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211A -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211A
KR20140041211A KR1020120108279A KR20120108279A KR20140041211A KR 20140041211 A KR20140041211 A KR 20140041211A KR 1020120108279 A KR1020120108279 A KR 1020120108279A KR 20120108279 A KR20120108279 A KR 20120108279A KR 20140041211 A KR20140041211 A KR 20140041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object
information
multimedia
user
mov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834B1 (ko
Inventor
현주호
김경민
변무홍
변성욱
이채경
허정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834B1/ko
Priority to EP13186214.6A priority patent/EP2713368A3/en
Priority to US14/039,471 priority patent/US9459773B2/en
Priority to PCT/KR2013/008687 priority patent/WO2014051381A1/en
Publication of KR2014004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본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은 전자책 컨텐츠의 텍스트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크기가 조절 가능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인터렉티브한 멀티미디어가 포함된 전자책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for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책 컨텐츠 내에 재생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책 컨텐츠(e-book contents)는 epub 기반의 스펙을 따르며, 종이책으로 표현되던 컨텐츠를 디지털화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졌다. 현재에는 epub 3 스펙에 HTML5가 채용되면서, 기존의 종이책과 구별되는 멀티미디어 요소가 전자책 컨텐츠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epub 3 스펙을 이용하더라 하더라도, 동영상 컨텐츠와 같은 단순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밖에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즉, 아직까지 종이책의 패러다임을 바꿀 정도의 새로운 멀티미디어 요소들이 전자책 컨텐츠에 들어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근래에는 교육용 전자책 컨텐츠가 증가하면서,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텍스트 및 동영상뿐만 아니라,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책 컨텐츠를 제작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렉티브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용하여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제작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은, 전자책 컨텐츠의 텍스트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크기가 조절 가능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와 상기 동영상 사이의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어, 상기 동영상이 재생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임 바;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때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재생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된 위치를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위치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된 크기를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크기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는, 텍스트, 이미지, 3D 이미지, 위젯, 퀴즈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는, 동기화 정보, 동기화 파서(parser) 정보, 동기화 처리(processo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정보는, JSON 포맷 또는 XML 포맷으로 작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는, 전자책 컨텐츠의 텍스트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페이지 화면에 이동 가능하고 크기가 조절 가능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와 상기 동영상 사이의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어, 상기 동영상이 재생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임 바;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때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재생 아이콘;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의 이동을 위한 드래그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된 위치를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위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조절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조절된 크기를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크기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는, 텍스트, 이미지, 3D 이미지, 위젯, 퀴즈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는, 동기화 정보, 동기화 파서(parser) 정보, 동기화 처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정보는, JSON 포맷 또는 XML 포맷으로 작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으로, 전자책 컨텐츠의 텍스트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크기가 조절 가능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인터렉티브한 전자책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JSON 포맷의 동기화 정보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데스크탑 PC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태블릿 PC, 노트북 PC, 스마트 폰, 스마트 TV, PDA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110)는 전자책 컨텐츠 내에 포함된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의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객체의 다양한 설정 및 기능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의 명령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20)는 동영상과 텍스트가 포함된 전자책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한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객체 윈도우는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크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30)는 전자책 컨텐츠 내에 포함된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객체는 텍스트, 이미지, 3D 이미지, 위젯, 퀴즈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는 전자책 컨텐츠 내에 포함된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멀티미디어 객체와 동영상 사이의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특히, 제2 영역에는 동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어 동영상이 재생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임 바 및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때 동영상을 재생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재생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통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30)는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의 타임 바를 통해 멀티미디어 객체의 시간 정보가 설정되면, 제어부(13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동기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의 위치 및 크기를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객체의 위치 정보 및 크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밖에, 제어부(130)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객체의 종류 및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될 때 동영상이 재생될지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추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는 동기화 정보, 동기화 파서(parser) 정보, 동기화 처리(processo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동기화 정보는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에 대한 정보이며, 동기화 파서 정보는 뷰어(viewer) 측에서 동기화 정보를 파싱하기 위한 정보이며, 동기화 처리 정보는 뷰어 측에서 동기화 파서 정보에 의해 파싱된 동기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때, 동기화 정보, 동기화 파서 정보 및 동기화 처리 정보는 JSON 포맷 도는 XML 포맷으로 작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생성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전자책 컨텐츠와는 별도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전자책 컨텐츠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제1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생성한 후, 전자책 컨텐츠를 실행할 경우,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제1 동영상이 실행되면, 제1 동영상과 동기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더욱 인터렉티브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통신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저장부(230), 사용자 입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210)는 LAN 모듈과 같은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20)는 텍스트 및 동영상이 포함된 전자책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는 전자책 컨텐츠 내에 포함된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전자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3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또한, 저장부(230)는 전자책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이다. 특히, 입력부(280)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 및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다양한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240)는 마우스,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터치 패널, 포인팅 디바이스, 모션 센싱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251), ROM(252), 그래픽 처리부(253), 메인 CPU(2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 255-n), 버스(256)를 포함한다. 이때, RAM(251), ROM(252), 그래픽 처리부(253), 메인 CPU(25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 255-n) 등은 버스(25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25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54)는 ROM(25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30)에 저장된 O/S를 RAM(25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54)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51)에 복사하고, RAM(25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5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사용자 입력부(24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254)는 저장부(2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54)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55-1 내지 25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5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전자책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책 컨텐츠 내에서 텍스트 및 동영상(310)을 포함하는 페이지 화면(3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페이지 화면(300)은 전자책 컨텐츠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전자책 컨텐츠의 페이지 화면(300)에 포함된 동영상(310)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책 컨텐츠의 페이지 화면(300) 내에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단에 구비된 메뉴 중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는 동영상(310)과 중첩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는 페이지 화면(300) 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는 크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멀티미디어 객체와 동영상 사이의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의 제1 영역은 멀티미디어 객체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화면(5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객체로 텍스트 또는 퀴즈를 삽입할 경우, 프리뷰 화면(52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텍스트가 입력될 수 있다. 그밖에, 멀티미디어 객체로 영상, 위젯, 영상 갤러리, 동영상 등을 삽입할 경우, 프리뷰 영상(520)은 입력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프리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의 제2 영역은 멀티미디어 객체의 종류를 설정하기 위한 객체 타입 메뉴(510), 동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어 동영상이 재생될 때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임 바(530),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때 동영상을 재생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재생 아이콘(540)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썸네일 영역(550)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가 디스플레이된 후,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객체의 다양한 설정을 위한 명령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25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객체의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의 객체 타입 메뉴(510)를 통해 멀티미디어 객체의 복수의 유형 중 하나가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선택된 유형을 생성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유형 정보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객체 타입 메뉴(510)를 통해 이미지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250)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유형 정보를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변경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의 크기 및 위치를 멀티미디어 객체의 위치 정보 및 크기 정보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우측에 배치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의 우측 하단으로 이동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50)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위치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기의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50)는 확대된 크기를 생성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크기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통해 직접적으로 멀티미디어 객체의 크기 및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직관적으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의 타임바(530)를 이용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50)는 타임바(530)를 통해 입력된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객체의 재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타임바(530)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정보는 동영상의 재생 시간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동영상의 재생 시간이 1분인 경우, 타임바(530)에 표시되는 시간 정보 역시 1분일 수 있다.
타임바(530)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차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초부터 20초까지 설정된 제1 멀티미디어 객체의 재생 정보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560)를 이용하여 10초부터 30초까지 증가시킨 경우, 제어부(250)는 제1 멀티미디어 객체의 재생 시간을 동영상이 재생된 후 10초부터 30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10초부터 30까지는 다른 영역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10초부터 30까지의 영역에 제1 멀티미디어 객체의 썸네일(5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초부터 30초까지 설정된 제1 멀티미디어 객체의 재생 정보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560)를 이용하여 10초부터 15초까지 감소시킨 경우, 제어부(250)는 제1 멀티미디어 객체의 재생 시간을 동영상이 재생된 후 10초부터 15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10초부터 15까지는 다른 영역과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10초부터 15까지의 영역에 제1 멀티미디어 객체의 썸네일(5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제1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시간이 짧아, 제1 멀티미디어 객체의 썸네일(550)의 크기가 작게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240)를 통해 커서(560)를 제1 멀티미디어 객체의 썸네일(550) 위치로 이동시키면, 제어부(2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시간의 측면에 썸네일(570)의 크기를 크게 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의 재생 아이콘(540)을 이용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50)는 재생 아이콘(540)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될 때, 동영상의 재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을 통해 재생 아이콘(540)이 재생(▶)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250)는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될 때, 동영상 역시 함께 재생되는 것으로 설정하며, 사용자 명령을 통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아이콘(540)이 정지(∥)를 나타내는 경우, 제어부(250)는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될 때, 동영상의 재생이 정지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에 기설정된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더블 클릭)이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의 제2 영역을 제거하고, 제1 영역의 프리뷰 영상(520)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범적으로 멀티미디어 객체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통해 멀티미디어 객체의 종류, 크기, 위치, 재생 시간 등을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멀티미디어 객체의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통해 동영상과 동기화된 하나의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동영상과 동기화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초부터 20초까지 제1 멀티미디어 객체를 삽입할 수 있으며, 40초부터 50초까지 제2 멀티미디어 객체를 삽입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객체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면, 제어부(250)는 사용자 설정을 바탕으로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는 JSON 포맷 또는 XML 포맷일 수 있다. 특히,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는 전자책 컨텐츠를 구성하는 XHTML의 스크립트 안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별도의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가 JSON 포맷의 독립된 파일로 구성된 경우, 뷰어 측에서는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 모듈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가 XML 포맷으로 작성되어 XHTML 내에 포함된 경우, 뷰어 측에서는 자바 스크립트 모듈 또는 네이티브(native) 모듈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하기의 표 1은 epub 3 기반의 전자책 컨텐츠 파일 구성을 나타낸다.
xxx.XHTML 페이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가 포함된 컨텐츠를 나타낸다. 특히, 동기화 기능과 관련하여, 각각의 구성요소의 ID가 동기화 정보 파일의 멀티미디어 객채와 매칭된다.
Vsync.js(JSON)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동기화 정보이다.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Vsync_parser.js xxx.XHTML, Vsync.js(JSON), Vsync_processor.js와 패키징되어 제공될 수 있다. 뷰어 측에서 실행되며, JSON 포맷으로 기록된 동기화 정보를 파싱한다.
Vsync_processor.js xxx.XHTML, Vsync.js(JSON),Vsync_parser.js와 패키징되어 제공될 수 있다. QBD측에서 실행되며, 파싱된 동기화 정보를 처리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스타일 및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하기의 표 2는 동기화 정보(video sync information)를 통해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기능 리스트를 도시한 예이다.
category feature description









text


Font Type Text font type designation
Ex.) style=”font-weight:bold;” (bold text)
Font Size Text font size designation
Ex.) style=”font-size:10pt;”(10 font size of text )
Show/Hide Text show or hide
Ex.) style=”DISPLAY: inline;” (show)
style=”DISPLAY: none;” (hide)
Text Color Text color designation
Ex.) style=”color:red;” (red color text)
Background Color Text backgound color designation (Text highlight)
Ex.) style=”background:green;” (green color background)
Underline Text underline designation
Ex.)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underline text)
Border Style Text border line designation
Ex.) style=”border-width:1pt;border-color:blue;border-style:outset;”



image
Show/Hide Image show or hide
Ex.) style=”DISPLAY: inline;” (show)
style=”DISPLAY: none; (hide);”
Resize Image resize
Ex.) width=”200” height=”300”
Position Change Image position moving
Ex.) style=”position:absolute;top:30%;left:30%;”
widget
(Interactive image, Image gallery, 3D)
Show/Hide Widget show or hide
Ex.) style=”DISPLAY: inline;” (show)
style=”DISPLAY: none; (hide);”
Position Change Widget position moving
Ex.) style=”position:absolute;top:30%;left:30%;”



video
Play/Stop Video play or stop
Ex.) video[video_id].play();
video[video_id].pause();
Volume Video volume setting
Ex.) video[video_id].volume = 0.5 (range= 0.0~1.0);
Show/Hide Video show or hide
Ex.) style=”DISPLAY: inline;” (show)
style=”DISPLAY: none; (hide);”
또한, 하기의 도 3은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의 스펙 구성의 한 예이다. 특히, 하기에 표시된 스펙은 다양한 기능을 위해 확장될 수 있으며, 동영상의 재생 시간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Root






Vsync_Obj













Vsync_Info
(Array)







doc_src






vsync_element
(Array)






ref_id
target_tag





vsync_attrs
(Array)





video_id
video_play_type
video_style
video_volume
display_style
position_ style
etc_style
width
height
sync time
Param1
Vsync_Obj: video sync information object
Vsync_Info: video sync information for each page (xhtml)
doc_src: xhtml document source
vsync_element: video sync information for a element in a xhtml
ref_id: id matched with id of a element in a xhtml
target_tag: tag name of a element in a xhtml
vsync_attrs: video sync attributes
video_id: id of a target video element
video_play_type: an attribute for video play control (“play” or “stop”)
video_style: an attribute for video style change
video_volume: an attribute for video volume value change
style: a style attribute for element style change
sync_time: sync event time during video play
width: a width attribute
height: a height attribute
param1: an extra attribute1 for function extens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12는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JSON 포맷에 의해 작성된 동기화 정보이다. 특히, 도 12는 텍스트 유형의 멀티미디어 객체에 대한 동기화 정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전자책 컨텐츠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뷰어 측에서는 전자책 컨텐츠를 실행할 때,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동영상이 재생되면, 동영상과 동기화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객체를 함께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인터렉티브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통해 사용자는 더욱 쉽고 직관적으로 동영상과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전자책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1310).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전자책 컨텐츠 내에 텍스트 및 동영상이 함께 포함된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화면은 편집용 페이지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20). 이때,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을 위한 사용자 명령은 페이지 화면의 일 측에 구비된 메뉴 중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1320-Y), 전자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를 디스플레이한다(S1330). 이때,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는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크기 조절이 가능한 UI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멀티미디어 객체와 동영상 사이의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4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용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생성한다(S134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도 6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는 동기화 정보, 동기화 파서(parser) 정보, 동기화 처리(processo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정보는 JSON 포맷 또는 XML 포맷으로 작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저장한다(S1350). 이때, 전자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전자책 컨텐츠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용하여 더욱 용이하게 전자책 컨텐츠 내에 멀티미디어 객체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객체가 전자책 컨텐츠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JSON 포맷 또는 XML 포맷을 이용하는 컨텐츠(예를 들어, 웹 페이지 컨텐츠)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생성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책 컨텐츠 내에서 텍스트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10: 통신부 120, 220: 디스플레이부
230: 저장부 110, 240: 사용자 입력부
250: 제어부

Claims (19)

  1.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의 텍스트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크기가 조절 가능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와 상기 동영상 사이의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어, 상기 동영상이 재생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임 바;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때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재생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을 통해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된 위치를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위치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절된 크기를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크기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는,
    텍스트, 이미지, 3D 이미지, 위젯, 퀴즈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는,
    동기화 정보, 동기화 파서(parser) 정보, 동기화 처리(processo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JSON 포맷 또는 XML 포맷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10. 전자책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자책 컨텐츠의 텍스트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페이지 화면에 이동 가능하고 크기가 조절 가능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와 상기 동영상 사이의 동기화 정보를 생성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어, 상기 동영상이 재생될 때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타임 바;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때 상기 동영상을 재생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재생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의 이동을 위한 드래그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이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된 위치를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위치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조절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조절된 크기를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될 크기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는,
    텍스트, 이미지, 3D 이미지, 위젯, 퀴즈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는,
    동기화 정보, 동기화 파서(parser) 정보, 동기화 처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JSON 포맷 또는 XML 포맷으로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은,
    전자책 컨텐츠의 텍스트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페이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페이지 화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크기가 조절 가능한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생성 윈도우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에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120108279A 2012-09-27 2012-09-27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197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279A KR101972834B1 (ko) 2012-09-27 2012-09-27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EP13186214.6A EP2713368A3 (en) 2012-09-27 2013-09-26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conten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4/039,471 US9459773B2 (en) 2012-09-27 2013-09-27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conten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PCT/KR2013/008687 WO2014051381A1 (en) 2012-09-27 2013-09-27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conten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279A KR101972834B1 (ko) 2012-09-27 2012-09-27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211A true KR20140041211A (ko) 2014-04-04
KR101972834B1 KR101972834B1 (ko) 2019-04-29

Family

ID=4929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279A KR101972834B1 (ko) 2012-09-27 2012-09-27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59773B2 (ko)
EP (1) EP2713368A3 (ko)
KR (1) KR101972834B1 (ko)
WO (1) WO20140513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244A (ko) * 2016-09-06 2018-03-14 이현주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3741A (ko) * 2020-02-14 2021-08-24 김응석 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9063B2 (en) * 2011-08-19 2020-06-30 Apple Inc. Authoring content for digital books
US10979785B2 (en) * 2017-01-20 2021-04-13 Hanwha Techwin Co., Ltd. Media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ously reproducing video and audio on a web brows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6108A1 (en) * 2009-02-20 2010-08-26 Jackson Fish Market, LLC Audiovisual record of a user reading a book aloud for playback with a virtual book
US20120064947A1 (en) * 2010-09-09 2012-03-15 Ilbyoung Yi Mobile terminal and memo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120102529A1 (en) * 2010-10-22 2012-04-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User-customized programm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8663A1 (en) * 2001-05-30 2003-01-23 Cornette Ranjita K.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multimedia electronic book
JP4385974B2 (ja) * 2004-05-13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60088175A (ko) * 2005-02-01 2006-08-04 장완호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2010073205A (ja) 2009-09-11 2010-04-02 Sony Corp 文書処理装置、文書処理方法、記録媒体
KR101702659B1 (ko) * 2009-10-30 2017-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콘텐츠와 전자책 콘텐츠의 동기화 장치와 방법 및 시스템
SG171492A1 (en) * 2009-12-01 2011-06-29 Creative Tech Ltd An electronic book reader
KR101294024B1 (ko) * 2009-12-18 2013-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책 시스템에서 인터랙티브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10231388A1 (en) * 2010-03-19 2011-09-22 I/O Interconnect, Ltd. E-book read apparatus and operation thereof
US8739019B1 (en) * 2011-07-01 2014-05-27 Joel Nevins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ntegrating and synchronizing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content displayed via interactive televisions, smartphones, electronic book readers, holographic imagery projectors, and other computerized devices
KR101530634B1 (ko) 2010-11-01 201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체험형 학습 콘텐츠 저작 장치 및 방법
US8526782B2 (en) 2010-12-22 2013-09-03 Coincident.Tv, Inc. Switched annotations in playing audiovisual 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6108A1 (en) * 2009-02-20 2010-08-26 Jackson Fish Market, LLC Audiovisual record of a user reading a book aloud for playback with a virtual book
US20120064947A1 (en) * 2010-09-09 2012-03-15 Ilbyoung Yi Mobile terminal and memo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120102529A1 (en) * 2010-10-22 2012-04-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User-customized programm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244A (ko) * 2016-09-06 2018-03-14 이현주 다중 레이어 기반 다자 참여 저작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3741A (ko) * 2020-02-14 2021-08-24 김응석 콘텐츠를 제작 및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834B1 (ko) 2019-04-29
US9459773B2 (en) 2016-10-04
EP2713368A3 (en) 2014-04-16
US20140089796A1 (en) 2014-03-27
EP2713368A2 (en) 2014-04-02
WO2014051381A1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6645B2 (en) Display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earching content, and method thereof
US103807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928595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KR1024625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컨텐츠 제공 방법
EP2615564A1 (en) Computing devic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72834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작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187381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텐츠 추천 방법
US20170188087A1 (en) User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multimedia system
KR2015007438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92289B1 (ko) 전자 기기 및 이의 문서 작성 방법
KR201400832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메뉴 제공 방법
KR201400727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사용자 메뉴 제공 방법
KR102037179B1 (ko) 이미지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42544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223007B2 (ja) 文書表示装置及び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US2016034994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8928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261335B2 (ja) 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400894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ui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