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9247A -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9247A
KR20140039247A KR1020140022758A KR20140022758A KR20140039247A KR 20140039247 A KR20140039247 A KR 20140039247A KR 1020140022758 A KR1020140022758 A KR 1020140022758A KR 20140022758 A KR20140022758 A KR 20140022758A KR 20140039247 A KR20140039247 A KR 20140039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om
image
smart device
patient
dico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대욱
장대진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9247A/ko
Publication of KR2014003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 개인이 자신이나 다른 환자의 환부 영상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이를 다이콤 영상 정보로 변환하며, 변환된 다이콤 영상 정보는 진단 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의료진이 원거리에서도 쉽게 환자의 환부 영상을 보면서 진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DICOM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pparatus for Mobile supporting }
본 발명은 다이콤 영상정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환부 영상정보를 의료진이 원거리에서 쉽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년간 진단용 영상기기의 눈부신 발전으로 진단방사선과의 역할이 급신장하여, 병원을 찾는 환자의 약 50 ~ 70% 가량이 방사선학적 검사를 받고, 그 결과에 의해 적절한 치료방침이 결정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병원들은 점점 대형화, 전문화, 조직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의학적 영상(medical imaging)에 의한 진단 및 검사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시행 및 판독하고, 그 판독 소견이 얼마나 신속하게 임상의사들에게 전달되는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종류의 의료영상 촬영장비들이 선보였다. 예를 들면, 컴퓨터 단층촬영장치(CT : computerized tomography), 자기공명 영상장치(MRI :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vice), 방사선(X-RAY) 장비, 초음파(Ultra sound) 장치, 혈관조영장치(ANGIO), 콜포스코피(COLPOSCOPY), 자궁경부촬영장치(CERVICOGRAPHY)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의료영상 촬영장비의 활용도는 그만큼 높지 않다. 즉, 의료영상 촬영장비는 고가이다. 그만큼 이를 보유하고 운용하는 병원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의료영상 촬영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의료 영상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의료진이 많지 않다. 이 경우 의료영상 촬영장비를 보유한 병원에서 촬영을 하고, 다른 병원으로 의료영상데이터를 보내 판독하는 부작용이 있었다. 이 경우 불필요한 비용 및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처럼 환자에 비해 의료영상 촬영장비가 부족하며, 아울러 의료 영상정보를 판독할 의료진도 부족하기 때문에 의료 영상정보에 대한 결과를 획득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근래에는 전문적인 의료영상뿐만 아니라 피부상태를 진단하기 위해 일반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정보는 단순한 그림파일로서 이를 보관하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환자 정보와 매칭(matching)이 어려워 어떤 환자의 의료영상인지 분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즉 의료 영상정보인 다이콤 영상이 지원하는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 이에 의료영상 보관, 환자정보와의 매칭, 진단 등을 위해서는 환자의 환부 또는 피부 영상 등을 촬영한 일반 이미지 파일을 다이콤 영상 파일로 변환해야 하는 시스템이 추가로 구축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3-0082655호(2013. 07. 22. 휴대단말용 진단의료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촬영한 영상정보를 용이하게 다이콤 영상 파일로 변환함으로써 다이콤 영상이 지원하는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기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원거리에서도 의료진이 쉽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의료정보 DB를 빠르고 폭넓게 구축하고,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다이콤 영상파일을 입력하여 종합적인 개인의료정보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환자의 환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 기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촬영한 환부 영상 및 환자의 개인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환부 영상은 다이콤 영상파일로 변환하는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 및 상기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로부터 다이콤 영상파일을 전송받고, 의료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다이콤 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를 스캔하는 스캐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는 환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기기는, 환자의 환부 촬영 이후, 스마트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된 환부 영상과 개인 정보를 상기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로 자동 전송한다.
상기 센서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된다.
상기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다이콤 서버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로 구성되는 통신모듈; 상기 스마트 기기 및 다이콤 서버가 전송하는 이미지를 환자의 개인 정보별로 분류,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모듈; 및 상기 스마트 기기가 전송한 환부 영상을 다이콤 영상파일로 변환하거나 상기 다이콤 서버가 전송하는 다이콤 영상파일을 스마트 기기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코덱부와, 진단용 스마트 기기 또는 다이콤 서버의 검색 요청에 따라 다이콤 영상파일을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부로 이루어지는 프로토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상기 다이콤 영상파일의 용량(size)을 축소하는 파일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단용 스마트 기기는, 상기 다이콤 영상파일을 화면 표시하는 다이콤 영상 뷰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단용 스마트 기기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복수 개의 다이콤 영상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다이콤 영상파일을 일시 보관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LRU(Least Recently Used) 캐시 메모리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개인 환자 등이 환부 영상을 촬영하면 그 촬영된 영상은 다이콤 이미지로 변환되고, 변환된 다이콤 이미지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함께 다이콤 의료정보 DB를 구축하게 됨으로써, 폭넓게 의료정보를 수집할 수 있음은 물론 의료진이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를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은 환자 개인이 자신이나 다른 환자의 환부 영상을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이를 다이콤 영상 정보로 변환하며, 변환된 다이콤 영상 정보는 모바일 환경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의료진이 원거리에서도 쉽게 환부 영상을 진단할 수 있어 의료서비스를 폭넓게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환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102)가 장착된 스마트 기기(100)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스마트 기기(10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스마트 기기(100)는 환자의 개인정보가 함께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환자별로 환자의 영상정보를 매칭하기 위함이다. 이때 환자의 개인정보는 환자가 손쉽게 입력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환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104)가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 기기(100)에는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후술하는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이하, '게이트웨이'라 함)(110)에 용이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모션을 감지하는 센서(106)가 구성된다. 센서(106)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스마트 기기(100)를 흔들면 상기 영상정보는 자동으로 게이트웨이(110)로 전송된다.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환자의 환부 영상 및 환자정보를 전송받으며, 또한 환부 영상을 다이콤 영상파일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110)가 구성된다. 이때 다이콤 영상파일은 환부 영상, 환자정보 이외에도 다이콤 포맷구조인 study-series-instance 계층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게이트웨이(110)의 구성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게이트웨이(110)는 스마트 기기(1000 및 다이콤 서버(130)와 통신하는 통신모듈(112)을 포함한다. 이때 통신모듈(112)은 스마트 기기(100)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112a), 다이콤 서버(130) 및 다른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 등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112b)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통신부(112a) 및 제2 통신부(112b)는 유무선 통신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서로 같거나 다른 통신방식으로 상대방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게이트웨이(110)에는 이미지 저장모듈(114)이 구성된다. 이미지 저장모듈(114)은 스마트 기기(100) 및 다이콤 서버(130)가 전송하는 이미지를 환자의 개인 정보별로 분류, 저장하여 의료정보 DB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게이트웨이(110)에는 프로토콜 모듈(116)이 구성된다. 프로토콜 모듈(116)은, 스마트 기기(100)가 전송한 환부 영상을 다이콤 영상파일로 변환하거나 다이콤 서버(130)가 전송하는 다이콤 영상파일을 스마트 기기(100)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코덱부(116a)와,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 또는 다이콤 서버(130)의 검색 요청에 따라 이미지 저장모듈(114)에 저장되어 있는 다이콤 영상파일을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부(116b)를 포함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110)는 다이콤 영상파일의 용량(size)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는 비교적 용량이 큰 비트맵 이미지를 적재할 수 없는 스마트 기기(100)의 메모리 한계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용량이 큰 다이콤 영상파일의 크기를 줄이도록 파일 변환을 수행하는 파일 변환부(118)도 구성된다.
한편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는 상술한 스마트 기기(100)와 동일한 구성이며, 단지 다이콤 영상파일을 표시할 수 있는 다이콤 영상 뷰어 모듈(122)이 더 구성된다. 물론 스마트 기기(100)에도 다이콤 영상 뷰어 모듈이 설치되어 진단용 스마트 기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는 게이트웨이(110)가 복수 개의 다이콤 영상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다이콤 영상파일을 일시 보관하는 메모리(124)가 구비된다. 메모리(124)는 LRU(Least Recently Used) 캐시 메모리이다. 따라서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의 메모리 한계를 해결할 수 있다.
다음, 게이트웨이(110)로부터 다이콤 영상파일을 전달받으며, 의료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다이콤 서버(130)가 구성된다.
다이콤 서버(130)의 예로 의료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PACS :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를 말할 수 있다. PACS는 병원 전체에 컴퓨터 통신망을 설치하고, 모든 X-Ray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다음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필요시에 각 진료실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원하는 환자의 X-Ray 영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PACS는 필름 유지/보관 비용 절감, 인건비 절감, 미판독 이미지들의 감소, 특수검사 판독 지연 감소, 관리업무 축소, 반복검사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료진 입장에서는 다이콤 영상파일의 동시 활용, 임상정보의 증대, 즉각적인 이미지 확보, 무익한 외래 및 수술 환자의 진료 감소, 판독 의사와 임상 의사 간의 원활한 의사교환, 진료 환자 수의 증가, 입원과 외래 환자의 이미지 및 판독 결과 활용성 증대 효과를 볼 수 있고, 환자 입장에서는 방사선 조사량 감소, 불필요한 외래와 수술에 따른 진료비 감소, 재검사 횟수 감소, 결과 및 임상 정보를 바로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상기 PACS와 같은 다이콤 서버를 통한 다이콤 정보의 변환을 통해 종합적으로 환자의 의료정보 DB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의료진 등은 편리하고 정밀하게 의료진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의 동작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는 첨부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를 보인 흐름도이다.
사용자(즉, 환자)는 자신의 스마트 기기(100)에 장착된 카메라(102)를 이용하여 진단을 받고자 하는 환부 영상을 촬영한다(s100). 촬영방식은 카메라(102)를 환부에 근접한 상태에서 소정 시간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 자동으로 환부가 촬영되거나 직접 버튼 조작을 통해 환부를 촬영한다.
환부 촬영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정보를 입력해야 한다(s102). 이를 위해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100)에 장착된 스캐너(104)를 자신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에 대고 스캔한다. 그러면 스캔된 개인정보는 스마트 기기(100)에 일시 저장된다.
스마트 기기(100)는 환부 영상정보와 개인정보를 게이트웨이(110)로 전송하게 된다(s104). 전송방식은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100)를 흔드는 동작만으로 가능하다. 즉, 즉 스마트 기기(100)에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기울기 센서 등과 같은 센서(106)가 구비되고 있기 때문에 촬영 후 스마트 기기를 흔드는 모션(motion) 만으로 전송 버튼 클릭 기능이 대신 수행되어 촬영된 정보 및 개인 정보가 함께 자동으로 전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촬영, 전송과 관련된 버튼 조작 등을 직접 수행하지 않고서도 환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게이트웨이(110)로 자동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다음, 게이트웨이(110)는 제1 통신부(112a)를 통해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환부의 영상정보와 개인정보를 전송받는다.
그러면 프로토콜 모듈(116)의 이미지 코덱부(116a)는 환부 영상정보, 환자정보, study-series-instance 정보 등이 포함된 다이콤 영상파일을 생성한다(s106). 즉 게이트웨이(110)는 상기 study-series-instance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촬영된 상기 환부 영상정보를 수신받으면 이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다이콤 영상파일을 생성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게이트웨이(110)의 파일 변환부(118)는 다이콤 영상파일의 용량이 큰 경우 이를 축소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다이콤 영상파일의 용량이 큰 경우, 예컨대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는 메모리의 저장 용량 한계로 인하여 용이하게 저장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미지 저장모듈(114)은, 다이콤 영상파일을 환자 개인별로 분류, 저장하여 의료정보 DB를 구축한다(s108). 물론 다이콤 서버(130) 역시 다이콤 영상파일을 전송받고 의료정보 DB를 함께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의료진은 환자가 촬영한 환부 영상을 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의료진은 자신이 휴대한 진단용 스마트기기(120) 또는 병원에 구비된 진단용 PC(미도시)를 이용하게 된다. 진단을 위해 의료진은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 또는 진단용 PC를 이용하여 진단할 환자 정보를 요청한다(s110).
그러면 게이트웨이(110)의 이미지 검색부(116b)는 요청받은 환자 정보를 이미지 저장모듈(114)에서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른 환자 정보, 환부의 영상정보(즉, 다이콤 영상파일)를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 또는 진단용 PC로 전송한다(s112).
이에 의료진은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나 진단용 PC를 통해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s114). 이때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다이콤 영상파일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의료진은 다이콤 영상파일을 이용한 진단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110)에서 다이콤 영상파일이 복수 개가 전달될 경우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는 이를 메모리(124)에 순차적으로 일시 저장하고, 처음 전달된 다이콤 영상파일부터 화면 표시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진단용 스마트 기기(120)의 메모리 한계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모바일 기기에서 촬영한 이미지가 원격지의 진단용 기기에서는 다이콤 영상으로 변환된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함을 기술적 요지로 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즉 본 실시 예는 스마트폰으로 한정하여 실시 예 설명을 하고 있으나,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 의외에 다른 모바일 기기에 대해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스마트 기기 102 : 카메라
104 : 스캐너 106 : 센서
110 :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 112 : 통신모듈
114 : 이미지 저장모듈 116 : 프로토콜 모듈
116a: 이미지 코덱부 116b: 이미지 검색부
118 : 파일 변환부 120 : 진단용 스마트 기기
122 : 다이콤 영상뷰어 모듈 124 : 메모리
130 : 다이콤 서버

Claims (9)

  1. 환자의 환부를 촬영하도록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 기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촬영한 환부 영상 및 환자의 개인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환부 영상은 다이콤 영상파일로 변환하는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 및
    상기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로부터 다이콤 영상파일을 전송받고, 의료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다이콤 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를 스캔하는 스캐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는 환자의 개인정보가 저장된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환자의 환부 촬영 이후, 스마트 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촬영된 환부 영상과 개인 정보를 상기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로 자동 전송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다이콤 서버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로 구성되는 통신모듈;
    상기 스마트 기기 및 다이콤 서버가 전송하는 이미지를 환자의 개인 정보별로 분류,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모듈; 및
    상기 스마트 기기가 전송한 환부 영상을 다이콤 영상파일로 변환하거나 상기 다이콤 서버가 전송하는 다이콤 영상파일을 스마트 기기에서 볼 수 있는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코덱부와, 진단용 스마트 기기 또는 다이콤 서버의 검색 요청에 따라 다이콤 영상파일을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부로 이루어지는 프로토콜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콤 모바일 게이트웨이는,
    상기 다이콤 영상파일의 용량(size)을 축소하는 파일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스마트 기기는,
    상기 다이콤 영상파일을 화면 표시하는 다이콤 영상 뷰어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스마트 기기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복수 개의 다이콤 영상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다이콤 영상파일을 일시 보관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LRU(Least Recently Used) 캐시 메모리인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KR1020140022758A 2014-02-26 2014-02-26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KR20140039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758A KR20140039247A (ko) 2014-02-26 2014-02-26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758A KR20140039247A (ko) 2014-02-26 2014-02-26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247A true KR20140039247A (ko) 2014-04-01

Family

ID=5064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758A KR20140039247A (ko) 2014-02-26 2014-02-26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9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7397B2 (ja) Dicomヘッダ値の定義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2008578A1 (en) Medical image display device and program
KR20130053587A (ko)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의료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9921795B2 (en) Mobi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image displaying using multiple mobile devices
Kim et al. Instant wireless transmission of radiological images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hone for emergency teleconsultation
JP2007087285A (ja) 読影レポート作成装置及び依頼者端末
JP6532742B2 (ja) 診療記録転送装置、診療記録転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97135B1 (ko) 녹화와 동시에 태깅하는 의료용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JP2008220482A (ja) 診断支援システム
US20190371454A1 (en) Medical image information storage system
JP2017182244A (ja) 医療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9247540A (ja) 画像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2008188096A (ja) 医用画像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
JP2017207793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40039247A (ko) 모바일 지원 다이콤 영상정보 처리 시스템장치
JP2010131034A (ja) 医用画像システム
JP5200631B2 (ja) 医用画像システム、検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151584A (ja) 医療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JP4380195B2 (ja) 医用画像撮影システム
KR20130097135A (ko)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의료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JP2007117362A (ja) 小規模診断システム
KR20200120578A (ko)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
TW200421151A (en) Medical graphics report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KR20130082566A (ko) 모바일 다이콤 영상입력 시스템
JP6283874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医療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の閲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