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538A -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538A
KR20140037538A KR1020120103806A KR20120103806A KR20140037538A KR 20140037538 A KR20140037538 A KR 20140037538A KR 1020120103806 A KR1020120103806 A KR 1020120103806A KR 20120103806 A KR20120103806 A KR 20120103806A KR 20140037538 A KR20140037538 A KR 20140037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uxiliary
inhalation
suction pip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효
Original Assignee
김동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효 filed Critical 김동효
Priority to KR102012010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7538A/ko
Publication of KR2014003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안내공이 형성된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내삽되는 제1 보조 흡입구;로 구성되어 지되, 상기 제1 보조 흡입구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이 구비된 고정구는 흡입관의 안내공에 위치하며, 이물질의 흡입을 위해 얇고 길게 형성된 입구는 흡입관 내에서 원형의 상태를 유지하고 흡입관 하단에 노출된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흡입관에 내삽된 제1 보조 흡입구와 외삽된 제2 보조 흡입구가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함으로써 청소 여건에 따라 흡입관의 하단에 메인 흡입구의 탈착 그리고 제1,2 보조 흡입구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하여 청소 도중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중단하고 보조 흡입구로 교체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이 필요 없으므로 청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Inhalation-pipe structure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관에 내삽된 제1 보조 흡입구와 외삽된 제2 보조 흡입구가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함으로써 청소 여건에 따라 흡입관의 하단에 메인 흡입구의 탈착 그리고 제1,2 보조 흡입구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수단; 상기 흡입수단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수집하는 필터수단이 내측에 구비된 본체(2); 상기 본체(2)의 흡입수단과 연결된 흡입구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유연성 재질로 제작된 연결호스(3); 상기 연결호스(3)의 좌측 단부에 우측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본체(2)를 제어하는 스위치(4a)가 구비된 손잡이부(4); 상기 손잡이부(4)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며 양측이 개방된 관으로 제작되는 흡입관(5); 상기 흡입관(5)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며 하단에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 넓은 평판 형태로 형성된 메인 흡입구(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청소기(1)는 손잡이부(4)에 구비된 스위치(4a)를 조작함으로 본체(2)에 구비된 흡입수단의 흡입력이 조절되고, 손잡이부(4)와 흡입관(5)을 잡고 메인 흡입구(6)의 위치를 변경하여 이물질을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흡입구(6)는 바닥이 넓은 평판 형상이므로 평탄한 바닥을 청소하기에는 적합하나, 그 형상 때문에 모서리나 가구의 밑바닥 또는 가구와 벽의 사이 등은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5)의 하단에 별도의 보조 흡입구(7)를 체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흡입구(7)는 우측 단부가 흡입관(5)의 단부에 체결되고 좌측 단부는 이물질을 흡입하기 용이하도록 입구가 얇고 길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모서리나 가구 바닥 등의 좁은 공간을 청소하기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 보조 흡입구(7)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청소 도중 진공청소기(1)를 정지시키고, 흡입관(5)의 하단에서 기존의 메인 흡입구(6)를 분리시킨 다음 보조 흡입구(7)를 흡입관(5)에 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보조 흡입구(7)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진공청소기(1)를 정지시켜야 하므로 그만큼 청소시간이 지체되고, 별도로 보조 흡입구(7)를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관에 내삽된 제1 보조 흡입구와 외삽된 제2 보조 흡입구가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함으로써 청소 여건에 따라 흡입관의 하단에 메인 흡입구의 탈착 그리고 제1,2 보조 흡입구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하여 청소 도중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중단하고 보조 흡입구로 교체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이 필요 없으므로 청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는,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안내공이 형성된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내삽되는 제1 보조 흡입구;로 구성되어 지되, 상기 제1 보조 흡입구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이 구비된 고정구는 흡입관의 안내공에 위치하며, 이물질의 흡입을 위해 얇고 길게 형성된 입구는 흡입관 내에서 원형의 상태를 유지하고 흡입관 하단에 노출된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구의 양측 내부에는 탄성판이 형성되어 원형 및 원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에 외삽되고 상측에 선택버튼이 구비된 소정길이의 파지관;을 더 형성하되, 상기 선택버튼은 걸림홈에 걸려 안내공을 따라 제1 보조 흡입구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관과 파지관의 사이에 솔이 구비된 제2 보조 흡입구가 더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제2 보조 흡입구는, 상측에 선택버튼의 하단이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보조관; 일단에 솔이 구비되고 타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흡입구; 상기 보조관과 흡입구의 일측이 맞닿도록 그 사이에 형성되는 주름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흡입관에 내삽된 제1 보조 흡입구와 외삽된 제2 보조 흡입구가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함으로써 청소 여건에 따라 흡입관의 하단에 메인 흡입구의 탈착 그리고 제1,2 보조 흡입구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하여 청소 도중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중단하고 보조 흡입구로 교체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이 필요 없으므로 청소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종래의 보조 흡입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 도 3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 도 4의 단면도.
도 6,7 - 본 발명의 작동상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는,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안내공(111)이 형성된 흡입관(110); 상기 흡입관(110)에 내삽되는 제1 보조 흡입구(120);로 구성되어 지되, 상기 제1 보조 흡입구(12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121a)이 구비된 고정구(121)는 흡입관의 안내공에 위치하며, 이물질의 흡입을 위해 얇고 길게 형성된 입구(122)는 흡입관(110) 내에서 원형의 상태를 유지하고 흡입관(110) 하단에 노출된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관(110)은 이물질의 흡입을 위한 관으로, 평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흡입구(6)가 탈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흡입관(110)의 하단부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안내공(111)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안내공(111)을 따라 제1 보조 흡입구(110)는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보조 흡입구(120)는 상기 흡입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물질의 흡입을 위해 얇고 길게 형성된 입구(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110) 내에서 원형의 상태를 유지하고 흡입관(110) 하단에 노출된 경우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입구(122)를 포함한 제1 보조 흡입구(120)의 몸체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상기 입구(122)의 양측 내부, 즉 몸체 내부에는 탄성판이 형성되어 원형 및 원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보조 흡입구(120)의 상측에는 걸림홈(121a)이 구비된 고정구(121)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구(121)는 흡입관(110)의 안내공(111)에 위치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제1 보조 흡입구(120)의 사용을 위해, 흡입관(110)으로부터 메인 흡입구(6)를 분리한 후 고정구(121)를 안내공(111)에서 하부로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관(110)에 외삽되고 상측에 선택버튼(131)이 구비된 소정길이의 파지관(130);을 더 형성하되, 상기 선택버튼(131)은 걸림홈(121a)에 걸려 안내공(111)을 따라 제1 보조 흡입구(120)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파지관(130)의 선택버튼(131)이 고정구(121)의 걸림홈(121a)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파지관(130)을 잡고서 제1 보조 흡입구(120)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고 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파지관(1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지관(130)의 내주면 일측에 안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에 대응하는 안내홈이 흡입관(110)의 외주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흡입관(110)과 파지관(130)의 사이에 솔이 구비된 제2 보조 흡입구(140)가 더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제2 보조 흡입구(140)는,
상측에 선택버튼(131)의 하단이 걸리도록 걸림돌기(141a)가 구비되고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보조관(141); 일단에 솔(142a)이 구비되고 타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흡입구(142); 상기 보조관(141)과 흡입구(142)의 일측이 맞닿도록 그 사이에 형성되는 주름관(143);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파지관(130)에 의해 제1 보조 흡입구(120) 또는 제2 보조 흡입구(140)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조관(141)의 경사부와 흡입구(142)의 경사부는 서로 맞닿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맞닿는 부위는 힌지·결합되어 흡입관(110)의 하단에 노출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143)의 구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2 보조 흡입구(140)가 흡입관(110)의 하단에 노출된 경우, 주름관(143)의 구부림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주름관(143)의 외측에 하방향으로 탄발력이 작용하는 스프링(143a)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흡입관 111: 안내공
120: 제1 보조 흡입구 121: 고정구
121a: 걸림홈 122: 입구
130: 파지관 131: 선택버튼
140: 제2 보조 흡입구 141: 보조관
141a: 걸림돌기 142: 흡입구
142a: 솔 143: 주름관

Claims (4)

  1.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안내공(111)이 형성된 흡입관(110); 상기 흡입관(110)에 내삽되는 제1 보조 흡입구(120);로 구성되어 지되, 상기 제1 보조 흡입구(120)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홈(121a)이 구비된 고정구(121)는 흡입관의 안내공에 위치하며, 이물질의 흡입을 위해 얇고 길게 형성된 입구(122)는 흡입관(110) 내에서 원형의 상태를 유지하고 흡입관(110) 하단에 노출된 경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122)의 양측 내부에는 탄성판이 형성되어 원형 및 원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10)에 외삽되고 상측에 선택버튼(131)이 구비된 소정길이의 파지관(130);을 더 형성하되, 상기 선택버튼(131)은 걸림홈(121a)에 걸려 안내공(111)을 따라 제1 보조 흡입구(120)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10)과 파지관(130)의 사이에 솔이 구비된 제2 보조 흡입구(140)가 더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제2 보조 흡입구(140)는,
    상측에 선택버튼(131)의 하단이 걸리도록 걸림돌기(141a)가 구비되고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보조관(141); 일단에 솔(142a)이 구비되고 타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흡입구(142); 상기 보조관(141)과 흡입구(142)의 일측이 맞닿도록 그 사이에 형성되는 주름관(1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KR1020120103806A 2012-09-19 2012-09-19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KR20140037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806A KR20140037538A (ko) 2012-09-19 2012-09-19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806A KR20140037538A (ko) 2012-09-19 2012-09-19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538A true KR20140037538A (ko) 2014-03-27

Family

ID=5064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806A KR20140037538A (ko) 2012-09-19 2012-09-19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75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0779A (zh) * 2018-09-25 2019-01-22 林蓉 一种自动清淤的高效低温多效蒸发海水淡化装置
US11266282B2 (en) * 2016-10-25 2022-03-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uction tool and electric vacuum clea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6282B2 (en) * 2016-10-25 2022-03-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uction tool and electric vacuum cleaner
CN109250779A (zh) * 2018-09-25 2019-01-22 林蓉 一种自动清淤的高效低温多效蒸发海水淡化装置
CN109250779B (zh) * 2018-09-25 2021-05-25 简胜坚 一种自动清淤的高效低温多效蒸发海水淡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54940A (ja) 電気掃除機
KR20140037538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구조
JP2010213886A (ja) 電気掃除機
JP2017000539A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760208B1 (ko) 청소기용 흡입장치
JP2013198701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アタッチメント
JP5274606B2 (ja) 電気掃除機
JP2007021056A (ja) 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US11266282B2 (en) Suction tool and electric vacuum cleaner
KR20120114132A (ko) 진공청소기 흡입관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101003601B1 (ko) 진공 청소기
JP6540820B2 (ja) 掃除具及びバキューム掃除機
KR200477155Y1 (ko) 진공청소기
KR200469799Y1 (ko) 창닦이 겸용 바닥청소기
JP2012183248A (ja) 電気掃除機
KR100778882B1 (ko) 보관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960007460B1 (ko) 착탈가능한 물걸레판을 갖는 진공청소기
KR200195005Y1 (ko) 장롱 밑 청소 유니트
JP2009078081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08022950A (ja) 電気掃除機
KR100589772B1 (ko) 진공청소기용 핸들구조
JP2019217209A (ja) 電気掃除機
KR10119286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2014217563A (ja) 電気掃除機
JP2022087376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