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704B1 -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704B1
KR101279704B1 KR1020120046560A KR20120046560A KR101279704B1 KR 101279704 B1 KR101279704 B1 KR 101279704B1 KR 1020120046560 A KR1020120046560 A KR 1020120046560A KR 20120046560 A KR20120046560 A KR 20120046560A KR 101279704 B1 KR101279704 B1 KR 10127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voice
multimedi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기
탁정국
Original Assignee
(주) 윈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윈코어 filed Critical (주) 윈코어
Priority to KR102012004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러닝 컨텐츠의 동기화 방법,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동기화 방법은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 상에서 멀티미디어 요소가 삽입되는 위치에 복수의 식별 인자를 삽입하고, 복수의 식별 인자가 삽입된 위치에서 재생될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렬하여 음성 데이터와 정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요소가 부가된 동화상을 재생하며, 화상 데이터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시켜 움직임을 주고, 내용에 해당하는 말풍선 및 효과음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를 애니메이션 엔진에 의해 동화상으로 연출하는 것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로 자연스러운 동화상 연출이 가능하고, 컨텐츠 내용에 맞도록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를 활용하기 때문에 학습 효과가 높고 사용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Method for playing contents of e-learning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이-러닝 컨텐츠의 동기화 방법,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복수의 식별 인자를 삽입하고, 복수의 식별 인자가 삽입된 위치에서 재생될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렬하여 음성 데이터와 정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기한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하고, 재생 장치에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요소가 부가된 동화상을 재생시키는 이-러닝 컨텐츠의 동기화 방법,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유아 또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취학 전 아동이나 유아를 위한 다양한 교재 및 교육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교재 및 교구들이 책이나, 비디오, 오디오 시스템에 한정되어 있었다면, 요즘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의 발달로 이러한 기기를 통해 실행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통해 활용되는 컨텐츠는 단순히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이거나, 학습 내용을 반복 재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책에 기재된 내용을 음성으로 읽어 주거나 음성으로 출력되는 내용에 따라 화면의 페이지가 달라지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학습 컨텐츠를 시청하는 대상과 상호 교류 없이 주입식으로 보고 듣는 것으로, 유아나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기 어렵다.
따라서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공감각적으로 내용을 표현하여 보다 생동감이 넘치는 컨텐츠의 재생 방법의 개발 및 컨텐츠의 내용을 공감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쉽고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어 교육 효과가 뛰어난 이-러닝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를 적은 데이터량으로 표현할 수 있는 컨텐츠의 생성 방법 및 그 재생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통해 재생되는 컨텐츠에 멀티미디어 요소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생동감 있게 내용을 전달하는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입력을 통하여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컨텐츠로부터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 효과도 높일 수 있는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엔진에 의해 정지 화상을 동화상으로 연출함으로써 데이터 저장 공간이 많이 필요치 않고 버퍼링 없이 캐릭터의 움직임이 자연스러운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동기화 방법은 음성 데이터 및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음성 데이터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복수의 식별 인자가 삽입되는 단계, 복수의 식별 인자가 삽입된 위치에 각각 재생될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정렬되는 단계,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정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기되어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동기화 방법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형식은 화상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 모션 스크립트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장치는 화상 표시부, 음성 출력부,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부, 제어부를 포함한다. 화상 표시부는 화상을 출력하며,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다. 음성 출력부는 음성을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부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는 입력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화상 표시부 및 음성 출력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화상 표시부가 터치 입력을 입력받으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화상에 소정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부가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형식은 화상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 모션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화상에 화상의 움직임, 효과음, 말풍선, 자막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음성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기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화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음성이 출력됨과 동시에 음성 데이터에 동기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의해 멀티미디어 요소가 부가된 동화상이 출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화상 데이터는 애니메이션 엔진에 의해 동화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서 화상 데이터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레이어드되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에서는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터치 입력이 입력된 위치 및 터치 입력의 방향성에 따라 소정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음성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기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화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음성이 출력됨과 동시에 음성 데이터에 동기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의해 멀티미디어 요소가 부가된 동화상이 출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화상 데이터는 애니메이션 엔진에 의해 동화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서 화상 데이터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레이어드되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서는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터치 입력이 입력된 위치 및 터치 입력의 방향성에 따라 소정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은 학습 컨텐츠에 멀티 미디어 요소를 활용하기 때문에 단순한 주입식 학습이 아니라 공감각적인 학습이 가능하고 학습의 흥미를 높여 준다.
또한 음성 데이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기화시킴으로써 작은 용량으로도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가 표현된 동화상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파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에 의해 이-러닝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에 의해 이-러닝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가 재생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가 재생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가 재생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가 재생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가 재생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에서 터치 입력에 따라 캐릭터가 반응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에서 터치 입력에 따라 아이콘이 변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동기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파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러닝 컨텐츠를 동기화하기 위해서, 음성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1110). 음성 데이터는 재생하고자 하는 내용이 담긴 녹음 파일, 배경 음악 파일, 노래 파일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의 내용에 해당하는 배경 화면, 캐릭터의 움직임, 말풍선, 자막 효과, 텍스트 등의 멀티미디어 요소를 재생시켜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기 위한 데이터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에는 화상 파일, 텍스트 파일, 효과음 파일, 모션을 위한 스크립트 파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화상 파일은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화상이 레이어드될 수 있다. 즉, 화면에 등장하는 캐릭터 별로 화상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 경우 캐릭터 이외의 부분은 투명하게 설정된다.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레이어드되어 복수의 캐릭터를 표현하며, 각각의 캐릭터에 대하여 움직임 효과를 줄 수 있다.
음성 데이터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복수의 식별 인자가 삽입된다(S1120). 음성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화상이 움직이거나, 말풍선 또는 효과음 등의 멀티미디어 요소가 등장하는데, 이를 위해 음성 재생 시점에 재생 내용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기되어야 한다. 식별 인자(T1, T2, ..., Tn)는 음성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멀티미디어 요소가 재생되어야 할 위치에 삽입된다. 각각의 식별 인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동기된다. 식별 인자는 동기의 시작을 알리는 특정 패턴의 코드일 수 있다.
복수의 식별 인자가 삽입된 위치에 각각 재생될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정렬된다(S1130). 각각의 식별 인자에 동기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1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의 내용이 바뀌면서 전체 화면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화상 데이터가 포함된다. 화면에 새로운 캐릭터가 등장하면서 효과음이 재생되는 경우에는 식별 인자에 화상 데이터, 모션 스크립트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 등이 동기될 수 있다. 각각의 식별 인자마다 해당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정렬된다. 식별 인자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가 기재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정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기되어 하나의 컨텐츠 데이터가 생성된다(S1140). 컨텐츠 데이터는 계층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의 파일 구조를 보면, 크게 3개의 박스로 나뉜다. 첫번째 박스에는 파일 넘버가 저장되며, 복수의 파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 박스에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다. 음성 데이터에는 멀티미디어 요소가 등장하는 위치에 식별 인자(T1, T2, ..., Tn)가 삽입되어 있다.
세 번째 박스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식별 인자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정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재생되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요소에 관한 데이터이며, 멀티미디어 요소 각각이 하나의 아이템으로서 정의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출력되는 동화상에 화면 전환, 캐릭터의 움직임, 말풍선, 자막, 효과음 등의 효과를 부가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상에 삽입된 식별 인자의 위치에 정렬되는데, 예를 들어 페이지가 전환되는 부분에서는 화상 데이터(pic)가 정렬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동화상 내 캐릭터가 움직이는 부분에서는 모션 스크립트 데이터(scr)가, 말을 하는 부분에서는 말풍선과 자막(tex) 효과에 대한 데이터가 정렬될 수 있다.
화상 데이터, 텍스트, 효과음 데이터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기화되는 동기 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컨텐츠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의 상대적 시간에 맞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다수의 화상, 캐릭터의 움직임, 말풍선, 텍스트, 효과음 등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삽입하여 하나의 통합된 파일 형태로 저장된다. 이렇게 음성 데이터에 정렬되어 동기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생 장치에 의해 디코딩되어 음성 데이터가 재생될 때 동기화된 멀티미디어 요소로 구현된다.
음성 데이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서 툴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동기화하고자 하는 음성 데이터를 불러와 전개시키고, 멀티미디어 요소를 삽입할 위치에 표시를 한다. 동기할 멀티미디어 요소의 종류를 선택하고, 복수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동화상 속 캐릭터가 "Trick or traet"이라는 말을 할 때, 말풍선과 캐릭터의 움직임 효과를 주기 위해서, 이에 해당하는 텍스트 데이터와 모션 스크립트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 상의 식별 인자(Tn)에 동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에 의해 이-러닝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에 의해 이-러닝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닝 컨텐츠 재생 장치(3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부(310), 제어부(320), 화상 출력부(330), 음성 출력부(340)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부(310)에는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재생되는 동화상에 구현되는 멀티미디어 요소들의 데이터이다. 멀티미디어 요소에는 화상, 캐릭터의 움직임, 말풍선, 효과음, 자막 등의 애니메이션 데이터가 포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부에는 화상 데이터(pic), 모션 스크립트 데이터(scr), 말풍선과 자막(tex), 효과음(efc)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320)는 입력된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컨텐츠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있다. 제어부(320)는 컨텐츠 데이터에 기술된 내용에 따라 화면에 소정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재생되도록 한다. 애니메이션 엔진에 의해 화상이 동화상으로 표현된다. 또한, 재생되는 컨텐츠 데이터 외에 화상 출력부(330)을 통해 입력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 효과가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화상 출력부(330)는 디코딩된 동화상을 출력한다. 화상 출력부(330)는 터치 스크린이며, 화상 출력부(330)에 의해 터치 입력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화상 출력부(330)를 통해 화면의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가 입력된 위치, 터치의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멀티미디어 요소가 수행된다.
음성 출력부(340)는 디코딩된 음성 데이터 및 효과음을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340)를 통해 음성이 출력되는 것과 동시에, 음성의 내용에 해당하는 배경 화면 및 캐릭터, 즉 음성 데이터에 동기된 멀티미디어 요소가 화상 출력부(330)에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가 재생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가 재생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가 재생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가 재생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가 재생된 화면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러닝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 음성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기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5110).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장치는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컨텐츠 데이터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재생 장치에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한다(S5120). 음성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상의 식별 인자에 동기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정렬된다.
디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화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S5130). 음성이 출력됨과 동시에 음성의 내용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요소들이 구현된다. 멀티미디어 요소는 음성 데이터 상의 특정 시간에 삽입된 식별 인자(T1, T2, ..., Tn)에 동기되어 있으며, 음성 출력과 동시에 특정 시간에 동기화된 애니메이션이 수행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동화상의 화면은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한 쪽에는 재생되는 음성의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표시되고, 다른 한 쪽에는 읽고 있는 내용에 해당하는 배경 그림이 위치한다. 배경 그림은 연속되는 프레임에 의해 생성되는 동영상이 아니라 애니메이션 엔진을 이용한 동화상이다. 즉, 배경 그림은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며 애니메이션 엔진에 의해 각각 캐릭터의 움직임이 수행된다. 일예로 캐릭터는 모핑에 의해 움직임이 수행될 수 있다. 배경 그림은 하나의 화상 데이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그림이 레이어드되어 복수의 캐릭터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는 배경 그림에 두 개의 캐릭터가 등장하는데, 이 경우 배경과 각각의 캐릭터마다 화상 데이터를 결정하고 이를 레이어드하여 출력한다. ①은 텍스트를 포함한 배경의 화상 데이터, ②는 전사 캐릭터의 화상 데이터, ③은 요정 캐릭터의 화상 데이터로 표현된 것이다. 이 때 캐릭터의 화상에서 캐릭터 이외의 부분은 투명하게 설정할 수 있다. 캐릭터 이외의 부분을 투명하게 설정하고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겹침으로써 화면에 복수의 캐릭터가 자연스럽게 표현된다. 출력된 화면에서 각각의 화상 데이터는 애니메이션 엔진에 의해 배경 또는 캐릭터의 움직임으로 표현된다. 음성이 출력되는 동안, 화상 데이터 ①, ②, ③은 애니메이션 엔진에 의해 각각 다른 움직임을 수행한다. 화상 데이터 ①의 경우 출력되는 음성의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내용이 진행됨에 따라 표시된 텍스트에 자막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 자막 효과는 진행 중인 구문 전체에 블록 표시가 될 수도 있고, 텍스트의 색이 진행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음성과 함께 현재 재생되는 텍스트에 진행 표시가 됨으로써 학습 내용을 청각 및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애니메이션 효과의 예시로서, 캐릭터가 등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의 (a)에는 내용을 읽기 전인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화면에는 재생될 음성의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와 배경 그림이 출력되어 있다. 컨텐츠를 재생시키면 현재 재생되는 내용에 해당하는 텍스트에 진행 표시가 되고 그에 해당하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he ghost stops at a house."가 음성으로 출력되면, "The ghost stops at a house."라는 텍스트에 진행 표시가 되고 점선으로 표시된 캐릭터가 등장하게 된다. 캐릭터는 화상 데이터가 추가로 레이어드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학습 내용에 해당하는 애니메이션 효과에 의해 공감각적으로 내용을 받아들이며, 자연스럽게 학습 내용을 익히고 의미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출력되는 음성이 캐릭터의 대사의 경우, 그 내용이 말풍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ome to my Halloween party"가 음성으로 출력되면, 그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말풍선으로 표시된다. 도 9에는 텍스트의 진행표시(a), 말풍선(b), 캐릭터의 움직임(c)이 표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캐릭터의 움직임은 애니메이션 엔진을 이용하여 규칙적인 애니메이션을 생성함으로써 표현한다. 애니메이션 엔진을 이용하면 화상 데이터의 각 부분을 실시간으로 변형시켜 사전에 저장하지 않은 동작을 연출할 수 있다. 즉,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여러 가지 동작을 수행하는 모션 스크립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 장치에서 재생될 때 이러한 모션 스크립트 데이터에 의해 화상이 움직이도록 한다. 캐릭터의 동작은 실제로 만들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재생할 때마다 연출된다. 따라서 컨텐츠 데이터는 데이터 용량이 작으며, 버퍼링 등의 현상 없이 재생시킬 수 있다.
도 10의 (a) 및 (b)에는 효과음이 출력되면서 캐릭터가 사라지는 장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a)는 내용을 읽기 전의 화면으로 배경 그림 중앙에 뱀파이어 캐릭터가 위치해 있다. 컨텐츠의 내용을 재생시키면 배경 그림에는 뱀파이어 캐릭터가 사라지면서 연기만 남으며, "휘익"이라는 효과음이 출력되게 된다. 음성 출력과 동시에 그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요소가 부가됨으로서 공감각적인 연출이 가능하고 학습 효율이 높아지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에서 터치 입력에 따라 캐릭터가 반응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 재생 방법에서 터치 입력에 따라 아이콘이 변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화상 출력부를 통해서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러닝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부는 화상 출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터치 입력에 따라 화면 내의 캐릭터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상 출력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하며, 터치 스크린에 좌표계를 설정하여 화면 내의 캐릭터가 위치하는 좌표를 인식한다. 터치 스크린 상에서 캐릭터가 위치한 영역에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애니메이션 효과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도 1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은 요정 캐릭터가 위치하는 영역이다. 이 영역에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 재생 장치의 제어부에는 요정 캐릭터가 위치한 영역에 터치 입력이 되었다는 정보가 입력되고, 제어부는 캐릭터가 손을 들어 인사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사 캐릭터에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 고개를 흔드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터치 입력은 점을 찍는 것처럼 입력할 수도 있지만, 스크린을 터치한 채로 손가락이나 펜을 이동하여 방향성을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입력이 이동하는 방향을 감지하여 각각 방향에 대하여 다른 애니메이션 효과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A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캐릭터가 윙크하는 동작을 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제어부는 화상 출력부를 통해 화면을 터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터치 입력의 시작점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를 설정하여 사분면을 결정한다. 그 다음 제어부는 터치 입력의 끝점을 인식하여, 시작점을 원점으로 하여 설정된 좌표계에 대하여 끝점의 좌표가 어느 사분면에 속하는지 산출한다. 산출된 사분면 값, 즉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다른 애니메이션 동작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표 영역을 4개 영역으로 분할하고 터치 입력이 이동하는 방향을 감지한다. 터치 입력이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캐릭터가 윙크하는 동작을, 터치 입력이 B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고개를 끄덕이는 동작을, 터치 입력이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손을 흔드는 동작을, 터치 입력이 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캐릭터가 한 바퀴 도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방향을 설정하였지만, 좌표 영역을 더 분할하여 보다 다양한 종류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은 터치 입력을 통해 그림과 단어를 연계시켜 학습 효과를 높인다. 도 1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중 문 모양의 아이콘을 손으로 터치하면, 문 모양의 아이콘이 "door"로 변환된다. 이러한 아이콘과 연계된 단어의 변환에 의해 학습을 재미있게 하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이상에서 설명한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이-러닝 재생 장치에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러닝 장치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는 저장 매체를 통해 입력받는다. 이-러닝 재생 장치의 제어부는 입력받은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동화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 이-러닝 재생 장치의 화상 출력부에는 음성의 내용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요소들이 구현된다. 멀티미디어 요소에는 배경 화면, 캐릭터의 움직임, 말풍선, 효과음 등이 있다.
화면 내에는 다양한 캐릭터가 위치하며, 각각의 캐릭터는 출력되는 음성 내용에 동기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의해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가 수행된다. 복수의 캐릭터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레이어드함으로서 표현되며, 표현된 화면에서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가함으로써 각각의 캐릭터 별로 움직임이나 말풍선 등을 표현한다. 컨텐츠의 내용이 진행됨에 따라 표시된 텍스트에 자막 효과가 부가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학습 내용을 청각 및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용에 따라 캐릭터의 대사가 출력되는 경우, 그 내용이 화면상에서 말풍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말풍선 외에도 텍스트의 진행표시, 캐릭터의 움직임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들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요소는 애니메이션 엔진을 이용하며 규칙적인 애니메이션을 생성함으로서 표현된다. 캐릭터의 움직임은 실제로 만들어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재생할 때마다 연출되기 때문에, 컨텐츠 파일은 데이터 용량이 작으며, 버퍼링 등의 현상 없이 재생시킬 수 있다. 컨텐츠의 내용에 동기된 데이터가 효과음 데이터인 경우, 내용에 해당하는 효과음이 출력되며 음성 출력과 동시에 그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요소가 부가됨으로서 공감각적인 연출이 가능하다.
한편, 입력된 컨텐츠 데이터에 의해 동화상이 재생되는 외에, 사용자는 화상 출력부를 통해서 터치 입력을 함으로써 상호 교류를 할 수 있다. 이-러닝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부는 화상 출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터치 입력에 따라 화면 내의 캐릭터가 움직이도록 한다. 사용자가 각각의 캐릭터가 위치하는 영역을 터치하면 그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나타난다. 터치 입력은 점처럼 찍거나 방향성을 줄 수 있으며, 터치 입력에 방향성을 주는 경우 제어부는 터치 입력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화면에 위치한 아이콘에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아이콘을 아이콘에 해당하는 단어로 변환하여 학습 효율을 높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300 : 이-러닝 컨텐츠 재생 장치 310 :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부
320 : 제어부 330 : 화상 출력부
340 : 음성 출력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이-러닝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으로서,
    제어부가 복수의 화상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 모션 스크립트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동기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입력받은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디코딩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애니메이션 엔진을 이용하여 동화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화상 출력부가 생성된 상기 동화상과 음성을 출력함과 동시에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는 각각이 하나의 캐릭터를 표현하되 캐릭터 이외의 부분은 투명하게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레이어드하여 상기 화상 출력부에 복수의 캐릭터를 출력하며, 화상 데이터의 각 부분을 애니메이션 엔진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형시켜 동화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출력부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를 설정하여 사분면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끝점을 감지하여 상기 좌표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의 끝점의 좌표가 어느 사분면에 속하는지 산출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 및 산출된 사분면 값에 따라, 출력되는 동화상에 소정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가하며,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컴퓨터 상에서 구현되는 동기화 툴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 및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 데이터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복수의 식별 인자를 삽입하고, 상기 복수의 식별 인자가 삽입된 위치에 각각 재생될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렬한 후, 상기 음성 데이터와 상기 음성 데이터에 정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기함으로써 생성되어,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시 상기 음성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음성 데이터에 동기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의해 멀티미디어 요소가 부가된 동화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이-러닝 컨텐츠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제어부가 복수의 화상 데이터, 효과음 데이터, 모션 스크립트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가 동기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입력받은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디코딩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애니메이션 엔진을 이용하여 동화상으로 생성하는 단계; 및
    화상 출력부가 생성된 상기 동화상과 음성을 출력함과 동시에 터치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는 각각이 하나의 캐릭터를 표현하되 캐릭터 이외의 부분은 투명하게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레이어드하여 상기 화상 출력부에 복수의 캐릭터를 출력하며, 화상 데이터의 각 부분을 애니메이션 엔진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형시켜 동화상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출력부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를 설정하여 사분면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끝점을 감지하여 상기 좌표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의 끝점의 좌표가 어느 사분면에 속하는지 산출하여, 상기 터치 입력의 시작점 및 산출된 사분면 값에 따라, 출력되는 동화상에 소정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부가하며,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컴퓨터 상에서 구현되는 동기화 툴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 및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음성 데이터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복수의 식별 인자를 삽입하고, 상기 복수의 식별 인자가 삽입된 위치에 각각 재생될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렬한 후, 상기 음성 데이터와 상기 음성 데이터에 정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기함으로써 생성되어,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시 상기 음성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음성 데이터에 동기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의해 멀티미디어 요소가 부가된 동화상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46560A 2012-05-02 2012-05-02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279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560A KR101279704B1 (ko) 2012-05-02 2012-05-02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560A KR101279704B1 (ko) 2012-05-02 2012-05-02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704B1 true KR101279704B1 (ko) 2013-06-27

Family

ID=4886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560A KR101279704B1 (ko) 2012-05-02 2012-05-02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53181A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コロプラ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視聴端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175A (ko) * 2005-02-01 2006-08-04 장완호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2361A (ko) * 2006-04-14 2007-10-18 텔미정보통신 주식회사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방법
KR100798153B1 (ko) 2006-12-01 2008-01-28 최재봉 부분 이미지 활용 부분 이미지 활용 언어 학습 콘텐츠 제공시스템
JP2009018202A (ja) * 2004-12-28 2009-01-29 Sega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8202A (ja) * 2004-12-28 2009-01-29 Sega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60088175A (ko) * 2005-02-01 2006-08-04 장완호 멀티 포맷을 갖는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2361A (ko) * 2006-04-14 2007-10-18 텔미정보통신 주식회사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방법
KR100798153B1 (ko) 2006-12-01 2008-01-28 최재봉 부분 이미지 활용 부분 이미지 활용 언어 학습 콘텐츠 제공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53181A (ja) * 2019-09-30 2021-04-08 株式会社コロプラ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視聴端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0319B2 (en) Interactive multimedia story creation application
US9142201B2 (en) Distribution of audio sheet music within an electronic book
US20120276504A1 (en) Talking Teacher Visualization for Language Learning
CN10387014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5133678B2 (ja) 動画再生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50041249A (ko) 가상 체험북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
CN111538851B (zh) 自动生成演示视频的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201802261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multimedia creation
JP5634853B2 (ja) 電子コミックのビューワ装置、電子コミックの閲覧システム、ビューワプログラム、ならびに電子コミックの表示方法
US20110053123A1 (en) Method for teaching language pronunciation and spelling
US20090051692A1 (en) Electronic presentation system
US20130332859A1 (en)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an animated communication
CA2544391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containing subtitles and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KR101279704B1 (ko) 이-러닝 컨텐츠의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05321706A (ja) 電子書籍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663300B1 (ko) 인터랙티브 동화책 구현 장치 및 방법
KR20160087564A (ko) 교육용 인터랙티브 앱북 화면 구성 방법 및 시스템
KR101326275B1 (ko) 문자 및 음성 동기화 출력 장치
JP6628357B2 (ja) 漢字指導システム
KR101942804B1 (ko) 다중언어 음원 콘텐츠 제공시스템
WO2020093865A1 (zh) 媒体文件及其生成方法和播放方法
JP2013146511A (ja) 人体の動作の変移を記録、解析し、表示する電子機器
Lior Mediating for Immediacy: Text, Performance, and Dramaturgy in Multimedia Shakespeare Editions
KR101553272B1 (ko) 복수의 타이머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작하는 방법 및 복수의 타이머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작하는 저작 장치
JP2005141424A (ja) 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