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990A -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 Google Patents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990A
KR20140041990A KR1020120106905A KR20120106905A KR20140041990A KR 20140041990 A KR20140041990 A KR 20140041990A KR 1020120106905 A KR1020120106905 A KR 1020120106905A KR 20120106905 A KR20120106905 A KR 20120106905A KR 20140041990 A KR20140041990 A KR 20140041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car
fixing
surgical instrument
insertion mechanism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철
Original Assignee
(주)보성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성메디텍 filed Critical (주)보성메디텍
Priority to KR102012010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1990A/ko
Publication of KR20140041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19Sealing means between cannula and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뉼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를 포함하는 트로카의 상기 삽입구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에 있어서, 삽입기구 캡과 중심 샤프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 샤프트를 향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집게 단위체가 형성되며, 상기 집게 단위체 각각은 상기 중심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2개 형성되며, 상기 삽입기구 캡이 형성된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 샤프트가 상기 삽입기구 캡과 접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접힘과 펴짐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Structure of inner inserting device fixing for surgical instrument in the trocar}
본 발명은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에서 사용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학적으로 수술이란 피부나 점막, 기타 조직을 의료 기계를 사용하여 자르거나 째거나 조작을 가하여 병을 고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수술 중 개복수술은 복강이나 안면의 피부(skin)를 갈라서 열고 그 내부에 있는 기관 등을 치료, 성형하거나 제거하는 수술에 해당한다.
특히, 개복수술 등을 시술할 때에는, 피부를 절개하여 들어올림으로써 피부와 조직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후, 그 공간을 통해 수술 행위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개복수술은 상처가 많이 나기 때문에 수술후 치유가 더디는 문제점이 있어서, 현재 복강경 수술이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은 환자의 복부에 작은 구멍을 뚫은 후 이 구멍을 통해 복강의 수술부위를 관찰하면서 수술하는 방식으로, 담낭제거술, 충수돌기 절제술, 위절제술, 대장절제술 등의 외과 수술과 비뇨기과 및 산부인과 영역 등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싱글 포트 수술은 환자의 복부에 하나의 구멍을 뚫어 수행되는 수술로서, 기존 복강경 수술에 비해 흉터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수술 방법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사시도이다. 수술용 트로카는 복강경 수술시 복강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 기구이다. 의료용 트로카를 이용하여 복강경, 내시경과 같은 의료 기구가 삽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삽입구(10), 캐뉼러(20)가 도시된다. 수술용 인스트루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구(10)가 트로카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천공되어 있다. 또한, 캐뉼러(20)는 연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삽입구(10)는 서로 다른 내부 관에 연결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삽입구(10)에 삽입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는 미리 정해진 경로로만 삽입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삽입구(10)에 삽입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도 2와 같은 고정단(30)을 삽입구(10)에 삽입한 뒤, 삽입구(10) 내부의 튜브 지지물에 집게(1)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하였으나. 집게(1)가 고정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관련기술문헌]
1. 내시경수술용 트로카(Troca)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39477호)
2. 수술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한 필터 내장형 트로카(TROCAR)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3543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싱글 포트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집게 부분이, 정밀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로카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며, 삽입구 내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는 캐뉼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를 포함하는 트로카의 상기 삽입구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에 있어서, 삽입기구 캡과 중심 샤프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 샤프트를 향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집게 단위체가 형성되며, 상기 집게 단위체 각각은 상기 중심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2개 형성되며, 상기 삽입기구 캡이 형성된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 샤프트가 상기 삽입기구 캡과 접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접힘과 펴짐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집게 단위체 각각은, 상기 중심 샤프트 내부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이 상기 중심 샤프트로부터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심 샤프트를 바라보는 내측면에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는 요철단; 및 상기 요철단이 상기 연장 프레임로부터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장 프레임이 접힌 경우, 상기 트로카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의 내부 지지물(R)이 이탈하지 않게 고정하는 최종 고정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 프레임이 최대로 펴진 경우, 상기 중심 샤프트와 이루는 각은이α1으로 형성되며, 상기 α1은 22 도 내지 29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철단은 상기 연장 프레임과 각 α2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α2는 105 내지 112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종 고정단은 상기 요철단과 각 α3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α3는 상기 α2와 동일하게 105 내지 112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 프레임, 상기 요철단 및 상기 최종 고정단 간의 길이의 비율관계는 1.3 내지 1.5 : 3.2 내지 4: 0.8 내지 1.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철단에 형성된 각 요철은, 최대 피크(peak) 영역의 곡률이 c1이고, 요철 상호 간의 사이 영역의 곡률이 c2일 경우 상기 c1이 상기 c2에 의해 0.5배 이하로 작지 않은 수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심 샤프트를 기준으로 후단으로는 차례로 제 1 단턱단, 요철 삽입단 및 제 2 단턱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턱단은 상기 삽입기구 캡과 연결된 상기 중심 샤프트와, 상기 요철 삽입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요철 삽입단의 하나의 끝단임을 표시하며, 상기 제 2 단턱단은 상기 요청 삽입단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단턱단이 맞닿은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요철 삽입단의 다른 끝단임을 표시하며, 상기 요철 삽입단은 상기 집게 단위체 각각이 접힌 경우, 상기 집게 단위체 중 상기 요철단에 형성된 각 요철이 삽입되기 위한 요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는, 싱글 포트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집게 부분이, 정밀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는, 트로카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력을 강화시키며, 삽입구 내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싱글 포트 수술용 트로카에 형성된 삽입구에 삽입되는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를 사용한 경우에 종래의 고정단에 의한 트로카의 삽입구에 고정된 것과 대조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이하, 내부 삽입기구: 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삽입기구(100)는 삽입기구 캡(110), 집게 단위체(120), 그리고 중심 샤프트(130)를 포함한다.
삽입기구 캡(110)은 중심 샤프트(130)의 끝단에 형성되어, 트로카에 형성된 삽입구(10) 내부의 내부 지지물(도 5a의 R 참조)에 맞닿아 삽입되는 최종단이다. 여기서 내부 지지물(R)은 튜브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집게 단위체(120)는 삽입기구 캡(110)으로부터 중심 샤프트(130)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방향에 하나씩 연장되는 구조로 2개가 형성된다.
하나의 집게 단위체(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나의 집게 단위체(120)는 연장 프레임(121), 요철단(122) 및 최종 고정단(123)으로 이루어진다.
연장 프레임(121)은 중심 샤프트(130) 내부에 회전을 위한 회전축과 연결되어 도 3에서 도 4와 같이 접혀졌다 펴졌다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연장 프레임(121)이 도 4와 같이 최대로 펴진 경우, 중심 샤프트(130)와 이루는 각은 α1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α1은 22 도 내지 29도 사이로 형성된다.
요철단(122)은 연장 프레임(121)이 중심 샤프트(130)로부터 연장된 끝단에서 연장 프레임(121)과 각 α2를 이루어 형성되며, 여기서 α2는 105 내지 112도로 형성된다. 요철단(122)은 중심 샤프트(130)를 바라보는 면에 다수개의 요철(122a)이 형성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각 요철(122a)은 최대 피크(peak) 영역의 곡률이 c1이고, 각 요철(122a) 간의 사이 영역의 곡률이 c2일 경우 c1이 c2에 의해 0.5배 이하로 작지 않은 수치로 형성되는 것이 요철(122a)에 의한 내부 지지물(R)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최종 고정단(123)은 요철단(122)이 연장 프레임(121)로부터 연장된 끝단에서 요철단(122)과 각 α3을 이루어 형성되며, 여기서 α3는 α2와 동일하게 105 내지 112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고정단(123)은 도 3과 같이 집게 단위체(120)가 접힌 경우, 트로카에 형성된 삽입구(10)의 내부 지지물(R)이 이탈하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연장 프레임(121), 요철단(122) 및 최종 고정단(123)에 대한 길이의 비율관계는 1.3 내지 1.5 : 3.2 내지 4: 0.8 내지 1.1로 형성된다.
중심 샤프트(130)는 후단의 외부로 차례로 제 1 단턱단(131), 요철 삽입단(132) 및 제 2 단턱단(133)이 형성된다.
제 1 단턱단(131)은 삽입기구 캡(110)과 연결된 중심 샤프트(130)와, 요철 삽입단(132) 사이에 형성되어, 요철 삽입단(132)의 하나의 끝단임을 표시한다.
요철 삽입단(132)은 각 집게 단위체(120)이 도 3과 같이 접힌 경우, 집게 단위체(120) 중 요철단(122)에 형성된 각 요철(122a)이 삽입되기 위한 요철홈이 형성된다.
제 2 단턱단(133)은 요청 삽입단(132)을 중심으로 제 1 단턱단(131)과 맞닿은 반대편에 형성되며, 요철 삽입단(132)의 다른 끝단임을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100)를 사용한 경우에 종래의 고정단(30)에 의한 트로카의 삽입구(10)에 고정된 것과 대조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각 집게 단위체(120)의 요철단(122)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122a)의 내측 부분에 의해 삽입구(10) 내부의 실리콘이 미끄러져 빠져 나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110: 삽입기구 캡
120: 집게 단위체
121: 연장 프레임
122: 요철단
122a: 요철
123: 최종 고정단
130: 중심 샤프트
131: 제 1 단턱단
132: 요철 삽입단
133: 제 2 단턱단

Claims (8)

  1. 캐뉼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를 포함하는 트로카의 상기 삽입구로 수술용 인스트루먼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에 있어서,
    삽입기구 캡과 중심 샤프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 샤프트를 향하는 방향의 내측으로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집게 단위체가 형성되며,
    상기 집게 단위체 각각은 상기 중심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2개 형성되며, 상기 삽입기구 캡이 형성된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중심 샤프트가 상기 삽입기구 캡과 접하는 영역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접힘과 펴짐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게 단위체 각각은,
    상기 중심 샤프트 내부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장 프레임;
    상기 연장 프레임이 상기 중심 샤프트로부터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중심 샤프트를 바라보는 내측면에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는 요철단; 및
    상기 요철단이 상기 연장 프레임로부터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장 프레임이 접힌 경우, 상기 트로카에 형성된 상기 삽입구의 내부 지지물(R)이 이탈하지 않게 고정하는 최종 고정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이 최대로 펴진 경우, 상기 중심 샤프트와 이루는 각은이α1으로 형성되며, 상기 α1은 22 도 내지 29도 사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철단은 상기 연장 프레임과 각 α2를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α2는 105 내지 112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최종 고정단은 상기 요철단과 각 α3을 이루어 형성되며, 상기 α3는 상기 α2와 동일하게 105 내지 112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 상기 요철단 및 상기 최종 고정단 간의 길이의 비율관계는 1.3 내지 1.5 : 3.2 내지 4: 0.8 내지 1.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요철단에 형성된 각 요철은,
    최대 피크(peak) 영역의 곡률이 c1이고, 요철 상호 간의 사이 영역의 곡률이 c2일 경우 상기 c1이 상기 c2에 의해 0.5배 이하로 작지 않은 수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심 샤프트를 기준으로 후단으로는 차례로 제 1 단턱단, 요철 삽입단 및 제 2 단턱단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턱단은 상기 삽입기구 캡과 연결된 상기 중심 샤프트와, 상기 요철 삽입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요철 삽입단의 하나의 끝단임을 표시하며,
    상기 제 2 단턱단은 상기 요청 삽입단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단턱단이 맞닿은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요철 삽입단의 다른 끝단임을 표시하며,
    상기 요철 삽입단은 상기 집게 단위체 각각이 접힌 경우, 상기 집게 단위체 중 상기 요철단에 형성된 각 요철이 삽입되기 위한 요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KR1020120106905A 2012-09-26 2012-09-26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KR20140041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05A KR20140041990A (ko) 2012-09-26 2012-09-26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05A KR20140041990A (ko) 2012-09-26 2012-09-26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990A true KR20140041990A (ko) 2014-04-07

Family

ID=5065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905A KR20140041990A (ko) 2012-09-26 2012-09-26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19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4317B2 (en) Seal anchor with non-parallel lumens
ES2264172T3 (es) Sistemas e instrumentos para la cirugia de minimo acceso.
US20130225932A1 (en) Multi-portion wound protector
CN105592809B (zh) 交换器外科手术进入端口组件及使用方法
ES2657669T3 (es) Dispositivo quirúrgico
US9028403B2 (en) Access port having rollable proximal end
US20130190573A1 (en) Wound protector including flexible and rigid liners
WO2009067433A3 (en) Anal surgical instrument guides
AU2012201013B2 (en) Access port and flexible sleeve with attached cord
ES2375241T3 (es) Punta de obturador.
AU2011253782A1 (en) Self deploying bodily opening protector
ES2767686T3 (es) Anoscopio giratorio
JP2011104378A (ja) ポート固定デバイス
JP2010259803A (ja) 外科用ポータルデバイス
JP2014161733A (ja) 可撓性のあるアクセスアセンブリ
JP2011031028A (ja) テクスチャ加工された表面を含む外科用ポータルデバイス
CA2689787A1 (en) Suture management system for surgical portal apparatus including internal tubes
JP2011125701A (ja) 栓子先端部
CN204890057U (zh) 一种经肛手术器械进入组件
KR20140041990A (ko) 트로카 상에서의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고정을 위한 내부 삽입기구 구조
RU237597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апароскопии
RU2284774C1 (ru) Троакар
CN209490040U (zh) 能够扩大空间的pph辅助器械
US20110196407A1 (en) Multiple function surgical instrument
RU97260U1 (ru) Троакарная трубка для малоинвазивной хирург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