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619A -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 Google Patents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619A
KR20140037619A KR1020120103984A KR20120103984A KR20140037619A KR 20140037619 A KR20140037619 A KR 20140037619A KR 1020120103984 A KR1020120103984 A KR 1020120103984A KR 20120103984 A KR20120103984 A KR 20120103984A KR 20140037619 A KR20140037619 A KR 20140037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trunk
seawater
circumferential surface
sea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경환
임선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7619A/ko
Publication of KR2014003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53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니스터와 트렁크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의 하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부측으로 내부공간이 연장된 트렁크와, 상기 크렁크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트렁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선체의 추진을 위한 추진기가 구비되는 캐니스터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 차단부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트렁크의 내주면 또는 캐니스터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팽창되면서 상기 캐니스터와 트렁크 사이를 밀폐하여 해수유입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Vessel having Preventing Part Inflowing Sea Water}
본 발명은 캐니스터와 트렁크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 등의 선박(10)은 시추시 위치 및 자세유지를 위하여 도 1과 같이 스러스터(thruster: 3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스러스터(30)는 선박(10)의 저부의 해수면 아래에 복수개가 복수개소에 위치됨으로써 선박(10)의 위치 및 자세유지를 위해 가동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스러스터(30)는 선박(10)의 메인 프로펠러(20)가 작동하는 순항시 또는, 운하 등의 수심이 얕은 곳을 지나가야 하는 경우 또는 스러스터(30)를 수리해야 할 경우에는 상기 스러스터(30)를 선박(10)의 저면보다 상측으로 상승시켜야 하는 등 여러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스러스터(30)는 선박(10) 저부를 향해 개구된 트렁크(60) 및 상기 트렁크(60) 내에 승강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동력장치 및 제어장치가 구비되고 하측에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추진기(40)가 구비된 캐니스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러스터(30)는 상기 캐니스터(50)와 트렁크(60)의 사이가 이격된 틈새로 해수가 침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러스터(30)는 일반적으로 해수에 의한 부식에 대해서 내식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나, 다량의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지거나 장시간 해수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내식성의 재질에도 불구하고 부식이 발생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해수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60)의 개구부 인근 내주면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트렁크(60)와 캐니스터(50) 사이에 위치되어 해수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수체(70)가 설치되는 구조가 연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도 방수체(70)가 트렁크(60)와 캐니스터(50)에 밀착되지 못하여 그 틈새로 해수가 침입될 수 있으며,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50)가 상승하여 트렁크(60)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트렁크(60)와 캐니스터(50) 사이를 밀폐하지 못하여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08166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캐니스터의 위치에 상관없이 트렁크와 캐니스터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의 하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부측으로 내부공간이 연장된 트렁크와, 상기 크렁크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트렁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선체의 추진을 위한 추진기가 구비되는 캐니스터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해수유입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수유입 차단부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트렁크의 내주면 또는 캐니스터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팽창되면서 상기 캐니스터와 트렁크 사이를 밀폐하여 해수유입을 차단시키는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이 개시된다.
상기 해수유입 차단부는, 상기 트렁크의 내주면 또는 캐니스터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 유체를 충진시키거나 배출시키도록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펌프는 해수 또는 공기를 펌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캐니스터가 이동될 때에는 수축되며, 상기 캐니스터가 정지되었을 때에는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해수유입 차단부는, 상기 캐니스터가 트렁크 내측으로 수납되었을 때 팽창되어 해수유입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의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에 따르면, 캐니스터의 위치에 상관없이 트렁크와 캐니스터 사이에 해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선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유지보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스러스터가 설치된 선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러스터의 캐니스터가 하강하여 트렁크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러스터의 캐니스터가 상승되어 트렁크 내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출원의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의 캐니스터가 하강하여 트렁크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출원의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의 캐니스터가 상승되어 트렁크 내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출원의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의 튜브가 팽창된 상태의 캐니스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튜브가 수축된 상태의 캐니스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 본 출원의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터(30)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러스터(30)는 드릴쉽 등에서 해상 정박시 선박의 자세 및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박(10)으로서 드릴쉽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출원의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10)은 상기 드릴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러스터(30)가 구비되는 선박이라면 다른 종류의 선박에도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러스터(3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60)와 캐니스터(5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트렁크(60)는 선체(10)의 하측으로 개구부(6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62)에서 상측으로 내부공간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니스터(50)는 상기 트렁크(60) 내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60)를 따라 승강되도록 구비되고, 하측에 선체의 추진을 위한 추진기(40)가 추진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러스터(30)는 선체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선체의 자세 및 위치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순항시 또는 운하 등의 수심이 얕은 곳을 지나가야 하는 경우 및 스러스터(30)의 수리시 등 작동모드에 따라 상기 캐니스터(50)가 상기 트렁크(60) 내에서 승강될 수 있다.
즉, 상기 스러스터(30)의 작동모드일 때에는 상기 캐니스터(50)가 하강되어 상기 캐니스터(50)의 추진기(40)가 선체 외측으로 돌출되며, 운하 등의 수심이 얕은 곳을 지나가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추진기(40)가 트렁크의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캐니스터(50)가 상승되고, 추진기(40)의 수리 및 정비 시에는 상기 캐니스터(50)가 더욱 상승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니스터(50)는 트렁크(60)에 대해서 상대이동을 하므로 상기 트렁크(60)의 내주면과 캐니스터(5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 따른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10)은 상기 트렁크(60)와 캐니스터(50)의 사이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해수유입 차단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해수유입 차단부(1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렁크(60)의 내주면과 캐니스터(5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고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팽창되면서 상기 캐니스터(50)와 트렁크(60)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트렁크(60)의 내주면과 캐니스터(50)의 외주면 사이에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해수유입 차단부(100)는 튜브(110)와 펌프(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튜브(110)는 상기 트렁크의 내주면 또는 캐니스터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110)는 상기 캐니스터(5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트렁크(60)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튜브(110)가 설치되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지점은 상기 캐니스터(50)가 하강했을 때 트렁크(60)의 개구부(62) 인근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지점 또는 상기 캐니스터(50)가 상승했을 때 트렁크(60)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지점 또는 상기 캐니스터(50)의 위치와 상관없이 상기 트렁크(60)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지점 등 다양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튜브가 캐니스터(50)가 하측으로 하강되었을 때 상기 트렁크(60)의 개구부 인근 내주면과 마주보는 상기 캐니스터(5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니스터(50)의 외주면에 설치된 튜브(110)는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면서 팽창하여 상기 트렁크(60)의 내주면 둘레에 연접되면서 상기 캐니스터(50)의 외주면과 트렁크(60)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튜브(110)가 상기 트렁크(6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튜브(110)는 팽창될 때 상기 캐니스터(5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펌프(120)는 상기 튜브(110)에 유체를 충진시키거나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120)가 상기 튜브(110)에 유체를 충진시켜 상기 튜브(110)를 팽창시키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10)의 유체를 튜브(110) 외측으로 배출시켜 상기 튜브(110)를 수축시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펌프(120)가 상기 튜브(110)에 충진시키는 유체는 공기일 수도 있고, 또는 해수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니스터(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렁크(6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데, 상기 튜브(110)는 상기 캐니스터(50)가 이동될 때 수축되며, 상기 캐니스터(50)가 정지되었을 때 팽창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캐니스터(50)가 이동될 때는 상기 튜브(11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되어 트렁크(60)의 내주면과 이격됨으로써 상기 캐니스터(50)가 이동될 때 트렁크(60) 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캐니스터(50)가 이동완료하여 정지된 후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10)가 팽창되어 상기 트렁크(60) 내주면과 밀착됨으로써 해수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니스터(5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되었을 때는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되었을 때에도 상기 트렁크(60)와 캐니스터(50)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선박 20: 프로펠러
30: 스러스터 40: 추진기
50: 캐니스터 60: 트렁크
62: 개구부 70: 방수제
100: 해수유입 차단부 110: 튜브
120: 펌프

Claims (4)

  1. 선체의 하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서 상부측으로 내부공간이 연장된 트렁크와, 상기 크렁크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트렁크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선체의 추진을 위한 추진기가 구비되는 캐니스터 사이에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해수유입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수유입 차단부는,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트렁크의 내주면 또는 캐니스터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팽창되면서 상기 캐니스터와 트렁크 사이를 밀폐하여 해수유입을 차단시키는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 차단부는,
    상기 트렁크의 내주면 또는 캐니스터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튜브;
    상기 튜브에 유체를 충진시키거나 배출시키도록 펌핑하는 펌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캐니스터가 이동될 때에는 수축되며,
    상기 캐니스터가 정지되었을 때에는 팽창되는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 차단부는,
    상기 캐니스터가 트렁크 내측으로 수납되었을 때 팽창되어 해수유입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지는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KR1020120103984A 2012-09-19 2012-09-19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KR20140037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984A KR20140037619A (ko) 2012-09-19 2012-09-19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984A KR20140037619A (ko) 2012-09-19 2012-09-19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619A true KR20140037619A (ko) 2014-03-27

Family

ID=5064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984A KR20140037619A (ko) 2012-09-19 2012-09-19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76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473A (ko) * 2014-07-24 2016-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용 수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473A (ko) * 2014-07-24 2016-0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터렛용 수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754B1 (ko) 수축가능 스러스터
KR100812139B1 (ko) 선체인양용 부력발생방법
KR101845072B1 (ko) 침몰선박의 잔존유 배출 및 공기공급 장치
KR20140037619A (ko) 해수유입 차단부가 구비된 선박
KR10149739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US9316081B2 (en) Well capping assembly and method of capping underwater well
KR101531369B1 (ko) 선박용 그린워터 프로텍터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75201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44149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644486B1 (ko) 터렛용 수밀장치
KR101029653B1 (ko)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US20150176764A1 (en) Tank
KR101524816B1 (ko) 선박 접안 장치
KR10142217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00040436A (ko) 회수 파이프를 구비하는 선박
KR101444152B1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885077B1 (ko) 가이드 파이프 실링구조물
RU2020122187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грязнения и/или коррозии на кораблях и морских объектах
KR101516178B1 (ko) 아지무스 스러스터를 포함하는 선박 및 아지무스 스러스터 정비 방법
KR101253886B1 (ko) 신축식 방벽부를 이용한 에어캐비티 선박
KR102027520B1 (ko) 착저형 부유식 구조물
KR101914985B1 (ko) 아이스 스프레더가 구비된 선박
KR20150092629A (ko) 선미관 수밀장치의 해상 수리방법
KR101466055B1 (ko) 슬로싱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