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592A -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592A
KR20140039592A KR1020120105931A KR20120105931A KR20140039592A KR 20140039592 A KR20140039592 A KR 20140039592A KR 1020120105931 A KR1020120105931 A KR 1020120105931A KR 20120105931 A KR20120105931 A KR 20120105931A KR 20140039592 A KR20140039592 A KR 20140039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porous conductive
conductive material
lithium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347B1 (ko
Inventor
우희진
류희연
이윤지
이준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3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극을 가진 다공성 도전재의 공극 내부에 유황입자가 충전되고, 표면을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시킨 후 열처리를 통해 유황의 일부를 기화시켜 기공 내부에 빈 공간이 확보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외부로 확산되어 나가지 못하도록 감금시키고, 폴리설파이드 셔틀 현상이 일어 나지 않아 충전시 자가방전 효과를 방지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는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Cathode of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ies containing sulfur-infiltrated mesoporous conductive nanocomposites and a fabrication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산화 실리콘이 코팅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기자동차나 전지전력저장시스템 등의 대용량 전력저장전지와 휴대전화, 캠코더, 노트북 등의 휴대전자기기의 소형의 고 성능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휴대전자기기의 소형화와 장시간 연속사용을 목표로 부품의 경량화와 저 소비전력화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소형이면서 고 용량을 실현할 수 있는 이차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이차전지로서의 리튬이온전지는 니켈망간전지나 니켈카드뮴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면적당 용량이 크다. 또한 자기방전율이 낮으며 수명이 길다. 게다가 메모리 효과가 없어서 사용의 편리성과 장수명의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차세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로써 리튬이온전지는 과열에 의한 안정성 문제, 낮은 에너지 밀도 및 저 출력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리튬이온전지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고 출력 및 높은 에너지밀도가 구현 가능한 리튬유황 이차전지, 리튬공기 이차전지와 같은 포스트 리튬이온전지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리튬유황 이차전지는 기존의 리튬이온전지의 이론 에너지 밀도보다 5배 높은 2500Wh/kg을 나타냄으로써 고 출력, 고 에너지 밀도를 요구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로 적합하다. 하지만 폴리설파이드 셔틀현상으로 인해 일어나는 자가방전 효과는 리튬유황 이차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종래 이러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에 대해 한국공개특허 제2010-136974호에서는 나노기공(nano- porocity)을 갖는 다공성 매트릭스 형태의 탄소 및 황을 포함하는 물질로서, 황은 나노기공 내에 이용 가능한 자유 볼륨(free volumn)이 존재하도록 탄소 매트릭스의 나노기공의 일부분 내로 흡수되는 물질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탄소 다공성 매트릭스에 황이 주입되어 상당한 진전이 있었지만 충방전시 유황입자의 이동공간이 확보되지 않아서 폴리설파이드 셔틀현상이 발생하고 산화환원반응이 효율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문제로 인해 전기적 효율성이 저하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의 폴리설파이드 셔틀현상에 기인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다공성 탄소재를 응용한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미국특허공개 제2011-52998호에서 제안된 다공성 탄소재에 미세 공극을 형성시켜 황을 주입시킨 후 합성한 유황_다공성 탄소재 나노복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먼저 메소(meso) 공극을 가진 다공성 탄소재를 합성한 후 수산화칼륨(KOH)을 이용하여 에칭을 시키면 다공성 탄소재 내벽에 마이크로(micro) 공극이 형성된다. 이후 카본디설파이드가 용해된 용액과 다공성 탄소재를 혼합하여 140℃ 질소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황을 주입시켰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한 전극을 이용하여 충방전을 수행하였을 경우 방전시 마이크로 공극의 유황이 전자를 받아 환원반응을 일으켜 폴리설파이드[Sx 2 -] 상태로 용해된다. 용해된 폴리설파이드는 전해질 내에서 확산되어 나가지 않고 메소 공극 내부로 구속되어 리튬 이온들과 반응하게 된다.
또한 도 1은 최근 Angewandte 논문에 등재된 산화 실리콘을 코팅된 다공성 탄소재/유황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공극을 가진 다공성 탄소재를 합성한 후 Melting-diffusion method를 이용하여 탄소재 기공 내부에 유황을 충진시켜 다공성 탄소재/유황 나노복합체를 제작하였다 [Angew. Chem. Int. Ed. 2012, 51, 1-6]. 이와 같이 합성된 다공성 탄소재/유황 나노복합체와 TEOS(Tetra Ethyl Ortho Silicate) 용액을 혼합하여 아르곤 가스 분위기의 상온에서 장시간 동안 방치시켜 나노복합체 표면에 산화 실리콘(SiOx)을 코팅하였다. 이후 에탄올에 세척하여 24 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시켜 최종적으로 산화 실리콘이 코팅된 나노복합체를 제작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충방전을 반복하게 되면 S8의 환원반응시 Li2S가 형성이 되어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기공 내부에 빈 공간이 없으므로 부피팽창시 충격을 받은 산화 실리콘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균열 사이로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질 및 음극 쪽으로 확산이 일어나게 되면 코팅막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어 수명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리튬유황 이차전지 기술 개발 측면에서 폴리설파이드 셔틀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유황이 충전된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의 내부에 기공별 빈 공간을 유지시키고, 표면을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함으로써 충방전 시 발생하는 산화실리콘 크랙 현상을 해결하고 전해질에 용해된 폴리설파이드의 셔틀현상을 억제시킴으로써 자가방전효과를 감소시키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이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적 효율성이 우수하고 자가방전효과를 감소시켜 수명이 연장된 리튬유황 전지용 양극을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리튬유황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극을 가진 다공성 도전재의 공극 내부에 유황입자가 충전되고, 표면이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되어 있되, 상기 유황입자가 공극내부에 전체 공극 대비 50~70 부피%로 충전되어 있는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제조방법으로써,
공극을 가진 다공성 도전재 분말과 유황 입자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분말을 120~180℃에서 5~24 시간 동안 가압하면서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 후 서서히 냉각하여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유황 용매에 세척하여 표면에 증착된 유황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유황이 제거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에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화 실리콘이 코팅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400~600℃ 에서 열처리하여 기공 내부의 유황을 기화시켜 전체 공극대비 30~50 부피%의 유황입자를 제거하고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유황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튬유황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배터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유황 이처전지용 양극은 공극을 가지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외부로 확산되어 나가지 못하도록 감금시키고, 폴리설파이드 셔틀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충전시 자가방전 효과를 방지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튬유황 이처전지용 양극은 표면이 균일한 두께의 산화실리콘 나노층으로 코팅함으로써 기존의 코팅막으로써 사용되는 고분자보다 전기적, 열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전해질과의 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코팅막이 둘러싸고 있는 기공 내부에 여유공간을 두어 Li2S 형성시에도 부피 팽창에 의한 코팅막의 구조 파괴가 일어나지 않아 전기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Angewandte 논문에 등재된 산화 실리콘이 코팅된 다공성 탄소재/유황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개념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리튬유황 이차전지에서 충방전 시의 작용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방전시 나타나는 방전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써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공극을 가진 다공성 도전재의 공극 내부에 유황입자가 충전되고, 표면이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되어 있되, 상기 유황입자가 공극내부에 전체 공극 대비 50~70 부피%로 충전되어 있는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도전재는 평균입도가 10nm~100㎛이고, 공극률(또는 기공도)이 10~90%인 분말을 사용하고, 유황입자는 평균입도가 1nm~5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도전재와 유황입자는 1:(1~6)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산화 실리콘은 SiOx(1.5≤x≤2.5)의 형태로 표면을 1~10n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2n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공극을 가진 다공성 도전재 분말과 유황 입자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분말을 120~180℃ 에서 5~24 시간 동안 가압하면서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 후 서서히 냉각하여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유황 용매에 세척하여 표면에 증착된 유황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유황이 제거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에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화 실리콘이 코팅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400~600℃ 에서 열처리하여 기공 내부의 유황을 기화시켜 전체 공극대비 30~50 부피%의 유황입자를 제거하고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공극을 가진 다공성 도전재 분말과 유황 입자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에서는 다공성 도전재의 기공부피에 유황입자를 100% 충전시킬 수 있는 1:(1~6)의 중량비로 유황 입자와 다공성 도전재를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때 유황입자 분말이 너무 적으면 다공성 도전재 공극내에 유황입자가 충분히 충전되지 않고, 너무 과량이면 전해질 이동 경로 차단 및 다공성 도전재 골격 파괴의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된 분말을 120~180℃ 에서 5~24 시간 동안 가압하면서 열처리하는 단계에서는 다공성 도전재 공극 내부로 유황 입자를 주입시키기 위해 가열 가압을 하면서 열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유황 입자는 용융점(115℃)을 넘어 점성이 우수한 가장 바람직한 온도범위로 140~160℃에서 다공성 도전재 공극 내부로 작용하는 모세관압(Cappilary force)에 의해 공극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열처리 후 서서히 냉각하여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열처리 후 침투된 유황이 결정화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천천히 냉각시킨다. 이때의 냉각온도는 유황이 안정한 고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상온으로 냉각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유황이 제거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에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시키는 단계에서 혼합용액은 에탄올, TEOS(Tetra Ethyl Ortho Silicate) 및 수산화암모늄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산화암모늄 촉매는 전체 혼합용액 대비 함량이 0.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산화 실리콘은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의 표면에 1~2nm 두께로 균일하게 증착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산화 실리콘이 코팅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400~600℃에서 열처리하여 기공 내부의 유황을 기화시켜 전체 공극대비 30~50 부피%의 유황입자를 제거하고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질소 및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Inert gas)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기공 내부의 유황을 일정량 기화시켜 방전시 Li2S가 형성이 되었을 때 나타나는 부피팽창 현상에서 산화 실리콘 코팅층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때 제조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기공 내부에 존재하는 유황의 함량은 50~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황의 함량이 70 중량% 보다 많으면 방전 시 Li2S의 형성으로 인한 부피팽창으로 산화 실리콘 코팅층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50 중량% 보다 적으면 낮은 유황 로딩량으로 인해 단위 질량당 에너지 밀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열처리가 끝난 후 기공 내부에 남아있는 유황 입자들이 균일하게 결정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서서히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과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공정으로 합성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유황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배터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차전지와 자동차용 배터리는 상기 이차전지용 양극을 통상의 방법으로 적용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일반적으로 리튬유황 이차전지의 충방전 시의 작용 메커니즘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론적으로는 방전시 리튬 음극에서 이동되어 온 전자가 도전재 표면에 인접한 황 입자와 결합하여 S8 2 -로 환원되어 전해질 내 용해된다. S8 2 - 는 리튬이온과 결합하여 전해질에 용해된 상태의 Li2S8(Long-chain polysulfide)를 형성한다. Li2S8 는 Li이온과의 지속적인 환원 반응이 일어나 최종적으로 Li2S2/Li2S (Short-chain polysulfide) 형태로 리튬 음극 표면에 석출된다. 충전시에는 산화반응이 일어나 역 과정을 거쳐서 다시 S8 2 -로 돌아오게 되며 도전재 표면에서 전자를 잃어 황 입자로 석출된다. 하지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전 시 Li2S2/Li2S에서 Li2S8로의 산화반응 과정에서 리튬이온과 반응하여 다시 Li2S2/Li2S로 환원되는 폴리설파이드 셔틀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셔틀현상은 폴리설파이드의 농도구배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하고, 이는 리튬유황 이차전지의 과전압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막아주는 장점을 보여준다. 하지만 충전 시에도 자가방전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인해 전지 수명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방전 시 활물질 질량의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도 3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충방전시 전기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은 방전시 도 4에서와 같이 다공성 도전재 기공 내부를 유황 입자로 100% 충진시킨 후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표면에 산화 실리콘을 코팅시키고 고온에서 열처리를 통해 유황을 일부 기화시킴으로써 기공 내부에 일정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충방전시 Li2S가 형성이 되어 부피가 팽창하여도 산화 실리콘 코팅층이 충격을 받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극을 리튬유황 이차전지에 적용하는 경우,
(1) 공극을 가지는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여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외부로 확산되어 나가지 못하도록 감금시키는 기능을 한다.
(2) 리튬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질 내로 확산되지 않아 폴리설파이드 셔틀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며 이는 충전시 자가방전 효과를 방지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가져다 준다.
(3) 기존의 코팅층으로써 사용되는 고분자보다 전기적, 열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전해질과의 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4) 충방전시 안정화가 이루어지고 코팅층이 둘러싸고 있는 기공 내부에 여유공간을 두어 종래기술 대비 Li2S 형성에 의한 부피 팽창시에도 구조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
(5) 코팅된 산화 실리콘은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고 있어 모든 영역에서 반응이 원할히 일어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다공성 도전재(SBET: 1400m2/g, Vtot:1.62cc/g) 1g과 유황 입자 분말 3.18g을 고르게 혼합한 후 다공성 도전재 공극 내부로 유황 입자를 주입시키기 위해 155℃ 에서 10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 후 침투된 유황이 결정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서서히 냉각시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은 표면에 흡착된 유황을 제거하기 위해 S2Cl2 50g과 혼합하여 5시간 교반시켰다. 그런 다음 S2Cl2을 제거하고 에탄올로 세척하여 50℃에서 건조시킨 후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의 표면에 산화 실리콘 나노층을 코팅하기 위해 질소분위기에서 에탄올 500ml와 TEOS(Tetra Ethyl Ortho Silicate) 0.2ml을 혼합하여 건조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넣고 교반시켰다. 그 다음 NH4OH(25% NH3) 2ml를 첨가한 후 대기분위기에서 다시 24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에탄올로 세척하여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켰다. 그런 다음 비활성 기체 분위기의 furnace에서 500℃로 가열시킨 다음 열처리하여 기공 내부의 유황을 일부 기화시켰다. 기화 시 Li2S 부피팽창을 고려한 유황 질량을 남겨두고 상온으로 서서히 냉각시켜 산화 실리콘이 코팅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제조하였다[도 2 참조].
실험예
도 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방전시 나타나는 방전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개념도이다. 상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이미지를 살펴보면 70wt% 유황이 충전된 다공성 탄소재/유황 나노복합체 표면에 산화 실리콘을 코팅하여 기공 내부의 빈공간에도 산화 실리콘이 증착된다. 위와 같은 경우 충방전을 반복하게 되면 S8의 환원반응시 Li2S가 형성이 되어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기공 내부에 빈공간이 없으므로 부피팽창시 산화 실리콘이 충격을 받게 된다. 충격을 받은 산화 실리콘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균열 사이로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질 및 음극 쪽으로 확산이 일어나게 되면 코팅막의 역할을 상실하게 되어 수명이 줄어드는 특성을 보인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경우 이러한 산화 실리콘 균열 발생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공성 도전재 기공 내부를 유황 입자로 100% 충전시킨 후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표면에 산화 실리콘 코팅층을 증착시킨 뒤 고온에서 열처리를 통해 유황을 일부 기화시킴으로써 기공 내부에 일정 공간을 확보하였다. 이는 기공 내부에 빈 공간이 유지된 상태에서 산화 실리콘 코팅층이 형성되어 충방전 시 Li2S가 형성이 되어 부피가 팽창하여도 산화 실리콘 코팅층이 충격을 받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공극을 가진 다공성 도전재의 공극 내부에 유황입자가 충전되고, 표면이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되어 있되, 상기 유황입자가 공극내부에 전체 공극 대비 50~70 부피%로 충전되어 있는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도전재는 평균입도가 10nm~100㎛이고, 공극률(또는 기공도)이 10~90%인 분말이고, 유황입자는 평균입도가 1nm~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도전재와 유황입자는 1:(1~6)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실리콘은 SiOx(1.5≤x≤2.5)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실리콘은 코팅 두께가 1~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6. 공극을 가진 다공성 도전재 분말과 유황 입자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분말을 120~180℃에서 5~24 시간 동안 가압하면서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 후 서서히 냉각하여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유황 용매에 세척하여 표면에 증착된 유황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유황이 제거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에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화 실리콘이 코팅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 분말을 400~600℃에서 열처리하여 기공 내부의 유황을 기화시켜 전체 공극대비 30~50 부피%의 유황입자를 제거하고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도전재는 평균입도가 10nm~100㎛이고, 공극률(또는 기공도)이 10~90%인 분말이고, 유황입자는 평균입도가 1nm~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도전재와 유황입자는 1:(1~6)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은 에탄올, TEOS(Tetra Ethyl Ortho Silicate) 및 수산화암모늄 촉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암모늄 촉매는 전체 혼합용액 대비 함량이 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실리콘은 코팅 두께가 1~1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항에 따른 산화 실리콘으로 코팅된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유황 이차전지.
  13. 제 12 항의 리튬유황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KR1020120105931A 2012-09-24 2012-09-24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KR101417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31A KR101417347B1 (ko) 2012-09-24 2012-09-24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931A KR101417347B1 (ko) 2012-09-24 2012-09-24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592A true KR20140039592A (ko) 2014-04-02
KR101417347B1 KR101417347B1 (ko) 2014-07-08

Family

ID=5065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931A KR101417347B1 (ko) 2012-09-24 2012-09-24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3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942A1 (ko) * 2014-09-26 2016-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180058605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180091413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수명에 적합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WO2018159946A1 (ko) * 2017-03-02 2018-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로딩에 적합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CN108963263A (zh) * 2018-07-23 2018-12-07 戚明海 一种锂硫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0251199A1 (ko) * 2019-06-14 2020-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642B1 (ko) * 2002-09-23 2005-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설퍼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0754746B1 (ko) * 2007-03-07 2007-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공성 활성층이 코팅된 유기/무기 복합 분리막 및 이를구비한 전기화학소자
WO2011028804A2 (en) * 2009-09-02 2011-03-10 Ut-Battelle, Llc Sulfur-carbon nanocomposites and their application as cathode materials in lithium-sulfur batterie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942A1 (ko) * 2014-09-26 2016-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US10615462B2 (en) 2014-09-26 2020-04-07 Lg Chem, Ltd. Lithium-sulfur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KR20180058605A (ko) 2016-11-24 2018-06-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20180091413A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수명에 적합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WO2018147558A1 (ko) *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수명에 적합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JP2019527917A (ja) * 2017-02-07 2019-10-0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長寿命に適合した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US10790499B2 (en) 2017-02-07 2020-09-29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suitable for long life
WO2018159946A1 (ko) * 2017-03-02 2018-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로딩에 적합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KR20180100857A (ko) * 2017-03-02 2018-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로딩에 적합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US10741827B2 (en) 2017-03-02 2020-08-11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suitable for high loading
CN108963263A (zh) * 2018-07-23 2018-12-07 戚明海 一种锂硫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0251199A1 (ko) * 2019-06-14 2020-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347B1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94859A1 (en) Scaffolding matrix with internal nanoparticles
KR101997261B1 (ko) 유황 다공성 나노복합구조체와 다공성 나노도전재를 함유한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Tsao et al. A nickel‐decorated carbon flower/sulfur cathode for lean‐electrolyte lithium–sulfur batteries
Zhang et al. Dimensionally designed carbon–silicon hybrids for lithium storage
Jia et al. A novel approach to synthesize micrometer-sized porous silicon as a high performance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KR101417347B1 (ko) 유황 다공성 도전재 나노복합체를 함유한 리튬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제조방법
KR101665104B1 (ko) 이차전지용 다공성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EP3670447B1 (en) Porous carbon, and positiv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He et al. Nanostructured Li2MnSiO4/C cathodes with hierarchical macro‐/mesoporosity for lithium‐ion batteries
Sun et al. Facial synthesis of three-dimensional cross-linked cage for high-performance lithium storage
Zhang et al. Si/C composites as negative electrode for high energy lithium ion batteries
Kim et al. Controllable Synthesis of Carbon Yolk‐Shell Microsphere and Application of Metal Compound–Carbon Yolk‐Shell as Effective Anode Material for Alkali‐Ion Batteries
Wei et al. Designed formation of yolk–shell-like N-doped carbon-coated Si nanoparticles by a facile method for lithium-ion battery anodes
KR102524484B1 (ko) 사전-리튬화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Toki et al. Recent progress and challenges of silicon-based anode materials for lithium-ion batteries
Kim et al. Synthesis of Iron Sulfide Nanocrystals Encapsulated in Highly Porous Carbon‐Coated CNT Microsphere as Anode Materials for Sodium‐Ion Batteries
Ting et al. Lithium Sulfide Batteries: Addressing the Kinetic Barriers and High First Charge Overpotential
Yu et al. Innovative design of silicon-core mesoporous carbon composite for high performance anode material in advanced lithium-ion batteries
Bai et al. Ru Single Atom Dispersed on MoS2/MXene for Enhanced Sulfur Reduction Reaction in Lithium–Sulfur Batteries
CN103682284B (zh) 用于锂离子电池阳极的复合材料及其制作方法
KR101787837B1 (ko) 리튬 이온 전지용 게르마늄-탄소 복합체 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102661974B1 (ko)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WO2024103230A1 (zh) 硅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负极及锂离子电池
Ullah et al. Effect of Carbon-Based Composites in Fast-Charging Battery Technologies
KR20210043037A (ko) 리튬 프리도핑 된 SiOx 입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