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880A - 전지모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지모듈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36880A KR20140036880A KR1020120103553A KR20120103553A KR20140036880A KR 20140036880 A KR20140036880 A KR 20140036880A KR 1020120103553 A KR1020120103553 A KR 1020120103553A KR 20120103553 A KR20120103553 A KR 20120103553A KR 20140036880 A KR20140036880 A KR 201400368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module
- battery
- module assembly
- external input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claims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전지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battery module assembly)로서, 상기 전지모듈은, 단위 셀로서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상호 밀착 또는 인접한 상태로 직렬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전지모듈의 일측면에는 내부에 장착된 단위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제 1 전지모듈과 제 2 전지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 바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전지모듈의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에 장착되고,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슬릿형 개방 구조의 제 1 단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전지모듈의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에 장착되고,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슬릿형 개방 구조의 제 2 단자 삽입홈이 제 1 단자 삽입홈의 개방 방향과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전지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battery module assembly)로서, 상기 전지모듈은, 단위 셀로서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상호 밀착 또는 인접한 상태로 직렬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전지모듈의 일측면에는 내부에 장착된 단위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제 1 전지모듈과 제 2 전지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 바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전지모듈의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에 장착되고,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슬릿형 개방 구조의 제 1 단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전지모듈의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에 장착되고,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슬릿형 개방 구조의 제 2 단자 삽입홈이 제 1 단자 삽입홈의 개방 방향과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지모듈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카트리지에 내장하고, 이러한 카트리지 다수 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작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높은 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 시스템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단위전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편, 전지들(단위전지 포함), 전지 카트리지들, 전지모듈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 이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외부기기와의 연결 등을 위해서는 전극단자의 연결이 필요하다. 또한, 동력원으로서의 전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압 등의 신호를 인출하는 경우에도 해당 연결부재와 전극단자와의 연결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전지모듈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인터-버스 바(inter-bus bar)가 사용된다. 상기 인터-버스 바는 전지모듈의 외부입출력 단자에 장착되어 인접한 상태로 직렬 연결되는 또 다른 전지모듈의 외부입출력 단자와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전지모듈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은 인터-버스 바를 추가적으로 장착하여 달성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각 전지모듈들이 인터-버스 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모듈 어셈블리(100)를 구성하고 있는 각 전지모듈들(10, 20)의 일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된 외부입출력 단자(11, 12, 21, 22)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외부입출력 단자(11, 12, 21, 22)에 모듈 버스 바(module bus bar, 3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전지모듈들(10, 20)의 상호 전기적 연결을 위해 추가적으로 인터-버스 바(40)가 장착되어 너트(41, 42)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터-버스 바에 의한 전지모듈 어셈블리 구조는, 추가적으로 전기적 연결부재(인터-버스 바)를 제작해야 하고, 이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며 이와 관련한 제작 공정 및 조립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를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인터-버스 바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직렬연결을 달성할 수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인터-버스 바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직렬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비용 절감효과 및 향상된 생산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2개 이상의 전지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battery module assembly)로서,
상기 전지모듈은, 단위 셀로서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상호 밀착 또는 인접한 상태로 직렬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전지모듈의 일측면에는 내부에 장착된 단위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제 1 전지모듈과 제 2 전지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 바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전지모듈의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에 장착되고,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슬릿형 개방 구조의 제 1 단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전지모듈의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에 장착되고,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슬릿형 개방 구조의 제 2 단자 삽입홈이 제 1 단자 삽입홈의 개방 방향과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접속부;
를 포함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추가적으로 인터-버스 바를 제작하여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있는 각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고 있으나, 추가적인 부품 장착에 따른 비용발생, 제작 공정 및 조립 공정이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를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인터-버스 바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직렬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인터-버스 바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직렬 연결할 수 있으므로, 생산비용 절감효과 및 향상된 생산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스 바는, 슬릿형 개방 구조의 단자 삽입홈들을 포함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형 개방 구조의 폭 길이는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10%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버스 바는,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를 슬릿형 개방 구조를 통해 용이하게 수용하여 전기적 접촉을 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전지셀은 전지모듈의 구성을 위해 충적되었을 때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얇은 두께와 상대적으로 넓은 폭 및 길이를 가진 판상형 전지셀일 수 있다. 그러한 바람직한 예로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외주면이 열융착 밀봉되어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이차전지를 파우치형 전지셀로 칭하기도 한다.
이 경우, 상기 전지셀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는 전지셀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전지모듈”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충방전 전지셀들 또는 단위모듈들을 기계적으로 체결하고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출력 대용량의 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전지 시스템의 구조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므로, 그 자체로서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거나, 또는 대형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형 전지모듈을 다수 개 연결한 대형 전지모듈의 구성도 가능하고, 전지셀들을 소수 연결한 구조의 단위모듈을 다수 개 연결한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단위모듈의 구조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단위모듈은 전극단자들이 직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 및 상기 전극단자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전지셀들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셀 커버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셀들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의 셀 커버에 감싸인 구조로 하나의 단위모듈을 구성할 수 있는 바, 상기 셀 커버는 기계적 강성이 낮은 전지셀을 보호하면서 충방전시의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의 변화를 억제하여 전지셀의 실링부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더욱 안전성이 우수한 전지모듈의 제조가 가능해 진다.
단위모듈 내부 또는 단위모듈 상호간의 전지셀들은 직렬 및/또는 병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전지셀들을 그것의 전극단자들이 연속적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직렬 배열한 상태에서 전극단자들을 결합시킨 뒤,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전지셀들을 중첩되게 접고 소정의 단위로 셀 커버에 의해 감쌈으로써 다수의 단위모듈들을 제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전지셀들을 셀 커버에 의해 감싸 단위모듈을 제조하고, 그러한 단위모듈 다수 개를 상호 충적시킨 후, 서로 대면하는 전극단자들을 직렬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전극단자들의 결합은 용접, 솔더링, 기계적 체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접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전극단자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고 높은 밀집도로 충적된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은, 바람직하게는, 조립식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상하 분리형의 케이스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장방형 전지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셀들은 전극단자들이 전방 및/또는 후방에 위치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모듈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모듈 케이스는 다수의 단위 셀들을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계면에는 모듈 케이스를 외부로부터 밀폐하기 위한 절연성 가스켓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습기가 모듈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들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원기둥 형상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 바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들의 나사산에 너트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상기 버스 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는 제 1 전지모듈의 양극 또는 음극 단자이고, 상기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는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의 반대 전극으로서 제 2 전지모듈의 음극 또는 양극 단자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스 바는 제 1 전지모듈과 제 2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스 바는 도전성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 전도율이 높은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니켈이 도금된 구리 소재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 1 단자 삽입홈의 개방 방향과 제 2 단자 삽입홈의 개방 방향으로 서로 직각인 구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자 삽입홈의 개방 방향은 전지모듈의 상부 방향이고, 상기 제 2 단자 삽입홈은 전지 모듈의 측부 방향인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단자 삽입홈의 방향의 제 1 전지모듈에 인접하여 조립되는 제 2 전지모듈의 조립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버스 바는,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를 슬릿형 개방 구조를 통해 용이하게 수용하여 전기적 접촉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 사이의 단차 높이는 제 2 전지모듈의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에 장착된 모듈 버스 바의 두께와 대응되는 길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버스 바에 의해 제 1 전지모듈과 제 2 전지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시, 제 2 전지모듈의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에 장착된 모듈 버스 바의 두께에 의한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전지모듈 어셈블리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팩과, 이러한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 장치일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를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적용함으로서, 별도의 인터-버스 바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직렬연결을 달성할 수 있고, 생산비용 절감효과 및 향상된 생산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각 전지모듈들이 인터-버스 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500)의 제 1 전지모듈(200) 및 제 2 전지모듈(300)이 버스 바(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전지모듈(200)의 일측면에는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210) 및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220)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 2 전지모듈(300) 역시 일측면에 제 2 외부 입출력단자(310) 및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320)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전지모듈(200)의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210)에는 모듈 버스 바(211)가 장착되어 있고,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220)에는 버스 바(40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제 1 전지모듈(200)과 제 2 전지모듈(300)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버스 바(400)는, 체결 고정 부재(너트, 45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3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500)의 버스 바(400)는 제 1 접속부(410), 제 2 접속부(420) 및 제 1 접속부(410)와 제 2 접속부(420)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43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또한, 버스 바(400)의 제 1 접속부(410) 및 제 2 접속부(420)에는 슬릿형 개방 구조의 제 1 단자 삽입홈(411) 및 제 2 단자 삽입홈(4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버스 바(400)는 제 1 단자 삽입홈(411)을 통해 외부 입출력 단자(320)를 수용하여 전기적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입출력 단자(32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321)에 체결 고정부재(너트, 도시하지 않음)를 체결함으로써 버스 바(400)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버스 바(400)에는 제 1 접속부(410)와 제 2 접속부(420) 사이에 단차부(430)가 형성되어 있어, 제 2 전지모듈(300)의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310)에 장착된 모듈 버스 바(311)의 두께에 의한 전지모듈(200, 300) 간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한 전지모듈 어셈블리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지모듈 어셈블리(500)는 각 전지모듈(200, 300)의 제 2 외부입출력 단자(210, 310)에 모듈 버스 바(211, 311)를 장착하고 제 1 외부입출력 단자(220, 3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400)를 장착하여, 전지모듈(200, 3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500)는 별도의 인터-버스 바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직렬연결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비용 절감효과 및 향상된 생산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8)
- 2개 이상의 전지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battery module assembly)로서,
상기 전지모듈은, 단위 셀로서 다수의 전지셀 또는 단위모듈들이 상호 밀착 또는 인접한 상태로 직렬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전지모듈의 일측면에는 내부에 장착된 단위 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 및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인접한 제 1 전지모듈과 제 2 전지모듈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 바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제 1 전지모듈의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에 장착되고,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슬릿형 개방 구조의 제 1 단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전지모듈의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에 장착되고,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를 수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슬릿형 개방 구조의 제 2 단자 삽입홈이 제 1 단자 삽입홈의 개방 방향과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접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판상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상태에서 외주면이 열융착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는 전지셀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모듈은 전극단자들이 직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 및 상기 전극단자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전지셀들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셀 커버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셀들은, 전지모듈의 외부 입출력 단자들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전극단자들이 전지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는 다수의 단위 셀들을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들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원기둥 형상의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8 항에 있어서, 버스 바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들의 나사산에 너트가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는 제 1 전지모듈의 양극 또는 음극 단자이고, 상기 제 2 외부 입출력 단자는 제 1 외부 입출력 단자의 반대 전극으로서 제 2 전지모듈의 음극 또는 양극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도전성 금속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금속 판재는 니켈이 도금된 구리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 삽입홈의 개방 방향과 제 2 단자 삽입홈의 개방 방향으로 서로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 삽입홈의 개방 방향은 전지모듈의 상부 방향이고, 상기 제 2 단자 삽입홈은 전지 모듈의 측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팩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6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553A KR101533991B1 (ko) | 2012-09-18 | 2012-09-18 | 전지모듈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553A KR101533991B1 (ko) | 2012-09-18 | 2012-09-18 | 전지모듈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6880A true KR20140036880A (ko) | 2014-03-26 |
KR101533991B1 KR101533991B1 (ko) | 2015-07-06 |
Family
ID=5064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553A KR101533991B1 (ko) | 2012-09-18 | 2012-09-18 | 전지모듈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399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8647A (ko) * | 2015-09-04 | 2017-03-1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접속장치 |
WO2019143032A1 (ko) * | 2018-01-16 | 2019-07-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bldc 모터 장치 |
WO2019146962A1 (ko) * | 2018-01-26 | 2019-08-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7294B1 (ko) * | 2004-10-28 | 2006-09-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
EP2343755A4 (en) * | 2008-11-07 | 2013-06-26 | Mitsubishi Heavy Ind Ltd | OMNIBUS SECONDARY BATTERY BAR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
JP2011134549A (ja) * | 2009-12-24 | 2011-07-07 | Panasonic Corp | 電池モジュール |
KR101230954B1 (ko) * | 2010-04-08 | 2013-02-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신규한 구조의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2012
- 2012-09-18 KR KR1020120103553A patent/KR10153399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8647A (ko) * | 2015-09-04 | 2017-03-1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접속장치 |
WO2019143032A1 (ko) * | 2018-01-16 | 2019-07-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bldc 모터 장치 |
WO2019146962A1 (ko) * | 2018-01-26 | 2019-08-0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
KR20190091049A (ko) * | 2018-01-26 | 2019-08-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
CN110603663A (zh) * | 2018-01-26 | 2019-12-20 | 株式会社Lg化学 | 电池模块及电池模块组件 |
JP2020520061A (ja) * | 2018-01-26 | 2020-07-02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 |
US11764433B2 (en) * | 2018-01-26 | 2023-09-19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3991B1 (ko) | 2015-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6148B1 (ko) | 자동차용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모듈 집합체 | |
KR101480385B1 (ko) |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
US9741984B2 (en) | Battery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 |
KR101053208B1 (ko) | 용접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
US10381679B2 (en) | Battery module array | |
KR101509474B1 (ko) | 단일 전극단자 결합부를 가진 전지 조합체 | |
US20130052515A1 (en) | Battery module | |
KR20120074415A (ko) | 신규한 구조의 단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US20190260096A1 (en) | Battery Pack and Holder | |
KR20130012469A (ko) | 에너지 저장 모듈 | |
KR101821377B1 (ko) | 케이스 프레임 타입의 2 셀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어레이 | |
KR101533991B1 (ko) | 전지모듈 어셈블리 | |
JP2022548857A (ja) |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 |
KR101521776B1 (ko) | 출력단자 위치 변경용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101084986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 |
KR101658587B1 (ko) |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EP4030515A1 (en) | Battery module | |
KR101717199B1 (ko) | 전압 센싱용 접속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101325037B1 (ko) | 제조공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 |
KR20190135859A (ko) | 배터리 모듈 | |
KR20140019944A (ko) | 조립형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20150112917A (ko) |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