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715A - 취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취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715A
KR20140038715A KR1020120105154A KR20120105154A KR20140038715A KR 20140038715 A KR20140038715 A KR 20140038715A KR 1020120105154 A KR1020120105154 A KR 1020120105154A KR 20120105154 A KR20120105154 A KR 20120105154A KR 20140038715 A KR20140038715 A KR 2014003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take
water
opening
pipe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원
Original Assignee
홍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원 filed Critical 홍기원
Priority to KR102012010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8715A/ko
Publication of KR2014003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지, 댐 등의 취수원에서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취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취수원에 설치되는 취수관로와; 상기 취수관로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취수구가 상기 취수관로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과; 상기 취수원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취수시스템 {Water intake system}
본 발명은 취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지, 댐 등의 취수원에서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취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취수시스템이란 저수지, 댐 등의 취수원(取水原)으로부터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때 취수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취수관로로의 취수가 필요한 경우 취수원에 설치된 수문을 개방함으로써 취수관로로 취수를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취수시스템은 수문의 개방 및 폐쇄에 의하여 취수를 수행하게 되므로 취수관로 상에 수문 및 수문을 개폐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문 및 수문 조작을 위한 장치의 설치를 요하는 종래의 취수시스템은 그 설치 및 유지관리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위 변동에 따라서 취수가 제어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취수를 수행할 수 있는 취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취수원에 설치되는 취수관로와; 상기 취수관로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취수구가 상기 취수관로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과; 상기 취수원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의 상기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원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상하이동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의 상기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원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상하이동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 내에는 상기 부력체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스토퍼 및 상기 개폐부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스토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 내에는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3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취수원에 설치되는 취수관로와; 하나 이상의 취수구가 상기 취수관로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과; 상기 취수원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상기 취수관로로 전달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부력체 사이에 연통공간이 형성하도록 상기 부력체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에는 상기 부력체의 하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부력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상기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며 나머지 위치에서는 상기 취수구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취수관로는 그 개폐를 위한 개폐장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미리 설치된 취수구가 형성된 유입구 및 부력체 및 개폐부의 조합에 의하여 부력에 의하여 취수구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취수원으로부터 물을 취수하고자 하는 경우 복잡한 수문에 의하지 않고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미리 설치된 취수구가 형성된 유입구 및 부력체 및 개폐부의 조합에 의하여 부력에 의하여 취수구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취수구의 위치를 취수원의 표층, 취수원의 표층으로부터 일정한 수심에서 물을 취수하는 등 취수구의 위치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취수원의 수위가 일정 수위, 즉 기준 수위 이상인 경우 취수구가 형성된 유입구 및 부력체 및 개폐부의 조합에 의하여 부력에 의하여 취수구를 자동으로 개방함으로써 배수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 취수원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으로서, 각각 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2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으로서, 각각 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으로서, 각각 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으로서, 각각 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취수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에 설치되는 취수관로(20)와; 취수관로(20)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취수구(110)가 취수관로(20)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100)과;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200)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어 부력체(200)의 승강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폐하는 개폐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취수원(10)은 물을 취수할 수 있는 시설물이면 저수지, 댐 등 어떠한 시설물도 가능하다.
상기 취수관로(20)는 후술하는 유입관(100)과 연결되어 유입관(100)의 취구수(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유도하기 위한 관으로서,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관이면 어떠한 관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취수관로(20)는 펌프와 같은 강제유동장치에 의하지 않고 수압에 의하여 흐름을 유도하는바 취수원(10)의 평상 수위보다 낮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취수원(10)의 바닥면 쪽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취수관로(20)는 사용자가 취수여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그 개폐를 위한 밸브 등과 같은 개폐장치(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200)는 취수원(10)의 수위에 따라서 부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개폐부(300)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200)의 재질은 스티로폴과 같이 물에 비하여 비중이 작은 재질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개폐부(300)와는 와이어 결합, 프레임 결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의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는 유입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유입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는 유입관(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등 유입관(100)과의 결합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는 유입관(100) 내에서의 이동의 제한이 필요한바 유입관(100) 내에는 부력체(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스토퍼(미도시) 및 개폐부(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스토퍼(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300)는 부력체(200)와 결합되어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부력체(200)가 상하로 이동될 때 함께 이동됨으로써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하 이동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개폐부(300)는 부력체(200)와 연결되며 유입관(100)의 취수구(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도 1a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310)가 형성된 상하이동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300)는 부력체(200)와의 결합상태 및 부력의 조절을 위하여 물보다 비중이 높거나 낮은 부재가 사용되는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관(100)의 취수구(110) 및 개폐부(300)의 유입구(310)는 취수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유입관(100)의 취수구(110) 및 개폐부(300)의 유입구(31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이 소정범위의 수위, 즉 취수가능수위에 있을 때에만 유입관(100)의 취수구(110) 및 개폐부(300)의 유입구(310)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에만 취수구(110)와 취수원(10)이 연통됨으로써 취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300)는 부력체(200)와 연결되며 부력체(200)의 이동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취수구(110)를 차단하며 나머지 위치에서는 취수구(110)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관(100)의 취수구(110) 및 개폐부(300)의 유입구(310)는 취수가능수위를 벗어난 경우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 됨으로써 취수구(110)와 취수원(10)이 연통되지 않아 취수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상기 취수구(110)는 취수원(10)의 표면에서 잠긴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취수원(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위치 아래의 물을 취수가 가능하여, 취수원(10)의 수위에 대한 취수구(110)의 상대위치를 변경시켜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취수원(10)의 표층에서 부유물이 많은바, 상기 취수구(110)는 취수원(10)의 표면에서 잠긴 위치에 위치시켜 취수원(10)의 표층으로부터 소정 위치 아래의 물을 취수함으로써 부유물이 상대적으로 적은 물을 취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은 경우 취수가 가능하게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방하고, 취수원(10)의 수위가 기준수위 아래로 내려갔을 때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차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취수원(10)의 소정 수위 이상에서만 취수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관하여는 편의상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에 설치되는 취수관로(20)와; 하나 이상의 취수구(110)가 취수관로(20)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100)과;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200)와; 부력체(200)와 연결되어 부력체(200)의 승강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폐하는 개폐부(300)와;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취수관로(20)로 전달하는 연결관(400)을 포함하며,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는 유입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유입관(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유입관(100)은 제1실시예와는 다르게 취수관로(20)와는 연통되지 않는 대신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취수관로(20)로 전달하는 연결관(400)을 통하여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는 연결관(400)이 연결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로 형성된다.
그리고 부력체(200)의 원활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단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20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부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구성으로서, 개폐부(300)의 구성과 함께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부력체(200)는 유입관(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300)는 유입관(1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부력체(200) 사이에 연통공간(S)이 형성하도록 부력체(200)와 결합된다.
상기 부력체(200) 사이에 연통공간(S)이 형성하기 위하여 일예로서, 개폐부(300)는 하나 이상의 연결로드(34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300)는 부력체(200)와의 결합상태 및 부력의 조절을 위하여 물보다 비중이 높거나 낮은 부재가 사용되는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는 유입관(100) 내에서의 이동의 제한이 필요한바 유입관(100) 내에는 부력체(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스토퍼(미도시) 및 개폐부(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스토퍼(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100) 내에는 부력체(200) 및 개폐부(3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3스토퍼(3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취수원(10)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높은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300)는 유입관(100) 내에서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부력체(300)의 상승에 의하여 개폐부(300)가 연결관(400)을 개방하여 취수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300)는 제3스토퍼(350)에 의하여 상측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취수원(10)의 수위가 기준수위보다 낮은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체(300)는 유입관(100)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부력체(300)의 상승에 의하여 개폐부(300)가 연결관(400)을 차단하여 취수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300)는 제3스토퍼(350)에 의하여 하측 이동이 제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관하여는 편의상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에 설치되는 취수관로(20)와; 취수관로(20)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취수구(110)가 취수관로(20)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100)과;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200)와; 부력체(200)와 연결되어 부력체(200)의 승강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개폐하는 개폐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100)은 제1실시예와는 다르게 취수구(110)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300)는 상측에 취수구(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부(310)가 형성되어 부력체(20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개부(310)는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절개부(310)가 상단에 형성되는 대신에 개구부로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개구부 및 취수구(110)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300)의 상하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하이동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하이동제한부는 개폐부(30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340)와, 유입관(100)의 외주면에는 걸림부(340)와 일정구간 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하이동제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걸림부(340)는 외주반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턱으로 구성되며, 상하이동제한부재(320)는 유입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돌출턱이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하이동공간이 형성된 가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제한부의 구성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취수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취수시스템에서 취수원(10)의 수위에 따라서 부력체(2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부력체(200)는 상하이동제한부에 의하여 상하이동이 제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개폐부(300)의 절개부(310) 또는 개구부 및 유입관(100)의 취수구(110)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먼저 개폐부(300)의 절개부(310)가 형성된 경우 절개부(310)의 상단을 통하여 취수구(110)로 물이 유입되므로 취수원(10)의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는 지속적으로 취수시스템이 취수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취수원(10)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부력체(200) 또한 하강하여 어느 정도의 수위까지는 절개부(310)의 상단을 통하여 취수구(110)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취수원(10)의 수위가 더 낮아지게 되면 부력체(200)에도 불구하고 상하이동제한부에 의하여 개폐부(300)의 하측 이동이 불가능하며 취수원(10)의 수위가 개폐부(300)의 절개부(310)보다 낮아지는 경우 절개부(310)의 상단을 통하여 취수구(110)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취수시스템은 취수원(10)가 일정 수위 이상인 경우에만 취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300)가 절개부(310) 대신에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를 가지며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입관(100)을 가지는 경우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에 관하여는 편의상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에 설치되는 취수관로(20)와; 하나 이상의 취수구(110)가 형성되며 취수관로(2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100)과; 유입관(100)과 결합되어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유입관(100)을 회전시키는 부력체(200)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100)은 취수관로(20)와 회전가능함과 아울러 취수구(11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취수관로(20)를 통하여 유입이 가능하도록 취수관로(20)와 결합되면 무방하며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유입관(100)은 휨이 가능한 자바라관으로 연결되거나, 물의 유입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도록 실링처리된 힌지축(500)에 의하여 취수관로(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축(500)은 그 설치의 용이함을 위하여 취수관로(20)에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된 수직관(400)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200)는 취수원(10)에 잠긴 상태로 설치되거나,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원(10)의 표층에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력체(200)는 유입관(100)과는 로프(210) 등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4실시예에 따른 취수시스템은 취수원(10)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부력체(200)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유입관(100)이 회전됨으로써 유입관(100)의 취수구(110)를 취수원(10)의 표층으로부터 일정 깊이의 물을 취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취수원
100 : 유입관 200 : 부력체
300 : 개폐부

Claims (18)

  1. 취수원에 설치되는 취수관로와;
    상기 취수관로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취수구가 상기 취수관로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과;
    상기 취수원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의 상기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원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상하이동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의 상기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취수원과 연통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상하이동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 내에는 상기 부력체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1스토퍼 및 상기 개폐부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2스토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에 대응되어 상단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절개부는 상기 취수구를 따라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는 상기 취수구를 따라서 이동되어 취수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및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상하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상하이동제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제한부는 상기 개폐부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유입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부와 일정구간 내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하이동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11. 취수원에 설치되는 취수관로와; 하나 이상의 취수구가 상기 취수관로로부터 취수높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과; 상기 취수원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상하로 승강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의 승강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유입관의 취수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상기 취수관로로 전달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부력체 사이에 연통공간이 형성하도록 상기 부력체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에는 상기 부력체의 하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3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및 상기 개폐부는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며 상기 부력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유입관의 상기 취수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며 나머지 위치에서는 상기 취수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16. 취수원에 설치되는 취수관로와;
    하나 이상의 취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취수관로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과 결합되어 취수원의 수위변화에 따라서 유입관을 회전시키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휨이 가능한 자바라관으로 상기 취수관로와 결합되거나, 물의 유입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도록 실링처리된 힌지축에 의하여 상기 취수관로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및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로는 그 개폐를 위한 개폐장치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시스템.
KR1020120105154A 2012-09-21 2012-09-21 취수시스템 KR20140038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154A KR20140038715A (ko) 2012-09-21 2012-09-21 취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154A KR20140038715A (ko) 2012-09-21 2012-09-21 취수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134A Division KR20140099856A (ko) 2014-07-31 2014-07-31 취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715A true KR20140038715A (ko) 2014-03-31

Family

ID=5064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154A KR20140038715A (ko) 2012-09-21 2012-09-21 취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87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8472A (zh) * 2019-06-25 2019-09-20 中国葛洲坝集团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表层水取水系统及取水方法
KR102134558B1 (ko) * 2020-03-26 2020-07-16 주식회사 우승산업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는 친환경 가동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8472A (zh) * 2019-06-25 2019-09-20 中国葛洲坝集团勘测设计有限公司 一种表层水取水系统及取水方法
KR102134558B1 (ko) * 2020-03-26 2020-07-16 주식회사 우승산업 저층수 배출기능을 갖는 친환경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922529U (zh) 双向泵闸装置
CN204784862U (zh) 一种大流量双控恒温阀芯
KR20140038715A (ko) 취수시스템
CN104405347A (zh) 液压智能无级流量调控装置
KR20140099856A (ko) 취수시스템
CN204781211U (zh) 一种防漏水的进水阀组件
JP6406807B2 (ja) 水槽の排水システム
BR112013023030B1 (pt) válvula de purgação de gás automática
KR101380688B1 (ko) 플로우팅 밸브
CN100394087C (zh) 止回球阀及使用该阀的排水控制装置
KR20100032709A (ko) 자동정압밸브
CN207805641U (zh) 自适应双向防倒吸瓶
CN211234098U (zh) 用于冷却塔水箱的补水装置
CN204327054U (zh) 液压智能无级流量调控装置
CN210920137U (zh) 一种净化室用手动调节阀
CN203067866U (zh) 承插式防淤积胀丝紧固球形逆止阀
CN205089984U (zh) 减压阀
JP3200989U (ja) フラップゲート
CN205331441U (zh) 一种固定流速的阀结构
KR200477991Y1 (ko) 수위조절장치
CN103925409A (zh) 一种水箱进水阀
KR100414161B1 (ko) 차압작동식 자동제어용 밸브
CN210240561U (zh) 一种用于水池排水的闸阀
EP2359039A1 (en) Cartridge for single lever tap, single lever tap and method for leading water in single lever tap
CN203346986U (zh) 真空破坏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