로 이루워지는 냉난방장치(53)를 더 구성하여 입기되는 외기를 강제적으로 온도를 조절하여 공급하게 된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 온도차가 큰 4계절로 구분되어 한여름철에 높은 온도는 지열에 의한 자연적인 열교환 만으로는 돈사(100)내로 적정온도를 제공하기 어려워 냉난방장치(53)에 의한 냉각으로 온도를 낮춘후 공급하고, 한겨울철 역시 너무 낮은 온도를 상기 한 냉난방장치(53)에서 일정한 온도로 상승시켜 공급하게 되며, 이와 달리 봄,가을철에는 상기한 제 2열교환실(52) 및 후술하는 제 1열교환실(230)에 의한 자연적인 지열에 의하여 열교환 만으로도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돈사(100) 외벽(51)에는 후술하는 제 1열교환실(230)에서 열교환된 외기가 상기 제 1열교환실(52)로 입기되도록 뚫리는 입기창(54)을 구성하되, 입기창(54)으로 유해성 곤충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망지를 구성함과 함께 이 입기창(54)에는 입기되는 외기의 입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셔터(55)를 구성시켜 입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구성된 돈사(100)의 외벽(51)과 지면(20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와 깊이로 바닥면(210)을 형성하고 이 바닥면(210)으로부터 지면(200)까지 수직된 토류방지벽(220)을 구축하여 구성되는 제 1열교환실(230)을 구성한다.
상기 제 1열교환실(230)은 외부의 신선한 외기가 지하로 구성되는 제 1열교환실(230)내에서 지하의 지열에 의한 열교환된 후 셔터(55)와 입기창(54)을 통해 제 2열교환실(52)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제 1열교환실(230)상부 개방부에는 작업인부, 야생동물 등이 빠지지 않도록 그레이팅(231)을 설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한 입기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다공의 구멍이 뚫린 바닥재로 구상된 것이 바람직하다.다.
이러한 구성으로 돈사(100)외부의 신선한 외기가 상기한 다공으로 구성된 그레이팅(231)을 통해 제 1열교환실(230)로 진입 후 지하의 지열과 열교환된 후 상기 입기창(54)과 셔터(55)로 입기와 량을 조절하여 제 2열교환실(52)내로 입기된다.
또한 상기 제 2열교환실(52)로 입기된 외기는 다시 이 제 2열교환실(52)내에서 재차 열교환으로 적정온도를 유지하게 되고 적정온도의 외기는 돈사(100)내의 오염공기 배기로 형성된 음압에 의해 돈사(100) 내벽(50)의 바닥재(11)밑으로 형성된 돈분집류실(12)로 연결되는 외기입기공(14)을 통해 바닥재(11)를 거쳐 돼지가 기거하는 돈방(10)으로 공급함으로써 찬외기 또는 무더운 외기를 돼지가 서식하기 적당한 온도로 열교환 공급함으로서 돼지의 서식온도를 전력사용 없이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2열교환실(230,52)은 돈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 중 선택하여 구성되거나 도 2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돈사(100)는 지면(200)으로부터 돈사(100) 지붕(40)이 일정한 깊이로 위치되게 도 3에서와 같이 지하구축 돈사(100)로 구성되되,
상기 돈사(100)의 지붕(40)상면에 사각벽(41)으로 구성되는 수조(60)와 흙이 채워지는 수목원(65)을 구성하고 이 사각벽(41)의 높이가 돈사(100)주변 지면(200)과 수평을 이루는 지하로 돈사(10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상하로 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하로 구축되는 돈사(100)의 지붕(40)에 형성되고 물이 채워진 수조(60)는 상부로 구성되는 투명한 비닐,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온실(61)를 구성하며 이 온실(6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돈사(100)내에서 생성된 악취 등의 오염공기가 배기관(30)을 통해 온실(61)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한 온실(61)에는 배기되는 오염공기의 악취를 흡착으로 탈취시키기 위한 안개분사장치(62)를 구성하여 오염공기중의 악취를 흡착하도록 하며 온실(61)내의 수조(60)에는 수조(60)에서 식생하면서 배기 악취의 탈취와 제거능력이 좋은 각종 수생식물(63)들을 식생시켜 상기에서 배기로 포집된 악취를 흡착 탈취 제거시킨 후 온실(61)밖으로 배출하도록 하며, 이와 함께 상기 수조(60)에는 미도시한 분수 또는 폭기장치등을 구성하여 포집된 악취를 탈취 제거하는 효과를 증대하도록 한다.
상기 수조(60)의 수생식물(63)은 악취제거능력과 수조(60)내의 물을 정화할 수 있는 부레옥잠, 물옥잠, 줄, 부들, 창포, 토란 또는 갈대, 미나리 등으로 질소와 인산의 흡수량이 크다고 알려진 수초를 서식하도록 함으로서 생태연못인 둠벙을 형성함과 함께 둠벙을 이루는 수조(60)내에는 미꾸라지, 투구새우와 같은 수생곤충들의 서식하여 수조(60)의 정화능력의 향상을 이룰수 있도록 하되, 상기에서 설명된 수초와 수생곤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미설명된 수초 또는 수생어류나 곤충등이 서식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온실(61)에서 1차 악취를 탈취제거 한 후의 잔여오염공기는 주변의 수목이 무성한 곳으로 배출하도록 함으로서 잔여오염공기가 자연수목에 의한 2차 정화를 이룰수 있도록 하는것도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온실(61)은 비닐하우스를 포함하여 조립식 경량철골, 파이프를 이용한 하우스(투명유리, 수지 및 비닐등), 및 첨단 신소재로 알려진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목원(65)에는 흙(66)을 채운 후 농장의 직원과 관리인 또는 방문객들이 휴식과 놀이 등을 즐길수 있도록 정원수(67)와 각종 조각 또는 의자 등의 편의시설, 분수 등을 구비하는 휴식공간의 공원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수목원(65)은 정원수(67)와 각종 조각품, 분수등이 구성되어 주변과 조화를 이루고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하므로서 주변환경과 친화적이고 자연스럽게 조화되어 외부에서 볼때의 친화적인 자연환경을 유도하므로 주변주민들로부터 혐오시설로 인식되어지는 단점을 개선하여 혐오시설로 오인된 지역민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돈사(100)가 지면(200)으로부터 지하로 구축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또한 지붕에는 수조(60)와 함께 나무, 편의시설 등의 공원화된 수목원(65)으로 구성되어 주변환경과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외부로 혐오시설로 표출되지 않아 주민들의 민원발생이 없는 특징이 발휘된다.
그리고 상기한 수조(60)와 수목원(65)은 지붕(40) 상면에 사각벽(41)을 콘크리트몰탈로 구축됨으로 충분한 방수기능이 있다하나 좀더 효과적인 방수를 위하여 상기 수조(60)와 수목원(65)은 빗물이나 지하수 및 수조(60)내의 물이 돈사(100)의 슬리브 지붕(41)을 통해 돈사(100)내로 누수로 인한 유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면 전체에 방수구성 또는 FRP로 마감처리하여 완전방수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은 물론이다.
상기한 수조(60)와 수목원(65)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돈사(100)의 길이방향으로 중복하는 구성과 함께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씩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선택사항에 불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돈사(100)가 지하로 구축되어 돈사(100)외벽으로 구성되는 창이나 틈새등으로 악취가 대량으로 배출과 비산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로 배출되어 주변의 악취방지와 포집된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탈취와 제거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문제를 완전히 개선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00-1은 외부에서 입고되는 돼지를 별도로 관리하는 별동돈사이고 300은 본 발명 돈사를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한 돈사시설로 진입하는 제 1진입로, 301은 주차장, 302는방역소, 그리고 310은 제 2진입로 이며 관리동으로 출입하는 도로 그리고 320은 제 3진입로, 330은 제 4진입로로 구분하여 승차장이나 사료차량의 이동로이며 331은 돼지의 입출고를 위한 승하차장, 332는 돼지입출입구 및 333은 출입제한로로서 특정관리인이 외부로터 입고된 돼지를 관리하기 위한 도로, 340은 연장로, 350은 사료차량 이동로이다.
또한 351은 사료탱크, 400은 관리동, 410 돈사로 입출입하는 출입복도, 420은 돈사관리인의 사무와 휴게실, 430은 돈사의 돈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돈사출입로를 도시한 것이로 상기 부호는 본 발명의 돈사(100)가 구축되는 돈사시설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하여 부가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지하로 구축되는 본 발명은 지하 돈사(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돈사(100)는 돼지가 서식하기 위한 최적의 돈사를 제공함과함께, 돈사 관리와 편리성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행성 유해균의 차단, 그리고 적은 비용으로 최적의 돼지 기거 온도와 환경 유지 및 환기, 또한 기피시설로 인식되는 돈사를 지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주변주민들로부터의 민원발생 방지와 오염 악취의 비산방지를 최소화시키고 발생되는 악취를 배기하면서 친화적인 탈취와 자연탈취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돈사, 그리고 돈사를 방문하는 방문객과 돼지의 입고와 출고, 사료 차량의 출입통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통제 관리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유행성 유해균 등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돈사, 주변과 친화적인 돈사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역의 마을과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위치 및 산기슭에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돈사시설로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돈사(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돼지가 기거하는 바닥재(11)에 복수개로 분할된 돈방(10)과, 바닥재(11)밑에는 돈분이 모집되는 돈분집류실(12)을 구성하고, 모집된 돈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파이프라인(13)에 의해 돈분처리장(20)으로 보내져 미도시한 고액분리장치로 액과 뇨 및 불순물등을 분리 한 후 발효시키고 뇨는 혼합과 발효하여 배출함으로서 발효과정 등에서 대량의 악취발생을 방지하고 또는 발생된 악취를 일정한 위치로 포집하여 제거하는 한편, 상기 돈사(100)내에서 서식하는 돼지와 배출된 분뇨 등으로 생성된 악취와 오염공기를 배기팬을 구성한 배기관(30)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돈사(100)를 구성한다.
즉, 돈사(100)의 돈방(10)에서 공지와 같이 돼지를 서식하도록 함으로서 돼지의 호흡과 배출한 분뇨등으로부터 돈사(100)내에 악취 등의 오염공기가 생성된다.
따라서 돈사(100)내에 생성된 오염공기를 배출함과 함께 배출되는 량만큼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시키게 된다.
이때 미도시한 배기팬을 가동함으로서 이 배기팬은 돈사(100)내의 오염공기를 흡기하여 지붕(40)을 관통한 배기관(30)을 통해 돈사(100) 천정 상단 지붕(40) 밖으로 배기하게 된다.
이러한 돈사(100)내의 오염공기를 배기 함으로서 돈사(100)내에 음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음압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돈사(100)내로 입기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음압으로 돈사(100) 돈방(10) 밑의 바닥재(11)밑으로 형성된 돈분집류실(12)로 연결되는 내벽(50)에 형성된 외기입기공(14)으로 외기를 흡기하여 바닥재(11)를 거쳐 돼지가 기거하는 돈방(10)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외기입기공(14)은 돈사(100)내벽(5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외벽(51)을 형성시켜 구성된 제 2열교환실(52)로부터 2차 열교환 된 외기를 입기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 2열교환실(52)로 후술하는 제 1차열교환실(230)에서 1차 열교환된 후 입기된 외기는 냉난방장치(53)에 의해 강제적으로 높이거나 낮추어 공급하게 된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 온도차가 큰 4계절로 구분되어 한여름철에는 높은 온도가 지열에 의한 자연적인 열교환 만으로는 돈사(100)내로 적정온도를 제공하기 어려워 냉난방장치(53)에 의한 냉각으로 온도를 낮춘 후 공급하고,
한겨울철 너무 낮은 온도를 상기 한 냉난방장치(53)에서 일정한 온도로 상승시켜 공급하게 되며, 이와 달리 봄,가을철에는 상기한 제 2열교환실(52) 및 후술하는 제 1열교환실(230)에 의한 자연적인 지열에 의한 열교환만으로도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상기한 계절별 또는 온도에 따라 선택된 온도로 조절하여 입기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열교환실(52)에서 배기되는 공기의 음압으로 입기되는 외기는 돈사(100) 외벽(51)에 뚫리는 입기창(54)과 유해성 곤충 등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망지을 거치되, 입기되는 입기량을 셔터(55)의 개방 정도로 조절한 량으로 입기시키게 된다.
상기한 제 2열교환실(52)로 입기되는 외기는 상기 외벽(51)과 지면(20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와 깊이로 바닥면(210)이 형성되고 이 바닥면(210)으로부터 지면(200)까지 수직된 토류방지벽(220)을 구축하여 구성되는 제 1열교환실(230)의 공기를 입기시키게 되며 상기 제 1열교환실(230)은 외부의 신선한 외기가 작업인부와, 야생동물등이 빠지지 않도록 그레이팅(231)을 통해 지하로 구성되는 제 1열교환실(230)로 입기됨과 지하로 구성된 제 1열교환실(230)은 지하에 구성됨으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하 온도는 평균적으로 대략 16~18도를 유지하고 있고 외부의 더운 공기가 지하의 제 1열교환실(230)에서 상기온도와 열교환되어 대략 16~18도 전후의 온도로 교환된 후의 공기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1차 열교환된 외기는 다시 제 2열교환실(52)내에서 2차 열교환시켜 돼지의 최적의 서식 온도인 대략 19~25도로 공급할 수 있게되며, 이러한 외기는 공급될 때 상기한 제 1열교환실(230)에 의한 열교환과 제 2열교환실(52)내에서 2차 열교환시켜 돼지의 최적 서식온도로 알려진 19~25도로 공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한여름철이나 한겨울철에는 상기한 제 1열교환실(230)과 제 2열교환실(52)에서의 자연적인 열교환만으로는 최적의 온도를 제공할 수 없음으로 이때 상기 제 2열교환실(52)에 구성된 냉난방장치(53)를 가동하여 인위적으로 가온하거나 냉각시켜 서식온도인 대략 19~25도로 공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돈사(100)내로 입기되는 외부의 신선한 외기를 돼지의 서식환경요건에 적합한 온도의 공기로 열교환하여 공급함으로서 다량의 배기팬을 구성하지 않는 장비와 설치비용의 절감효과, 그리고 배기팬을 구동하는 전력낭비를 방지하고 자연친화적 열교환으로 자원낭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2열교환실(230,52)은 돈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또는 좌우 중 선택하여 구성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어느 한쪽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함께 상기에 의해 돈사(100)내에 서식하는 돼지와 배출된 분뇨 등으로 생성된 악취와 오염공기를 배기팬을 구동하여 배기관(30)을 통해 돈사(100) 지붕(40)상면에 사각벽(41)으로 구성되고 물이 채워진 수조(60)를 감싸게 상부로 구성된 투명한 비닐,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온실(61)내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배기 오염공기는 온실(61)내에서 안개분사장치(62) 또는 미도시한 분수 와 다량의 산소공급을 할 수 있는 폭기장치 등에서 분출되는 물방울들인 안개와 흡착되어 악취를 탈취 제거하는 효과를 발휘함과 함께 수조(60)에 서식하는 수생식물(63)로서 악취제거능력과 수조(60)내의 물을 정화할 수 있는 부레옥잠, 물옥잠, 줄, 부들, 창포, 토란 또는 갈대, 미나리 등 악취물질 질소와 인산의 흡수량이 크다고 알려진 서식수초들이 오염공기의 악취를 흡착 탈취제거를 하게됨으로 보다 자연친화적으로 악취제거를 실시하여 최상의 악취를 친화적으로 제거탈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조(60)의 물에 흡착된 악취등은 수조(60)에 수생식물(63)과 함께 각종 어류, 곤충이 서식하는 생태연못인 둠벙으로 형성됨으로서 이러한 둠벙에 서식시키는 미꾸라지, 투구새우와 같은 수생곤충들이 서식하면서 수조(60)의 정화능력의 향상과함께 물에 흡착된 악취물질들을 정화 제거하게 된다.
상기한 수초와 수생곤충, 어류등은 상기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미설명된 수초 또는 수생어류나 곤충등이 서식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온실(61)에서 1차 악취를 탈취제거 한 후의 잔여 오염공기는 주변의 수목이 무성한 곳으로 배출하도록 온실(61)로 구성시켜 잔여오염공기가 자연수목에 의한 2차 정화를 이룰수 있도록 하는것도 더욱 바람직하다.
흙(66)이 채워지는 수목원(65)은 사각벽(41)으로 구성된 내부에 농장의 직원과 관리인 또는 방문객들이 휴식과 놀이 등을 즐길수 있도록 정원수(67)와 각종 조각 또는 의자 등의 편의시설, 분수 등을 구비하는 휴식공간의 공원으로 구성됨으로 직원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특히 지면(200)과 수평을 이루도록 지하로 구축되는 돈사(100)로 구성됨으로서 외부에서 오염시설 또는 혐오시설로 인식되는 돈사(100)가 전혀 노출되지 않아 민원발생방지와 함께 주변환경과 자연친화적인 돈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하로 구축된 돈사(100)와 이 돈사(100)의 지붕에 수목원(65)을 구성하여 정원수(67)와 각종 조각품, 분수등이 구성되어 주변과 조화를 이루고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하므로서 주변환경과 친화적이고 자연스럽게 조화되어 외부에서 볼때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또는 악취발생의 혐오시설로 인식되어지지 않아 지역민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한 수조(60)와 수목원(65)은 지붕(40) 상면에 사각벽(41)을 콘크리트몰탈로 구축하되 충분한 방수기능을 부가함과 함께 수조(60)와 수목원(65)에서의 물, 빗물이나 지하수등이 슬리브 지붕(41)을 통해 돈사(100)내로 누수되지 않도록 내면 전체에 방수구성 또는 FRP로 마감처리하여 완전방수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수조(60)와 수목원(65)은 도 1,2와 같이 돈사(100)의 길이방향으로 중복하는 구성과 함께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씩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선택사항에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같이 지하로 구축되는 본 발명의 지하 돈사(100)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와 통제 및 구축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돈사시설설명도를 도 3내지 도 6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의 돈사(100)의 구축과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상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돈사(100)로 진입하는 주진입로인 제 1진입로(300)에 방문객 주차장(301)과 방역소(302)를 설치하여 방역과 통제하도록 하며, 상기 제 1진입로(300)로부터 분리되어 방문객과 관리인들이 관리동(400)으로 왕래하기 위한 제 2진입로(310), 그리고 제 1진입로(300)로부터 분리된 제 3진입로(320)는 돈사(100)에 돼지를 입출입시키기 위한 차량과 사료차량이 이용하도록 하되, 제 3진입로(320)에서 분리된 제 4진입로(330)를 분리하여 돈사(100)의 돼지를 입출입하기 위한 승하차장(331)이 구성되는 돼지입출입구(332)로 연결한다.
상기 제 3진입로(320)에서 연장된 연장로(340)는 돈사(100)에서 발생된 돈분등을 이송하기 위한 돈분처리장(20)과, 돈사(100)로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휀스내로 구성된 사료탱크(351)에 사료를 공급시킬수 있도록 사료차량이 왕래하는 사료차량이동로(350)가 휀스를 따라 구성되며, 이러한 휀스는 돈사(100) 주변에 설치되어 출입을 제한하는 한편 상기한 관리동(400)과 돈분처리장(20)으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문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기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돼지를 입출입하기 위한 승하차장(331) 또는 돼지입출입구(332)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연결되고 제한된 관리인만이 출입하는 출입제한로(333)를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돼지 또는 외부로 반출할 돼지를 일정한 기간 기거시키면서 유행성 질병등의 감염여부를 판단하는 별동돈사(100-1)로 입출입하도록 한다.
상기 관리동(400)에서 지하로 구축된 본 발명의 돈사(100)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지면(200)으로부터 지하로 연결되어 관리인이 지하로 구축된 돈사(100)로 입출입하는 출입복도(410)를 구성함과 함께 이 출입복도(410)에는 관리인의 휴식과 간략한 업무, 또는 화장실, 간단물품의 보관등을 할 수 있는 휴게실(420)이 구성되고, 상기 휴게실(420)을 전후하여 좌우측으로 구성됨과 함께 지하로 구축된 돈사(100)내로 입출입하는 돈사출입로(430)를 구성시켜 관리인들이 돈사(100)내의 돈방(10)으로 출입하고 기거하는 돼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제 3진입로(320)에서 연장된 연장로(340)로 연결된 돈분처리장(20)은 돈분차량이 진입할수 있게 비탈로와 돈사(100)와 근접되어 구성되며 상기 돈본처리장(20)은 공지된바와 같이 돈방(10)의 바닥재(11)밑으로 구성된 돈분집류실(12)에서 모집된 돈분을 파이프라인(13)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되는 돈분은 공지에서와 같이 고액분리기를 거치면서 액과 뇨를 분리시켜 액은 집수조, 침전조, 폭기조, 발효조등의 복수개로 구성되는 발효탱크를 거쳐 발효시키는 한편, 뇨는 혼합조로 공급하여 복수의 혼합과정을 거치면서 혼합과 발효로 악취가 제거된 상태로 차량을 이용하여 배출하도록한다.
상기한 돈사시설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돈사(100)는 비탈된 출입복도(410)를 통해 입출입하는 지하로 구축된 돈사(100)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돈사(100)는 주변의 지면으로부터 지하로 구축되어 외부 노출에 따른 기피시설에 대한 오해와 각종 조각 또는 의자, 분수 등을 구비하는 공원으로 구성되어 주변과 친화적인 지하 돈사(100)를 제공하므로서 주변환경과 친화적이고 특히 지하로 구축된 지하 돈사(100)에서 발생된 오염악취가 멀리 비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탈취정화로 주변의 악취비산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방역과 통제가 명확하여 외부로부터 유행성 병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돈사내에서 발생된 악취등의 비산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주변환경과 자연친화적 환경을 제공하여 오염시설에 대한 오염 방지와 돈사내에서 발생된 악취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탈취제거하도록 함으로서 악취로 인한 민원을 감소하고 지하구축에 따른 냉난방비의 절감효과 그리고 대단위의 돈사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와 통제 및 혐오스럽지 않고 자연친화적인 구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국내외에서 보다 자연친화적돈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은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을 기초로한 수정된 설계 및 편의성과 경제성등을 고려하여 실시예를 달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0 : 돈방 11 : 바닥재 12:돈분집류실
13 : 파이프라인 14 : 외기입기공 20: 돈분처리장
30 : 배기관 40 : 지붕 41:사각벽
50 : 내벽 51 : 외벽 52 : 제 2열교환실
53 : 냉난방장치 54 : 입기창 55 : 셔터
60 : 수조 61 : 온실 62 : 안개분사장치
63 : 수생식물 65 : 수목원 66 : 흙
67 : 정원수 100 : 돈사 200 : 지면
210 : 바닥면 220 : 토류방지벽 230 : 제 1열교환실
231 : 그레이팅

Claims (5)

  1. 돼지가 기거하는 바닥재(11)에 돈방(10)과, 돈분이 모집되는 돈분집류실(12)을 구성하고 모집된 돈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파이프라인(13)에 의해 돈분처리장(20)으로 배출함과 함께 돈사(100)내에서 생성된 악취와 오염공기를 배기팬으로 배출하고 배기되는 악취공기로 형성되는 돈사(100)내 음압으로 외부의 신선한 외기가 돈분집류실(12)로 연결된 외기입기공(14)를 통해 돈사(100)내로 흡기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외기입기공(14)이 뚫린 돈사(100) 내벽(5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외벽(51)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제 2열교환실(52)과,

    상기 돈사(100) 외벽(51)에 입기창(54)을 구성하고 상기 외벽(51)과 지면(20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와 깊이로 바닥면(210)을 형성하여 바닥면(210)으로부터 지면(200)까지 수직된 토류방지벽(220)을 구축하여 구성되는 제 1열교환실(230)을 구성하는 돈사(100)의 지붕(40)면이 지면(200)과 수평이거나, 수평이하의 지하로 위치 되도록 돈사(100) 전체가 지하로 구축됨과 함께 돈사(100) 지붕(40)에 외부로 노출된 수조(60)와 수목원(65)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돈사(100)의 지붕(40)상면에 사각벽(41)으로 구성되어 물이 채워지는 수조(60)와 흙이 채워지는 수목원(65)을 구성하되, 상기 수조(60)에는 상부로 구성되는 투명한 비닐, 목재, 합판,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온실(61)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61)에는 돈사(100)로부터 배기되는 오염공기의 악취를 흡착으로 탈취시키기 위한 안개분사장치(62)와,
    온실(61)내의 수조(60)에는 식생하면서 배기 악취의 탈취와 제거능력이 좋은 각종 수생식물(63)과 물정화를 위한 수생어류와 곤충들이 서식하도록 함과 함께, 다량의 산소를 공급하는 분수 또는 폭기장치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돈사(100)의 지붕(40)상면에 사각벽(41)으로 구성되어 흙(66)이 채워지는 수목원(65)에는 농장 직원과 관리인 또는 방문객들이 휴식과 놀이 등을 즐길수 있고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정원수(67)와 각종 조각품, 편의시설, 및 분수 등을 구비하는 휴식공간의 공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60)와 수목원(65)은 지붕(40) 상면에 사각벽(41)을 콘크리트몰탈로 구축됨과 함께 방수처리 또는 사각벽(41)내에 FRP로 마감처리시켜 완전방수를 이루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KR20120107714A 2012-09-27 2012-09-27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KR101407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7714A KR101407472B1 (ko) 2012-09-27 2012-09-27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7714A KR101407472B1 (ko) 2012-09-27 2012-09-27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036A true KR20140042036A (ko) 2014-04-07
KR101407472B1 KR101407472B1 (ko) 2014-06-16

Family

ID=5065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7714A KR101407472B1 (ko) 2012-09-27 2012-09-27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4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5828A (zh) * 2014-07-24 2014-11-19 王海平 猪舍
CN104304082A (zh) * 2014-11-13 2015-01-28 河南科技学院 一种禽舍冬季送暖风系统
CN110050703A (zh) * 2019-06-05 2019-07-26 江西凯帝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低成本竹鼠养殖舍及其建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579B1 (ko) 2015-10-26 2017-10-25 신일식 돈사의 지하채널 환기시스템
CN105475147B (zh) * 2016-02-04 2018-08-28 叶传林 一种节能环保的恒温动物饲养舍
KR101849886B1 (ko) * 2017-11-17 2018-04-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도팜스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KR101936064B1 (ko) 2018-04-13 2019-01-08 (주)홍익기술단 하폐수용 탈취장치
KR102246376B1 (ko) * 2020-08-27 2021-04-28 최홍림 생계형 지하돈사와 지상온실의 융복합 생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876B1 (ko) * 2009-12-15 2013-11-18 공번아 친환경 분뇨처리 순환시스템
KR101019088B1 (ko) * 2010-08-26 2011-03-07 양용만 악취탈취 방법과 복합건물을 이용한 친환경 돈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5828A (zh) * 2014-07-24 2014-11-19 王海平 猪舍
CN104304082A (zh) * 2014-11-13 2015-01-28 河南科技学院 一种禽舍冬季送暖风系统
CN110050703A (zh) * 2019-06-05 2019-07-26 江西凯帝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低成本竹鼠养殖舍及其建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7472B1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472B1 (ko) 지하로 구축되는 지하돈사
KR100901756B1 (ko) 돈사의 악취제거방법과 그 시스템
CN101703033B (zh) 一种养猪发酵床的建立方法
KR101019088B1 (ko) 악취탈취 방법과 복합건물을 이용한 친환경 돈사
CN105052775A (zh) 畜禽多层立体养殖系统
CN111149564B (zh) 一种商品猪安全生产系统
KR20060086648A (ko) 포유모돈과 자돈이 분리기거 가능한 친환경 돈사
CN210186866U (zh) 一种畜禽养殖场舍内臭气净化系统
EP3783172B1 (en) Ecological building with organic agricultural aquaculture function and internal circulation treatment function
CN104437035A (zh) 一种用于畜禽舍的多级排气除臭装置
CN101889553A (zh) 原生态养猪场及原生态养猪方法
KR20140033190A (ko) 가금류축사환기시스템
CN204518793U (zh) 养殖、净化一体化环保型禽畜房舍
KR101248110B1 (ko) 액비를 이용한 악취 저감 돈사 세정 순환 시스템
KR200445643Y1 (ko) 축분뇨 악취 제거 장치
KR101407475B1 (ko) 민원이 없고 지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돈사시설과 그 돈사
KR101849886B1 (ko) 악취제거 및 방음 기능을 갖는 친환경 밀폐식 축사
CN204320063U (zh) 一种用于畜禽舍的多级排气除臭装置
CN104756884A (zh) 养殖、净化一体化环保型禽畜房舍
KR20210151719A (ko) 북방산개구리 사육장치 및 사육시스템
CN212816054U (zh) 一种墙体中空排气旱厕
KR20100086125A (ko) 퇴비 발효장을 갖춘 아파트형 돈사
KR100607700B1 (ko) 친환경 축사 구조
KR101875408B1 (ko) 동애등에 돔형 사육설비의 정화장치
CN214282673U (zh) 圆形猪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