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718A - 치아 형상에 대응하며 임시치아 시술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치아 형상에 대응하며 임시치아 시술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718A
KR20140037718A KR1020120104220A KR20120104220A KR20140037718A KR 20140037718 A KR20140037718 A KR 20140037718A KR 1020120104220 A KR1020120104220 A KR 1020120104220A KR 20120104220 A KR20120104220 A KR 20120104220A KR 20140037718 A KR20140037718 A KR 20140037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ing abutment
fastening
shape
fixture
c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186B1 (ko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1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polymer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implant) 시술시 사용되는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 형상을 가지며 방향성을 가지고 픽스처(Fixture)에 고정될 수 있으며 임시치아를 시술할 수 있는 힐링 어버트먼트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치조골에 삽입된 픽스처에 방향성을 가지고 끼움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자연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적인 입체 형상을 가지는 커프부; 상기 커프부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입체적인 형상으로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부를 구비하는 포스트부; 및 상기 포스트부와 커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픽스처에 체결되는 체결스크류;를 포함하는 힐링 어버트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형상에 대응하며 임시치아 시술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 HAVING NATURAL TOOTH SHAPE}
본 발명은 임플란트(implant) 시술시 사용되는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 형상을 가지며 방향성을 가지고 픽스처(Fixture)에 고정될 수 있으며, 임시치아를 시술할 수 있는 힐링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치과에서 행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잇몸뼈, 즉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매식하는 수술과정과, 심겨진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연결하여 인공치아를 장착하는 보철과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임플란트 시술법은, 보철과정에서 인상을 채득할 때 구강 내에서 인상 코핑(Impression Coping)을 연결하여 구강 내의 모델을 완성하는 픽스처 레벨 임프레션(Fixture Level Impression) 방법이다.
우선, 치조골에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처(Fixture)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픽스처 상부에 마운트(Mount)를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수술용 핸드 피스를 이용하여 픽스처와 마운트를 치조골에 매식한 다음 마운트를 픽스처에서 제거함으로써, 치조골에 픽스처를 매식하게 된다.
그리고 픽스처의 상부에 덮개 나사를 체결하여 픽스처를 봉합함으로써 1차 수술이 완료된다.
덮개 나사는 픽스처의 골융합을 기다리는 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및 이물질이 픽스처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골융합 기간은 환자의 골질과 매식 위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개월 내지 6개월이 소요된다.
이어서, 2차 수술을 통해 잇몸을 열어 덮개 나사를 노출시킨 후 픽스처의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덮개 나사를 제거한다. 그리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치유 지대주(Healing Abutment)를 픽스처의 상부에 체결하고, 2주 내지 3주 동안 기다린다. 근래에는 이러한 2차 시술법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덮개 나사를 체결 및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치유 지대주를 체결하는 1차 시술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확인한 후 치유 지대주를 제거하고, 보철물 제작을 위해 인상 코핑을 픽스처 상부에 체결한다.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인상 코핑을 제거한다.
이후,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치아 즉 인공치관을 기공한 후 픽스처 상부에 지대주(Abudment)를 체결하고, 지대주 위에 보철물 즉 인공치관을 고정하여 인공치아를 완성한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의 시술 시에는 일반적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하여 치유 지대주(Healing Abutment)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임플란트 시술이 널리 시행되고 그 기술이 많이 공지되고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 결과가 임플란트 시술 후의 심미적인결과로 환자들 사이에서 요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 후 심미적인 결과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힐링 어버트먼트는 치아의 형성과 무관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예컨대, 횡단면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종래의 힐링 어버트먼트는 특정한 어버트먼트 사용에 적합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힐링 어버트먼트는 치아별 맞춤형으로 어버트먼트를 제작 및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 치아별 잇몸부에 위치되도록 치과기공소에서 별도의 어버트먼트를 제작하여 인위적으로 잇몸 형상을 제작하였다.
예컨대, 상기와 같이 맞춤형 어버트먼트를 사용하기 위해서 잇몸형상을 만들기 위해, 티타늄 베이스 상부에 레진을 특정 형상으로 첨가한 후, 큐어링 및 폴리싱 공정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시간적, 비용적으로 낭비일 뿐 만 아니라, 나아가 세균 감염의 문제로 인하여 시술이 실패되는 원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자연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힐링 어버트먼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관련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28106호(2006. 10. 09 공고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힐링 어버트먼트가 자연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보다 빠른 연조직 치유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힐링 어버트먼트가 자연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최종 어버트먼트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시술시 힐링 어버트먼트의 방향성을 식별할 수 있는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시치아를 시술할 수 있으는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치조골에 삽입된 픽스처에 방향성을 가지고 끼움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자연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적인 입체 형상을 가지는 커프부; 상기 커프부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입체적인 형상으로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부를 구비하는 포스트부; 및 상기 포스트부와 커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픽스처에 체결되는 체결스크류;를 포함하는 힐링 어버트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픽스처에 복수개의 방향으로 끼움결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이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스트부에 구비되는 식별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면과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탄면, 식별돌기,인 것식별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스트부와 상기 커프부와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는 체결공을 구비하며, 상기 포스트부와 상기 커프부와 상기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PEEK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는 자연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입체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치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임플란트 치아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는 비대칭적인 자연 치아 형상을 가지는 힐링 어버트먼트가 방향성을 가지고 픽스처에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힐링 어버트먼트가 식립된 상태에서 체결된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고, 힐링 어버트먼트상에 임시치아를 시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원형 단면을 가지는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의 체결부의 다양항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형상에 대응하며 임시치아 시술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100)는, 치조골에 삽입된 픽스처(미도시)에 방향성을 가지고 끼움결합되는 체결부(120)와, 상기 체결부(120)의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자연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적인 입체 형상을 가지는 커프부(140)와, 상기 커프부(140)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입체적인 형상으로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부를 구비하는 포스트부(150)와, 상기 포스트부(150)와 상기 커프부(140)와 상기 체결부(120)를 관통하여 상기 픽스처에 체결되는 체결스크류(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100)는 커프부(140)가 자연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적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잇몸 형상이 자연 치아 형상으로 치유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커프부(140)의 상부에 임시치아를 시술할 수 있는 기둥형상의 포스트부(150)를 구비함으로써, 힐링 어버트먼트(100)가 시술된 상태에서 임시치아를 추가적으로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포스트부(150)에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부(152)를 구비한다. 식별부(152)는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의 형태로 형성되거나,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식별돌기 또는 식별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부(152)는 구내측 또는 구외측 등의 특정 방향을 표시하여, 힐링 어버트먼트(100) 체결시 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하게 해줌으로써 잘못된 방향으로 시술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식별부(152)는 시술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커프부(14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명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별부(152)가 입체적으로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되는 경우, 힐링 어버트먼트가 체결된 상태에서 인상을 체득할 때, 식별부(152)가 각인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힐링 어버트먼트가 자연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치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종래의 힐링 어버트먼트는 횡단면이 대칭적인 형상(원뿔과 원통이 결합된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환자의 잇몸이 그 형상에 맞게 치유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이는 실제 치아 형상과 큰 차이를 가지고 있어서 치유의 시간이 길어지고 최종 어버트먼트를 식립한 후에도 형상의 차이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많았다.
왜냐하면 힐링 어버트먼트의 형상으로부터 최종적이 어버트먼트 형상이 도출되는데, 자연치아의 형상을 무시한 대칭적인 원통 형상의 어버트먼트 커프부로 인하여 저작시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고 일측으로 치우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이로 인하여 임플란트의 손상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는 환자의 치조골 및 잇몸에 식립되는 커프(cuff)부(140)가 자연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치조골의 복원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체결부(120)와 커프부(140)와 포스트부(150)는 일체로 형성되며, 의료용 PEEK(Polyether Ether Keton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용 PEEK 재질은 광범위한 온도 영역에서 경도와 강도가 우수하며, 체내에서 염증을 유발하지 않는 특징을 지닌다.
종래에는 힐링 어버트먼트를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나, 금속 재질의 경우 추가적인 형상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힐링 어버트먼트를 개별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표준화된 형상으로 제작하되, 의료용 PEEK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개별 환자의 구강환경에 맞게 힐링 어버트먼트 형상을 추가적으로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기본적으로 각 치아별로 표준화된 형상을 가지기는 하나, 개별 환자별로 구체적인 형상에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힐링 어버트먼트에 추가 가공을 통해 최적의 형상으로 변형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자연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기 때문에 대체로 추가가공이 필요치 않으나, 추가가공이 필요한 경우에도 쉽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체결부(120)의 외주면이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육각 기둥 형상 이외에 오각 기둥, 칠각 기둥, 팔각 기둥 등의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각주형의 체결부(120)는 픽스처에 방향성을 가지고 결합됨으로써 비대칭 형상의 커프부(120)가 환자의 체내에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결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체결부(120)의 방향성은, 체결부(120)와 정렬된 상태로 형성된 표시부(152)에 의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힐링 어버트먼트는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체결 방향이 중요치 않아 체결스크류까지 일체형으로 형성된 1 piece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는 치조골에 접하게되는 커프부(140)가 자연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적인 입체적인 형상을 가짐으로써, 특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픽스처에 체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커프부(140)와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120)가 픽스처에 방향성을 가지고 끼워질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체결스크류(160)로 체결되는 2 pieces 타입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는 체결부(120)와 커프부(140) 그리고 포스트부(150)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들을 관통하는 체결공(130)이 형성된다.
체결부(120)는 치조골(10)에 삽입된 픽스처(20)에 끼워지며, 이 상태에서 체결스크류(160)가 결합되어, 커프부(140)가 방향성을 가지고 픽스처(20)에 체결된다.
체결스크류(160)의 체결을 위해서 포스트부(150), 커프부(140) 및 체결부(120)를 관통하는 체결공(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공(130)에는 체결스크류(160)의 머리부(162)를 지지하는 단턱(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132)은 커프부(140)의 내부에 있거나, 체결부(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0)를 원하는 방향으로 픽스처(20)에 끼운 후, 체결스크류(16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2피스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힐링 어버트먼트(100)가 픽스처(20)에 방향성을 가지고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비대칭적인 힐링 어버트먼트(100)의 방향성을 외부에서 시술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포스트(150)에 입체적인 형상의 식별부(152)가 구비된다.
도 3은 종래의 원형 단면을 가지는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발치된 환자의 치조골(10)에는 발치된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발치홀(12)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원형 단면을 가지는 힐링 어버트먼트(50)를 사용하는 경우 발치홀(12)에 삽입될 수 있는 최대 면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더라도, 발치홀의 비대칭 형상으로 인하여, 힐링 어버트먼트(50)와 치조골(10)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지 않았다.
이러한 경우, 치조골(10)이 힐링 어버트먼트(50) 주변으로 완전히 차오를 때 까지 기다리게 되는데, 치조골이 차오르는 시간은 최대 간격(G1) 부분이 메워질 때 까지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100)는 커프부(140)가 자연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발치홀(12)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간격을 가지게 되므로, 최대 간격(G2)이 종래의 원형단면을 가지는 힐링 어버트먼트의 최대간격(도 3의 G1)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치조골(10)이 차오르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치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의 체결부의 다양항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체결부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a) 육각형, (b) 팔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은 대표적인 것들로 도시한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형상이면 다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체결부가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픽스처의 상단 내면은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는 힐링 어버트먼트가 픽스처에 방향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200)는 표시부를 식별돌기(252)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별돌기(252)는 체결부(220)의 일면(222)과 정렬된 위치에 형성된다. 식별돌기(252)를 통해 체결부(220)가 결합된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식별돌기(252)는 인상을 체득할 때, 식별돌기(252)가 각인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300)는 표시부를 식별홈(352)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별홈(352)의 경우에도 식별돌기(252)와 마찬가지로 체결부(320)의 일면(322)과 정렬된 위치에 형성되며, 이로 인해 체결부(320)가 결합된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고, 인상 체득시 각인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식별돌기(252)와 식별홈(352)은 모두 체결홀과 평행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균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는 자연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힐링 어버트먼트가 발치공의 형상에 근접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치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포스트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포스트부에 방향성을 식별할 수 있는우 힐식별부를 구비함으로써, 시술시에 잘못된 방향으로 시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힐링 어버트먼트를 식립한 상태에서 임시치아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가져온다.
10 : 치조골
12 : 발치공
50 : 종래의 힐링 어버트먼트
100, 200, 300 : 힐링 어버트먼트
120, 220, 320 : 체결부
130 : 체결공
140, 240, 340 : 커프부
150, 250, 250 : 포스트부
160 : 체결스크류

Claims (10)

  1. 치조골에 삽입된 픽스처에 방향성을 가지고 끼움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자연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대칭적인 입체 형상을 가지는 커프부;
    상기 커프부의 상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입체적인 형상으로 방향성을 표시하는 식별부를 구비하는 포스트부; 및
    상기 포스트부와 커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픽스처에 체결되는 체결스크류;를 포함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픽스처에 복수개의 방향으로 끼움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이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에 구비되는 식별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면과 동일한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평탄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식별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체결부의 일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식별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와 상기 커프부와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는 체결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와 상기 커프부와 상기 체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와 상기 커프부와 상기 체결부는 PEEK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KR1020120104220A 2012-09-19 2012-09-19 치아 형상에 대응하며 임시치아 시술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10138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220A KR101388186B1 (ko) 2012-09-19 2012-09-19 치아 형상에 대응하며 임시치아 시술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220A KR101388186B1 (ko) 2012-09-19 2012-09-19 치아 형상에 대응하며 임시치아 시술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718A true KR20140037718A (ko) 2014-03-27
KR101388186B1 KR101388186B1 (ko) 2014-04-23

Family

ID=5064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220A KR101388186B1 (ko) 2012-09-19 2012-09-19 치아 형상에 대응하며 임시치아 시술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94B1 (ko) * 2014-05-14 2015-07-10 최종훈 디지털 힐링 어버트먼트
KR20200003654A (ko) * 2018-07-02 2020-01-10 (주)마이핏 하이브리드 치유 지대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144B1 (ko) * 2022-04-13 2023-02-20 송유정 힐링 및 임프레션 어버트먼트 구조물
KR102523741B1 (ko) * 2022-04-13 2023-04-20 송용준 힐링 임프레션 어버트먼트를 이용한 상부 보철 제작용 디지털 모형 구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7182A (en) 1993-12-23 1996-06-18 Adt Advanced Dental Technologies, Ltd.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KR20090042071A (ko) * 2007-10-25 2009-04-29 윤태호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어버트먼트
KR101108280B1 (ko) * 2011-04-20 2012-01-31 김용상 임플란트
KR101164444B1 (ko) 2012-03-08 2012-07-12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94B1 (ko) * 2014-05-14 2015-07-10 최종훈 디지털 힐링 어버트먼트
KR20200003654A (ko) * 2018-07-02 2020-01-10 (주)마이핏 하이브리드 치유 지대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186B1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154B1 (ko)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1694475B1 (ko)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US7632095B2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KR100948074B1 (ko) 임플란트 보철 부품세트 및 상기 부품세트를 이용하여 지대주가 포함된 복제 석고모델의 제작방법
KR101543546B1 (ko) 여러 가지 각도로 제작되는 코어크라운을 수용할 수 있으며 캡을 부착하면 힐링어버트먼트의 기능을 하는 어버트먼트
KR101535294B1 (ko) 디지털 힐링 어버트먼트
JP2007313287A (ja) 治癒支台柱及びそれを備えた歯科用インプラント
US20060008773A1 (en) Titanium-mesh umbrella device for bone grafting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AU2014347410A1 (en) Guide stent for dental implant
KR10129175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US20240024081A1 (en) Abutment and healing cuff device for dental implant
KR20150010119A (ko) 제작 공정을 간소화한 세미 커스텀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KR101388186B1 (ko) 치아 형상에 대응하며 임시치아 시술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20120027604A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KR101406043B1 (ko) 맞춤 시술이 가능한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20150010118A (ko) 캐드캠을 이용한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제조방법
KR20160033019A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20170139414A (ko) 의료용 임플란트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20140118136A (ko) 치과 임플란트용 티타늄금속계 다용도 지대주
KR101701122B1 (ko) 마그네틱 임플란트 오버덴쳐용 마그넷 키퍼의 트랜스퍼용 자석붙이 임프레션캡 및 이에 의한 오버덴쳐 제작 방법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KR101435551B1 (ko)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