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460A -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460A
KR20140039460A KR1020120105587A KR20120105587A KR20140039460A KR 20140039460 A KR20140039460 A KR 20140039460A KR 1020120105587 A KR1020120105587 A KR 1020120105587A KR 20120105587 A KR20120105587 A KR 20120105587A KR 20140039460 A KR20140039460 A KR 20140039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solvent
film
antiglare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민
김윤봉
조용균
안종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460A/ko
Publication of KR20140039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4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2Antiglare, refractive index matching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현필름 제조 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유무기 입자의 응집 및 침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용매의 분산에 의하여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방현성 및 콘트라스트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현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ANTI-GLAR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표시장치는 눈부심을 방지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방현필름(AG Film; Anti-Glare Film)이 요구되고 있다. 방현필름은 외부와 접하는 표면의 거칠기(Roughness)에 비례하여 방현성이 부여되는데, 표면의 요철이 크고 많을수록 외부광의 산란효과가 증대되어 방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현 필름은 소정의 입경을 갖는 미립자를 분산시킨 수지를 기재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미립자에 의해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켜 제조되는데 방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자 크기를 키우거나 많은 양의 입자를 사용함에 따른 수지 내의 미립자의 균일한 분산의 어려움 또는 미립자의 응집 등이 발생되어 신틸레이션 현상, 코팅 불량 및 방현성이 떨어져 충분한 시인성을 얻을 수 없고 투과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08-0260997호(2008.10.2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1-0026616(2011.03.1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현필름 제조 공정상 유무기 입자의 응집 및 침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공정을 간단하게 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방현성 및 콘트라스트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현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광개시제 및 제1용매를 포함하는 방현층 조성물 제조 단계, 투명 기재 상에 상기 방현층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현층 코팅 단계, 코팅된 방현층 상부에 제2용매를 분사(스프레이)하는 요철 형성 단계, 및 요철이 형성된 방현층을 포함하는 기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요철 형성 단계에서 평균입경이 1 내지 1000㎛의 용매가 분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형성된 요철은 중심선 표면거칠기(Ra)가 0.05 내지 10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자외선 경화 수지는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광개시제로 아세트페논류, 벤조인에테르류, 벤조페논류 및 티옥산톤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제1용매로 알코올류, 케톤류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제2용매로 상기 제1용매와 동일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방현층이 표면 헤이즈가 0.1 내지 5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유무기 입자를 사용하지 않은 구성으로 유무기 입자의 분산성 문제로 발생 할 수 있는 결함을 근원적으로 없애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내부헤이즈가 전혀 없고 탁월한 외부헤이즈를 이용하여 향상된 방현성 및 콘트라스트를 나타내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방현필름은 CRT, PDP, ELD, FED, 액상 패널 등의 화상용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적용하여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용매분사를 이용한 방현필름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식도 이다.
도 2은 용매분사를 이용한 방현필름의 제조원리를 나타낸 도식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광개시제 및 제1용매를 포함하는 방현층 조성물 제조 단계, 투명 기재 상에 상기 방현층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현층 코팅 단계, 코팅된 방현층 상부에 제2용매를 (스프레이)분사하는 요철 형성 단계, 및 요철이 형성된 방현층을 포함하는 기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현층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투명 기재 상에 코팅하여 방현층을 형성한 다음 코팅된 방현층 상부에 용매를 분사시킴으로써 요철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종래 방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유무기 입자를 사용함에 따른 입자들의 응집 및 침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무기 입자를 사용하지 않아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요철 형성 단계에서 분사되는 용매의 평균입경이 1 내지 100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평균입경이 1㎛ 미만일 경우 요철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상기 평균입경이 1000㎛ 초과일 경우 중심선 표면거칠기(Ra)가 지나치게 커져 시인성 및 콘트라스트가 악화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요철 형성을 위한 용매분사 시기는 투명 기재 상에 방현층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이후 건조 과정 전, 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형성된 요철은 중심선 표면거칠기(Ra)가 0.05 내지 1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거칠기(Ra)가 0.05㎛ 미만일 경우 광확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표면거칠기(Ra) 100㎛ 초과일 경우 콘트라스트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미드계, 실리콘계, 에폭시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형 모노머, 올리고머, 폴리머 등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자외선 경화 수지로 어느 하나 이상의 반응성 폴리머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폴리머는 방현성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8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폴리머의 함량이 상기 기준으로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방현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현 필름의 컬링이 발생될 수 있으며, 80중량부 초과로 포함되면 방현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현 필름에 충분한 경도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방현성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8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모노머의 함량이 상기 기준으로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방현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현 필름의 충분한 경도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80중량부 초과로 포함되면 방현성 하드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방현 필름에 컬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폴리머로 아크릴기, 메타아크릴기, 아릴기, 비닐기 등의 불포화기 및 에폭시기와 같은 지환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 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구조의 아크릴레이트기를 앞서 언급한 반응성기로 대체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모노머는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실데실(메타)아크릴렐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베타-카르복실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텐옥시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변성인산디(메타)아크릴렐이트, 알릴화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시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변성디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변성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피온산변성디펜타에리스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로락톤변성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막의 경도, 내화학성, 내용제성 및 내마모성에 따라 가교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머로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앞서 언급한 나열된 수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광개시제로 아세트페논류, 벤조인에테르류, 벤조페논류 및 티옥산톤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개시제는 디에톡시아세트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2-모르핀(4-티오메틸페닐) 프로판-1-온 등의 아세트페논류,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류, 벤조페논, o-벤조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아황산, 4-벤조일-N, N-디메틸-N-
[2-(1-옥소-2-프로페닐옥시)에틸] 벤젠메타나미늄블로미드, (4-벤조일벤질)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벤조페논류, 2, 4-디에틸티옥산톤, 1-클로로-4-디클로로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류, 2, 4, 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벤조일옥사이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촉진제(증감제)로서, N, N-디메틸파라톨루이진, 4, 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아민계 화합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페논류, 벤조페논류, 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티옥산톤류, 디페닐설파이트, 디벤질디설파이트, 디에틸옥사이드, 트리페닐비이미다졸, 이소프로필-N,N-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개시제는 방현층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이다. 광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광중합 효과를 얻기 힘들고, 10 중량부 초과이면 방현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방현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와 더불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층 조성물에는 제1용매(제1용제)가 포함된다. 상기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및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방현성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85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방현성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 공정성이 떨어지고, 85중량부 초과이면 방현성 하드 코팅 조성물의 건조 및 경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층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광개시제 및 제1용매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경화제 등의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현층 조성물은 투명 기재상의 일면에 방현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 또는 코팅된다. 이때, 투명 기재 상의 일면에 코팅된 방현층은 건조 후 두께가 2 내지 20μm 인 것이 바람직하며, 코팅 방법은 그라비아롤, 다이 또는 바 코팅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 제조방법은 투명 기재상에 방현층 조성물을 도포 또는 코팅함으로써 방현층을 형성한 다음 방현층 조성물이 건조되기 전 혹은 30~150℃의 온도에서 10초~1시간, 바람직하게는 30초~10분 동안 휘발물의 증발에 의해서 건조시킨 다음 요철 형성 단계를 실시한다.
요철 형성 단계는 코팅된 방현층 상부에 제2용매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용매(제2용제)는 상기 제1용매와 동일한 것으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및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은 도포된 방현층 조성물 상에 요철 형성을 위하여 유무기 입자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용매를 이용하여 분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내부헤이즈가 전혀 없고 향상된 방현성 및 콘트라스트를 나타낼 수 있는 방현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용매 및 제2용매는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극성이 다른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용매에는 물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투명 기재는 물리적, 기계적 및 화학적 강도를 갖고, 열안정성, 수분차단성,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재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디아세틸 셀룰로오스(DAC), 프로피오닐 셀룰로오스, 부티릴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레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를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제2용매 분사 이후 건조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건조공정은 30~150℃의 온도에서 10초~1시간, 바람직하게는 30초~10분 동안 분사된 제2용매 및 방현층 조성물에 포함된 용매를 휘발물의 증발에 의해서 건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요철이 형성된 방현층을 포함하는 기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방현층을 형성한다. 상기 경화 단계의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10J/cm2이고, 바람직하게는 0.1~2J/cm2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방현층이 표면 헤이즈가 0.1 내지 50%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현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제공하는 것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 도면 및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 도면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용매 분사를 이용한 방현필름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은 언와인더(2) 및 리와인더(6)을 이용하여 공정 이동을 하며, 기재필름 상에 다이(die)(2)를 이용하여 준비된 방현층 조성물을 코팅한 다음, 스프레이 코팅머신(4)에서 분사되는 용매(5)에 의하여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용매분사를 이용한 방현필름의 제조원리를 나타낸 도식도로서, 본 발명은 투명기재(기재필름)(7) 상에 방현층(8)이 코팅되고, 이후 분사된 용매(9)에 의하여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유무기 입자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것과 동시에 방현성 및 콘트라스트가 향상된 방현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방현층 조성물 제조
10관능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24중량부(SUO1700B, 신아T&C),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15중량부(M340, 미원상사), 이가큐어 184(바스프) 4중량부, 레벨링제로 BYK LPG21241(BYK케미) 0.1중량부 및 이소프로필알콜(IPA, 대정화금) 56.9중량부를 배합한 후, 30분간 교반하여 방현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방현필름 최표면 요철 형상 부여 방법
제조된 방현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80㎛ 두께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한 면에 코팅 두께가 10㎛가 되도록 바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방현층 조성물이 건조되기 전에 필름 위 약 30cm거리에서 구경 1.3mm의 스프레이건(Jet 4000 B-HVLP, 사타)을 사용하여 3.0Mpa 압력하에 2초 동안 물을 분사하여 최표면에 요철 형상을 부여한 후 60 ℃ 오븐에서 120초간 건조하였다. 조도 60 W/cm2, 광량 600mJ/cm2 조건으로 고압 수은 램프로 경화를 진행하여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스프레이건의 용매(물) 분사 시간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방현층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현층 조성물 100중량부에 실리카 단분산 입자(4.5μm, 모멘티브사)를 2중량부 추가하였다.
방현필름 제조
제조된 방현층 조성물을 사용하여 80㎛두께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의 한 면에 코팅 두께가 7㎛가 되도록 바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60 ℃ 오븐에서 120초간 건조하였다. 조도 60 W/cm2, 광량 600mJ/cm2 조건으로 고압 수은 램프로 경화를 진행하여 유기입자를 사용하여 요철이 부여된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지 3]
방현층 조성물의 실리카 단분산 입자 중량부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방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
상기 방현 필름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표면 평활성
방현 필름의 도포된 표면을 전등광에 비춰서 기울기 20~30도의 방향에서 관찰하여, 표면층의 균일성(미시적)인 응집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A: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없어 균일하다.
B: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보이지만 매우 경미하다.
C: 표면층에 미시적인 응집이 현저히 보인다.
(2)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
상기 방현 필름을 분광광도계(HZ-1, 일본 스가사)를 이용하여 전광선 투과율(Total Transmittance)과 헤이즈(Haze)를 측정하였다.
(3) 방현성
PVA 편광자의 일면에 상기 방현 필름을, 타측면에는 일반 TAC 필름(두께 80㎛)을 접합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판을 글래스에 접합 후 반사되는 상을 아래와 같이 시각 관찰하였다.
○: 방현성 양호, Δ: 방현성 보통, X: 방현성 불량
(4) 투과선명도
상기 방현필름 투과선명도를 아래와 같이 시각 평가하였다.
○: 투과선명도 양호, Δ: 투과선명도 보통, X: 투과선명도 불량
(5) 연필 경도
제조된 하드코팅 필름의 하드코팅층을 연필 경도 시험기(PHT, 한국 석보과학 사제)로 500g 하중을 걸고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하고 한 연필 경도당 5회 실시하였다. 기스가 2개 이상이면 불량으로 판정하였으며, 불량이 발생하기 이전의 연필로 연필 경도를 표시하였다.
기스: 0 OK
기스: 1 OK
기스: 2 이상 NG
(6) 내스크래치성
스틸울테스트기(WT-LCM100, 한국 프로텍 사제)를 이용하여 1kg/(2cm x 2cm) 하에서 10회 왕복운동시켜 내스크래치성을 시험하였다. 스틸울은 #0000을 사용하였다.
S: 스크래치가 0개
A: 스크래치가 1~10개
B: 스크래치가 11~20개
C: 스크래치가 21~30개
D: 스크래치가 31개 이상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매분사를 이용해 미세 요철을 부여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유무기 입자를 사용한 비교예 1내지 3과 비교하여 월등하게 향상된 표면평활성과 투과선명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 기재필름 2: 언와인더(Unwinder)
3: 다이(Die) 4: 스프레이 코팅 머신(Spray coating machine)
5: 분사되는 용매 6: 리와인더(Rewinder)
7: 기재필름 8: 코팅된 방현층
9: 분사된 용매

Claims (11)

  1. 자외선 경화형 수지, 광개시제 및 제1용매를 포함하는 방현층 조성물 제조 단계, 투명 기재 상에 상기 방현층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현층 코팅 단계, 코팅된 방현층 상부에 제2용매를 분사하는 요철 형성 단계, 및 요철이 형성된 방현층을 포함하는 기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화 단계를 포함하는 방현필름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요철 형성 단계는 평균입경이 1 내지 1000㎛의 제2용매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현필름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형성된 요철은 중심선 표면거칠기(Ra)가 0.05 내지 100㎛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다관능기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아세트페논류, 벤조인에테르류, 벤조페논류 및 티옥산톤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제1용매는 알코올류 화합물 및 케톤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제2용매는 물, 알코올류 화합물 및 케톤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방현층은 표면 헤이즈가 0.1 내지 50%인 방현필름의 제조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방현필름.
  10. 제 9항의 방현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11. 제 9항의 방현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20105587A 2012-09-24 2012-09-24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94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587A KR20140039460A (ko) 2012-09-24 2012-09-24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587A KR20140039460A (ko) 2012-09-24 2012-09-24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460A true KR20140039460A (ko) 2014-04-02

Family

ID=5065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587A KR20140039460A (ko) 2012-09-24 2012-09-24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94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7082A (zh) * 2018-07-27 2018-11-27 厦门理工学院 一种扩散片扩散粒子制备装置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7082A (zh) * 2018-07-27 2018-11-27 厦门理工学院 一种扩散片扩散粒子制备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045B1 (ko) 방현성 필름,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TWI588020B (zh) Anti-glare film, anti-glare film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4969305B (zh) 透明层叠膜、透明导电性膜和气体阻隔性层叠膜
KR20100124657A (ko) 눈부심 방지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표시 장치
TWI607879B (zh) 光學積層體、使用其之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JP4753764B2 (ja) タッチパネル
JP200120517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て得られ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0963248B1 (ko) 대전방지 방현필름의 제조방법
KR100699624B1 (ko) 대전방지 고해상 방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고해상 방현 필름
JP2011186888A (ja) タッチパネル用ハードコート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KR101735690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4765136B2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用塗料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1081118A (ja) 防眩フィルム
KR20140039460A (ko)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3365A (ko) 실리카졸을 이용한 방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8820A (ko)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대전방지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KR20090026860A (ko) 방현필름
JP2007070455A (ja) 帯電防止防眩ハードコート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2014047300A (ja) 凹凸成型用硬化性材料、光学部材および光学部材の製造方法
WO2019181615A1 (ja) 防眩フィルム
TWI362502B (en) Optical laminate
TWI364364B (ko)
KR20150139682A (ko) 메탈 메시용 기재필름
KR20140076151A (ko) 방현필름 제조방법
JP5765548B2 (ja) 鋳型用フィルム及び防眩性樹脂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