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890A -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6890A KR20140036890A KR1020120103579A KR20120103579A KR20140036890A KR 20140036890 A KR20140036890 A KR 20140036890A KR 1020120103579 A KR1020120103579 A KR 1020120103579A KR 20120103579 A KR20120103579 A KR 20120103579A KR 20140036890 A KR20140036890 A KR 201400368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negative pressure
- smoke
- accumulato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팬장치를 사용하는 통풍관을 통과하는 기체에서 연기를 탐지하는 연기 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기체를 유입받도록 상기 통풍관에 결합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기체에서 연기를 탐지하는 탐지부; 및 상기 팬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탐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통풍관의 센터영역에서 상기 유입부 주변의 압력보다 낮은 부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탐지부의 기체를 상기 통풍관으로 배출하는 부압발생기를 포함하는 배출부가 포함된 연기 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팬장치를 사용하는 통풍관을 통과하는 기체에서 연기를 탐지하는 연기 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기체를 유입받도록 상기 통풍관에 결합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기체에서 연기를 탐지하는 탐지부; 및 상기 팬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탐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통풍관의 센터영역에서 상기 유입부 주변의 압력보다 낮은 부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탐지부의 기체를 상기 통풍관으로 배출하는 부압발생기를 포함하는 배출부가 포함된 연기 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설비는 화물창과 같은 격납되거나 밀폐된 공간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공간의 환기 및 통풍을 위한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밀폐된 공간 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통풍관에 설치되는 시료채취 연기탐지장치와 화물창으로부터 직접 시료를 채취하여 화재를 탐지하는 연기감지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시스템은 시료채취 연기탐지장치의 연기 채취부와 화재감시통제실의 연기감지장치 사이에 긴 연기 배출관이 필요하므로, 재료비 및 설치비가 높고 설비가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통풍관 주변에 연기탐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재료비 및 설치비를 절약할 수 있고,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통풍관의 센터영역에 부압발생기를 배치함으로써, 높은 탐지 성능을 갖는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팬장치를 사용하는 통풍관을 통과하는 기체에서 연기를 탐지하는 연기 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기체를 유입받도록 상기 통풍관에 결합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기체에서 연기를 탐지하는 탐지부; 및 상기 팬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탐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통풍관의 센터영역에서 상기 유입부 주변의 압력보다 낮은 부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탐지부의 기체를 상기 통풍관으로 배출하는 부압발생기를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압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부압과 상기 유입부 주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탐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연기 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압발생기는, 상기 통풍관의 벽면으로부터 상기 센터영역으로 연장되는 배출파이프; 및 상기 배출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팬장치와 반대 방향을 향해 개구된 경사구멍부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구멍부의 중심은 센터라인 상에 위치하는 연기 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압발생기는, 상기 통풍관의 벽면으로부터 상기 센터영역으로 연장되는 배출파이프; 및 상기 배출파이프의 단부에 제공되며, 직경이 큰 구멍은 상기 팬장치를 향하고 직경이 작은 구멍은 상기 팬장치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에어이젝터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파이프의 단부는 상기 에어이젝터의 케이스 내부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연기 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통풍관의 벽을 통과해 유입되는 기체를 집적하는 어큐뮬레이터;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집적된 기체를 상기 탐지부로 안내하는 유입라인;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탐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로에 집적된 상기 기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기를 포함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유입라인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공간에 기체를 집적하는 연기 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탐지부로부터 상기 부압발생기로 기체를 안내하는 배출유로; 및 상기 통풍관의 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유로 및 상기 부압발생기를 연결하는 관통피스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풍관을 지나는 기체에서 연기를 탐지하기 위한 연기 탐지 방법에 있어서, a) 팬장치가 상기 통풍관 내부의 기체를 유동시키는 단계; b) 상기 팬장치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통풍관의 센터영역에서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발생기에서 발생된 부압과 상기 팬장치의 하류측에 위치한 기체 유입부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연기를 탐지부로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탐지부가 상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기체에서 연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탐지부의 기체를 상기 부압발생기를 통해 상기 통풍관 내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통풍관에 연결된 어큐뮬레이터가 기체를 집적하는 단계;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집적된 기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탐지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탐지부가 상기 연기를 감지하는 것에 상응한 감지신호를 화재감시통제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압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은 배출파이프의 단부에 제공된 경사구멍부 또는 에어이젝터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탐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탐지부를 통풍관의 주변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연기탐지장치와 화재감시통제부 사이의 긴 연기 배출관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재료비 및 설치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탐지부를 통풍관의 주변에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압발생기를 통풍관의 센터영역에 배치함으로써, 팬장치에 의해 기체가 고속으로 압송되거나 풍량이 많은 환경에서도 탐지부로 적절한 유량, 유속의 기체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탐지부의 연기 탐지 성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연기 탐지 장치를 이용한 연기 탐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연기 탐지 장치를 이용한 연기 탐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10)는 팬장치(F)가 설치된 통풍관(D)을 통과하는 기체(g)에서 연기를 탐지할 수 있다. 팬장치(F)는 통풍관(D)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어 기체(g)를 유동시키는 기능을 하며, 특정 방향으로 기체(g)가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통풍관(D)은 화재 발생 시 기체(g)가 흐를 수 있는 관 형태를 가지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환기덕트, 배기덕트 등일 수 있다.
연기 탐지 장치(10)는 팬장치(F)에 의해 기체가 유동되는 통풍관(D)에 설치될 수 있으며, 팬장치(F)의 후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풍관(D)을 흐르는 기체(g)는 팬장치(F)의 상류측(A)에서 하류측(B)으로 흐르며, 팬장치(F)에 의해 풍속, 풍압이 변화될 수 있다. 팬장치(F)는 기체를 유동시킬 수 있으면 임의의 형태의 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는 통풍관(D)의 중심선(CL)을 회전 중심으로 갖는 하나의 큰 팬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연기 탐지 장치(10)는 팬장치(F)의 하류측(B)에 배치되고 기체(g)를 흡입하는 통풍관(D)에 결합된 유입부(100)와, 유입부(100)로부터 공급받은 기체(g)에서 연기를 탐지하는 탐지부(200)와, 탐지부(200)에 연결되어 탐지부(200)의 기체를 통풍관(D)으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부(100)는 통풍관(D)을 흐르는 기체(g) 중 일부(g1)를 흡입하여 탐지부(2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통풍관(D)의 벽에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110)와, 어큐뮬레이터(110)에 모인 기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기(120)와, 어큐뮬레이터(110)로부터 탐지부(200)로 기체를 안내하는 유입라인(140)을 포함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110)는 팬장치(F)의 하류측(B)에 팬장치(F)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통풍관(D)의 외측 벽면에 부착된 플랜지(111)를 매개로 통풍관(D)에 고정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110)는 반구 형태의 외관을 갖는 어큐뮬레이터 케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큐뮬레이터 케이스(112)는 반구의 평면 부분이 플랜지(111)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통풍관(D)의 벽 및 플랜지(111)에는 기체가 통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고, 어큐뮬레이터 케이스(112)에는 플랜지(111)에 형성된 구멍에 대응되는 유입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통풍관(D)을 흐르는 기체는, 통풍관(D) 및 플랜지(111)에 형성된 구멍 및 유입구(113)를 지나, 어큐뮬레이터 케이스(112) 내부로 흡입된다.
어큐뮬레이터 케이스(112)는 유입라인(140)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유입구(113)를 통해 흡입된 기체는 어큐뮬레이터 케이스(112)의 내부 공간에 집적되었다가 유입라인(140)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어큐뮬레이터 케이스(112)의 내부 공간은 반구 형상 부분에 대응될 수 있다.
여과기(120)는 어큐뮬레이터(110)에 직접 연결되거나, 소정의 배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접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여과기(120)는 어큐뮬레이터(110)에 집적된 기체가 탐지기(200)로 유입되기 전에 기체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예들 들어, 여과기(120)는 소정의 필터를 포함한 장치이거나, 스트레이너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이너가 어큐뮬레이터(120)에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여과기(12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기체는 유입라인(140)을 통해 탐지부(200)로 이동한다. 유입라인(140)은 니플(141, 142) 등의 배관 연결 부재로 여과기(120) 및 탐지부(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탐지부(200)가 통풍관(D)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수십센티미터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탐지부(200)는 유입부(100) 및 배출부(300)에 연결되고, 기체를 임시로 저장하여 기체 내에 연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탐지부(200)는 화재감시통제부(미도시)와 통신하여 연기 탐지 여부에 따른 감지 신호 또는 화재발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탐지부(200)는 디텍터박스(210)와 디텍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텍터박스(210)는 디텍터(220)를 수용하며, 연기가 임시로 저장될 수 있는 공간 또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고, 미 도시된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통풍관(D)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풍관(D)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텍터박스(210)로 유입된 기체는 소정의 시간 동안 디텍터박스(210) 내부의 공간 또는 유로에 머무를 수 있으며, 디텍터(220)는 디텍터박스(210)의 내부에 머무는 기체에 연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디텍터(220)는 디텍터박스(210)에 설치되며, 연기에 의해 야기되는 산란 광을 측정하는 광전식 감지센서, 열에 의한 공기의 팽창을 이용한 차동식 감지센서, 이종합금이 열에 의해 변형되는 바이메탈 원리를 이용한 정온식 감지센서 등 공지의 연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 개를 조합한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텍터(220)는 연기의 감지 여부에 따라 소정의 전기 신호 또는 화재 감지 신호를 화재감시통제부에 전달할 수 있는 통신기능을 갖는 장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부(300)는 탐지부(200) 및 통풍관(D)을 연결하여, 탐지부(200)의 기체를 통풍관(D) 내부로 배출시킨다. 배출부(300)는 기체(g2)를 배출함과 동시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압발생기(320)와, 부압발생기(320)를 통풍관(D)에 연결하는 관통피스(310)와, 탐지부(200)로부터 부압발생기(320)까지 기체를 안내하는 배출라인(34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압발생기(320)는 어큐뮬레이터(110)와 마찬가지로 팬장치(F)의 하류측(B)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압발생기(320)가 어큐뮬레이터(110)보다 더 하류측(B)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압발생기(320)는 어큐뮬레이터(110)의 유입구(113) 주변보다 더 낮은 압력, 즉 부압을 발생시켜 기체가 어큐뮬레이터(1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벤츄리미터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분은 통풍관(D)의 센터영역, 특히 센터라인(CL)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센터영역은 통풍관(D)의 중심선인 센터라인(CL)을 기준으로 소정거리 이내의 영역을 의미하며, 일 예로서, 통풍관(D)의 직경의 5% 이내의 영역을 센터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부압발생기(320)는 통풍관(D)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배출파이프(321)와, 배출파이프(321)의 단부(322)에 형성되는 경사구멍부(323)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파이프(321)는 관통피스(310)를 통해 배출라인(340)에 연결되어 탐지부(200)로부터 기체가 통풍관(D) 내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출파이프(321)는 유로저항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풍관(D)의 벽면으로부터 센터영역까지 일자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구멍부(323)는 배출파이프(321)의 단부가 사선형태로 절단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가 하류측(B)을 향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즉, 경사구멍부(323)의 개구부는 팬장치(F)와 반대 방향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이때, 경사구멍부(323)는 센터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특히 센터라인(CL) 상에 경사구멍부(323)의 중심이 위치될 수 있다. 경사구멍부(323)는 부압을 발생시키는 역할과 함께, 배출파이프(321)를 통해 안내되는 기체(g2)를 통풍관 내부로 토출하는 기능도 한다.
경사구멍부(323)는 어큐뮬레이터(110)보다 통풍관(D)의 중심에 더 가깝기 때문에, 통풍관(D) 내부의 기체 흐름에 의해 경사구멍부(323)의 구멍 앞 부분(N1)에서는 부압이 발생된다. 이후, 경사구멍부(323)의 구멍 앞 부분(N1)은 부압 발생 지점이라고 하겠다. 특히, 경사구멍부(323)를 후류측(B)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경사구멍부(323)를 형성하는 배출파이프(321)의 단부(322)의 형상, 즉 경사면을 형성하는 원주면의 형상에 의해 부압 발생 지점(N1)에서 와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부압 발생 지점(N1)의 압력을 더욱 낮출 수 있다.
한편, 팬장치(F)에서 발생되는 유동은 일반적인 축류팬의 특성상 가장자리 부분에서 단속적인 유동 특성을 보인다. 즉, 통풍관(D)의 벽 근처에서는 유동이 단속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부압이 발생되는 부분을 벽 근처에 배치할 경우 원활한 부압 형성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부압을 발생시키는 경사구멍부(323)를 센터영역에 배치할 경우, 유동이 상대적으로 덜 단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안정적으로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통풍관(D)을 흐르는 기체의 유속은 센터라인(CL) 부근에서 가장 빠르므로, 경사구멍부(323)를 센터영역, 특히 센터라인(CL)에 배치함으로써 밴츄리미터 효과를 높여 부압이 더 잘 발생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사구멍부(323)는 부압이 형성되는 공간의 면적, 즉 부압 발생 면적이 경사구멍부(323)가 아닌 직선 형태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의 출구부에 비해 더 넓으므로 더욱 부압을 잘 발생시킬 수 있다.
관통피스(310)는 부압발생기(320)와 배출라인(340)을 연결하며, 통풍관(D)의 벽면에 설치되는 플랜지(311)와, 배출라인(340)의 단부에 연결되는 플랜지(312) 및, 통풍관(D)의 벽을 관통하는 허브(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라인(340)과 배출파이프(321)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파이프가 허브(313)를 통해 통풍관(D)의 벽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은 관통피스(310)의 구조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공지의 기술 수단을 이용하여 배출라인(340)과 배출파이프(321)를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배출라인(340)은 탐지부(200)의 기체를 부압발생기(320)로 안내하며, 니플(341, 342) 등의 배관 연결 부재로 탐지부(200) 및 관통피스(310)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라인(340)은 유입라인(140)과 마찬가지로 탐지부(200)가 통풍관(D)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수십센티미터 이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배출라인(340)은 기체가 조금 더 용이하게 탐지부(200) 내에 머무를 수 있도록 유입라인(140)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기체는 탐지부(200)를 통해 배출부(300)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어큐뮬레이터(110), 여과기(120), 유입라인(140), 탐지부(200), 배출라인(340), 관통피스(310), 부압발생기(320)는 모두 연통되도록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기 탐지 장치(10)를 이용한 연기 탐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2는 도 1의 연기 탐지 장치를 이용한 연기 탐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팬장치(F)에 의해 통풍관(D)의 내부 기체가 팬장치(F)의 상류측(A)에서 하류측(B)으로 유동된다(S110).
이때, 부압발생기(320)의 경사구멍부(323) 앞쪽의 부압 발생 지점(N1)에서는 부압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통풍관(D)을 흐르던 기체가 어큐뮬레이터(110) 측으로 유입된다(S120). 구체적으로, 부압 발생 지점(N1)에서는 어큐뮬레이터(110)의 유입구(113) 주변의 압력보다 낮은 부압이 생성되고, 부압 발생 지점(N1)과 어큐뮬레이터(110)의 유입구(113) 주변의 압력차에 의해 통풍관(D)을 흐르던 기체는 어큐뮬레이터(110)의 유입구(113) 쪽으로 유입된다.
일반적으로 팬장치(F)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고, 유입부(100)와 배출부(300)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팬장치(F)의 후류측(B)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에는, 유입부(100)와 배출부(300) 사이에 압력 차이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설사 압력 차이를 만들어 낸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압력차이를 일정한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기는 매우 어렵다. 특히, 팬장치(F)에 의해 기체가 고속으로 압송되거나 풍량이 많아지는 환경에서 위와 같은 어려움은 더욱 커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위와 같은 기체 유입 과정(S120)은, 부압발생기(320)가 센터영역에서 부압을 발생시킴으로 인해 벤츄리미터 효과를 극대화시켜 더욱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특히, 부압이 후류측(B)을 향하는 경사구멍부(323)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부압 발생에 따른 기체 유입은 더욱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부압이 안정적으로 발생될 수 있으므로 기체가 고속으로 압송되거나 풍량이 많은 환경에서도 탐지부(200)로 적절한 유량, 유속의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력 차이에 의해 어큐뮬레이터(110)로 유입된 기체는 일시적으로 어큐뮬레이터 케이스(112)에 집적되었다가 여과기(120)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제거되고, 유입라인(140)을 따라 탐지부(200)로 안내된다(S130).
탐지부(200)는 공급된 기체에 연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며, 감지 결과 또는 그에 따른 화재 발생 여부에 대응하는 신호를 화재감시통제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S140). 일 예로, 탐지부(200)에서 기체 내에 연기가 일정 수준 이상 포함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탐지부(200)는 화재감시통제부에 화재가 발생되었다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안정적인 부압 생성으로 인해, 탐지부(200)로는 외적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기체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탐지부(200)의 탐지 신뢰성도 향상될 수 있다.
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기체는 탐지부(200)에서 소정 시간 머무를 수 있으며, 배출부(300)의 배출라인(340) 및 관통피스(310)를 경유해, 부압발생기(320)의 경사구멍부(323)을 통과해 통풍관(D)의 센터영역으로 배출된다(S15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탐지부(200)를 통풍관(D)의 주변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연기탐지장치와 화재감시통제부 사이의 긴 연기 배출관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재료비 및 설치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탐지부(200)를 통풍관의 주변에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므로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압발생기(320)를 통풍관(D)의 센터영역에 배치함으로써, 팬장치(F)에 의해 기체가 고속으로 압송되거나 풍량이 많은 환경에서도 탐지부로 적절한 유량, 유속의 기체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탐지부(200)의 연기 탐지 성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부압발생기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10')의 부압발생기(320')는 배출파이프(321')와 배출파이프(321')의 단부에 제공된 에어이젝터(324)를 포함한다.
배출파이프(321')는 제 1 실시예의 배출파이프(321)와 마찬가지로, 부압이 센터영역에서 발생되고, 기체가 센터영역에서 토출될 수 있도록 통풍관(D)의 벽으로부터 센터영역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에어이젝터(324)는 통풍관(D)의 센터영역, 특히 기체가 통과하는 구멍의 중심이 센터라인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통풍관(D)의 연장 방향과 에어이젝터(324)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동 방향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에어이젝터(324)의 입구인 직경이 큰 구멍은 상류측(A)을 향하고, 에어이젝터(324)의 출구인 직경이 작은 구멍은 하류측(B)을 향하게 될 수 있다.
에어이젝터(324)는 기체(g)의 속도를 가속시켜서 부압 발생 지점(N2)에서 부압을 크게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어큐뮬레이터(110)의 유입구(113) 주변과의 압력차를 크게 할 수 있는 바 더욱 안정적인 기체 유입을 보장할 수 있다. 이때, 배출파이프(321')의 단부는 에어이젝터(324)의 케이스 내부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제공되어, 부압 발생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탐지부(200)의 기체는 압력 차이에 의해 통풍관(D)에 연결된 관통피스(310)를 경유하여 부압발생기(320')의 배출파이프(321')로 이동하고, 부압 발생 지점(N2)인 에어이젝터(324)의 내부에 위치한 배출파이프(321')의 배출구멍 및 에어이젝터(324)의 출구를 통해 통풍관(D)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10' : 연기 탐지 장치 100 : 유입부
110 : 어큐뮬레이터 120 : 여과기
140 : 유입라인 200 : 탐지부
210 : 디텍터박스 220 : 디텍터
300 : 배출부 310 : 관통피스
320, 320' : 부압발생기 321, 321' : 배출파이프
323 : 경사구멍부 324 : 에어이젝터
340 : 배출라인
110 : 어큐뮬레이터 120 : 여과기
140 : 유입라인 200 : 탐지부
210 : 디텍터박스 220 : 디텍터
300 : 배출부 310 : 관통피스
320, 320' : 부압발생기 321, 321' : 배출파이프
323 : 경사구멍부 324 : 에어이젝터
340 : 배출라인
Claims (12)
- 팬장치를 사용하는 통풍관을 통과하는 기체에서 연기를 탐지하는 연기 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기체를 유입받도록 상기 통풍관에 결합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기체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기체에서 연기를 탐지하는 탐지부; 및
상기 팬 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탐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통풍관의 센터영역에서 상기 유입부 주변의 압력보다 낮은 부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탐지부의 기체를 상기 통풍관으로 배출하는 부압발생기를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부압과 상기 유입부 주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기체가 상기 탐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연기 탐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기는,
상기 통풍관의 벽면으로부터 상기 센터영역으로 연장되는 배출파이프; 및
상기 배출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팬장치와 반대 방향을 향해 개구된 경사구멍부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멍부의 중심은 센터라인 상에 위치하는 연기 탐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기는,
상기 통풍관의 벽면으로부터 상기 센터영역으로 연장되는 배출파이프; 및
상기 배출파이프의 단부에 제공되며, 직경이 큰 구멍은 상기 팬장치를 향하고 직경이 작은 구멍은 상기 팬장치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에어이젝터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파이프의 단부는 상기 에어이젝터의 케이스 내부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연기 탐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통풍관의 벽을 통과해 유입되는 기체를 집적하는 어큐뮬레이터;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집적된 기체를 상기 탐지부로 안내하는 유입라인;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탐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로에 집적된 상기 기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기를 포함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유입라인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공간에 기체를 집적하는 연기 탐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탐지부로부터 상기 부압발생기로 기체를 안내하는 배출유로; 및
상기 통풍관의 벽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유로 및 상기 부압발생기를 연결하는 관통피스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장치. - 통풍관을 지나는 기체에서 연기를 탐지하기 위한 연기 탐지 방법에 있어서,
a) 팬장치가 상기 통풍관 내부의 기체를 유동시키는 단계;
b) 상기 팬장치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통풍관의 센터영역에서 부압을 발생시키는 부압발생기에서 발생된 부압과 상기 팬장치의 하류측에 위치한 기체 유입부의 압력 사이의 압력 차에 의해 연기를 탐지부로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탐지부가 상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기체에서 연기를 감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탐지부의 기체를 상기 부압발생기를 통해 상기 통풍관 내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통풍관에 연결된 어큐뮬레이터가 기체를 집적하는 단계;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집적된 기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탐지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탐지부가 상기 연기를 감지하는 것에 상응한 감지신호를 화재감시통제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기 탐지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은 배출파이프의 단부에 제공된 경사구멍부 또는 에어이젝터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탐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579A KR101404032B1 (ko) | 2012-09-18 | 2012-09-18 |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579A KR101404032B1 (ko) | 2012-09-18 | 2012-09-18 |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6890A true KR20140036890A (ko) | 2014-03-26 |
KR101404032B1 KR101404032B1 (ko) | 2014-06-10 |
Family
ID=5064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579A KR101404032B1 (ko) | 2012-09-18 | 2012-09-18 |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403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1709A (ko) * | 2016-04-25 | 2017-11-02 |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
CN110853286A (zh) * | 2019-12-02 | 2020-02-28 | 扬州万邦电子有限公司 | 一种船舶用烟雾报警器、报警系统及其报警方法 |
CN116818021A (zh) * | 2023-07-14 | 2023-09-29 | 安徽万纬工程管理有限责任公司 | 一种石化生产排放物动态监测设备及监测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0175A (ko) * | 2011-05-20 | 2011-09-09 | 주식회사 엔케이 | 이중감지식 선박용 가스소화설비 |
KR101125188B1 (ko) * | 2011-09-08 | 2012-03-20 | 주식회사 엔케이 | 화재진압용 스모크 디텍터 장치 |
-
2012
- 2012-09-18 KR KR1020120103579A patent/KR10140403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1709A (ko) * | 2016-04-25 | 2017-11-02 |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
CN110853286A (zh) * | 2019-12-02 | 2020-02-28 | 扬州万邦电子有限公司 | 一种船舶用烟雾报警器、报警系统及其报警方法 |
CN116818021A (zh) * | 2023-07-14 | 2023-09-29 | 安徽万纬工程管理有限责任公司 | 一种石化生产排放物动态监测设备及监测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4032B1 (ko) | 2014-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18440B2 (en) | Gas detector for use with an air sampling particle detection system | |
AU2017201651B2 (en) | Fire detection | |
TWI603064B (zh) | 用於與微粒檢測器使用之空氣取樣系統 | |
WO2016116024A1 (zh) | 带或不带采气管的点型主动感烟探测器及空气采样系统 | |
EP1975896B1 (en) | Smoke detector and sampling air supplying method for smoke detector | |
KR101404032B1 (ko) |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 | |
US20210348987A1 (en) | Detection of a clogged filter in an aspirating detection system | |
JP2009230342A (ja) | 煙感知器 | |
US20230236082A1 (en) | Monitoring of an aspirating detection system | |
US7015820B2 (en) | Apparatus for monitoring a smoke detector | |
EP2013606B1 (en) | Oil leakage detector | |
CN107667262A (zh) | 通风系统 | |
CN210486945U (zh) | 气体检测装置 | |
KR101113012B1 (ko) | 통풍덕트용 연기탐지장치 | |
CN107335477A (zh) | 一种设有智能排风装置的生物安全柜 | |
CN207153329U (zh) | 烟雾净化器的报堵装置 | |
CN104407650A (zh) | 应用于生物安全柜的多个气流监控装置 | |
JP2016017925A (ja) | 粉塵漏洩監視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