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135A -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135A
KR20140040135A KR1020137031192A KR20137031192A KR20140040135A KR 20140040135 A KR20140040135 A KR 20140040135A KR 1020137031192 A KR1020137031192 A KR 1020137031192A KR 20137031192 A KR20137031192 A KR 20137031192A KR 20140040135 A KR20140040135 A KR 20140040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cell
pattern
demod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나가타
테츠시 아베
요시히사 키시야마
카즈아키 타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4004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6Pilot sequence conveying additional information

Abstract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CoMP), 특히, JP―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에서 정확히 데이터신호를 복조시키는 것.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은,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생성하고, 복조용 정보를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고,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수신하고,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WIRELESS BASE STATION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협조 멀티 포인트(CoMP)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주파수 이용효율의 향상,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을 목적으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나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채용함으로써,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 한 시스템의 특징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것이 수행되고 있다. 이 UMTS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제3 세대의 시스템은, 대략 5MHz의 고정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2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LTE 방식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1.4MHz∼20MHz의 가변 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300Mbps 및 상향회선에서 75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또, UMTS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 LTE의 후계의 시스템도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LTE 어드밴스드(LTE―A)). 예를 들면, LTE―A에 있어서는, LTE 사양의 최대 시스템대역인 20MHz를, 100MHz 정도까지 확장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다.
Rel―8 LTE 시스템에 대해 더욱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망한 기술의 하나로서, 셀간 직교화가 있다. Rel―10 이후의 LTE 시스템(LTE―A 시스템)에서는, 상하링크 모두 직교 멀티 액세스에 의해 셀 내의 직교화가 실현되고 있다. 즉, 하향링크에서는, 주파수영역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User Equipment) 사이에서 직교화되고 있다. 그러나, 셀간은 W―CDMA와 마찬가지로, 1 셀 주파수 반복에 의한 간섭 랜덤화가 기본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셀간 직교화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로서, 협조 멀티 포인트 송수신(CoMP)이 검토되고 있다. CoMP 송수신에서는, 하나 혹은 복수의 이동단말장치(UE)에 대해 복수의 셀이 협조하여 송수신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하향링크에서는, 조인트 송신(JT)이나, 순시(瞬時) 셀 선택(DCS) 등이 검토되고 있다(Joint Processing(JP)―CoMP).
비특허문헌 1: 3GPP, TR25.912(V7.1.0) "Feasibility study for Evolved UTRA and UTRAN", Sept. 2006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채널 추정, 심볼 동기,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측정 등에 사용하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가 규정되어 있다. CRS의 다중위치는, 셀 ID에 의해 다른 서브캐리어 위치의 시프트가 적용된다. 즉, 셀 ID에 의해 자동적으로 시프트가 결정되고, 다중위치가 정해진다.
또,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신호의 수신이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신호의 송신에 필요한 정보(할당정보 등)를 통지하기 위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규정되어 있다. 이 PDCCH 신호는, 지연을 저감하기 위해, 서브프레임의 선두 1 OFDM 심볼로부터 3 OFDM 심볼에 다중된다.
이와 같이, CRS는, 셀마다 다른 서브캐리어 위치에 다중되어 있다. 또, PDCCH는, 서브프레임의 선두 1 OFDM 심볼로부터 3 OFDM 심볼에 가변으로 다중된다. 이와 같이, CRS나 PDCCH는, 각각 셀마다 다른 위치에 다중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JP―CoMP를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정확하게 데이터신호를 복조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CoMP), 특히, JP―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단말장치에서 정확하게 데이터신호를 복조시킬 수 있는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기지국장치는,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복조용 정보를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단말장치는,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서빙 셀로부터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은,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복조용 정보를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수신하는 공정과, 상기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시스템은,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복조용 정보를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무선기지국장치와, 상기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갖는 이동단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고, 이동단말장치에서,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기 때문에,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 특히, JP―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 이동단말장치에서 정확하게 데이터신호를 복조시킬 수 있다.
도 1은 JP―CoMP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JT―CoMP에 있어서의 CRS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DCS―CoMP에 있어서의 CRS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1 방법―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1 방법―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1 방법―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1 방법―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2 방법―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2 방법―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2 방법―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2 방법―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3 방법―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3 방법―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4 방법―1 및 제4 방법―2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JP―CoMP에 있어서의 PDCCH 길이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5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의 제5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은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9는 무선기지국장치의 전체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무선기지국장치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에 대응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1은 이동단말장치의 전체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이동단말장치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통신방법에 대응한 기능 블록도이다.
우선, 하향링크의 CoMP 송신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의 CoMP 송신으로서는, Coordinated scheduling/Coordinated beamforming(CS/CB)과, Joint processing이 있다. Coordinated scheduling/Coordinated beamforming은, 1 UE에 대해 1 셀로부터만 송신하는 방법이며, 타셀로부터의 간섭이나 타셀로의 간섭을 고려하여 주파수/공간영역에 있어서의 무선리소스의 할당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한편, Joint processing은, 프리코딩을 적용하는 복수 셀 동시 송신이며,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1 UE에 대해 복수의 셀로부터 송신하는 Joint transmission과,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순시(瞬時)에 셀을 선택하는 Dynamic Cell Selection이 있다.
CoMP 송신을 실현하는 구성으로서는, 무선기지국장치(eNB)와, 이 무선기지국장치(eNB)와 광 돌출 구성(광파이버)으로 접속된 복수의 원격무선장치(RRE: Remote Radio Equipment)를 포함하는 구성(원격무선장치 구성에 기초하는 집중 제어)이 있다. 그 외에도, 무선기지국장치(eNB)의 구성(독립 기지국 구성에 기초하는 자율 분산 제어)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집중 제어에 있어서는, 원격무선장치를 무선기지국장치(eNB)에서 집중적으로 제어한다. RRE 구성에서는, 복수의 RRE의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무선기지국장치(eNB)(집중 기지국)와 각 셀 즉 RRE와의 사이가 광파이버를 이용한 베이스밴드 신호로 접속되기 때문에, 셀간의 무선리소스 제어를 집중 기지국에 있어서 일괄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자율 분산 제어에 있어서는, 복수의 무선기지국장치(eNB)(또는 RRE)에서 각각 스케줄링 등의 무선리소스 할당 제어를 수행한다. 이 경우, 무선기지국장치 사이의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타이밍 정보나 스케줄링 등의 무선리소스 할당정보를 어느 하나의 무선기지국장치로 송신하고, 셀 간의 협조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CRS나 PDCCH는, 각각 셀마다 다른 위치에 다중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JP―CoMP를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정확히 데이터신호를 복조할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RS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JT―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복수 셀로부터,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하는 셀#A 및 도 2b에 도시하는 셀#B(여기서는, 셀#A가 서빙 셀이며, 셀#B가 협조 셀(인접 셀)이다)로부터 동일한 이동단말장치로 데이터 송신한다. 이와 같은 JT―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2a,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RS의 다중위치가 각각 다를 때에는, CRS가 데이터신호와 충돌하여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CRS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JT―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 이동단말장치에서 CRS가 데이터신호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빙 셀 이외의 셀(인접 셀(협조 셀이 될 수 있는 인접 셀))의 CRS의 다중위치를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서빙 셀의 무선기지국장치는, 서빙 셀 이외의 셀의 CRS의 다중위치를 복조용 정보로서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도 2에 도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셀#A의 무선기지국장치가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인접 셀인 셀#B의 CRS의 다중위치의 정보를 통지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셀#B의 CRS의 다중위치에는, 셀#A의 데이터신호가 충돌하지 않도록, 데이터신호가 다중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셀#B의 CRS의 다중위치는, 셀#A의 PDSCH의 뮤팅 패턴을 의미한다. 또한, 인접 셀의 CRS의 다중위치는, 셀 ID로부터 시프트량을 산출하고, 이 시프트량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형태에 있어서는, 이동단말장치에서 CRS가 데이터신호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서빙 셀의 PDSCH의 뮤팅 패턴을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서빙 셀이 셀#A인 경우에는, 도 2a에 도시하는 PDSCH 뮤팅의 패턴(셀#B의 CRS의 다중위치)을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고, 서빙 셀이 셀#B인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하는 PDSCH 뮤팅의 패턴(셀#A의 CRS의 다중위치)을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한편, DCS―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복수 셀의 어느 하나의 셀로부터,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하는 셀#A 및 도 3b에 도시하는 셀#B 중 어느 하나의 셀로부터 동일한 이동단말장치로 데이터 송신한다. 이와 같이, DCS―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단일 셀로부터 데이터 송신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JT―CoMP와 같이 PDSCH를 뮤팅(무송신)할 필요는 없고(도 3a, 도 3b), 대신에,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CoMP 셀(CoMP 송신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는 셀)의 CRS 다중위치를 통지할 필요가 있다. 즉, DCS―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서빙 셀 이외의 CoMP 셀의 CRS의 다중위치(CRS 다중 패턴)를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 패턴정보(PDSCH 뮤팅 패턴 또는 CRS 다중 패턴)의 통지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4개(제1 방법∼제4 방법)를 들 수 있다.
(제1 방법―1)
이 방법은,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뮤팅 패턴으로서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비트맵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포함시켜 다이나믹하에 통지한다. 이동단말장치는, 도 4에 도시하는 테이블(DCI에 포함되는 비트맵 정보와 뮤팅 패턴이 관련지어진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DCI에서 통지된 비트맵 정보로부터 뮤팅 패턴을 인식하여, 뮤팅 패턴 이외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복조한다.
도 4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DCI에 포함되는 비트맵 정보와 뮤팅 패턴이 관련지어진 것이며, 비트맵 "00000"이 '뮤팅없음'이며, 비트맵 "00001"이 '서빙 셀의 시프트+1만'이며, 비트맵 "00010"이 '서빙 셀의 시프트+2만'이며, 비트맵 "00100"이 '서빙 셀의 시프트+3만'이며, 비트맵 "11111"이 '서빙 셀의 시프트+1/+2/+3/+4/+5'이다. 이 비트맵은, 도 5에 도시하는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서빙 셀이 셀 ID#0의 뮤팅 패턴을 나타내고, '서빙 셀의 시프트+1'이 셀 ID#1의 뮤팅 패턴을 나타내고, '서빙 셀의 시프트+2'가 셀 ID#2의 뮤팅 패턴을 나타내고, '서빙 셀의 시프트+3'이 셀 ID#3의 뮤팅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4 및 도 5는, 1 안테나의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으나, 이 방법은 2 안테나 이상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 방법―2)
이 방법은,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CRS 다중 패턴으로서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비트맵 정보를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포함시켜 다이나믹하에 통지한다. 이동단말장치는,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DCI에 포함되는 비트맵 정보와 CRS 다중 패턴이 관련지어진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DCI에서 통지된 비트맵 정보로부터 CRS 다중 패턴을 인식하여, CRS 다중위치 이외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복조한다.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DCI에 포함되는 비트맵 정보와 CRS 다중 패턴이 관련지어진 것이며, 비트맵 "00000"이 '서빙 셀과 동일'이며, 비트맵 "00001"이 '서빙 셀의 시프트+1만'이며, 비트맵 "00010"이 '서빙 셀의 시프트+2만'이며, 비트맵 "00100"이 '서빙 셀의 시프트+3만'이며, 비트맵 "11111"이 '서빙 셀의 시프트+1/+2/+3/+4/+5'이다. 이 비트맵은, 도 7에 도시하는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있어서는, 서빙 셀이 셀 ID#0의 CRS 다중 패턴을 나타내고, '서빙 셀의 시프트+1'이 셀 ID#1의 CRS 다중 패턴을 나타내고, '서빙 셀의 시프트+2'가 셀 ID#2의 CRS 다중 패턴을 나타내고, '서빙 셀의 시프트+3'이 셀 ID#3의 CRS 다중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6 및 도 7은, 1 안테나의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으나, 이 방법은 2 안테나 이상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2 방법―1)
이 방법은, 뮤팅 패턴을 나타내는 하향 제어정보를 뮤팅 패턴으로서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뮤팅 패턴을 나타내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다이나믹하게 통지한다. 이 경우, 하향 제어정보와 뮤팅 패턴이 관련지어져 있다. 이동단말장치는, 도 8에 도시하는 테이블(DCI에 포함되는 비트와 뮤팅 패턴이 관련지어진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DCI에서 통지된 비트로부터 뮤팅 패턴을 인식하여, 뮤팅 패턴 이외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복조한다.
도 8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DCI에 포함되는 비트와 뮤팅 패턴이 관련지어진 것이며, 비트 "00"이 '뮤팅없음'이며, 비트 "01"이 '서빙 셀의 시프트+1만'이며, 비트 "10"이 '서빙 셀의 시프트+2만'이며, 비트 "11"이 '서빙 셀의 시프트+1/+2'이다. 예를 들면, 비트 "01"은 도 2a의 뮤팅 패턴을 나타내고, 비트 "11"은 도 9의 뮤팅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방법―2)
이 방법은, CRS 다중 패턴을 나타내는 하향 제어정보를 CRS 다중 패턴으로서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CRS 다중 패턴을 나타내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다이나믹하게 통지한다. 이 경우, 하향 제어정보와 CRS 다중 패턴이 관련지어져 있다. 이동단말장치는, 도 10에 도시하는 테이블(DCI에 포함되는 비트와 CRS 다중 패턴이 관련지어진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DCI에서 통지된 비트로부터 CRS 다중 패턴을 인식하여, CRS 다중위치 이외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복조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DCI에 포함되는 비트와 CRS 다중 패턴이 관련지어진 것이며, 비트 "000"이 '서빙 셀과 동일'이며, 비트 "001"이 '서빙 셀의 시프트+1만'이며, 비트 "010"이 '서빙 셀의 시프트+2만'이며, 비트 "011"이 '서빙 셀의 시프트+3만'이며, 비트 "100"이 '서빙 셀의 시프트+4만'이며, 비트 "101"이 '서빙 셀의 시프트+5만'이다. 예를 들면, 비트 "001"은 도 3b의 CRS 다중 패턴을 나타내고, 비트 "010"은 도 11의 CRS 다중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방법―1)
이 방법은,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송신되는 CoMP 셀의 셀 식별정보와, 이 CoMP 셀의 정보(뮤팅하는 셀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하향 제어정보에서 뮤팅 패턴을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하향 제어정보와 CoMP 셀의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다. 이동단말장치는, 도 12에 도시하는 테이블(DCI에 포함되는 비트와 CoMP 셀의 정보가 관련지어진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DCI에서 통지된 비트로부터 CoMP 셀의 정보와,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통지된 CoMP 셀의 셀 식별정보(셀 ID)로부터 뮤팅 패턴을 구하고, 뮤팅 패턴 이외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복조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무선기지국장치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CoMP 셀(CoMP 송신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는 셀)의 셀 ID를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장치는, CoMP 셀이 셀#A, 셀#B인 경우, 셀#A의 셀 ID 7번과 셀#B의 셀 ID 8번을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한편, 무선기지국장치는, DCI에서 CoMP 셀의 정보를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장치는, CoMP 셀의 정보로서, 'CoMP 셀#B의 시프트만'을 나타내는 DCI의 비트 "10"을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셀 ID 번호와 CoMP 셀의 정보로부터 뮤팅 패턴을 구한다. 즉, 셀#B의 셀 ID 번호의 Mod6을 계산하여 시프트량 2를 산출하고(잉여(여분) 연산), 이로 인해 뮤팅 패턴을 구한다(서빙 셀의 시프트+2).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테이블이나 셀 ID 번호는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방법―2)
이 방법은,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송신되는 CoMP 셀의 셀 식별정보와, 이 CoMP 셀의 정보(CRS 다중 패턴의 셀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는 하향 제어정보에서 CRS 다중 패턴을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하향 제어정보와 CoMP 셀의 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다. 이동단말장치는, 도 13에 도시하는 테이블(DCI에 포함되는 비트와 CoMP 셀의 정보가 관련지어진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DCI에서 통지된 비트로부터 CoMP 셀의 정보와,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통지된 CoMP 셀의 셀 식별정보(셀 ID)로부터 CRS 다중 패턴을 구하고, CRS 다중위치 이외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신호를 복조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무선기지국장치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CoMP 셀(CoMP 송신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는 셀)의 셀 ID를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장치는, CoMP 셀이 셀#A, 셀#B인 경우, 셀#A의 셀 ID 7번과 셀#B의 셀 ID 8번을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한편, 무선기지국장치는, DCI에서 CoMP 셀의 정보를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장치는, CoMP 셀의 정보로서, 'CoMP 셀#B의 시프트만'을 나타내는 DCI의 비트 "10"을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셀 ID 번호와 CoMP 셀의 정보로부터 CRS 다중 패턴을 구한다. 즉, 셀#B의 셀 ID 번호의 Mod6을 계산하여 시프트량 2를 산출하고(잉여(여분) 연산), 이로 인해 CRS 다중 패턴을 구한다(서빙 셀의 시프트+2).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테이블이나 셀 ID 번호는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4 방법―1)
이 방법은, 뮤팅 패턴을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에서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뮤팅 패턴을 세미스태틱(semistatic)하게 통지한다.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통지하는 뮤팅 패턴은, 상기 제1 방법에서 사용하는 비트맵 정보여도 좋으며, 상기 제2 방법에서 사용하는 비트 정보여도 좋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뮤팅 패턴을 스태틱하게 해도 좋다. 뮤팅 패턴을 스태틱하게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SCH 영역에서 CRS가 다중되는 심볼 (X)에 대해, CoMP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데이터신호를 할당하지 않는다. 즉, CoMP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는, CoMP 셀에서 CRS가 다중되는 모든 심볼 (X)의 패턴이 뮤팅 패턴이 된다.
(제4 방법―2)
이 방법은, CRS 다중 패턴을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에서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CRS 다중 패턴을 세미스태틱(semistatic)하게 통지한다.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통지하는 CRS 다중 패턴은, 상기 제1 방법―2에서 사용하는 비트맵 정보여도 좋으며, 상기 제2 방법―2에서 사용하는 비트 정보여도 좋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CRS 다중 패턴을 스태틱하게 해도 좋다. CRS 다중 패턴을 스태틱하게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SCH 영역에서 CRS가 다중되는 심볼 (X)에 대해, CoMP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데이터신호를 할당하지 않는다. 즉, CoMP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는, CoMP 셀에서 CRS가 다중되는 모든 심볼 (X)의 패턴이 CRS 다중 패턴이 된다.
CRS와 마찬가지로, PDCCH는, 각각 셀마다 다른 위치에 다중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JP―CoMP를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정확하게 데이터신호를 복조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PDCCH 신호는, 서브프레임의 선두 1 OFDM 심볼로부터 3 OFDM 심볼에 다중되기 때문에,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빙 셀(셀#A:도 15a)의 PDCCH 심볼 길이와, 인접 셀(셀#B:도 15b)의 PDCCH 심볼 길이가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JP―CoMP를 적용하면, PDCCH 심볼 길이가 긴 셀에 맞춰 CoMP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에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JP―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빙 셀의 PDCCH 길이가 인접 셀의 PDCCH 길이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CoMP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 서빙 셀 이외의 셀의 PDCCH 길이를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서빙 셀의 무선기지국장치는, 서빙 셀 이외의 셀의 PDCCH 길이를 복조용 정보로서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또한,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는, PDCCH 길이의 정보를 받았을 때에, PDCCH 길이+1 OFDM 심볼로부터 PDSCH를 다중하게 되기 때문에, PDCCH 길이 대신에,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복조용 정보로 해도 좋다.
이 PDSCH의 다중 개시위치의 정보의 통지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2개(제5 방법, 제6 방법)를 들 수 있다.
(제5 방법)
이 방법은,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나타내는 하향 제어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PDSCH의 대중 개시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다이나믹하게 통지한다. 이 경우, 하향 제어정보와 PDSCH의 다중 개시위치가 관련지어져 있다. 이동단말장치는, 도 16에 도시하는 테이블(DCI에 포함되는 비트와 PDSCH의 다중 개시위치가 관련지어진 테이블)을 갖고 있으며, DCI에서 통지된 비트로부터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인식하여, 그 다중 개시위치로부터 데이터신호를 복조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DCI에 포함되는 비트와 PDSCH의 다중 개시위치가 관련지어진 것이며, 비트 "00"이 '1 심볼째'이며, 비트 "01"이 '2 심볼째'이며, 비트 "10"이 '3 심볼째'이며, 비트 "11"이 '4 심볼째'이다. 예를 들면, 비트 "10"은 도 17의 PDSCH의 다중 개시위치(3 심볼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6 방법)
이 방법은,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에서 통지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세미스태틱(semistatic)하게 통지한다.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통지하는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는, 상기 제5 방법에서 사용하는 비트 정보여도 좋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스태틱하게 해도 좋다.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스태틱하게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중 개시위치를 항상 고정한다(예를 들면, 4 심볼째).
또한,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통지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무선기지국장치는, 서빙 셀의 PDCCH 길이가 인접 셀의 PDCCH 길이보다도 짧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서빙 셀의 PDCCH 길이가 인접 셀의 PDCCH 길이보다도 짧을 때에, 인접 셀의 PDCCH 길이를 고려하여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결정하여, 이 다중 개시위치를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장치는, 서빙 셀의 PDCCH 길이가 인접 셀의 PDCCH 길이보다도 짧을 때에, 인접 셀의 PDCCH 길이 중 가장 긴 PDCCH 길이+1 심볼을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로 한다. 따라서, PDCCH 길이가 최대 3 심볼인 경우에는,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는 최대 4 심볼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조용 정보란,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를 서포트하기 위한 정보이며, CRS와 데이터신호의 충돌 회피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서빙 셀 이외의 셀의 CRS의 다중위치에 관한 정보이다. 또, PDCCH의 심볼 길이의 차이를 허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복조용 정보란, PDCCH의 심볼 길이 또는 PDSCH의 다중 개시위치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 양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 복조용 정보가, 서빙 셀 이외의 셀의 CRS의 다중위치에 관한 정보, 및 PDCCH의 심볼 길이 또는 PDSCH의 다중 개시위치에 관한 정보인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고, 이동단말장치에서,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기 때문에,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 특히, JP―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 이동단말장치에서 정확하게 데이터신호를 복조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무선기지국장치 및 이동단말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UE: User Equipment)(10) 및 무선기지국장치(eNodeB)(20)를 갖는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장치(10) 및 무선기지국장치(20)를 갖는 무선통신시스템(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1)은, 예를 들면, LTE 시스템 또는 SUPER 3G가 포함되는 시스템이다. 또, 이 이동통신시스템(1)은, IMT―Advanced라 불려도 좋으며, 4G라 불려도 좋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1)은, 무선기지국장치(20A, 20B)와, 이 무선기지국장치(20A, 20B)와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단말장치(10A, 1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무선기지국장치(20A, 20B)는, 각각 상위국장치(30)와 접속되고, 이 상위국장치(30)는, 코어 네트워크(40)와 접속된다. 이동단말장치(10A, 10B)는, 셀 C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장치(20A)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으며, 셀 C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장치(20B)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위국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메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이동단말장치(10A, 10B)는,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갖기 때문에, 이하에 있어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이동단말장치(10)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무선기지국장치(20A, 20B)와 무선통신하는 것은 이동단말장치(10)인 것으로서 설명하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이동단말장치도 고정단말장치도 포함하는 유저장치(UE)여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접속)가,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접속)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의 통신채널은, 이동단말장치(10A, 10B)에서 공유되는 하향 데이터채널로서의 PDSCH와, 하향 L1/L2 제어채널(PDCCH, PCFICH, PHICH)을 갖는다. PDSCH에 의해, 송신데이터 및 상위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PDCCH에 의해, 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 정보 등이 전송된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가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에 의해, PUSCH에 대한 HARQ의 ACK/NACK가 전송된다.
상향링크의 통신채널은, 각 이동단말장치에서 공유되는 상향 데이터 채널로서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상향링크의 제어채널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갖는다. 이 PUSCH에 의해, 송신데이터나 상위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링크의 채널품질정보(CQI), ACK/NACK 등이 전송된다.
도 19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무선기지국장치(20A, 20B)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무선기지국장치(20)로서 설명한다. 또, 이동단말장치(10A, 10B)도,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동단말장치(10)로서 설명한다. 무선기지국장치(20)는,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통지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호처리부(2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06)를 구비하고 있다. 하향링크에 의해 무선기지국장치(20)로부터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데이터는, 상위국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있어서,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는, PDCP 레이어의 처리, 송신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의 송신처리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 예를 들면, HARQ의 송신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처리, 프리코딩 처리가 수행된다. 또,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나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처리가 수행된다.
또,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알림채널에 의해, 동일 셀에 접속하는 이동단말장치(10)에 대해, 각 이동단말장치(10)가 무선기지국장치(20)와의 무선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통지한다. 해당 셀에 있어서의 통신을 위한 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시스템 대역폭,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에 있어서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루트 계열의 식별정보(Root Sequence Index) 등이 포함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한다. 앰프부(202)는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201)로 출력한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복수 셀 사이의 위상차의 정보 및 PMI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송신신호를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성한다.
한편, 상향링크에 의해 이동단말장치(10)로부터 무선기지국장치(20)로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202)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데이터에 대해, FFT 처리, ID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처리, RLC 레이어, PDCP 레이어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복호된 신호는 전송로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상위국장치(30)로 전송된다.
호처리부(205)는, 통신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처리나, 무선기지국장치(20)의 상태관리나, 무선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도 20을 참조하여, 무선기지국장치(20)의 기능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의 각 기능 블록은, 주로 베이스밴드 처리부의 처리내용이다. 또, 도 20에 도시하는 기능 블록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화한 것이며, 베이스밴드 처리부에 있어서 통상 구비하는 구성은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장치(20)는, CRS 할당부(211)와, DM―RS 할당부(212)와, CSI―RS 할당부(213)와,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와,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와, 송수신부(203)를 갖고 있다. 이 무선기지국장치(20)는, CoMP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생성하고, 이 복조용 정보를 CoMP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CRS 할당부(211)는, 각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CRS 송신용 리소스에 CRS를 배치한다. CRS가 다른 제어신호와 겹치지 않도록 CRS 배치위치를 정한 CRS 배치 패턴에 따라 리소스 블록 상의 해당 리소스 엘리먼트에 CRS가 배치된다.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 할당부(212)는, 각 서브프레임의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DM―RS 송신용 리소스에 DM―RS를 배치한다.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할당부(213)는, CSI―RS 송신주기(예를 들면, 10ms 또는 8ms)로 무선프레임 내의 해당 서브프레임에 CSI―RS를 배치한다.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생성하고, 그 복조용 정보를 하향 제어신호(215)로 출력한다. 이 복조용 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PDSCH 뮤팅 패턴, CRS 다중 패턴, PDSCH의 개시위치의 정보를 말한다.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는, 복조용 정보로서, PDSCH 뮤팅 패턴이나 CRS 다중 패턴(패턴정보)을 생성해도 좋고, PDSCH 뮤팅 패턴이나 CRS 다중 패턴(패턴정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 정보를 생성해도 좋고, PDSCH 뮤팅 패턴이나 CRS 다중 패턴(패턴정보)에 관한 CoMP 셀의 정보(뮤팅하는 셀 또는 CRS 다중 패턴의 셀에 관한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따라서,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는, 제1 방법―1에 있어서는, 복조용 정보로서 PDSCH 뮤팅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 정보를 생성하고, 제2 방법―1에 있어서는, 복조용 정보로서 PDSCH 뮤팅 패턴을 생성하고, 제3 방법―1에 있어서는, PDSCH 뮤팅 패턴에 관한 CoMP 셀의 정보를 생성한다. 또,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는, 제1 방법―2에 있어서는, 복조용 정보로서 CRS 다중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 정보를 생성하고, 제2 방법―2에 있어서는, 복조용 정보로서 CRS 다중 패턴을 생성하고, 제3 방법―2에 있어서는, CRS 다중 패턴에 관한 CoMP 셀의 정보를 생성한다. 또,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는, 제5 방법에 있어서는, 복조용 정보로서 PDSCH의 다중 개시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는, PDSCH 뮤팅 패턴, CRS 다중 패턴, PDSCH의 개시위치의 정보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는, 제1 방법―1에 있어서는, PDSCH 뮤팅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2 방법―1에 있어서는, PDSCH 뮤팅 패턴에 대응하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3 방법―1에 있어서는, CoMP 셀의 정보에 대응하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는, 제1 방법―2에 있어서는, CRS 다중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2 방법―2에 있어서는, CRS 다중 패턴에 대응하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3 방법―2에 있어서는, CoMP 셀의 정보에 대응하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는, 생성한 하향 제어신호(PDCCH 신호)를 송수신부(203)에 출력한다. 또,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는, 제5 방법에 있어서는,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송수신부(203)는, CRS, DM―RS, CSI―RS 및 하향 제어신호를 리소스에 맵핑하여 하향링크 신호로서 이동단말장치(10)로 송신한다. 또한, 하향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신호 외에 하향링크 신호로서 통상 송신하는 신호도 포함된다.
무선기지국장치(20)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복조용 정보를 이동단말장치(10)로 송신해도 좋다. 무선기지국장치(20)는, 제3 방법―1, 제3 방법―2에 있어서는, 복조용 정보로서 CoMP 셀의 셀 ID를 이동단말장치(10)로 송신하고, 제4 방법―1에 있어서는, 복조용 정보로서 PDSCH 뮤팅 패턴을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고, 제4 방법―2에 있어서는. 복조용 정보로서 CRS 다중 패턴을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또, 무선기지국장치(20)는, 제6 방법에 있어서는, 복조용 정보로서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이동단말장치(10)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LTE 단말도 LTE―A 단말도 하드웨어의 주요부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구별하지 않고 설명한다. 이동단말장치(10)는,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애플리케이션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동단말장치는, CoMP 송신을 적용할 때에, 서빙 셀로부터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수신하고,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CoMP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한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 FFT 처리나,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이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하향링크의 송신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1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105)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알림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105)로 전송된다.
한편, 상향링크의 유저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1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있어서는, 맵핑 처리, 재송 제어(HARQ)의 송신처리나, 채널 부호화, DFT 처리, IFFT 처리 등을 수행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한다. 그 후, 앰프부(102)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도 22를 참조하여, 이동단말장치(10)의 기능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의 각 기능 블록은, 주로 베이스밴드 처리부의 처리내용이다. 또, 도 22에 도시하는 기능 블록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화한 것이며, 베이스밴드 처리부에 있어서 통상 구비하는 구성은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10)는, 송수신부(103)와, 취득부(111)와, 측정부(112)와,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를 갖고 있다.
송수신부(103)는, 무선기지국장치(20)로부터 송신된 하향 제어신호(PDCCH 신호) 등을 수신함과 동시에 데이터 채널 신호(PDSCH 신호: 유저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3)는, 하향 제어신호 및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된 제어정보를 취득부(111)로 출력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유저데이터 및 DM―RS를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로 출력함과 동시에, CRS 및 CSI―RS를 측정부(12)로 출력한다.
취득부(111)는, 송수신부(103)가 수신한 하향 제어신호를 해석하여 복조용 정보를 취득한다. 제1 방법―1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도 4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갖고 있다. 그리고, 취득부(111)는, 도 4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되는 PDSCH 뮤팅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으로부터 뮤팅 패턴을 구한다. 제1 방법―2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갖고 있다. 그리고, 취득부(111)는,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되는 CRS 다중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으로부터 CRS 다중 패턴을 구한다.
제2 방법―1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도 8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갖고 있다. 그리고, 취득부(111)는, 도 8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되는 PDSCH 뮤팅 패턴을 구한다. 제2 방법―2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도 10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갖고 있다. 그리고, 취득부(111)는, 도 10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되는 CRS 다중 패턴을 구한다.
제3 방법―1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도 12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갖고 있다. 그리고, 취득부(111)는, 도 12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PDSCH 뮤팅 패턴에 관한 CoMP 셀의 정보(뮤팅하는 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한편, 취득부(111)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보내진 CoMP 셀 ID 번호를 취득하고 있으며, CoMP 셀의 정보와 CoMP 셀 ID 번호로부터 CRS의 시프트량을 산출하고, 이 시프트량에 기초하여 PDSCH 뮤팅 패턴을 구한다. 따라서, 제3 방법―1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뮤팅 패턴을 생성하는 패턴 생성부를 구비한다. 제3 방법―2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도 13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갖고 있다. 그리고, 취득부(111)는, 도 13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CRS 다중 패턴에 관한 CoMP 셀의 정보(CRS 다중 패턴의 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한편, 취득부(111)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보내진 CoMP 셀 ID 번호를 취득하고 있으며, CoMP 셀의 정보와 CoMP 셀 ID 번호로부터 CRS의 시프트량을 산출하고, 이 시프트량에 기초하여 CRS 다중 패턴을 구한다. 따라서, 제3 방법―2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CRS 다중 패턴을 생성하는 패턴 생성부를 구성한다.
제4 방법―1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보내진 PDSCH 뮤팅 패턴을 취득한다(세미스태틱). 또, 스태틱하게 PDSCH 뮤팅 패턴을 통지하는 경우에는, 취득부(111)는, 통신 개시시 등에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보내진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PDSCH 뮤팅 패턴을 취득한다. 제4 방법―2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보내진 CRS 다중 패턴을 취득한다(세미스태틱). 또, 스태틱하게 CRS 다중 패턴을 통지하는 경우에는, 취득부(111)는, 통신 개시시 등에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보내진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CRS 다중 패턴을 취득한다.
제5 방법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도 16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갖고 있다. 그리고, 취득부(111)는, 도 16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되는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구한다.
제6 방법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보내진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취득한다(세미스태틱). 또, 스태틱하게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통지하는 경우에는, 취득부(111)는, 통신 개시시 등에 무선기지국장치로부터 보내진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취득한다.
취득부(111)는, 복조용 정보인 PDSCH 뮤팅 패턴, CRS 다중 패턴, PDSCH 다중 개시위치 정보를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로 출력한다. 측정부(112)는, 리소스 블록 상에서 CSI―RS가 다중되어 있는 CSI―RS 리소스를 특정하고, CSI―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한다.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는, 송수신부(103)를 통해 수신한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이때,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는, 유저 고유의 DM―RS를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는, 제1 방법∼제4 방법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로부터의 패턴정보(PDSCH 뮤팅 패턴, CRS 다중 패턴)를 이용하여, 뮤팅 리소스나 CRS 다중위치를 복조 처리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고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또,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는, 제5 방법, 제6 방법에 있어서는, 취득부(111)로부터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이용하여, 그 다중 개시위치로부터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CoMP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CoMP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고, 이동단말장치에서,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CoMP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기 때문에, 특히, JP―CoMP를 적용하는 경우에, 이동단말장치에서 정확하게 데이터신호를 복조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방법―1)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PDSCH 뮤팅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에서, PDSCH 뮤팅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무선기지국장치는, 이 하향 제어신호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111)에서 도 4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되는 PDSCH 뮤팅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으로부터 뮤팅 패턴을 구한다. 이어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에서 뮤팅 패턴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제1 방법―2)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CRS 다중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에서, CRS 다중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무선기지국장치는, 이 하향 제어신호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111)에서 도 6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되는 CRS 다중 패턴에 관한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으로부터 CRS 다중 패턴을 구한다. 이어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에서 CRS 다중 패턴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제2 방법―1)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PDSCH 뮤팅 패턴을 생성한다. 이어서,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에서, PDSCH 뮤팅 패턴을 나타내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무선기지국장치는, 이 하향 제어신호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111)에서 도 8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되는 PDSCH 뮤팅 패턴을 구한다. 이어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에서 뮤팅 패턴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제2 방법―2)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CRS 다중 패턴을 생성한다. 이어서,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에서, CRS 다중 패턴을 나타내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무선기지국장치는, 이 하향 제어신호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111)에서 도 10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되는 CRS 다중 패턴을 구한다. 이어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에서 CRS 다중 패턴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제3 방법―1)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PDSCH 뮤팅 패턴에 관한 CoMP 셀의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에서, CoMP 셀의 정보에 대응하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무선기지국장치는, 이 하향 제어신호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또, 무선기지국장치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CoMP 셀의 셀 ID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111)에서 도 12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PDSCH 뮤팅 패턴에 관한 CoMP 셀의 정보(뮤팅하는 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한편, 취득부(111)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보내진 CoMP 셀 ID 번호를 취득하고 있으며, CoMP 셀의 정보와 CoMP 셀 ID 번호로부터 CRS의 시프트량을 산출하고, 이 시프트량에 기초하여 PDSCH 뮤팅 패턴을 구한다. 이어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에서 뮤팅 패턴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제3 방법―2)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CRS 다중 패턴에 관한 CoMP 셀의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에서, CoMP 셀의 정보에 대응하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무선기지국장치는, 이 하향 제어신호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또, 무선기지국장치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CoMP 셀의 셀 ID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111)에서 도 13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CRS 다중 패턴에 관한 CoMP 셀의 정보(CRS 다중 패턴의 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한편, 취득부(111)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보내진 CoMP 셀 ID 번호를 취득하고 있으며, CoMP 셀의 정보와 CoMP 셀 ID 번호로부터 CRS의 시프트량을 산출하고, 이 시프트량에 기초하여 CRS 다중 패턴을 구한다. 이어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에서 CRS 다중 패턴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제4 방법―1)
무선기지국장치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PDSCH 뮤팅 패턴을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세미스태틱). 또, 스태틱하게 PDSCH 뮤팅 패턴을 통지하는 경우에는, 무선기지국장치는, 통신 개시시 등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PDSCH 뮤팅 패턴을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111)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보내진 PDSCH 뮤팅 패턴을 취득한다(세미스태틱). 이어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에서 뮤팅 패턴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또, 스태틱하게 PDSCH 뮤팅 패턴을 통지하는 경우에는, 취득부(111)는, 통신 개시시 등에 보내진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PDSCH 뮤팅 패턴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제4 방법―2)
무선기지국장치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CRS 다중 패턴을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세미스태틱). 또, 스태틱하게 CRS 다중 패턴을 통지하는 경우에는, 무선기지국장치는, 통신 개시시 등에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CRS 다중 패턴을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111)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보내진 CRS 다중 패턴을 취득한다(세미스태틱). 이어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에서 CRS 다중 패턴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또, 스태틱하게 CRS 다중 패턴을 통지하는 경우에는, 취득부(111)는, 통신 개시시 등에 보내진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CRS 다중 패턴을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제5 방법)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복조용 정보 생성부(214)는, 복조용 정보로서 PDSCH의 다중 개시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하향 제어신호 생성부(215)에서,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를 DCI에 포함시켜 하향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무선기지국장치는, 이 하향 제어신호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111)에서 도 16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되는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구한다. 이어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에서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제6 방법)
무선기지국장치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복조용 정보로서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세미스태틱). 또, 스태틱하게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통지하는 경우에는, 무선기지국장치는, 통신 개시시 등에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111)는,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보내진 PDSCH의 대중 개시위치를 취득한다(세미스태틱). 이어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에서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또, 스태틱하게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통지하는 경우에는, 취득부(111)는, 통신 개시시 등에 보내진 PDSCH의 다중 개시위치를 이용하여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조용 정보를 하향 제어신호의 DCI에 포함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조용 정보를 다른 채널신호에 포함시켜 통지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은, 2011년 5월 2일 출원의 특원 2011―103071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14)

  1.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복조용 정보를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용 정보는, 서빙 셀의 물리 하향 공유채널 신호의 뮤팅 패턴 또는 셀 고유 참조신호의 다중 패턴을 나타내는 패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정보는, 서브캐리어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맵에서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하향 제어정보(DCI)와 상기 패턴정보가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하향 제어정보에 의해 상기 패턴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하향 제어정보(DCI)와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는 CoMP 셀의 셀 식별정보가 관련지어져 있으며,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CoMP 셀의 셀 식별정보와, 상기 CoMP 셀의 정보에 대응하는 하향 제어정보에서 패턴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정보를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용 정보는, 물리 하향 공유채널 신호의 다중 개시위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물리 하향 공유채널 신호의 다중 개시위치의 정보를 하향 제어정보(DCI)에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물리 하향 공유채널 신호의 다중 개시위치의 정보를 하이어 레이어 시그널링에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장치.
  10.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서빙 셀로부터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하향 제어정보로부터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패턴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생성부는,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가능성이 있는 CoMP 셀의 셀 식별정보와, 상기 CoMP 셀의 정보에 대응하는 하향 제어정보로부터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3. 무선기지국장치에 있어서,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생성하는 공정;
    상기 복조용 정보를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공정;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수신하는 공정;
    상기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4. 협조 멀티 포인트 송신을 적용할 때에,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복조용 정보를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하는 이동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무선기지국장치;
    상기 데이터신호의 복조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복조용 정보를 이용하여 협조 멀티 포인트 수신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갖는 이동단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KR1020137031192A 2011-05-02 2012-04-24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KR20140040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03071 2011-05-02
JP2011103071A JP5437310B2 (ja) 2011-05-02 2011-05-02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PCT/JP2012/060981 WO2012150686A1 (ja) 2011-05-02 2012-04-24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135A true KR20140040135A (ko) 2014-04-02

Family

ID=4710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192A KR20140040135A (ko) 2011-05-02 2012-04-24 무선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64216B2 (ko)
EP (1) EP2706799B1 (ko)
JP (1) JP5437310B2 (ko)
KR (1) KR20140040135A (ko)
CN (1) CN103503543B (ko)
AU (1) AU2012251290B2 (ko)
BR (1) BR112013028121A2 (ko)
WO (1) WO2012150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0253B2 (en) * 2011-05-02 2014-01-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data symbols
KR20140009463A (ko) 2012-01-27 2014-01-22 엔이씨 래버러터리즈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협력 다지점 송수신
US20140022988A1 (en) * 2012-07-20 2014-01-23 Alexei Davydov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antenna port quasi co-location signaling in coordinated multi-point operations
JP2014143606A (ja) * 2013-01-24 2014-08-07 Ntt Docomo Inc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US9521637B2 (en) * 2013-02-14 2016-12-13 Blackberry Limited Small cel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initial synchronization
JP2014165648A (ja) * 2013-02-25 2014-09-08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基地局および移動局
CN104104420B (zh) * 2013-04-09 2018-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协作发射集的确定方法和基站
US10070446B2 (en) 2013-10-29 2018-09-04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WO2015127942A1 (en) * 2014-02-25 2015-09-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measur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US10178574B2 (en) 2014-05-02 2019-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and device therefor
JP2015216449A (ja) * 2014-05-08 2015-12-03 ソニー株式会社 装置
WO2017173133A1 (en) 2016-03-30 2017-10-05 Idac Holdings, Inc. Long term evolution-assisted nr flexible radio access
CN107306177B (zh) * 2016-04-22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用户设备和网络侧设备
US10887148B2 (en) * 2016-08-10 2021-01-05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10582397B2 (en) * 2016-11-09 2020-03-03 Qualcomm Incorporated 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s during control symbol
JP7025423B2 (ja) * 2017-01-09 2022-02-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参照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FI3579635T3 (fi) * 2017-02-02 2024-04-22 Ntt Docomo Inc Käyttäjäpääte ja langaton tiedonsiirtomenetelmä
SG11201909865SA (en) 2017-05-03 2019-11-2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Downlink control channel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thod and device
CN111971921B (zh) * 2017-08-11 2023-09-12 苹果公司 基于网络的crs减轻的用户设备
CN112470503B (zh) * 2018-07-24 2022-1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使资源分配静默的方法和装置
CA3127105C (en) * 2019-01-18 2024-02-27 Zte Corporation Reducing interference in wireless networks
US11658855B2 (en) * 2019-11-16 2023-05-23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muting pattern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9160B2 (ja) * 2008-03-26 2012-1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装置、ユーザ装置及び方法
KR101603108B1 (ko) * 2008-11-07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 신호 전송 방법
CN101741442B (zh) * 2008-11-20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协作多点传输中确定资源映射的方法、网络设备及系统
KR101619446B1 (ko) * 2008-12-02 201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mimo시스템에 있어서 rs 전송 방법
US8442566B2 (en) * 2009-01-07 2013-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rdinated multipoint (CoMP) joint transmission using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and higher rank dedicated beam-forming
US8837396B2 (en) * 2009-02-10 2014-09-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pping user data onto a time-frequency resource grid in a coordinated multi-point wireless communication sytem
US8559354B2 (en) * 2009-02-26 2013-10-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ata in MBSFN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74951B2 (en) * 2009-03-17 2012-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ell selection and resource mapping for CoMP joint transmission
KR101738162B1 (ko) * 2009-04-10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2430857B1 (en) * 2009-05-11 2017-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instructing mobile stations communicating with cooperating access nodes
KR101237666B1 (ko) * 2009-07-28 201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기준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370917B1 (ko) * 2009-08-14 2014-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
US10454645B2 (en) * 2009-08-14 2019-10-22 Hmd Global Oy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KR101615235B1 (ko) * 2009-09-09 2016-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U-MIMO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oMP 동작에서의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
US9083482B2 (en) * 2009-09-27 2015-07-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32977B2 (en) * 2009-09-30 2016-08-3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CN102640431A (zh) * 2009-10-30 2012-08-15 诺基亚公司 支持有效的秩重配的信道反馈
US8755365B2 (en) * 2009-11-08 2014-06-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 CSI-RS, and a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the CSI-RS
US10111111B2 (en) * 2009-11-19 2018-10-23 Qualcomm Incorporated Per-cell timing and/or frequency acquisition and their use on channel estimation in wireless networks
KR101053635B1 (ko) * 2010-01-28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릴레이 노드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1112017A2 (en) * 2010-03-11 2011-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degradation of radio link qu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elays
EP2550760B1 (en) * 2010-03-24 2020-02-1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5763753B2 (ja) * 2010-05-17 2015-08-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中継器に関するダウンリンク制御情報送受信方法及び装置
WO2011155763A2 (ko) * 2010-06-08 201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 멀티 포인트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2400686A3 (en) * 2010-06-25 2012-06-06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dic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901927B1 (ko) * 2010-09-28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2585652B1 (ko) * 2011-01-07 2023-10-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중 송신 포인트의 채널 상태 정보(csi) 전달
CN103370897B (zh) * 2011-02-09 2017-04-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在分级异构小区部署中分发小区共用下行链路信号的方法、系统以及控制单元
WO2012141463A2 (ko) * 2011-04-11 201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14514849A (ja) * 2011-04-14 2014-06-19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単一キャリアセルアグリゲーションでの協調送信CoMP
WO2012149661A1 (en) * 2011-04-30 2012-11-08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KR20140009463A (ko) * 2012-01-27 2014-01-22 엔이씨 래버러터리즈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협력 다지점 송수신
US20140045510A1 (en) * 2012-07-25 2014-02-13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12253A1 (en) 2014-04-24
JP5437310B2 (ja) 2014-03-12
WO2012150686A1 (ja) 2012-11-08
BR112013028121A2 (pt) 2016-12-27
US10064216B2 (en) 2018-08-28
EP2706799A4 (en) 2014-10-29
JP2012235341A (ja) 2012-11-29
CN103503543A (zh) 2014-01-08
AU2012251290A1 (en) 2013-11-14
CN103503543B (zh) 2017-11-21
EP2706799B1 (en) 2018-02-21
AU2012251290B2 (en) 2016-02-25
EP2706799A1 (en) 2014-03-12
AU2012251290A8 (en)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7310B2 (ja)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609641B2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US9634808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er terminal and radio base station
KR101480080B1 (ko) Csi―rs의 시그널링 방법 및 기지국장치
JP5005082B2 (ja)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576866B1 (ko) 시그널링 방법,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시스템
US20160142195A1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4987113B2 (ja)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742534B2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EP284949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user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40095480A (ko) 무선통신시스템, 무선기지국장치, 유저단말 및 무선통신방법
KR20140012071A (ko)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140142238A (ko) 무선통신시스템, 기지국장치, 및 무선통신방법
WO2012153804A1 (ja)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30132896A (ko)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JP603088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再送制御方法
JP551354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WO2014045755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414023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