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175A -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175A
KR20060088175A KR1020050008963A KR20050008963A KR20060088175A KR 20060088175 A KR20060088175 A KR 20060088175A KR 1020050008963 A KR1020050008963 A KR 1020050008963A KR 20050008963 A KR20050008963 A KR 20050008963A KR 20060088175 A KR20060088175 A KR 20060088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book
text
format
soun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완호
심수남
도상윤
Original Assignee
장완호
심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완호, 심수남 filed Critical 장완호
Priority to KR102005000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8175A/ko
Publication of KR2006008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은, 소정의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소정의 포맷을 갖는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성 파일을 소정의 음원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삽입하여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멀티 포맷 전자책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엔진을 이용하여 음원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삽입하여 전자책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낮은 제작 단가로 멀티 포맷의 전자책을 제작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게 전자책이나 오디오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자책, 오디오북, 개인 휴대 단말기, 멀티 포맷

Description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E-BOOK THAT HAVING MULTI-FORMA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 110 : 소스 데이터베이스부
120 : 텍스트 파일 추출부 130 : 텍스트 투 스피치 엔진부
140 : 음원 변환부 150 : 멀티미디어 파일 분석부
160 : 멀티미디어 파일 추출부 170 : 부가정보 파일 삽입부
180 : 동기화부 190 : 통신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책 등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파일을 추출하여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음성 파일로 변환한 다음, 이를 다시 MP3 파일 등의 음원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 또는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삽입함으로써 기존 전자책이나 오디오북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시각, 청각적 효과가 동시에 가능한 멀티 포맷의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출판 업계 또한 그 영향을 받아 기존의 활자 책을 대신할 새로운 대안이 제시되어 활용되고 있는 데, 바로 전자책(E-book)이다. 전자책이란 기존의 종이책 대신 특정 단말기를 통해 텍스트를 다운 받아 저장하여 읽을 수 있는 신개념의 책을 의미한다. 즉, 전자책은 일반적으로 책의 컨텐츠를 디지털 형태의 정보로 가공 및 저장한 출판물이라 할 수 있으며, E-book, E-텍스트, 온라인북, 파일북 등과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전자책은 PC에 설치된 전자책 뷰어와 같은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볼 수도 있고, 상기와 같은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도 PC에 설치된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중일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PDA나 전자책 전용 단말기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기기 내 또는 소정의 휴대용 메모리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을 볼 수 있고,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이 없는 경우, 상기 PDA나 전자책 전용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자책을 제공하는 소정의 사이트에 접속한 뒤 전자책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책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특정 단말기를 통해 여러 권의 책을 모두 읽을 수 있다는 휴대성과, 자신이 원하는 책 또는 특정 부분을 쉽게 검색하여 읽을 수 있다는 편리성으로 인해 전자책은 기존의 종이책을 대신하여 그 사용 범위가 꾸준히 발전하고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전자책은 기존의 인쇄된 책과 비교하여 유통 과정의 단순화 및 재고 부담의 절감, 멀티미디어 기능의 제공, 다양한 컨텐츠 출력 기능, 그리고 저장 관리의 효율성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전자책을 읽기 위해서는 디지털 파일로 구현된 전자책을 실행시킬 수 있는 단말기가 필요한데, 이 단말기의 가격이 현재 대부분 고가로 책정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쉽게 구매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책을 등하교 시간, 출퇴근 시간에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이동 중에 읽고, 도서관과 같이 집이나 학교, 직장 이외의 장소에서 읽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사람들은 책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 중에 곳곳의 장소에서 읽는 경우가 많은데, 전자책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책 단말기가 없으면 이동 중에는 활용할 수가 없고 PC가 설치된 한정된 장소에서만 상기 전자책의 열람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자책을 읽기 위해서는 전자책 단말기가 필수인데, 상기 전자책 단말기의 가격이 고가이어서, 실제로 전자책의 활용은 아직까지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전자책의 포맷으로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PDF(portable document format), OEB, JEPAX 등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책의 포맷은 상기 이외에도 업체에서 자체 개발한 포맷 등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되고 있기 때문에, 전자책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다 하여도 상기의 포맷을 단말기가 지원하지 아니하는 경우, 다양한 포맷의 전자책을 모두 이용할 수가 없고,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교환 및 공유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포맷을 지원하는 소정의 운영 체계가 설치된 개인 휴대 단말기 이외에, 펌웨어(firmware) 기반의 개인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상기 포맷을 지원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디지털 기기의 콘버전스 추세 및 소형화 추세에 역행한다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이에 따라, 전자책 업계에서는 여러 종류의 뷰어와 변환 도구의 개발을 위한 중복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전자책의 시장 활성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전자책의 일종으로 사람의 음성을 통해 전자책을 읽어주는 오디오북이 있는데, 오디오북은 주로 CD, 카세트테이프, MP3CD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작된 오디오북은 MP3 플레이어, PDA, 또는 오디오북 전용 단말기를 통해 실행될 수 있으므로, 종이책을 읽을 여유는 없고 화면으로 보는 전자책은 아직까지 낯설은 현대인들에게 하나의 좋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 주로 CD나 카세트 테잎으로 제작되므로, 오디오북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별도의 단말기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상기 오디오북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오디오북은 그 제작 과정에 있어, 책의 내용을 아나운싱 (Announcing)하는 성우 섭외에 따른 비용이 비교적 많이 들게 되는 편이어서, 제작과 판매의 비용 문제에 있어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오디오북이 CD나 카세트 테잎으로 제작된 경우, 사용자가 성우의 음성만을 청취할 수 있고, 본문 내용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상기 오디오북의 본문 내용을 볼 수가 없어서, 전자책에 비해 불편하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따라, 기존의 전자책과 오디오북의 단점을 극복하여 제작 단가를 낮춰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간편하고 쉽게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책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엔진을 이용하여 음원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삽입하여 전자책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낮은 제작 단가로 제작하여 보다 간편하게 전자책이나 오디오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스 데이터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텍스트 파일과 함께 삽입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포맷의 전자책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책을 MP3 등과 같은 음원 파일 포맷으로 제작하여 사용 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별도의 단말기를 구입하지 않고도,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 PMP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오디오북 형태의 전자책을 듣고 볼 수 있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원 파일의 부가 영역에 하나 이상의 언어로 구현된 텍스트 파일을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자책 파일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어학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은, 소정의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소정의 포맷을 갖는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성 파일을 소정의 음원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삽입하여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100)은 소스 데이터베이스부(110), 텍스트 파일 추출부(120), 텍스트 투 스피치 엔진부(130), 음원 변환부(140), 멀티미디어 파일 분석부(150), 멀티미디어 파일 추출부(160), 부가정보 파일 삽입부(17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화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100)은 통신 인터페이스부(19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한 소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으로부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음성변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보이스 파일뿐 아니라 보이스 메일(Voice Mail), 인터렉티브 음성 응답(Interactive Voice Response), 폰뱅킹(Phone Banking), 오디오텍스(Audiotex) 그리고 그 외 음성처리 응용 프로그램들에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디지털화된 메시지 파일들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PDF(portable document format) 등으로 구현되는 전자책(E-book) 또는 HWP, DOC, PPT, TXT 등 각종의 포맷으로 기록된 문서 파일을 의미한다. 상기 소스 데이터는 상기에서 언급된 파일 형태뿐만 아니라, 상기 파일 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파일 포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으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를 유지한다. 상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는 파일 포맷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유지될 수도 있고, 상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가 포함하고 있는 본문 내용의 분야에 따라 소정의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100)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 으로부터 소스 데이터를 제공 받아 저장하지 않고, 상기 소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자책 파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소스 데이터베이스부(110)는 상기 소스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100)이 상기 전자책 파일 생성을 수행하는 동안만 상기 소스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텍스트 파일 추출부(120)는 소스 데이터베이스부(110)를 통해 유지되는 소정의 문서 기반 소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소스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을 추출한다. 상기 텍스트 파일이란 "txt" 라는 확장자를 갖는 일종의 문서 파일로서, 다양한 형태의 문서 기반 소스 데이터로부터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hwp 확장자를 갖는 소스 데이터를 ppt 나 doc 확장자의 소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 및 특정 프로그램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지만, txt 확장자를 갖는 텍스트 파일로 변환은 PC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통한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텍스트 파일은 그 특성상 그래픽 등의 요소를 제외하고 문서 데이터의 본문 내용만을 포함하고 있어, 텍스트 투 스피치 엔진부(130)를 통한 음성 파일로의 변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 파일 추출부(120)는 상술한 것과 같이 소정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파일을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종이 또는 인쇄된 매체를 통하여 텍스트 파일을 추출할 수 있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소스 데이터로부터 해당 텍스트 파일을 직접 추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나, 종이책 등의 물리적 매체로부터 해당 텍스트 파일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광학식 문자 판독기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텍스트 파일을 추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텍스트 투 스피치(TTS: Text To Speech) 엔진부(130)는 텍스트 파일 추출부(120)를 통해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소정의 포맷을 갖는 음성 파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텍스트 투 스피치 엔진부(130)는 상기 텍스트 파일을 웨이브(WAVE) 파일이나 음성활성 송신 파일(VOX) 과 같은 음성파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텍스트 투 스피치 엔진부(130)는 음성 합성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텍스트 투 스피치(TTS : Text To Speech)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투 스피치 엔진부(130)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언어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파일로 변환하고자 하는 텍스트 파일에 구현된 언어가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영어, 또는 불어 등 어떠한 언어이든지 각각의 언어에 대응하는 텍스트 투 스피치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파일을 각기 언어에 따른 음성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음원 변환부(140)는 텍스트 투 스피치 엔진부(130)를 통해 변환된 음성 파일을 소정의 음원 파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텍스트 투 스피치 엔진부(130)를 통해 변환된 음성 파일은 wav 확장자를 갖는 웨이브 파일일 수 있다. 상기 웨이브 파일은 일반적인 CD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음성 데이터 파일 포맷으로서, 재생을 통한 청취 이외에는 텍스트 파일의 삽입 등의 파일 가공이 불가능한 아날로그 신호의 특성을 갖는다.
음원 파일이란 상기와 같은 음성 파일을 압축 또는 변환함으로써 생성된 디지털 신호의 특성을 갖는 파일로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해 재생 가능하고, 가공 및 변형이 용이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음원 파일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MP3, WMA, WAV, OGG, ASF 등의 파일을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한 파일 이외에도 향후 개발되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음원 파일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MP3 파일을 예로 들어 상기 음원 파일을 설명하기로 한다.
음원 변환부(140)는 상기와 같이 음성 파일을 압축과 변환과정을 거쳐서 부가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소정의 음원 파일로 변환한다. 상기 부가정보 영역이란 음원 파일 내에 존재하는 영역으로서, 상기 음원 파일에 대한 소정의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원 파일이 MP3 파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 영역은 MP3 파일 내에 존재하는 ID3 태그 영역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ID3 태그 영역에는 상기 MP3 파일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음원 변환부(140)는 상기와 같이 음성 파일을 음원 파일로 변환하는 파일 변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소정의 음원 변환 소프트웨어 모듈(예를 들어, wave 파일을 mp3 파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 분석부(150)는 상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가 소정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이란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을 포함하는 텍스트 파일 이외의 다양한 그래픽 파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에도 텍스트 파일 이외에 다양한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이 포함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파일 분석부(150)는 상기와 같이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가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파일 추출부(160)는 멀티미디어 파일 분석부(150)에 의해 상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에 멀티미디어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추출한다. 멀티미디어 파일 추출부(160)는 음원 변환부(140)에 의해 변환된 음원 파일이 지원하는 소정의 포맷에 대응하여, 상기 추출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음원 파일 포맷에 대응하는 소정의 형태로 편집 또는 변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소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멀티미디어 파일은 텍스트 파일 추출부(120)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파일과는 달리, 텍스트 투 스피치 엔진부(130)를 통한 TTS 변환 처리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상기 텍스트 파일과는 별도의 파일로서 분리해 두었다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통하여 변환된 전자책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포함되어 개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부가정보 파일 삽입부(170)는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파일 추출부(120)를 통해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삽입한다. 또한, 부가정보 파일 삽입부(170)는 멀티미디어 파일 추출부(160)를 통해 추출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과 함께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가정보 파일 삽입부(170)는 상기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만을 삽입할 수도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만을 삽입할 수도 있으며, 상기 텍스트 파일 및 멀티미디어 파일을 모두 함께 삽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텍스트 파일만을 삽입하여 전자책 파일을 생성한 경우, 상기 전자책 파일은 텍스트와 음성으로 이루어진 전자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정보 영역에 이미지 파일을 삽입하여 전자책 파일을 생성한 경우에는, 이미지와 음성으로 구성된 가칭 "오디오 그림 전자책"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 영역에 삽입되는 텍스트 파일은 상기 음원 파일을 생성하는데 이용된 텍스트 파일 뿐만 아니라, 상기 텍스트 파일과는 다른 언어로 구현된 제2 텍스트 파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한국어로 작성된 텍스트 파일을 이용하여 음원 파일 변환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한국어 텍스트 파일에 대응하는 영어 텍스트 파일을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한국에 텍스트 파일과 함께 삽입한 음원 파일을 소정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선택 조작을 통하여 한국어로 된 음성을 들으면서 영어 텍스트 파일을 열람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일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영어로 된 음성을 들으면서 한국어 텍스트 파일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거나, 영어로 된 음성을 들으면서 독어 텍스트 파일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단순 설계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음원 파일이 MP3 파일로 구현되는 경우, 부가정보 파일 삽입부(150)는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 즉, MP3 파일의 ID3 태그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삽입함에 있어서, 상기 ID3 태그의 특성상 상기 텍스트 파일의 본문 구조에 따라 프레임을 구분하여 삽입할 수 있고, 무제한으로 상기 텍스트 파일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전자책 디스플레이를 위한 특정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도 상기 음원 파일 재생을 통한 부가정보 영역의 텍스트 파일 디스플레이만을 통해 상기 전자책과 유사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동기화부(180)는 상기 텍스트 파일을 하나 이상의 분할 텍스트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 텍스트의 구간에 대응하는 음원 파일의 재생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재생 시간 정보는 부가정보 파일 삽입부(150)에 의해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시간 정보의 삽입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이 MP3 파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MP3 파일은 당업자에 의해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엠펙(MPEG)1에서 규정한 고음질 오디오 압축기술의 하나로서, 압축율과 음질이 뛰어나고, M.Nilsson이 1998년 3월 28일 ID3 tag version 2에서 발표한 바와 같이 부가정보 파일을 삽입할 수 있는 태그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ID3 태그 영역을 통한 텍스트 파일의 삽입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삽입이 가능하다. 상기 텍스트 파일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삽입은 당업자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정의 ID3 태그 편집 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ID3 태그는 버전1 및 버전2의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ID3 태그 버전 1에는 MP3 파일의 마지막 128바이트에 노래 제목, 가수 명 등을 기록될 수 있으나, 기록될 수 있는 태그의 종류가 제목, 가수, 앨범, 제작 년도 등으로 제한이 있으며, 그 크기에도 제한이 있다. ID3 태그 버전 2에는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에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ID3 태그 버전2에 따르면, MP3 파일의 헤더에 위치한 ID3 태그는 무한대의 프레임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프레임도 필요에 따라 정의해서 기록될 수 있으며, 사진 또는 이미지와 같은 그래픽 데이터 또한 기록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도 2에서는 MP3 파일의 ID3 태그에 버전 2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200)은 음원 파일(220)로서 MP3 파일이 사용될 수 있고, 부가정보 영역(210)은 상기 MP3 파일의 헤더에 위치한 ID3 태그 버전2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ID3 태그 영역에 삽입되는 텍스트 파일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용량은 상기 MP3 파일이 기록되는 소정의 저장 수단의 용량에 따라 무한대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ID3 태그 영역에 포함되는 텍스트 파일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 즉, 부가정보 파일은 상기 MP3 파일이 MP3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될 때, 상기 MP3 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기능(Synchronized)을 사용하여 상기 부가정보 파일과 음원 파일을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200)은 헤더에 위치한 부가정보 영역(210)에 음원 파일 정보(211), 동기화 정보(212), 텍스트 파일(213), 이미지 파일(214), 또는 동영상 파일(215)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부가정보 영역(210)의 뒷부분에 위치한 음원 파일 영역(220)에는 음원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음원 파일 정보(211)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200)의 제목, 저자, 시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정보 영역(210)에 삽입된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214), 또는 동영상 파일(215)은 동기화부(180)에 의해 분할된 하나 이상의 분할 텍스트, 분할 이미지, 또는 분할 동영상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동기화부(180)는 상기 텍스트를 소정의 어절 또는 문장 기호 등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분할 텍스트로 분할하고, 상기 텍스트가 변환된 음성 파일에 있어, 상기 각각의 분할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 파일의 재생 시간에 대한 재생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재생 시간 정보는 부가정보 파일 삽입부(170)에 의하여 부가정보 영 역(210)의 동기화 정보(212)가 기록되는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분할 텍스트에 따른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200)이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200)의 재생 및 디스플레이에 있어, 텍스트 파일의 디스플레이와 음원 파일의 재생 간의 동기화가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 에서와 같이 상기 텍스트 파일의 제1 분할 텍스트(231)가 "10초"라는 재생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음원 파일 재생의 시작부터 10초 동안의 제1 구간(241)에서는 제1 분할 텍스트(231)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10초 이후 20초까지의 제2 구간(242)에서는 제2 분할 텍스트(232)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분할 텍스트는 음원 파일의 재생 시간에 따라 분할된 각 구간에 대응하는 재생 시간 정보에 따라 개인 휴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음원 파일 재생과 텍스트 파일 디스플레이 간의 동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기화부(180)는 이미지 파일(214) 또는 동영상 파일(215)에 대해서도 상기 텍스트 파일과 음원 파일 간의 동기화와 같이, 각각의 재생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음원 파일과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음원 파일과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간의 동기화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동기화 방법뿐만 아니라, 당업자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여러 형태의 다양한 동기화 방법을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100)은 동기화부(18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동기화부(18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텍스트 파일과 음원 파일 간의 재생 동기화가 수행되지 아니한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이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동기화가 수행되지 않은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을 재생함에 있어, 상기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의 음원 파일이 재생됨과 동시에 상기 텍스트 파일이 비동기적으로 소정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죠그 셔틀키 또는 방향키 등의 스크롤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재생되는 음원 파일에 대응하는 텍스트 파일을 검색하여 전자책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190)는 상기 생성된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을 소정의 개인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190)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으로부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개인 휴대 단말기(102)란 음악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서, MP3 플레이어, MP3 폰, PDP, PMP, DMB 수신장치, PC, 또는 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90)는 시리얼, 범용 직렬 버스(USB), 적외선(IR) 통신부, 블루투스 통신부, 또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접속은 물론, 코드분할다중화접속방식(CDMA), WCDMA, ALL IP, GSM, GPRS 접속 방식, 및 현존하는 모든 이동통신 관련 접속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고, H.323, MGCP(Message Gateway Control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Megaco 등의 VoIP 호 연결을 위한 호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100)은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삽입함으로써, 기존의 오디오북 보다 효율적이고 보편적이고,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전자책 기능을 지원하는 멀티 포맷의 전자책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을 수신한 개인 휴대 단말기는 음원 파일의 재생 기능과 LCD 창과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면, XML과 같은 특정 포맷의 OS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전자책 및 오디오북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텍스트 파일이 하나 이상의 언어를 지원할 경우, 어학 학습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파일이 한국어 및 영어 형태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100)은 한국어 또는 영어로 구현된 음원 파일이 포함된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국어 또는 영어 형태의 음원 파일이 재생될 수 있고, 또한 한국어 또는 영어 텍스트 파일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언어 형태의 전자책 음원 파일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에 따라 사용자는 효율적으로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멀티 포맷 전자책 생성 시스템은 소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를 하나 이상 유지한다(단계(311)). 상기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은 상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파일을 추출하고(단계(312)), 상기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소정의 포맷을 갖는 음성 파일로 변환한다(단계(313)).
상기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은 단계(313)에서 변환된 음성 파일을 음원 파일로 변환하고(단계(314)), 상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315)).
단계(315)에서 상기 소스 데이터에 멀티미디어 파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 단계(312)를 통해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단계(314)를 통해 변환된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삽입한다. 또한, 단계(315)에서 상기 소스 데이터에 멀티미디어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추출하고(단계(316)),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삽입한 후(단계(317)), 상기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함께 삽입한다(단계(318)).
상기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은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삽입된 텍스트 파일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과 상기 음원 파일 간의 동기화를 수 행하여(단계(319))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소정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320))
상기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을 수신한(단계(321)) 개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음원 파일을 재생하고(단계(322)),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파일이나 멀티미디어 파일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단계(323)).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멀티 파일 생성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 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멀티 파일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4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420)과 롬(ROM: Read Only Memory)(4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4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4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420) 및 롬(4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4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4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4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4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4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 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4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멀티 포맷 전자책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엔진을 이용하여 음원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삽입하여 전자책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보다 낮은 제작 단가로 멀티 포맷의 전자책을 제작하여 보다 간편하게 전자책이나 오디오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포맷 전자책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소스 데 이터에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텍스트 파일과 함께 삽입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포맷의 전자책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포맷 전자책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전자책을 음원 파일 포맷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별도의 단말기를 구입하지 않고도,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 PMP 등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오디오북 형태의 전자책을 듣고 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포맷 전자책 생성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음원 파일의 부가 영역에 하나 이상의 언어로 구현된 텍스트 파일을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전자책 파일을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어학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소정의 포맷을 갖는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성 파일을 소정의 음원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삽입하여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삽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은 소정의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3.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에 있어서,
    광학식 문자 판독기(OCR) 수단을 이용하여 소정의 물리적 형태의 문서로부터 텍스트 파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투 스피치(Text To Speech) 엔진을 통해 소정의 포맷을 갖는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음성 파일을 소정의 음원 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삽입하여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책 파일을 소정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자책 파일의 음원 파일 영역에 포함된 음원 파일이 재생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책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파일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파일은 MP3 파일이고, 상기 부가 영역은 상기 MP3 파일의 헤더에 포함되는 ID3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를 유지하는 소스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파일을 추출하는 텍스트 파일 추출부;
    상기 추출된 텍스트 파일을 소정의 포맷을 갖는 음성 파일로 변환하는 텍스트 투 스피치 엔진부;
    상기 변환된 음성 파일을 소정의 음원 파일로 변환하는 음원 변환부;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삽입하여 전자책 파일을 생성하는 부가정보 파일 삽입부; 및
    상기 전자책 파일을 소정의 개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기반의 소스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소스 데이터의 멀티미디어 파일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분석부; 및
    상기 소스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추출하는 멀티미디어 파일 추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정보 파일 삽입부는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상기 음원 파일의 부가정보 영역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파일 추출부는 소정의 물리적 형태의 문서로부터 텍스트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광학식 스캐너 또는 광학식 문자 판독기(OCR)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포맷 전자책 파일 생성 시스템.
KR1020050008963A 2005-02-01 2005-02-01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88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963A KR20060088175A (ko) 2005-02-01 2005-02-01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963A KR20060088175A (ko) 2005-02-01 2005-02-01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175A true KR20060088175A (ko) 2006-08-04

Family

ID=3717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963A KR20060088175A (ko) 2005-02-01 2005-02-01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817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69B1 (ko) * 2009-07-22 2011-04-29 (주)다산지앤지 페이지정보가 삽입된 전자책 다운로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2138005A1 (ko) * 2011-04-04 2012-10-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책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279704B1 (ko) * 2012-05-02 2013-06-27 (주) 윈코어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40006503A (ko) * 2012-07-06 201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음성 녹음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14051381A1 (en) * 2012-09-27 201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conten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14297457A (zh) * 2021-12-31 2022-04-08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获取区域版本内容的方法与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69B1 (ko) * 2009-07-22 2011-04-29 (주)다산지앤지 페이지정보가 삽입된 전자책 다운로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2138005A1 (ko) * 2011-04-04 2012-10-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책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279704B1 (ko) * 2012-05-02 2013-06-27 (주) 윈코어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40006503A (ko) * 2012-07-06 201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음성 녹음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14051381A1 (en) * 2012-09-27 201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conten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US9459773B2 (en) 2012-09-27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authoring multimedia conten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CN114297457A (zh) * 2021-12-31 2022-04-08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获取区域版本内容的方法与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6955B2 (en) Intelligent text-to-speech conversion
TWI394053B (zh) 在數位音訊播放器上重現非常簡易資訊聯盟內容之非常簡易資訊聯盟內容管理
US20200294487A1 (en) Hands-free annotations of audio text
US8719029B2 (en) File format, server, viewer device for digital comic, digital comic generation device
JP4225703B2 (ja) 情報アクセス方法、情報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74851B1 (ko) 텍스트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간의 맵핑 자동 생성
TWI260510B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interactive contents
US20190196675A1 (en) Platform for educational and interactive ereaders and ebooks
JP5634853B2 (ja) 電子コミックのビューワ装置、電子コミックの閲覧システム、ビューワプログラム、ならびに電子コミックの表示方法
US11657725B2 (en) E-reader interface system with audio and highlighting synchronization for digital books
US20080005656A1 (en) Apparatus, method, and file format for text with synchronized audio
US20140101527A1 (en) Electronic Media Reader with a Conceptual Information Tagging and Retrieval System
JP3864197B2 (ja) 音声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
JP2014518576A (ja) Pdf文書基盤のイーブック用マルチメディア再生システム及びその再生方法,並びにこれを具現したpc又はモバイル装置用アプリケーション
KR20060088175A (ko)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3460964B2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閲覧システムにおける音声読み上げ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09000074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사용자 녹음방식의 소리책 제작 시스템 및방법
JP2005321706A (ja) 電子書籍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124798B1 (ko) 전자 그림책 편집 장치 및 방법
JP2016534391A (ja) 音声基盤再生情報生成及び認識方法及び記録媒体
CN113269855A (zh) 一种文字语义转场景动画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0606940B2 (en) Annotation sharing method, annotation shar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WO2021106051A1 (ja) サーバおよびデータ割り当て方法
KR100879667B1 (ko)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의 어학 학습 방법
CN117998159A (zh) 一种视频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