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773A -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773A
KR20140038773A KR1020120105297A KR20120105297A KR20140038773A KR 20140038773 A KR20140038773 A KR 20140038773A KR 1020120105297 A KR1020120105297 A KR 1020120105297A KR 20120105297 A KR20120105297 A KR 20120105297A KR 20140038773 A KR20140038773 A KR 20140038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rimary side
power supply
driv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정철
김종록
조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8773A/ko
Priority to US13/837,428 priority patent/US20140085942A1/en
Publication of KR2014003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0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3/3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41Control circuits in which a clock signal is selectively enabled or disab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보호 기능을 내부에 포함한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라운드의 전기적 특성이 서로 상이하며 절연된 일차측과 이차측을 가지며, 상기 일차측에서 스위칭된 전원을 상기 이차측에 유기하여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차측에 채용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SHUNT REGULATOR HAVING PROTECTION FUNCTION AND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상 상태 발생시 전원 공급 동작을 중단시키는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 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는 대개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인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자 장치에 공급해주는데, 상용 교류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직접 변환하는 전원 변환 회로는 주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SMPS 방식의 전원 변환 회로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일차측과 상기 일차측과 절연된 이차측에 유기된 전원을 안정화시켜서 출력시키는데, 일차측 전원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해, 이차측에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류 분로(shunt)를 구비하는 레귤레이터이다.
즉, 상술한 션트 레귤레이터는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해당하는 신호를 일차측에 피드백하여 일차측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과전압, 과전류 등 다양한 이상상태가 발생할 경우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SMPS 방식의 전원 변환 회로는 과전압 보호 회로를 채용할 수 있으나, 이는 이상 상태로부터 전원 변환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회로가 필요하며 이는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5376호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상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보호 기능을 내부에 포함한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그라운드의 전기적 특성이 서로 상이하며 절연된 일차측과 이차측을 가지며, 상기 일차측에서 스위칭된 전원을 상기 이차측에 유기하여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차측에 채용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션트 레귤레이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사전에 설정된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 중단을 요청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그라운드의 전기적 특성이 서로 상이하며 절연된 일차측과 이차측을 가지며, 상기 일차측에서 스위칭된 전원을 상기 이차측에 유기하여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 중단을 제어하는 션트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사전에 설정된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 중단을 요청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상기 보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일차측의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이차측에 유기시키는 스위칭부; 상기 일차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전원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이차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이차측의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상기 일차측에 전달하는 전달부; 및 상기 일차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전원 스위칭에 따라 발생된 전원을 상기 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구동 전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일차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을 입력받는 일차 권선, 상기 이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일차 권선과 전자기 결합되어 형성된 권선비에 따라 전원을 유기받는 이차 권선 및 상기 일차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차 권선과 전자기 결합되어 형성된 권선비에 따라 전원을 유기받아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에 전달하는 보조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달부는 상기 일차측 및 이차측에 각각 형성된 일측 및 타측을 가지며, 상기 타측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일측에 전달하고, 상기 일측은 타측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에 전달하는 포토 커플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는 상기 포토 커플러의 타측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오프하여 상기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구동 전원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보호 기능을 내부에 포함하여 별도의 보호 회로를 채용하지 않아 제조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주요 부분의 전압 또는 전류 파형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는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및 션트 레귤레이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0)는 스위칭부(111), 제어부(112), 출력부(113), 전달부(114) 및 구동 전원 공급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111)는 스위칭 회로(111a) 및 트랜스포머(T)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111a)는 입력 전원을 스위칭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원 스위치(Q)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전원은 교류 전원(AC)이 정류된 전원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위칭부(111)의 앞단에는 교류 전원을 반파 또는 전파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Bridge Diodes)(BD)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Q)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하여 트랜스포머(T)에 스위칭된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전원 스위치(Q)의 스위칭 온/오프에 의해 발생되는 잉여 전원은 저항, 캐패시터 및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된 스너버(snubber) 회로에 의해 소비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T)는 일차 권선(P), 이차 권선(S) 및 보조 권선(A)를 포함할 수 있다.
일차 권선(P)은 전원 스위치(Q)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차 권선(S)은 일차 권선(P)와 전자기 결합되어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가질수 있으며 일차 권선(P)에 입력된 스위칭된 전원을 상기 권선비에 따라 유기받을 수 있다.
보조 권선(A)은 일차 권선(P)와 전자기 결합되어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가질수 있으며 일차 권선(P)에 입력된 스위칭된 전원을 상기 권선비에 따라 유기받을 수 있다.
이차 권선(S)에 유기된 전원은 출력부(113)에 전달될 수 있고, 보조 권선(A)에 유기된 전원은 구동 전원 공급부(115)에 전달될 수 있다.
출력부(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 저항 및 캐패시터 등을 포함하여 이차 권선(S)으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전달부(114)는 션트 레귤레이터(120)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구동 전원 공급부(115)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달부(114)는 일측과 타측간이 절연된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일 수 있다.
상기 포토 커플러의 타측은 션트 레귤레이터(12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포터 커플러의 일측은 상기 타측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구동 전원 공급부(115)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포토 커플러의 일측과 타측간에는 절연을 위해 광신호가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포토 커플러의 타측에 흐르는 전류는 광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포토 커플러의 일측에 전달될 수 있고 상기 포토 커플러의 일측은 이를 다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전원 공급부(115)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션트 레귤레이터(120)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는 전달부(114)를 통해, 션트 레귤레이터(120)와 절연된 구동 전원 공급부(115)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 전원 공급부(115)는 보조 권선(A)로부터의 유기된 전원을 제어부(112)에 전달하여 제어부(112)는 구동 전원 공급부(115)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스위칭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전원 공급부(115)는 저항, 캐패시터 등의 회로와 구동 전원 스위치(M)을 포함할 수 있다.
저항, 캐패시터 등의 회로는 보조 권선(A)으로부터 유기된 전원을 안정화시키거나, 제어부(112)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구동 전원 스위치(M)는 전달부(114)의 일측으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전달받아 스위칭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구동 전원 스위치(M)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게이트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턴 온되고, 게이트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턴 오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달부(114)의 일측으로부터 피드백 신호가 로우 레벨 신호이면 턴 온되어 제어부(112)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2)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스위칭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동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전원 스위치(Q)의 스위칭 동작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션트 레귤레이터(120)는 보호부(121), 제1 및 제2 스위치(NM,PM)와 비교기(OP)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OP)는 출력 전압(VOUT)을 설정된 저항비에 따라 분압받아 이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제1 스위치(NM)에 공급하며, 제1 스위치(NM)는 NMOS 트랜지스터로 형성되어, 게이트에 비교 결과를 입력받아 제어부(112)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공급 지속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피드백 신호를 전달부(114)의 타측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이 과전압에 해당되는 경우 제어부(112)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차단을 요청하는 피드백 신호를 전달부(114)의 타측에 전달할 수 있다.
더하여, 보호부(121)는 검출된 온도(TEMP)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검출된 온도(TEMP)의 레벨이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에 해당하는 온도 레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보호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가 검출되는 장소는 임의로 설정 가능할 수 있으며, 주로 스위칭 소자나 트랜스포머 등의 전원 공급에 필요한 주요 소자에서 온도가 검출될 수 있다.
제2 스위치(PM)는 PMOS 트랜지스터로 형성되어, 게이트에 보호부(121)로부터의 보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보호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라 턴 온/턴 오프 동작을 수행하여 동작 전원(VCC)의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PM)의 게이트에 로우 레벨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스위치(PM)가 턴 온되어 동작 전원(VCC)이 제1 스위치(NM)의 게이트에 인가되고, 제2 스위치(PM)의 게이트에 하이 레벨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스위치(PM)가 턴 오프되어 동작 전원(VCC)이 제1 스위치(NM)의 게이트에 인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보호부(121)는 검출된 온도(TEMP)의 레벨이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에 해당하는 온도 레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스위치(PM)를 턴 온시켜, 제1 스위치(NM)에 동작 전원(VCC)이 인가되게 하고, 제1 스위치(NM)은 턴 온되어 제어부(112)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차단을 요청하는 피드백 신호를 전달부(114)의 타측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112)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차단을 요청하는 피드백 신호를 전달부(114)의 타측에 전달하는 기술 내용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스위치(NM)이 턴 온되면, 전달부(114)의 타측과 접지간에 경로가 형성되어, 타측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이 로우 레벨로 떨어지고, 절연된 전달부(114)의 일측에 해당하는 신호가 전달되어, 구동 전원 스위치(M)에는 로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며, 구동 전원 스위치(M)은 턴 온되어 보조 전원(A)에 유기된 전원이 제어부(112)에 전달되는 경로를 접지에 접속하여 구동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112)는 전원 스위치(Q)이 전원 스위칭 동작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그라운드의 전기적 성질이 서로 상이하고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일차측과 이차측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111)의 스위칭 회로(111a) 및 트랜스포머(T)의 일차 권선(P) 및 보조 권선(A)와, 제어부(112), 전달부(114)의 타측 및 구동 전원 공급부(115)는 일차측에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트랜스포머(T)의 이차 권선(S), 출력부(113), 전달부(114)의 일측 및 션트 레귤레이터(120)은 이차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주요 부분의 전압 또는 전류 파형 그래프이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이상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 보호부(121)는 하이 레벨의 검출 전압을 출력하고, 이에 따라 제2 스위치(PM) 및 제1 스위치(NM)이 순차적으로 턴 온되어 션트 레귤레이터(120)의 출력 전압은 로우 레벨로 떨어지게 된다.
포토 커플러로 구성된 전달부(114)에 흐르는 전류는 하이 레벨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일차측에 인가되는 피드백 전압은 하이 레벨로 상승하여 구동 전원 스위치(M)를 턴 온시킨다.
이후, 제어부(112)에 인가되는 구동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제어부(112)에서 전원 스위치(Q)에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가 로우 레벨을 유지하게 되며, 출력 전압(VOUT)의 전압 레벨은 하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과전압, 고온 등의 이상 상태일 경우 일차측의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여 스위칭 동작을 중단시키는 보호 기능을 션트 레귤레이터 회로 내부에서 수행하여, 별도의 보호 회로가 필요없어 제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안전한 전원 공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 전원 공급 장치
110: 전원 공급부
111: 스위칭부
111a: 스위칭 회로
112: 제어부
113: 출력부
114: 전달부
115: 구동 전원 공급부
120: 션트 레귤레이터
121: 보호부
T: 트랜스포머
P: 일차 권선
S: 이차 권선
A: 보조 권선
Q: 전원 스위치
M: 구동 전원 스위치
NM: 제1 스위치
PM: 제2 스위치
OP: 비교기
Vref: 기준 전압
VCC: 동작 전원
BD: 브리지 다이오드
VOUT: 출력 전압
AC: 교류 전원
TEMP: 검출된 온도

Claims (11)

  1. 그라운드의 전기적 특성이 서로 상이하며 절연된 일차측과 이차측을 가지며, 상기 일차측에서 스위칭된 전원을 상기 이차측에 유기하여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차측에 채용되어,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스위치
    를 포함하는 션트 레귤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 중단을 요청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션트 레귤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션트 레귤레이터.
  4. 그라운드의 전기적 특성이 서로 상이하며 절연된 일차측과 이차측을 가지며, 상기 일차측에서 스위칭된 전원을 상기 이차측에 유기하여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 중단을 제어하는 션트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출력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스위치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사전에 설정된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 중단을 요청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는
    상기 보호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차측의 전원 스위칭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일차측의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이차측에 유기시키는 스위칭부;
    상기 일차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의 전원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이차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시켜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이차측의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상기 일차측에 전달하는 전달부; 및
    상기 일차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전원 스위칭에 따라 발생된 전원을 상기 전달부로부터 전달받은 피드백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구동 전원 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일차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을 입력받는 일차 권선, 상기 이차측에 형성되고 상기 일차 권선과 전자기 결합되어 형성된 권선비에 따라 전원을 유기받는 이차 권선 및 상기 일차측에 형성되어 상기 일차 권선과 전자기 결합되어 형성된 권선비에 따라 전원을 유기받아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에 전달하는 보조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일차측 및 이차측에 각각 형성된 일측 및 타측을 가지며, 상기 타측은 상기 션트 레귤레이터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일측에 전달하고, 상기 일측은 타측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에 전달하는 포토 커플러인 전원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원 공급부는
    상기 포토 커플러의 타측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에 따라 스위칭 오프하여 상기 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구동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20105297A 2012-09-21 2012-09-21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KR20140038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297A KR20140038773A (ko) 2012-09-21 2012-09-21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US13/837,428 US20140085942A1 (en) 2012-09-21 2013-03-15 Shunt regulator having protection function and power suppl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297A KR20140038773A (ko) 2012-09-21 2012-09-21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773A true KR20140038773A (ko) 2014-03-31

Family

ID=5033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297A KR20140038773A (ko) 2012-09-21 2012-09-21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85942A1 (ko)
KR (1) KR20140038773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8649A2 (en) * 2005-09-26 2007-04-05 Hitek Power Corporation Power supply with current limiting circuits
JP5316903B2 (ja) * 2010-11-30 2013-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TWI441427B (zh) * 2010-12-15 2014-06-11 Richtek Technology Corp 並聯調節器、返馳轉換器及其輸出回授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5942A1 (en)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5754B (zh) 返馳轉換系統及其回授控制裝置與方法
US8885364B2 (en) Flyback converter with primary side and secondary side feedback control and method for the same
US7339359B2 (en) Terminal for multiple functions in a power supply
JP5998905B2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US202200063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uctive power at multiple power levels
TWI481140B (zh)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with protection function
CN101442260B (zh) 次级恒流恒压控制器芯片及其变换器
US20080225559A1 (en) Switching-mode power supply
WO2015005312A1 (ja) 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電源回路
JP200635297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8836312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TWI535165B (zh) 具過電壓保護之電源供應裝置
KR101184252B1 (ko) 대기전력 절감 smps
US20140313782A1 (en) Power adaptor
KR101220775B1 (ko)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
KR20140038773A (ko) 보호 기능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JP2016135044A (ja) 非接触送電装置
US20180159429A1 (en) Auxiliary Supply for a Switched-Mode Power Supply
US9136770B2 (en) Adapter power supply having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KR101288497B1 (ko) Pwm ic 구동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와 기동 ic
KR102164026B1 (ko) 정전 감지 회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JP201001696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EP2564498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pto-coupled sensing
JP2010172055A (ja) ガス検知器
KR20150002317A (ko)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