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582A -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582A
KR20140036582A KR1020120102857A KR20120102857A KR20140036582A KR 20140036582 A KR20140036582 A KR 20140036582A KR 1020120102857 A KR1020120102857 A KR 1020120102857A KR 20120102857 A KR20120102857 A KR 20120102857A KR 20140036582 A KR20140036582 A KR 20140036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user terminal
account
us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3031B1 (ko
Inventor
서종철
편백범
한풍석
조성미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2010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031B1/ko
Priority to PCT/KR2013/008346 priority patent/WO2014042480A1/ko
Publication of KR2014003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Inpu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사용자 단말기에서 지문을 이용해 로그인하는 방법은 (a) 잠금(lock)이 설정된 화면에 대하여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단계, (b) 상기 센싱된 지문에 대응하는 계정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계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계정으로 로그인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LOG-IN METHOD, USER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USING FINGERPRINT}
본 발명은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 잠금 해제 시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에 대응하는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는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같은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뱅킹 등 개인 정보가 활용되는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잠금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잠금 장치는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전화 기능, 부가 기능, 또는 국제 전화 기능 등에 잠금 장치를 적용시키고, 해당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비밀번호가 노출되었을 때 무용지물이 된다는 점, 안정성 확보를 위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여야 한다는 점, 사용자 입장에서 비밀번호를 기억해 두어야 한다는 점 등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방식을 보완하고 잠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문 인식을 통한 잠금장치가 장착된 단말기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지문 인식 장치를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그 센서의 크기를 최소화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필요에 따라, 좌우로 긴 바(Bar) 형태의 센서에 손가락을 긁듯이 지문을 인식시키는 '슬라이딩 방식' 지문 인식 센서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지문 인식 센서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됨에 따라, 다른 기능과 접목하고자 하는 노력도 행해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면 잠금 해제 시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에 대응하는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지문을 이용해 로그인하는 방법은 (a) 잠금(lock)이 설정된 화면에 대하여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단계, (b) 상기 센싱된 지문에 대응하는 계정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계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계정으로 로그인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지문을 이용해 로그인하는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계정과 상기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지문을 이용해 로그인을 제공하는 기록 매체는 상기 각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문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잠금(lock)이 설정된 화면에 대하여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지문 센서부, 상기 센싱된 지문에 대응하는 계정을 검색하는 계정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하고, 상기 계정으로 로그인된 화면을 표시하는 로그인 수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계정과 상기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지문 등록부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는 화면 잠금 해제 시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에 대응하는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한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공동으로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자 별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지문 센서부(110)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문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적어도 일부분에 지문 센서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지문 센서부(110)가 사용자 단말기(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부와 표시부(10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소정 동작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에 대한 상태를 표시부(1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표시부(101)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그 자체로서 입력부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입력부는 예를 들면, 키보드 또는 키패드 방식으로 구현되어 표시부(101)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 방식으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개인용 컴퓨터(PC), 워크스테이션 등에 별도의 지문 인식 장치가 연결된 경우도 포괄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부(110)는 슬라이드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드 형 지문 센서부(11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단편적인 지문 영상들을 읽어들인 후, 이 단편 지문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정합하여 온전한 지문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방식의 지문 센서부(110)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를 지문 센서부(110)에 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면 연속적으로 부분적인 단편 영상(P1~P4)이 획득된다.
즉, 사용자의 지문 영상이 단편적이지만 서로 연속되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획득된다.
지문 센서부(110)에서 읽어들인 단편 지문 영상들은 하나의 지문 영상으로 정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합된 지문 영상은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비교되어 해당 사용자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는 사용자의 등록된 지문 영상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지문 센서부(110)를 통해 획득된 당해 지문 영상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문 영상과 비교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합된 지문 영상은 기 등록된 일 이상의 지문 영상과 비교되어 특정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각 손가락의 지문에 대해 특정 동작들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지문 센서부(110)에 의해 획득된 정합된 지문 영상이 특정 손가락의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이와 매칭된 특정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퀵 런칭' 기능이라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진정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지문이 인식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진정한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 지문이 인식되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사용자가 기 설정해놓을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지문 센서부(110)에 엄지 손가락을 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고, 지문 센서부(110)에 의해 획득된 정합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엄지 손가락의 지문 영상과 일치한다면, 이와 매칭된 동작, 즉,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지문 센서부(110), 지문 등록부(120), 계정 검색부(130) 및 로그인 수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지문 센서부(110)는 잠금(lock)이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에 대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위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바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지문 등록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의 계정과 지문 센서부(110)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지문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사용자, B 사용자 및 C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각 사용자의 계정과 지문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계정 검색부(130)는 지문 센서부(110)를 통해 센싱된 지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계정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로그인 수행부(140)는 계정 검색부(130)에서 검색된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로그인하고,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된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인 표시부(101)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는 잠금이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 시, 일일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자신의 지문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로그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과정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가 설치되어, 해당 기록 매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는 각 사용자의 계정과 해당 사용자의 지문을 매칭하여 저장한다(S401).
S401 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잠금(lock)이 설정된 화면에 대하여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한다(S402).
S402 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S402에서 센싱된 지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계정을 검색한다(S403).
S403 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S403에서 검색된 계정을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된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00)의 화면인 표시부(101)에 표시한다(S40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b)와 같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잠금이 설정된 경우, 특정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자신의 지문을 입력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해당 지문과 매칭되는 계정으로 로그인된 화면을 도 5의 (c)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만일, 각 사용자의 지문이 아닌 공동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잠금을 해제하는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 5의 (a)와 같이, 공동 계정으로 로그인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101 : 표시부
110 : 지문 센서부
120 : 지문 등록부
130 : 계정 검색부
140 : 로그인 수행부

Claims (5)

  1. 사용자 단말기에서 지문을 이용해 로그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잠금(lock)이 설정된 화면에 대하여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단계;
    (b) 상기 센싱된 지문에 대응하는 계정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계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계정으로 로그인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계정과 상기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3.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
  4. 지문을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잠금(lock)이 설정된 화면에 대하여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지문 센서부;
    상기 센싱된 지문에 대응하는 계정을 검색하는 계정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하고, 상기 계정으로 로그인된 화면을 표시하는 로그인 수행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정과 상기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로그인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지문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20120102857A 2012-09-14 2012-09-17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101453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857A KR101453031B1 (ko) 2012-09-17 2012-09-17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PCT/KR2013/008346 WO2014042480A1 (ko) 2012-09-14 2013-09-16 지문을 이용한 화면 표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857A KR101453031B1 (ko) 2012-09-17 2012-09-17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582A true KR20140036582A (ko) 2014-03-26
KR101453031B1 KR101453031B1 (ko) 2014-10-23

Family

ID=5064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857A KR101453031B1 (ko) 2012-09-14 2012-09-17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0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5409B2 (en) 2016-02-19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ing authentication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KR102069325B1 (ko) * 2019-07-08 2020-02-11 한화시스템(주) 복수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전투체계 운용을 위한 로그인 장치 및 방법
KR20200118911A (ko) * 2016-07-29 2020-10-16 애플 인크. 터치 감응형 이차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들을 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809A (ko) * 2003-05-21 2007-03-08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지문센서내장 휴대 단말장치
KR101549556B1 (ko) * 2009-03-0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96759B1 (ko) * 2010-03-29 2012-11-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그의 소유자 모드 자동 전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5409B2 (en) 2016-02-19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ing authentication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KR20200118911A (ko) * 2016-07-29 2020-10-16 애플 인크. 터치 감응형 이차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들을 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KR102069325B1 (ko) * 2019-07-08 2020-02-11 한화시스템(주) 복수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전투체계 운용을 위한 로그인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031B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681B1 (ko) 지문을 이용한 메시지 표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US8543833B2 (en) User identification with biokinematic input
US20190087554A1 (en) A mobile device and method providing secure data access, management and storage of mass personal data
KR20140079960A (ko) 지문 인식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EP3680807B1 (en)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password set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00004570A (ko) 사용자 인증 장치 및 사용자 인증 방법
WO2021249527A1 (zh) 实现MOTOpay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40078429A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1052294B1 (ko) 콘텐츠 보안 장치 및 콘텐츠 보안 방법
Agrawal et al. Smart Authentication for smart phones
KR101453031B1 (ko)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20130082979A (ko) 지문인식 기반 사용자 맞춤형 추천 시스템
US20180349586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KR101435487B1 (ko)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의 숨김 페이지 사용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705177B2 (ja) 入力情報認証装置、サーバ装置、入力情報認証システムおよび装置のプログラム
KR20140035757A (ko) 홈 화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20110121251A (ko) 사용자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JP6852508B2 (ja) 携帯端末装置、その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32271B1 (ko) 지문을 이용한 파일 전송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101462227B1 (ko) 지문을 이용한 파일 관리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140039346A (ko) 지문을 이용한 파일 사용 제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101418988B1 (ko) 파일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20140067494A (ko)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KR20140070677A (ko) 지문을 이용한 이미지 정보 전송 방법, 촬영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140035758A (ko) 지문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사용 제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