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993A - 콜타워 - Google Patents

콜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993A
KR20140040993A KR1020120107749A KR20120107749A KR20140040993A KR 20140040993 A KR20140040993 A KR 20140040993A KR 1020120107749 A KR1020120107749 A KR 1020120107749A KR 20120107749 A KR20120107749 A KR 20120107749A KR 20140040993 A KR20140040993 A KR 20140040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screen
feeder chute
coal
scree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601B1 (ko
Inventor
최주희
김수백
정진형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6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1/00Charg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7/00Mechanical treatments of coal charges in the 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65G2814/0241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 B65G2814/027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using chu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콜타워는, 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원료탄이 보관되며, 하부에는 원료탄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에 인접한 내벽에는 라이너가 설치되는 콜 벙커와,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원료탄이 통과되는 피더 슈트와, 상기 피더 슈트를 통과한 원료탄이 보관되며, 보관된 원료탄을 장입차로 배출하는 빈게이트가 구비된 웨잉 호퍼와, 상기 원료탄에 의한 충격에 의해 콜벙커의 내벽에서 탈락되는 라이너가 걸러지도록 상기 피더 슈트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콜 벙커의 내벽에 부착된 라이너가 피더 슈트에 설치된 스크린 바에 의해 걸리게 함으로써, 라이너가 빈게이트에 끼임이 방지되므로 라이너의 끼임에 의해 채탄공정이 중단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콜타워{COAL-TOWER}
본 발명은 콜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채탄과정 중 콜벙커에서 탈락되는 라이너가 웨잉 호퍼 또는 빈게이트로 진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피더 슈트에 스크린부재가 구비된 콜타워에 관한 것이다.
코크스 오븐은 석탄을 저장하는 석탄 빈(coal bin)으로부터 장입차를 이용하여 채탄하여 탄화실로 장입하는 방식의 고온 공업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장입된 석탄이 일정시간 건류되어 코크스화 되면 탄화실에서 추출되며, 추출된 코크스는 소화된 후, 냉간 코크스로 만들어져 후처리 공정으로 이송되고, 이러한 장입 및 추출작업은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7208호(발명의 명칭:원료탄 이송장치, 공개일자:2009년 05월 12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콜 벙커의 내벽에 부착된 라이너가 피더 슈트에 설치된 스크린부재에 의해 걸리게 함으로써, 라이너가 빈게이트에 끼임이 방지되므로 라이너의 끼임에 의해 채탄공정이 중단될 염려가 없는 콜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라이너가 빈게이트에 끼임이 방지되어 빈게이트의 외부로 원료탄이 낙탄될 염려가 없어 콜타워 주변의 환경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콜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피더 슈트의 내부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스크린부재의 상부에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스크린부재에 의해 걸러진 라이너의 제거가 용이한 콜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콜타워는, 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원료탄이 보관되며, 하부에는 원료탄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에 인접한 내벽에는 라이너가 설치되는 콜 벙커와,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원료탄이 통과되는 피더 슈트와, 상기 피더 슈트를 통과한 원료탄이 보관되며, 보관된 원료탄을 장입차로 배출하는 빈게이트가 구비된 웨잉 호퍼와, 상기 원료탄에 의한 충격에 의해 콜벙커의 내벽에서 탈락되는 라이너가 걸러지도록 상기 피더 슈트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피더 슈트의 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스크린 바;와, 상기 제1스크린 바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스크린 바와 교차되는 제2스크린 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크린 바와 제2스크린 바는, 양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더 슈트를 관통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피더 슈트에는 상기 제1스크린바와 제2스크린 바의 양측 단부가 끼워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공간이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스크린 바와 제2스크린 바를 상기 삽입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더 슈트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에 의해 걸러진 라이너가 외부에서 접근되도록 상기 스크린부재의 상측에 형성된 개폐도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콜 벙커의 내벽에 부착된 라이너가 피더 슈트에 설치된 스크린 바에 의해 걸리게 함으로써, 라이너가 빈게이트에 끼임이 방지되므로 라이너의 끼임에 의해 채탄공정이 중단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라이너가 빈게이트에 끼임이 방지되어 빈게이트의 외부로 원료탄이 낙탄될 염려가 없어 콜타워 주변의 환경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피더 슈트의 내부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스크린 바의 상부에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스크린 바에 의해 걸러진 라이너의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콜타워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는 콜타워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더 슈트의 개폐도어가 열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더 슈트의 내부에 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더 슈트와 스크린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콜타워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콜타워의 개략적인 내부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타워(10)는 상측부터 콜벙커(11)(Coal Bunker), 바이브레이팅 피더(12)(Vibrating Feeder), 피더 슈트(13)(Feeder Chute), 웨잉 호퍼(14)(Weighing Hopper), 빈게이트(15)(Bin Gate)의 순서로 구성된다.
상기 콜벙커(11)는 원료탄(30)이 저장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탄(30)은 이송컨베이어(20)로 이동되어 콜벙커(11)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낙하 및 투입된다.
또한, 상기 콜벙커(11)의 하부에는 콜벙커(11)의 내부로 투입된 원료탄(30)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배출구의 내벽에는 원료탄(30)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라이너(4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라이너(40)는 콜타워(10)의 배출구의 크기, 위치, 형상에 따라 그 크기와 두께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사각판을 연속적으로 이어붙이며, 합성섬유와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질은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바이브레이팅 피더(12)는 콜벙커(11)의 하부에 설치되며, 진동을 주어 콜벙커(11)의 내부에 투입된 원료탄(30)을 피더 슈트(13)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더 슈트(13)는 바이브레이팅 피더(12)와 연결되어 콜벙커(11)에서 배출되는 원료탄(30)을 웨잉 호퍼(14)로 이동시키는 통로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잉 호퍼(14)는 피더 슈트(13)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더 슈트(13)를 통과한 원료탄(30)이 적재되는 곳으로서, 중량감지센서(미도시)가 부착되어 콜벙커(11)에서 이동되는 원료탄(30)의 양을 감지한다.
상기와 같은 웨잉 호퍼(14)의 하부에는 빈게이트(15)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빈게이트(15)는 장입차(미도시)에 원료탄(30)을 이동시킬 때 개방되어 원료탄(30)을 배출하며, 배출되는 양은 빈게이트(15)의 개방시간에 비례한다.
또한, 상기 빈게이트(15)로 배출된 원료탄(30)의 양은 중량감지센서로 산출되어 중앙통제실(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콜타워(10)는 이송컨베이어(20)로 이동되는 원료탄(30)이 콜벙커(11)의 내부로 낙하되면서 콘크리트 재질인 콜타워(10)의 내벽과 라이너(40) 사이의 공간으로 투입되거나, 라이너(40)들의 이음새 부분으로 투입되면서 발생되는 충격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라이너(40)가 탈락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이러한 라이너(40)가 원료탄(30)에 섞인 채로 웨잉 호퍼(14)로 이동되면, 라이너(40)의 중량이 중량감지센서에 입력되어 웨잉 호퍼(14)에 보관된 원료탄(30)에 대한 정확한 양을 산출하기 곤란하다.
또한, 라이너(40)가 빈게이트(15)까지 이동되어 빈게이트(15)에 끼이게 되면, 빈게이트(15)가 닫히는 것을 방해하여 원료탄(30)이 낙하되어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콜벙커(11)에서 탈락되는 라이너(40)가 웨잉 호퍼(14)와 빈게이트(15)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기설치된 콜타워(10)의 피더 슈트(13)를 간단하게 구조변경하여 라이너(40)가 피더 슈트(13)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더 슈트의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더 슈트(13)에 스크린부재(100)와 개폐도어(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부재(100)는 일자형의 원형 봉 형상으로 제작되며, 재질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린부재(100)는 피더 슈트(13)를 관통하므로 피더 슈트(13)의 폭 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피더 슈트(13)의 일측면에는 개폐도어(2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개폐도어(200)는 피더 슈트(13)의 내부로의 접근을 허용하여 스크린부재(100)에 의해 걸러지는 라이너(40)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더 슈트의 내부에 스크린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재(100)는 제1스크린 바(110)와 제2스크린 바(120)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제1스크린 바(110)와 제2스크린 바(120)는 다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서로 수평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콜벙커(11)에서 탈락되는 라이너(40)가 스크린부재(100)에 의해 걸러지도록 상기 제1스크린 바(110)와 제2스크린 바(120)는 서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부재(100)에 의해 걸러진 라이너(40)는 피더 슈트(13)의 일측에 마련된 개폐도어(20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200)는 스크린부재(100)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 슈트(13)는 횡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피더 슈트(13)가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제작되어도 스크린부재(100)와 개폐도어(200)를 설치함에 곤란함이 없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더 슈트와 스크린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재(100)가 피더 슈트(13)에 고정되도록 피더 슈트(13)의 외주면에는 스크린부재(1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삽입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0)는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공간(131)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부(130)의 내부에 스크린부재(100)가 위치한 상태에서 나사산에 고정수단(140)이 나사결합되며, 고정수단(140)은 삽입부(1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가압공간(131)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제작되는 삽입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살빼기를 하여 삽입부(1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수단(140)에 의해 직경이 줄어들면서 스크린부재(10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가압공간(131)에 의해 삽입부(130)는 4등분 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직경이 줄어들어도 원형으로 제작되는 스크린부재(100)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콜타워의 피더 슈트 구조의 스크린부재에 의해 라이너를 걸러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송컨베이어(20)로 이동되는 원료탄(30)의 낙하에 따른 충격이나 콜벙커(11)와의 미세한 틈에 가해지는 원료탄(30)의 하중으로 인하여 콜벙커(11)의 내벽에 설치된 라이너(40)가 탈락되는데, 이렇게 탈락되는 라이너(40)는 바이브레이팅 피더(12)를 거쳐 피더 슈트(13)로 진입된다.
상기와 같이 피더 슈트(13)로 진입되는 라이너(40)가 걸러지도록 피더 슈트(13)에는 스크린부재(100)를 설치하는데, 스크린부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크린 바(110)와 제2스크린 바(120)가 연속적으로 교차된 상태이므로 제1스크린 바(110)와 제2스크린 바(120)에 의해 라이너(40)가 걸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스크린 바(110)와 제2스크린 바(120)에 의해 걸러진 라이너(40)는 개폐도어(200)를 통해 외부에 접근이 용이하므로 콜타워(10)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외부로 탈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라이너(40)가 웨잉 호퍼(14)나 빈게이트(15)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라이너(40)에 의해 조업에 차질이 발생될 염려가 전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탈락된 라이너(40)가 콜벙커(11)의 내벽에 설치되어 있던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라이너(40)에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콜타워 11-콜벙커
12-바이브레이팅 피더 13-피더 슈트
14-웨잉 호퍼 15-빈게이트
100-스크린부재 110-제1스크린 바
120-제2스크린 바 130-삽입부
131-가압공간 140-고정수단
200-개폐도어

Claims (4)

  1. 이송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원료탄이 보관되며, 하부에는 원료탄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구에 인접한 내벽에는 라이너가 설치되는 콜 벙커와,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원료탄이 통과되는 피더 슈트와, 상기 피더 슈트를 통과한 원료탄이 보관되며, 보관된 원료탄을 장입차로 배출하는 빈게이트가 구비된 웨잉 호퍼와,
    상기 원료탄에 의한 충격에 의해 콜벙커의 내벽에서 탈락되는 라이너가 걸러지도록 상기 피더 슈트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타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피더 슈트의 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제1스크린 바;와
    상기 제1스크린 바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스크린 바와 교차되는 제2스크린 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타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 바와 제2스크린 바는, 양측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더 슈트를 관통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피더 슈트에는 상기 제1스크린바와 제2스크린 바의 양측 단부가 끼워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공간이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스크린 바와 제2스크린 바를 상기 삽입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타워.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슈트에는 상기 스크린부재에 의해 걸러진 라이너가 외부에서 접근되도록 상기 스크린부재의 상측에 형성된 개폐도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타워.
KR1020120107749A 2012-09-27 2012-09-27 콜타워 KR101400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49A KR101400601B1 (ko) 2012-09-27 2012-09-27 콜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49A KR101400601B1 (ko) 2012-09-27 2012-09-27 콜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993A true KR20140040993A (ko) 2014-04-04
KR101400601B1 KR101400601B1 (ko) 2014-05-27

Family

ID=5065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749A KR101400601B1 (ko) 2012-09-27 2012-09-27 콜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6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29B1 (ko) * 2014-12-26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처리 장치
CN110234737A (zh) * 2017-02-02 2019-09-13 保尔伍斯股份有限公司 对焦炉装料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967B1 (ko) * 2019-07-17 2021-0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062B1 (ko) * 2007-08-08 2009-09-08 주식회사 포스코 콜 부착방지 기능을 갖는 콜 벙커
KR101257427B1 (ko) * 2010-11-30 2013-04-2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탄의 이물질 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29B1 (ko) * 2014-12-26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처리 장치
CN110234737A (zh) * 2017-02-02 2019-09-13 保尔伍斯股份有限公司 对焦炉装料的方法
US11332673B2 (en) 2017-02-02 2022-05-17 Paul Wurth S.A. Method of charging a coke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601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601B1 (ko) 콜타워
KR102001401B1 (ko) 용광로 저장부 배열
KR101581446B1 (ko) 광물제품용 샘플 채취장치
KR200440026Y1 (ko) 배치플렌트의 골재 차감식 계량장치
KR101257427B1 (ko) 원료탄의 이물질 처리장치
KR101852106B1 (ko) 크러셔의 파쇄효율 측정장치와 크러셔의 파쇄효율 측정방법 및 크러셔의 파쇄효율을 이용한 골재생산방법
KR101857749B1 (ko) 성형탄의 회전강도 측정 장치
KR101218539B1 (ko) 우드칩을 보일러로 투입하는 이송 시스템
KR101197959B1 (ko) 부착탄 제거장치
KR20120002198A (ko) 모바일 스크린 플랜트
KR102177043B1 (ko) 석탄 건조기용 분진 배출 시스템
JP2014115106A (ja) 組合せ計量システムの分散供給装置
US11351482B2 (en) Dewatering un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461579B1 (ko)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
KR20110098152A (ko) 코크스 스크린 아웃렛 슈트의 비상 배출 장치
CN220554724U (zh) 一种分体式受料斗导料槽装置
CN105256099B (zh) 转炉用散状物料在线筛分系统、炼钢设备以及筛分方法
CN211468934U (zh) 一种螺钉分装装置
KR960009155Y1 (ko) 콘크리트 블록 성형기의 골재선별, 개량장치
CN203587194U (zh) 定量给料机
US11123768B2 (en) Method of unloading floating containers
CN211109080U (zh) 一种辅料进料仓
CN105819204A (zh) 一种肥料混料输送装置
KR101837991B1 (ko) 폐플라스틱 상부장입장치
EP3309524B1 (de)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wiegebehälters für kunststoffgranul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