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756A - 실외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실외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756A
KR20140036756A KR1020120103269A KR20120103269A KR20140036756A KR 20140036756 A KR20140036756 A KR 20140036756A KR 1020120103269 A KR1020120103269 A KR 1020120103269A KR 20120103269 A KR20120103269 A KR 20120103269A KR 20140036756 A KR20140036756 A KR 20140036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eat exchanger
outdoor heat
baffl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홍
이상옥
장준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6756A/ko
Publication of KR20140036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난방 모드 시 증발기 역할을 하는 다운 플로우 타입의 실외열교환기에 있어서, 하부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는 제2배플의 높이방향으로 하부일정영역에 오일유동홀이 형성됨으로써, 다운 플로우 타입의 구조상 하부탱크에 오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외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외열교환기{OUTDOOR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실외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난방 모드 시 증발기 역할을 하는 다운 플로우 타입의 실외열교환기에 있어서, 하부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는 제2배플의 높이방향으로 하부일정영역에 오일유동홀이 형성됨으로써, 다운 플로우 타입의 구조상 하부탱크에 오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외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휘발유, 경유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이 현재 일반적인 차량의 형태이나, 이러한 차량용 에너지원 역시 환경오염 문제 뿐 아니라 석유 매장량의 감소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새로운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는 바, 현재 가장 실용화 단계에 가까운 기술 중 하나가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구동되는 차량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서는 종래의 석유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엔진을 가지는 차량과는 달리 냉각수를 이용한 히팅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석유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엔진을 구동원으로 하는 차량의 경우 엔진에서 매우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고,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순환 시스템이 구비되며, 냉각수가 엔진으로부터 흡수한 열을 실내 난방에 이용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엔진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많은 열이 전기자동차의 사용하는 차량의 구동원에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난방 방식을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에서는, 공조 시스템에 히트펌프를 추가하여 이를 열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전기 히터와 같은 별도의 열원을 구비하는 등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고 토출하는 압축기(30); 상기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방열시키는 고압측 열교환기(32); 병렬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고압측 열교환기(32)를 통과한 냉매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팽창밸브(34) 및 제1바이패스 밸브(36); 상기 제1팽창밸브(34) 또는 제1바이패스 밸브(36)를 통과한 냉매를 실외에서 열교환시키는 실외기(48); 상기 실외기(48)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저압측 열교환기(60);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60)를 통과한 냉매를 기상과 액상의 냉매로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62);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60)로 공급되는 냉매; 압축기(30)로 복귀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내부열교환기(50);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60)로 공급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팽창시키는 제2팽창밸브(56); 그리고 상기 제2팽창밸브(56)와 벙렬로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48)의 출구측과 상기 어큐뮬레이터(62)의 입구측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바이패스 밸브(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중 도면부호 10은 상기 고압측 열교환기(32)와 저압측 열교환기(60)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 도면부호 12는 냉기와 온기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 도면부호 20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입구에 설치되는 송풍기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따르면, 히트펌프 모드(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제1바이패스 밸브(36) 및 제2팽창밸브(56)는 닫히고, 제1팽창밸브(34) 및 제2바이패스 밸브(58)는 개방된다. 또한, 온도조절도어(12)는 도 1처럼 동작한다.
따라서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고압측 열교환기(32), 제1팽창밸브(34), 실외열교환기(48), 내부열교환기(50)의 고압부(52), 제2바이패스 밸브(58), 어큐뮬레이터(62) 및 상기 내부열교환기(50)의 저압부(54)를 차례로 거쳐 압축기(30)로 복귀한다.
즉, 상기 고압측 열교환기(32)가 난방기의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실외기(48)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에어컨 모드(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제1바이패스 밸브(36) 및 제2팽창밸브(56)는 개방되고, 제1팽창밸브(34) 및 제2바이패스 밸브(58)는 닫히게 된다. 또한, 온도조절도어(12)는 고압측 열교환기(32)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3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고압측 열교환기(32), 제1바이패스밸브(36), 실외열교환기(48), 내부열교환기(50)의 고압부(52), 제2팽창밸브(56), 저압측 열교환기(60), 어큐뮬레이터(62) 및 상기 내부열교환기(50)의 저압부(54)를 차례로 거쳐 압축기(30)로 복귀한다. 즉, 상기 저압측 열교환기(60)가 증발기의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에 의해 폐쇄된 상기 고압측 열교환기(32)는 히트펌프 모드시와 동일하게 난방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2009-0111168호(공개일 2009.10.26, 명칭 : 차량용 히트펌프 공조장치)에서는 증발기 역할을 하는 실외열교환기와 라디에이터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난방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 차량용 히트펌프 공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한편, 난방 모드에서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외부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표면의 온도가 급속하게 저하됨으로써 표면에 수분이 결빙되어 서리가 발생되며, 서리를 녹이는 제상과정에서 응축수가 배출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크로스 플로우 타입으로 핀/튜브가 배치될 경우, 서리를 녹이는 제상과정에서 녹은 물의 배수성이 좋지 않아 제상이 잘 되지 않고, 녹았던 서리가 재동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다운 플로우 타입의 실외열교환기는 일반적인 자용차용 증발기와 같이 녹았던 서리가 밑으로 흘러내리도록 형성됨으로써 배수성이 좋아지고 히트펌프의 제상모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실외열교환기는 다운 플로우 타입의 구조상, 내부에 유동되는 냉매에 포함된 오일이 하부탱크에 가라앉아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난방 성능 및 압축기의 내구성에 악영항을 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09-0111168호(공개일 2009.10.26, 명칭 : 차량용 히트펌프 공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난방 모드 시 증발기 역할을 하는 다운 플로우 타입의 실외열교환기에 있어서, 하부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는 제2배플의 높이방향으로 하부일정영역에 오일유동홀이 형성됨으로써, 다운 플로우 타입의 구조상 하부탱크에 오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외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난방 모드 시 증발기 역할을 하는 실외열교환기(1)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냉매가 유입 및 배출되는 상부탱크(100); 상기 상부탱크(100)와 높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측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하부탱크(200); 상기 상부탱크(100) 및 하부탱크(20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300); 상기 튜브(30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핀(400); 상기 하부탱크(200)와 연결되는 수액기(500); 상기 상부탱크(10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는 제1배플(610); 상기 하부탱크(20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되, 높이방향으로 하부 일정영역이 중공되어 형성되는 오일유동홀(621)을 포함하는 제2배플(620); 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유출입탱크(110), 및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의 상측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2유출입탱크(120)로 이루어지는 상부탱크(100);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파이프(130); 및 상기 제2유출입탱크(120)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2파이프(140);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튜브(300)의 일단이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배플(610)이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탱크(100)는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 및 제2유출입탱크(120)가 서로 연통되는 연통로(1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탱크(200)는 길이방향으로 양측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210)가 밀폐용 배플(220)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액기(500)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530); 상기 하부탱크(200)와 상기 몸체(530) 사이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연결파이프(510) 및 제2연결파이프(5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하부탱크(200) 내에서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 및 제2연결파이프(520)와 연결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제3배플(630); 및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상기 제3배플(630)과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4배플(640); 을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냉방모드 시, 상기 튜브(300) 및 핀(400)으로 구성되는 코어 영역을 응축영역 및 과냉영역으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탱크(20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제1블럭(810); 및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탱크(20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제2블럭(8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제4배플(640)에 의해 구획된 과냉영역 측의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상기 연통로(15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배플(620)은 상기 오일유동홀(621)이 하부 일정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중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배플(620)은 상기 오일유동홀(621)이 하부 일정영역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는 하부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는 제2배플의 높이방향으로 하부일정영역에 오일유동홀이 형성됨으로써, 다운 플로우 타입의 구조상 하부탱크에 오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는 하부탱크에 오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히트펌프 시스템 내 순환되는 냉매와 함께 오일이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는 서리를 녹이는 제상과정에서 녹은 물이 밑으로 흘러내리도록 형성되어 히트펌프 작동 시 제상모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에서 하부탱크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에서 제2배플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에서 제2배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에서 제2배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외열교환기에서 하부탱크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에서 하부탱크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에서 제2배플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에서 제2배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열교환기에서 제2배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외열교환기에서 하부탱크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난방 모드 시 증발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존의 응축기가 다운 플로우(down flow) 타입으로 형성되어 냉매가 높이방향으로 유동하는 흐름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크게, 상부탱크(100), 하부탱크(200), 튜브(300), 핀(400), 수액기(500), 제1배플(610) 및 제2배플(6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탱크(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된다.
상기 하부탱크(200)는 상기 상부탱크(100)와 높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측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동되며, 수액기(500)가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수액기(500)는 냉방모드 시,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를 분리하여 액상냉매를 공급하게 되며, 난방모드 시, 냉매가 이동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수액기(500)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530); 상기 하부탱크(200)와 상기 몸체(530) 사이에 연결되어 냉매가 상기 몸체(55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제1연결파이프(510); 및, 상기 하부탱크(200)와 상기 몸체(55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530)로부터 냉매가 하부탱크(200)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2연결파이프(520); 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튜브(300)는 상기 상부탱크(100) 및 하부탱크(20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며, 그 사이에 전열면적이 증대되도록 핀(400)이 개재된다.
이 때, 상기 상부탱크(100) 및 하부탱크(200)는 각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300)의 양단이 결합되는 헤더(미도시)와 상기 헤더에 결합되는 탱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수액기(500)가 상기 하부탱크(200)와 연결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부탱크(200)와 나란하게 상기 하부탱크(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배플(610)은 상기 상부탱크(1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배플(620)은 상기 하부탱크(20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조절하며, 개수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튜브(300) 및 핀(400)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부를 유동하는 열교환매체의 유동경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2배플(620)은 상기 하부탱크(200)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높이방향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의 일정영역이 중공되어 형성되는 오일유동홀(621)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다운 플로우 타입의 구조상 하부탱크(200)에 오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하부탱크(200) 내에서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 및 제2연결파이프(520)와 연결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제3배플(6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상기 제3배플(630)과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4배플(6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제3배플(630) 및 제4배플(640)에 의해, 냉방모드 시, 상기 튜브(300) 및 핀(400)으로 구성되는 코어 영역이 응축영역 및 과냉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탱크(20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제1블럭(810); 및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탱크(20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제2블럭(82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블럭(810) 및 제2블럭(820)은 상측면 일부영역이 중공되어 상기 하부탱크(200)의 하측면에 중공된 냉매 유출입구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1블럭(810) 및 제2블럭(820)은 수평방향으로 일측면의 일부영역이 중공되어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 및 제2연결파이프(520)와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수액기(500)의 제1연결파이프(510) 및 아웃렛 파이프(520)를 상기 하부탱크(200)의 하측면에 연결하기 위해 끝 단부를 구부릴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제1블럭(810) 및 제2블럭(820)에 바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탱크(200)와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 제2연결파이프(520)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좁힐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열교환기(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유출입탱크(110), 및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의 상측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2유출입탱크(120)로 이루어지는 상부탱크(100);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파이프(130); 및 상기 제2유출입탱크(120)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2파이프(140);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튜브(300)의 일단이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배플(610)이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 내부에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탱크(100)는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 및 제2유출입탱크(120)가 서로 연통되는 연통로(15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연통로(150)는 상기 제4배플(640)에 의해 구획된 과냉영역 측의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실외열교환기(1)에서 냉매의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1파이프(130)를 통해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1배플(610)에 의해 상기 튜브(300)를 따라 상기 하부탱크(200)로 유입된다.
그 다음, 냉매는 상기 하부탱크(200) 내에서 우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다시 상기 튜브(300)를 따라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로 유입된 후,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 내에서 우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상기 튜브(300)를 따라 상기 하부탱크(200)로 유동된다.
이 후, 냉매는 제1연결파이프(510)를 따라 상기 수액기(500)로 이동된 다음, 제2연결파이프(520)를 따라 상기 하부탱크(200)로 유동된다.
하부탱크(200)로 유동된 냉매는 다시 상기 튜브(300)를 따라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로 유입되며, 상기 연통로(150)를 통해 상기 제2유출입탱크(120)로 유동되어 상기 제2파이프(140)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냉매의 흐름을 갖는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냉매가 하부탱크(200) 내에 유동되는 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바닥면에 가라앉은 오일이 정체되지 않고, 상기 제2배플(620)에 형성된 오일유동홀(621)을 통해 유동됨으로써, 내부에 정체되는 오일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배플(620)은 하부의 중심영역에 하나의 오일유동홀(621)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6처럼 작은 크기의 오일유동홀(621)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형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하다.
상기 제2배플(620)은 도 6 및 7과 같이 하부영역에 넓게 퍼져 상기 오일유동홀(621)이 형성될 경우, 유동통로의 면적이 증가되어 하부에 가라앉은 오일이 더 잘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탱크(200)는 길이방향으로 양측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210)가 밀폐용 배플(22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밀폐용 배플(220)은 상기 제2배플(620)과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오일유동홀(621)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밀폐용 배플(220)과 제2배플(620)은 동시에 제작된 다음, 절삭 또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상기 제2배플(620)에만 오일유동홀(62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어 제작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탱크(200)는 길이방향으로 양측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210)가 엔드캡(230)으로 밀폐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하부탱크(200)에 오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히트펌프 시스템 내 순환되는 냉매와 함께 오일이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의 내구성 및 열교환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외열교환기(1)는 서리를 녹이는 제상과정에서 녹은 물이 밑으로 흘러내리도록 형성되어 히트펌프 작동 시 제상모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실외열교환기
100 : 상부탱크
110 : 제1유출입탱크 120 : 제2유출입탱크
130 : 제1파이프 140 : 제2파이프
150 : 연통로
200 : 하부탱크
210 : 개구부 220 : 밀폐용 배플
230 : 엔드캡
300 : 튜브
400 : 핀
500 : 수액기
510 : 제1연결파이프 520 : 제2연결파이프
530 : 몸체
610 : 제1배플
620 : 제2배플 621 : 오일유동홀
630 : 제3배플 640 : 제4배플
810 : 제1블럭 820 : 제2블럭

Claims (10)

  1.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난방 모드 시 증발기 역할을 하는 실외열교환기(1)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냉매가 유입 및 배출되는 상부탱크(100);
    상기 상부탱크(100)와 높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측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하부탱크(200);
    상기 상부탱크(100) 및 하부탱크(20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의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튜브(300);
    상기 튜브(30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개의 핀(400);
    상기 하부탱크(200)와 연결되는 수액기(500);
    상기 상부탱크(10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는 제1배플(610);
    상기 하부탱크(200)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매체 흐름을 조절하되, 높이방향으로 하부 일정영역이 중공되어 형성되는 오일유동홀(621)을 포함하는 제2배플(620);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탱크(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유출입탱크(110);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의 상측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2유출입탱크(120);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파이프(130); 및
    상기 제2유출입탱크(120)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2파이프(140);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튜브(300)의 일단이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배플(610)이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열교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탱크(100)는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 및 제2유출입탱크(120)가 서로 연통되는 연통로(15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열교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탱크(200)는
    길이방향으로 양측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210)가 밀폐용 배플(220)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열교환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기(500)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530);
    상기 하부탱크(200)와 상기 몸체(530) 사이에 연결되어 냉매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제1연결파이프(510) 및 제2연결파이프(5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열교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하부탱크(200) 내에서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 및 제2연결파이프(520)와 연결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제3배플(630); 및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상기 제3배플(630)과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4배플(64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열교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1연결파이프(51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탱크(20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제1블럭(810); 및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탱크(200) 및 상기 제2연결파이프(52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탱크(200)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제2블럭(82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열교환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는
    상기 제4배플(640)에 의해 구획된 과냉영역 측의 상기 제1유출입탱크(110)에 상기 연통로(15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열교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620)은
    상기 오일유동홀(621)이 하부 일정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중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열교환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플(620)은
    상기 오일유동홀(621)이 하부 일정영역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열교환기.
KR1020120103269A 2012-09-18 2012-09-18 실외열교환기 KR20140036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269A KR20140036756A (ko) 2012-09-18 2012-09-18 실외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269A KR20140036756A (ko) 2012-09-18 2012-09-18 실외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56A true KR20140036756A (ko) 2014-03-26

Family

ID=5064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269A KR20140036756A (ko) 2012-09-18 2012-09-18 실외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67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96A1 (ko) * 2014-05-19 2015-11-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실외열교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8596A1 (ko) * 2014-05-19 2015-11-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실외열교환기
CN107041133A (zh) * 2014-05-19 2017-08-11 翰昂系统株式会社 室外热交换器
US10625564B2 (en) 2014-05-19 2020-04-21 Hanon Systems Outdoor heat excha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5564B2 (en) Outdoor heat exchanger
KR101878317B1 (ko) 증발기
EP2990740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heat exchanger
US20190092121A1 (en) Heat pump air-condition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US10533805B2 (en) Outdoor heat exchanger
KR1014921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03489533U (zh) 用于空气调节系统的蒸发器
WO2017193859A1 (zh) 热泵空调系统及电动汽车
CN104837657A (zh) 热交换器以及使用该热交换器的热泵系统
CN102869942A (zh) 车室内热交换器
CN103889751A (zh) 热交换器及使用该热交换器的热泵系统
EP3453989A1 (en) Heat pump air conditioning system and electric automobile
KR101894440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실외 열교환기
WO2017193860A1 (zh) 热泵空调系统及电动汽车
EP3453991A1 (en) Heat pump air-condition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KR20140036756A (ko) 실외열교환기
CN108116189B (zh) 汽车热管理系统及电动汽车
KR101527892B1 (ko) 축냉 열교환기
KR102335898B1 (ko) 실외열교환기
CN102706023A (zh) 一种冰箱翅片蒸发器的布局结构
KR101964369B1 (ko) 증발기
KR101919106B1 (ko) 실외열교환기
CN219687016U (zh) 阀组集成模块、热管理系统和车辆
KR101291028B1 (ko) 축냉 증발기
KR101472368B1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