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387A -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 Google Patents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387A
KR20140036387A KR1020120101283A KR20120101283A KR20140036387A KR 20140036387 A KR20140036387 A KR 20140036387A KR 1020120101283 A KR1020120101283 A KR 1020120101283A KR 20120101283 A KR20120101283 A KR 20120101283A KR 20140036387 A KR20140036387 A KR 20140036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ame
transfer
cultur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6228B1 (ko
Inventor
서승원
서일권
오계환
이근용
박응철
Original Assignee
서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권 filed Critical 서일권
Priority to KR102012010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2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공간 내에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서 설치되고, 배열된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프레임들과, 이송프레임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송부와, 이송프레임에 복수개 적층되어서 구비되는 양식수로부와, 양식수로부 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생물성장용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수의 이송프레임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갑각류,무척추류를 양식 및 증식시킬 수 있으므로 한정된 공간 내에 최대의 이송프레임들을 설치할 수 있고, 양식 및 증식 상태를 확인하거나, 특정한 열의 이송프레임에서 양식 및 증식되는 생물을 꺼낼 경우에는 이송프레임을 이송부를 따라 이송시켜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최소의 공간에서 최대의 생물을 양식 및 증식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Combined devices on cultivating and multiplying crustacean and invertebrate}
본 발명은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한정된 공간 내에 최대의 양식수로통을 설치할 수 있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갑각류는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아 시장 형성이 고르지 못하며 일부 축제식 양식으로도 충족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어획철에만 반짝 소비자에게 소비되는 현실이며 그 외에는 냉동된 꽃게 등이 유통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매일의 시세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암케는 고가에 팔리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물량이 부족한 실정이며, 수케는 물량이 더욱 부족한 현실이다.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 변화로 인하여 바다 기후에 영양을 주는 사례가 빈번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술한 꽃게의 감소를 우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수산업의 큰 문제는 노령화에 의한 인력 부족 문제이며, 유류비의 증가로 갈수록 경쟁력이 낙후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서해북상에 위치한 NLL 지역의 국지적인 도발로 인해 연평도 포격을 통해 꽃게잡이 어업인들의 생계는 물론 지역의 주민들의 생명을 위협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또한, 중국어선들의 불법 남획으로 꽃게잡이철 뿐만 아니라 일반 수산자원의 고갈이 심각하게 우려되는 현실이 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갈수록 심각해지는 중국어선들의 난폭함으로 우리나라 어업인들의 안전은 물론 어구 손실들이 늘어나는 점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바다에 핵물질이 흘러들어가는 초유의 사태가 이웃 나라 일본에서 발생한 후 동해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이 점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꽃게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이 가중되고 있다.
바다 생태에 의해 성장하는 갑각류 중 게류의 경우, 어획철에 어획을 하여도 이른 시기로 인해 알이 차지 않거나, 살이 꽉 차지 않아 상품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것이 매번 반복되고 있으며, 이른 시기와 늦은 시기에 어획한 게류는 상품가치가 적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꽃게 양식 방법이 개발되어서 출원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4072호, 등록특허 제10-821313호)
등록특허 제10-4072호(꽃게의 양식방법)는 지면에 방축을 형성하고 방축 내에 양식실을 구획하여서 꽃게를 양식하는 방법으로써, 일정한 공간에 매우 적은 수량의 꽃게만 양식할 수 있은 구조이므로 수확이 미흡하여서 실효성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821313호(꽃게 공식 방지 및 양식 장치)는, 꽃게를 건축물 내에서 양식하게 하는 방식으로서, 이 또한 관리와 생산성에서 실효성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821313호는 축양에 가까운 방식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형태로서, 분리 독립을 하여 공식을 방지한다는 장점에 비해 시설 운영의 지속성이 취약하며 축양에 중점을 둔 개념으로 현실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공식방지통을 위치시키는 지지설비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여 고정설치 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열을 형성한 통로가 생산공간에 비해 많이 차지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꽃게 양식장치는, 금속류로 이루어진 지지설비가 바닷물의 산화부식에 1년 이상을 견디지 못하여 산화된 녹물이 양식수와 합류되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오히려 실내양식장의 불신을 초래하는 문제점으로 나타난다.
또한, 분리공간 격자막이로 인해 물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양식수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먹이 찌꺼기와 분비물 등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어 내부 오염 증가의 원인이 되며, 이에 따라 꽃게의 최적 성장 환경을 유지하지 못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정된 공간 내에 최대의 양식수로통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식수가 양식수로통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수로부 내에 양식 및 증식시킬 생물의 크기에 맞게 양식칸들을 간편하게 구비하거나 양식칸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수로부에 구획된 양식칸들 사이에 물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수가 양식수로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는 동안 양식수로부 하층부와 상층부의 양식수가 뒤섞이면서 흐르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몸체가 양식수로부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흐름을 차단시키지 않으며 용기몸체 내의 생물의 배설물, 사료 찌꺼기가 양식수로부 측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의 개폐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커버의 분실이 방지되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몸체가 결합고리에 매우 간편하게 착탈되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결합고리로 다수의 치게성장용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물성장용기의 하단부와 양식수로부 바닥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갑각류의 껍질에 접촉되어서 갑각류와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키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로 적층된 양식수로통들 사이에 물길이 형성되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수로부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에서 생물의 분비물과 사료의 찌꺼기를 확실하게 여과시키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수로부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유량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식수로부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가 수로통에 의해 유도되어 양식장 바닥에 떨어지거나 흐르지 않으며, 지지하는 구조물에 닿지 않아 산화부식 진행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양식수 오염을 방지하도록 한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는, 갑각류, 무척추류를 양식 및 증식하기 위한 설치공간 내에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서 설치되고, 배열된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프레임; 설치공간의 바닥면과 이송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이송프레임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송부; 이송프레임에 복수개 적층되어서 구비되고, 양식 및 증식용 양식수가 저장되거나 흐르도록 유도하며 투입된 갑각류 또는 무척추류가 양식 또는 증식되는 양식수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는, 갑각류, 무척추류를 양식 및 증식하기 위한 설치공간 내에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서 설치되고, 배열된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프레임; 설치공간의 바닥면과 이송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이송프레임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송부; 이송프레임에 복수개 적층되어서 구비되고, 양식 및 증식용 양식수가 저장되거나 흐르도록 유도하며, 투입된 갑각류 또는 무척추류가 양식 또는 증식되는 양식수로부; 양식수로부 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양식수로부에 착탈되며, 양식수로부 내에 별도의 독립된 공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독립된 각각의 공간에 갑각류,무척추류가 각각 저장되어서 양식 및 증식되도록 하는 생물성장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다른 특징은, 이송프레임은, 이송프레임의 하부 둘레를 이루는 하단가로프레임과, 이송프레임의 상부 둘레를 이루는 상단가로프레임과, 하단가로프레임 및 상단가로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송프레임의 내부공간을 수직방향으로 분할하는 층분할가로프레임들과, 이송프레임의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되어서 상단가로프레임, 하단가로프레임, 층분할가로프레임들을 지지하는 세로보강프레임과, 하단가로프레임의 둘레에 설치되는 하단보호판넬과, 이송프레임의 네 모서리에 결합되는 측면보호판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층분할가로프레임은, 층분할가로프레임에 안착된 양식수로부가 기울어지게 안착되도록 하여서 양식수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이송부는, 설치공간의 바닥에 설치되고 다수의 이송프레임이 안착되는 레일과, 이송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레일에 안착되어서 이송프레임이 레일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이송부는, 설치공간의 바닥에 설치되고 다수의 이송프레임이 안착되는 래크와, 이송프레임에 연결되고 래크에 치합되어서 이송프레임이 래크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피니언과, 피니언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어서 피니언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풀리와, 이송프레임에 설치되고 전동풀리에 연결되어서 전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와, 구동풀리 및 전동풀리에 연결되는 전동벨트와, 구동풀리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구동풀리를 회전시켜서 피니언이 래크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핸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이송프레임의 하부에는, 이송대차의 양측에 설치된 안내바퀴가 진입되어서 이송대차를 이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이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대차가 이송프레임들 사이의 이송공간으로 진입되면 안내바퀴가 가이드홈에 진입된 후 가이드홈을 따라 이송되면서 이송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양식수로부는, 이송프레임 내에 다층으로 적재되어서 구비되고 양식수가 내부 통로를 따라 흐르거나 저장되는 양식수로통과, 양식수로통의 내부 양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물막이판가이드와, 양측이 물막이판가이드에 착탈되고 양식수로통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물막이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양식수로통은, 양단을 막아서 담수 기능을 하거나, 물이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흐르도록 횡단면이 ㄷ자 형태인 채널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물막이판은, 양식수로통의 내부공간을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양식수로통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되고, 구획된 인접한 단위공간끼리 물흐름이 이루어지도록 물막이판에 유도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물막이판들은, 양식수가 양식수로통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는 동안 양식수로통 하층부와 상층부의 양식수가 뒤섞이면서 흐르도록, 인접한 두 물막이판 유도홈들이 서로 반대방향의 상하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생물성장용기는, 양식수로부 내에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갑각류나 무척추 생물이 각각 투입되어서 양식 및 증식되는 용기몸체와, 용기몸체의 상단부에 개폐되는 커버와, 양식수로부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고 양식수로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며 용기몸체가 안착되는 결합고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용기몸체는, 상단부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결합고리의 상부면에 안착되어서 용기몸체가 결합고리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돌부와, 용기몸체의 상부 둘레에 다수 형성되어서 양식수로부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상부구멍들과, 용기몸체의 하부 둘레에 다수 형성되어서 양식수로부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하부구멍들과, 용기몸체의 바닥면에 다수 형성되어서 용기몸체 내부의 생물 분비물과 사료 찌꺼기가 양식수로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바닥면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커버는, 용기몸체의 상단 둘레 중 일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커버부와, 일측이 고정커버부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몸체의 상단 둘레 중 고정커버부를 제외한 용기몸체의 나머지 부분을 개폐하며 다수의 통기구멍들이 형성된 개폐커버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결합고리는, 용기몸체가 삽입되고 상부면에 용기몸체의 지지돌부가 안착되는 원형링과, 원형링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고 양식수로부의 양측 상단부에 결합되어서 원형링이 양식수로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걸침돌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결합고리는, 양식수로부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원형링과, 원형링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고 양식수로부의 양측 상단부에 결합되어서 원형링이 양식수로부의 상단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걸침돌부와, 원형링의 내부에 복수개 고정되어 있고 치게성장용기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는 치게용기걸침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생물성장용기는, 양식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생물성장용기의 하부가 양식수로부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생물성장용기의 바닥에는, 갑각류 껍질과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켜서 갑각류의 탈피를 돕는 탈피도움깔판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탈피도움깔판은, 생물성장용기의 바닥 둘레에 지지되는 링형태의 받침테두리와, 받침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탈피도움깔판의 상부면을 이루며 다수의 구멍들이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상판과, 구멍들 사이의 상판 상부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갑각류의 껍질에 접촉되어서 갑각류와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키는 상부돌기들과, 구멍들 사이의 상판 저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용기몸체의 바닥면구멍들에 삽입되는 하부돌기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양식수로통은, 이송프레임에 복수로 적층되어서 구비되고, 양식수로통의 일단에는 상측의 양식수로통에서 낙하되는 양식수를 받아서 양식수로통의 내부로 유도하도록 상단물받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식수로통의 타단에는 상단물받이를 통해 양식수로통으로 유도된 양식수가 양식수로통의 타측으로 흐른 후 하측의 양식수로통으로 낙하되도록 하단물받이가 설치되어서, 상하로 적층된 양식수로통들 사이에 물길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물막이판가이드에는, 물막이판의 유도홈을 통해 흐르는 양식수에서 생물의 분비물과 사료의 찌꺼기가 걸러지도록 거름망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설치공간의 중앙통로를 중심으로 그 양측 바닥에 중앙통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송부가 설치되어 있고, 양측의 이송부에는 다수의 이송프레임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이송프레임들의 수평폭의 합에 비해 이송부의 길이가 더 길게 구비되되, 이송부 길이와 이송프레임들 전체폭의 차는, 한개의 이송프레임의 수평폭의 2∼10배이다.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양식수로부에는 다수의 생물성장용기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양식수로부의 타측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양식수 배출 유도홈이 형성된 물막이판이 결합되어서, 물막이판에 의해 양식수로부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유량 및 속도가 제어되도록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설치공간 내에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서 설치되고, 배열된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프레임들과, 이송프레임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송부와, 이송프레임에 복수개 적층되어서 구비되는 양식수로부와, 양식수로부 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생물성장용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수의 이송프레임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갑각류,무척추류를 양식 및 증식시킬 수 있으므로 한정된 공간 내에 최대의 이송프레임들을 설치할 수 있으며, 양식 및 증식 상태를 확인하거나, 특정한 열의 이송프레임에서 양식 및 증식되는 생물을 꺼낼 경우에는 이송프레임을 이송부를 따라 이송시켜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소의 공간에서 최대의 생물을 양식 및 증식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송프레임의 층분할가로프레임이 층분할가로프레임에 안착된 양식수로부가 기울어지게 안착되도록 하여서 양식수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따라서 양식수로부가 층분할가로프레임에 안착되면 양식수로통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안착되며, 이에 따라 양식수가 양식수로통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동력없이도 양식수로통 내의 양식수가 흐르게 되므로 에너지의 낭비없이 양식수에 산소 공급 작업과 여과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이송부는, 다수의 이송프레임이 안착되는 래크와, 래크에 치합되어서 이송프레임이 래크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피니언과, 피니언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는 전동풀리와, 전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와, 구동풀리 및 전동풀리에 연결되는 전동벨트와, 구동풀리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는 핸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채널 형상의 양식수로통에 물막이판을 끼우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독립된 양식칸들이 구획되며, 양식수로통에 결합되는 물막이판의 갯수를 조절하면 구획된 양식칸들의 간격이 조절된다. 그러므로 양식 및 증식시킬 생물의 크기에 맞게 양식칸들을 구비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막이판은 유도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도홈에 의해 구획된 인접한 단위공간끼리 물흐름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구획된 양식칸들 사이에 물흐름이 차단되지 않으므로 양식수가 정체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생물의 양식 및 증식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다.
본 발명은 인접한 두 물막이판의 유도홈들이 서로 반대방향인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양식수로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식수가 양식수로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는 동안 양식수로부 하층부와 상층부의 양식수가 뒤섞이면서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양식수로부의 바닥에 생물의 배설물이 쌓이거나 사료 찌꺼기가 쌓이지 않고 양식수를 따라 흐르면서 배출되므로 양식수로부 바닥에서 부패되어 양식수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생물성장용기는, 상단부 양측에 지지돌부가 돌출되고 상부, 하부, 바닥에 상부구멍, 하부구멍, 바닥면구멍이 형성된 용기몸체와, 고정커버부 및 개폐커버부로 이루어진 커버와, 양식수로부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고 양식수로부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며 용기몸체가 안착되는 결합고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기몸체에 상부구멍들 및 하부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몸체가 양식수로부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흐름을 차단시키지 않으며 용기몸체의 바닥면구멍에 의해 생물의 배설물, 사료 찌꺼기가 양식수로부 측으로 배출되므로 용기몸체 내에서 부패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커버의 일부면만 개폐하여서 생물을 용기몸체 내에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으므로 개폐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커버를 오픈시킨 후 커버의 휴대, 보관 및 분실 문제가 방지된다. 그리고 용기몸체를 결합고리에 안착시키면 용기몸체의 지지돌부가 결합고리에 지지되고 용기몸체를 들어 올리면 결합고리로부터 간단히 이탈되므로 용기몸체의 착탈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본 발명의 결합고리는, 원형링과, 원형링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걸침돌부와, 원형링의 내부에 복수개 고정되어 있고 치게성장용기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는 치게용기걸침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형링의 내부에 다수의 치게용기걸침부가 구비되므로 하나의 결합고리로 다수의 치게성장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물성장용기는,생물성장용기의 하부가 양식수로부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생물성장용기의 하단부와 양식수로부 바닥 사이에는 양식수가 자유롭게 흐르도록 공간이 확보되므로 생물성장용기에 의해 양식수의 흐름이 완전히 방해받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양식수가 정화되고 양식수에 산소공급이 원활해진다.
본 발명의 생물성장용기의 바닥에는, 갑각류 껍질과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켜서 갑각류의 탈피를 돕는 탈피도움깔판이 구비된다. 따라서 갑각류의 껍질에 접촉되어서 갑각류와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키는 상부돌기들에 의해 갑각류의 탈피작업이 원활해진다.
본 발명의 양식수로통은, 일단에 상측의 양식수로통에서 낙하되는 양식수를 받아서 양식수로통의 내부로 유도하도록 상단물받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에 상단물받이를 통해 양식수로통으로 유도된 양식수가 양식수로통의 타측으로 흐른 후 하측의 양식수로통으로 낙하되도록 하단물받이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단물받이 및 하단물받이에 의해 상하로 적층된 양식수로통들 사이에 물길이 형성되므로 별도의 동력없이도 다수 적층된 양식수로통들 사이에 원활한 양식수 순환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막이판가이드에는, 거름망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물막이판의 유도홈을 통해 흐르는 양식수에서 생물의 분비물과 사료의 찌꺼기가 걸러지므로 양식수가 확실하게 여과되며 이에 따라 양호한 상태의 수질이 장기간 유지된다.
본 발명의 양식수로부에는 다수의 생물성장용기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양식수로부의 타측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양식수 배출 유도홈이 형성된 물막이판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양식수로부의 타측에 물막이판을 설치하여서 양식수로부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유량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송프레임의 하부에는, 이송대차의 양측에 설치된 안내바퀴가 진입되어서 이송대차를 이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이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대차가 이송프레임들 사이의 이송공간으로 진입되면 안내바퀴가 가이드홈에 진입된 후 가이드홈을 따라 이송되면서 이송대차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러므로 이송대차가 이송프레임들에 부딪히지 않으며, 이송프레임들 사이에서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나의 이송프레임을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실내에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이송프레임 이송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측면도
도 5는 이송프레임 이송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
도 6은 양식수로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양식수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개략적 측면도
도 9는 생물성장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단면도
도 11은 용기고정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
도 12는 탈피도움깔판을 보인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
도 13은 양식수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14는 도 13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이송대차가 이송프레임들의 가이드홈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나의 이송프레임을 발췌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실내에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는 이송프레임 이송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측면도이고, 도 5는 이송프레임 이송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이며, 도 6은 양식수로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양식수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9는 생물성장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은 용기고정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이고, 도 12는 탈피도움깔판을 보인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이며, 도 13은 양식수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프레임(10), 이송부(20), 양식수로부(40), 생물성장용기(50)로 이루어진다.
이송프레임(10)은, 갑각류, 무척추류를 양식 및 증식하기 위한 설치공간(1) 내에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서 설치되고, 배열된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프레임(10)은, 이송프레임(10)의 하부 둘레를 이루는 하단가로프레임(11)과, 이송프레임(10)의 상부 둘레를 이루는 상단가로프레임(12)과, 하단가로프레임(11) 및 상단가로프레임(12)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송프레임(10)의 내부공간을 수직방향으로 분할하는 층분할가로프레임(13)들과, 이송프레임(10)의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되어서 상단가로프레임(12), 하단가로프레임(11), 층분할가로프레임(13)들을 지지하는 세로보강프레임(14)과, 하단가로프레임(11)의 둘레에 설치되는 하단보호판넬(15)과, 이송프레임(10)의 네 모서리에 결합되는 측면보호판넬(1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층분할가로프레임(13)은, 하나의 이송프레임(10) 내에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서 다수의 수납칸들을 이룬다. 이러한 층분할가로프레임(13)은, 층분할가로프레임(13)에 안착된 양식수로부(40)가 기울어지게 안착되도록 하여서 양식수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송부(20)는, 설치공간(1)의 바닥면과 이송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이송프레임(10)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한다.
이러한 이송부(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공간(1)의 바닥에 설치되고 다수의 이송프레임(10)이 안착되는 레일(21)과, 이송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레일(21)에 안착되어서 이송프레임(10)이 레일(21)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송프레임(10)을 레일(21)을 따라 밀거나 당기면 롤러(22)가 레일(21)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송프레임(10)이 이송된다.
도 5는 이송부(3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이다.
이러한 이송부(30)는, 래크(31), 피니언(32), 전동풀리(33), 구동풀리(34), 전동벨트(35), 핸들(36)로 이루어진다.
래크(31)는, 설치공간(1)의 바닥에 설치되고 다수의 이송프레임(10)이 안착된다. 피니언(32)은, 이송프레임(10)에 연결되고 래크(31)에 치합되어서 이송프레임(10)이 래크(31)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전동풀리(33)는, 피니언(32)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어서 피니언(32)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구동풀리(34)는, 이송프레임(10)에 설치되고 전동풀리(33)에 연결되어서 전동풀리(33)를 회전시킨다. 전동벨트(35)는, 구동풀리(34) 및 전동풀리(33)에 연결된다. 핸들(36)은, 구동풀리(34)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구동풀리(34)를 회전시켜서 피니언(32)이 래크(31)를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이송부(30)는, 핸들(36)을 회전시키면 구동풀리(34)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전동벨트(35)가 구동되면서 전동풀리(33)를 회전시킨다. 전동풀리(33)가 회전되면 피니언(32)이 회전되면서 이송프레임(10)이 래크(31)를 따라 이송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송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식으로 구성되어서 이송프레임(10)을 수동으로 이송시킬 수도 있지만, 리모콘(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피니언(32)에 핸들(36) 대신에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리모콘을 조작하여서 모터의 회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니언()을 정회전, 역회전시키면서 이송프레임(10)을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양식수로부(40)는, 이송프레임(10)에 복수개 적층되어서 구비되고, 양식 및 증식용 양식수가 저장되거나 흐르도록 유도하며 투입된 갑각류 또는 무척추류가 양식 또는 증식된다.
이러한 양식수로부(40)는, 이송프레임(10) 내에 다층으로 적재되어서 구비되고 양식수가 내부 통로를 따라 흐르거나 저장되는 양식수로통(41)과, 양식수로통(41)의 내부 양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물막이판가이드(42)와, 양측이 물막이판가이드(42)에 착탈되고 양식수로통(41)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물막이판(43)으로 이루어진다.
양식수로통(4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을 막아서 담수 기능을 하거나, 양식수가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흐르도록 횡단면이 ㄷ자 형태인 채널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막이판(43)은, 양식수로통(41)의 내부공간을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양식수로통(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되고, 구획된 인접한 단위공간끼리 물흐름이 이루어지도록 물막이판(43)에 유도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물막이판(43)들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식수가 양식수로통(4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는 동안 양식수로통(41) 하층부와 상층부의 양식수가 뒤섞이면서 흐르도록, 인접한 두 물막이판(43) 유도홈(44)들이 서로 반대방향의 상하부에 배치된다.
도 7 및 도 8은 양식수로부(40)의 양측에만 물막이판(43)을 설치하고 양식수로부(40)의 내부공간에 생물성장용기(50)를 등간격으로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그 측면도이다.
여기서 생물성장용기(50)는, 양식수로부(40) 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양식수로부(40)에 착탈되며, 양식수로부(40) 내에 별도의 독립된 공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독립된 각각의 공간에 갑각류,무척추류가 각각 저장되어서 양식 및 증식되도록 한다.
이러한 생물성장용기(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식수로부(40) 내에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갑각류나 무척추 생물이 각각 투입되어서 양식 및 증식되는 용기몸체(51)와, 용기몸체(51)의 상단부에 개폐되는 커버(56)와, 양식수로부(40)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고 양식수로부(40)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며 용기몸체(51)가 안착되는 결합고리(60)로 이루어진다.
용기몸체(51)는, 지지돌부(52), 상부구멍(53)들, 하부구멍(54)들, 바닥면구멍(55)들로 이루어진다.
지지돌부(52)는, 상단부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결합고리(6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서 용기몸체(51)가 결합고리(60)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부구멍(53)들은, 용기몸체(51)의 상부 둘레에 다수 형성되어서 양식수로부(40)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한다. 하부구멍(54)들은, 용기몸체(51)의 하부 둘레에 다수 형성되어서 양식수로부(40)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한다. 바닥면구멍(55)들은, 용기몸체(51)의 바닥면에 다수 형성되어서 용기몸체(51) 내부의 생물 분비물과 사료 찌꺼기가 양식수로부(40) 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커버(56)는, 고정커버부(57) 및 개폐커버부(58)로 이루어진다.
고정커버부(57)는, 용기몸체(51)의 상단 둘레 중 일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개폐커버부(58)는, 일측이 고정커버부(57)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몸체(51)의 상단 둘레 중 고정커버부(57)를 제외한 용기몸체(51)의 나머지 부분을 개폐하며 다수의 통기구멍(59)들이 형성된다.
결합고리(60)는, 용기몸체(51)가 삽입되고 상부면에 용기몸체(51)의 지지돌부(52)가 안착되는 원형링(61)과, 원형링(61)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고 양식수로부(40)의 양측 상단부에 결합되어서 원형링(61)이 양식수로부(40)에 지지되도록 하는 걸침돌부(62)로 이루어진다.
도 11은 결합고리(63)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정면도, 단면도로써, 이 결합고리(63)는, 양식수로부(4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원형링(64)과, 원형링(64)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고 양식수로부(40)의 양측 상단부에 결합되어서 원형링(64)이 양식수로부(40)의 상단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걸침돌부(65)와, 원형링(64)의 내부에 복수개 고정되어 있고 치게성장용기(미도시)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는 치게용기걸침부(6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나의 결합고리(63)에 3개의 치게용기걸침부(66)가 구비되므로 3개의 치게성장용기를 하나의 결합고리(63)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생물성장용기(50)는, 생물성장용기(50)의 하부가 양식수로부(4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양식수의 흐름이 생물성장용기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지 않는다.
한편, 생물성장용기(50)의 바닥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각류 껍질과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켜서 갑각류의 탈피를 돕는 탈피도움깔판(70)이 구비된다.
이 탈피도움깔판(70)은, 생물성장용기(50)의 바닥 둘레에 지지되는 링형태의 받침테두리(71)와, 받침테두리(7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탈피도움깔판(70)의 상부면을 이루며 다수의 구멍(73)들이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상판(72)과, 구멍(73)들 사이의 상판(72) 상부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갑각류의 껍질에 접촉되어서 갑각류와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키는 상부돌기(74)들과, 구멍(73)들 사이의 상판(72) 저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용기몸체(51)의 바닥면구멍(55)들에 삽입되는 하부돌기(75)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갑각류가 성장하여서 탈피할 시, 갑각류의 외피가 탈피도움깔판(70)의 상부돌기(74)들에 접촉되면서 마찰저항을 증대시키므로 탈피를 돕는다.
도 13은 양식수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사용상태도로써, 양식수로통(41)은 이송프레임(10)에 복수로 적층되어서 구비된다. 양식수로통(41)의 일단에는 상측의 양식수로통(41)에서 낙하되는 양식수를 받아서 양식수로통(41)의 내부로 유도하도록 상단물받이(45)가 설치되어 있다.
양식수로통(41)의 타단에는 상단물받이(45)를 통해 양식수로통(41)으로 유도된 양식수가 양식수로통(41)의 타측으로 흐른 후 하측의 양식수로통(41)으로 낙하되도록 하단물받이(4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단물받이(45)들 및 하단물받이(46)들에 의해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양식수로통(41)들 사이에 물길이 형성된다. 따라서, 최상단의 양식수로통(41)을 따라 흐르는 양식수는 하단물받이(46)를 통해 바로 밑에 설치된 양식수로통(41)의 상단물받이(45)로 낙하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양식수가 최상단의 양식수로통(41)으로부터 최하단의 양식수로통(41)으로 흐른다.
최하단의 양식수로통(41)으로 공급된 양식수는 펌프 등을 이용하여서 다시 최상단의 양식수로통(41)으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외부로 배수될 수도 있다.
한편, 물막이판가이드(42)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름망(8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거름망(80)은, 물막이판(43)의 유도홈(44)을 통해 흐르는 양식수에서 생물의 분비물과 사료의 찌꺼기가 걸러지도록 한다.
이러한 거름망(80)은 그 양측을 물막이판가이드(42)에 밀어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고, 물막이판가이드(4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당기면 이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거름망(80)은 물막이판가이드(42)로부터 간편하게 착탈되며, 이에 따라 거름망(80)을 정기적으로 분리시켜서 청소하기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양식수를 확실하게 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는, 설치공간(1)의 중앙통로(2)를 중심으로 그 양측 바닥에 중앙통로(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송부(30)가 설치되어 있고, 양측의 이송부(30)에는 다수의 이송프레임(10)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이송프레임(10)들의 수평폭의 합에 비해 이송부(20)의 길이가 더 길게 구비된다. 이송부(30) 길이와 이송프레임(10)들 전체폭의 차는, 한개의 이송프레임(10)의 수평폭의 2∼10배이다.
이송부(30) 길이와 이송프레임(10)들 전체폭의 차가, 한개의 이송프레임(10)의 수평폭의 2배 미만일 경우, 한정된 설치공간(1) 내에 이송프레임(10)을 더 설치할 수 있으나, 이송프레임(10) 사이의 이동통로가 매우 협소하여서 작업 환경이 매우 열악해진다.
이송부(30) 길이와 이송프레임(10)들 전체폭의 차가, 한개의 이송프레임(10)의 수평폭의 10배를 초과할 경우, 이송프레임(10) 사이의 이동통로가 불필요하게 넓어지며 이에 따라 한정된 설치공간(1) 내에 이송프레임(10)의 설치 갯수가 그만큼 감소된다. 따라서 이송부(30) 길이와 이송프레임(10)들 전체폭의 차는, 한개의 이송프레임(10)의 수평폭의 2∼10배가 가장 바람직하다.
양식수로부(40)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다수의 생물성장용기(50)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양식수로부(40)의 타측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양식수 배출 유도홈(44)이 형성된 물막이판(43)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양식수로부(40)의 단부에 결합된 물막이판(43)에 의해 양식수로부(40)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유량 및 속도가 제어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설치공간(1) 내에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서 설치되고, 배열된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프레임(10)들과, 이송프레임(10)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송부(30)와, 이송프레임(10)에 복수개 적층되어서 구비되는 양식수로부(40)와, 양식수로부(40) 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생물성장용기(5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수의 이송프레임(10)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갑각류,무척추류를 양식 및 증식시킬 수 있으므로 한정된 공간 내에 최대의 이송프레임(10)들을 설치할 수 있으며, 양식 및 증식 상태를 확인하거나, 특정한 열의 이송프레임(10)에서 양식 및 증식되는 생물을 꺼낼 경우에는 이송프레임(10)을 이송부(30)를 따라 이송시켜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소의 공간에서 최대의 생물을 양식 및 증식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이송프레임(10)의 층분할가로프레임(13)이 층분할가로프레임(13)에 안착된 양식수로부(40)가 기울어지게 안착되도록 하여서 양식수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따라서 양식수로부(40)가 층분할가로프레임(13)에 안착되면 양식수로통(41)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안착되며, 이에 따라 양식수가 양식수로통(4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자연스럽게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동력없이도 양식수로통(41) 내의 양식수가 흐르게 되므로 에너지의 낭비없이 양식수에 산소 공급 작업과 여과작업이 이루어진다.
셋째, 본 발명의 이송부(30)는, 다수의 이송프레임(10)이 안착되는 래크(31)와, 래크(31)에 치합되어서 이송프레임(10)이 래크(31)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피니언(32)과, 피니언(32)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는 전동풀리(33)와, 전동풀리(33)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34)와, 구동풀리(34) 및 전동풀리(33)에 연결되는 전동벨트(35)와, 구동풀리(34)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는 핸들(3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채널 형상의 양식수로통(41)에 물막이판(43)을 끼우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독립된 양식칸들이 구획되며, 양식수로통(41)에 결합되는 물막이판(43)의 갯수를 조절하면 구획된 양식칸들의 간격이 조절된다. 그러므로 양식 및 증식시킬 생물의 크기에 맞게 양식칸들을 구비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물막이판(43)은 유도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도홈(44)에 의해 구획된 인접한 단위공간끼리 물흐름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구획된 양식칸들 사이에 물흐름이 차단되지 않으므로 양식수가 정체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생물의 양식 및 증식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은 인접한 두 물막이판(43)의 유도홈(44)들이 서로 반대방향인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도록 양식수로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식수가 양식수로부(4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는 동안 양식수로부(40) 하층부와 상층부의 양식수가 뒤섞이면서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양식수로부(40)의 바닥에 생물의 배설물이 쌓이거나 사료 찌꺼기가 쌓이지 않고 양식수를 따라 흐르면서 배출되므로 양식수로부(40) 바닥에서 부패되어 양식수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방지된다.
여섯째, 본 발명의 생물성장용기(50)는 상단부 양측에 지지돌부(52)가 돌출되고 상부, 하부, 바닥에 상부구멍(53), 하부구멍(54), 바닥면구멍(55)이 형성된 용기몸체(51)와, 고정커버부(57) 및 개폐커버부(58)로 이루어진 커버(56)와, 양식수로부(40)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고 양식수로부(40)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며 용기몸체(51)가 안착되는 결합고리(6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기몸체(51)에 상부구멍(53)들 및 하부구멍(54)들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몸체(51)가 양식수로부(40)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흐름을 차단시키지 않으며 용기몸체(51)의 바닥면구멍(55)에 의해 생물의 배설물, 사료 찌꺼기가 양식수로부(40) 측으로 배출되므로 용기몸체(51) 내에서 부패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커버(56)의 일부면인 개폐커버부(58)만 개폐하여서 생물을 용기몸체(51) 내에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으므로 개폐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커버(56)를 오픈시킨 후 커버(56)의 휴대, 보관 및 분실 문제가 방지된다.
그리고 용기몸체(51)를 결합고리(60)에 안착시키면 용기몸체(51)의 지지돌부(52)가 결합고리(60)에 지지되고 용기몸체(51)를 들어 올리면 결합고리(60)로부터 간단히 이탈되므로 용기몸체(51)의 착탈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일곱째, 본 발명의 결합고리(60)는 원형링(61)과, 원형링(61)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는 걸침돌부(62)와, 원형링(61)의 내부에 복수개 고정되어 있고 치게성장용기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는 치게용기걸침부(6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형링(61)의 내부에 다수의 치게용기걸침부(66)가 구비되므로 하나의 결합고리(60)로 다수의 치게성장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의 생물성장용기(50)는 생물성장용기(50)의 하부가 양식수로부(4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생물성장용기(50)의 하단부와 양식수로부(40) 바닥 사이에는 양식수가 자유롭게 흐르도록 공간이 확보되므로 생물성장용기(50)에 의해 양식수의 흐름이 완전히 방해받지 않으며, 이에 따라 양식수가 정화되고 양식수에 산소공급이 원활해진다.
아홉째, 본 발명의 생물성장용기(50)의 바닥에는 갑각류 껍질과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켜서 갑각류의 탈피를 돕는 탈피도움깔판(70)이 구비된다.
따라서 갑각류의 껍질에 접촉되어서 갑각류와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키는 상부돌기(74)들에 의해 갑각류의 탈피작업이 원활해진다.
열번째, 본 발명의 양식수로통(41)은 일단에 상측의 양식수로통(41)에서 낙하되는 양식수를 받아서 양식수로통(41)의 내부로 유도하도록 상단물받이(45)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에 상단물받이(45)를 통해 양식수로통(41)으로 유도된 양식수가 양식수로통(41)의 타측으로 흐른 후 하측의 양식수로통(41)으로 낙하되도록 하단물받이(4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단물받이(45) 및 하단물받이(46)에 의해 상하로 적층된 양식수로통(41)들 사이에 물길이 형성되므로 별도의 동력없이도 다수 적층된 양식수로통(41)들 사이에 원활한 양식수 순환을 구현할 수 있다.
열한번째, 본 발명의 물막이판가이드(42)에는 거름망(80)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물막이판(43)의 유도홈(44)을 통해 흐르는 양식수에서 생물의 분비물과 사료의 찌꺼기가 걸러지므로 양식수가 확실하게 여과되며 이에 따라 양호한 상태의 수질이 장기간 유지된다.
열두번째, 본 발명의 양식수로부(40)에는 다수의 생물성장용기(50)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양식수로부(40)의 타측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양식수 배출 유도홈(44)이 형성된 물막이판(43)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양식수로부(40)의 타측에 물막이판(43)을 설치하여서 양식수로부(40)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유량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이송대차(90)가 이송프레임(10)들의 가이드홈(17)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송프레임(10) 하부에는, 이송대차(90)의 양측에 설치된 안내바퀴(91)가 진입되어서 이송대차(90)를 이송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이송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가이드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대차(90)가 이송프레임(10)들 사이의 이송공간으로 진입되면 안내바퀴(91)가 가이드홈(17)에 진입된 후 가이드홈(17)을 따라 이송되면서 이송대차(90)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러므로 이송대차(90)가 이송프레임(10)들에 부딪히지 않으며, 이송프레임(10)들 사이에서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1 : 설치공간 2 : 중앙통로
10 : 이송프레임 11 : 하단가로프레임
12 : 상단가로프레임 13 : 층분할가로프레임
14 : 세로보강프레임 15 : 하판보호판넬
16 : 측면보호판넬 17 : 가이드홈
20 : 이송부 21 : 레일
22 : 롤러 30 : 이송부
31 : 래크 32 : 피니언
33 : 전동풀리 34 : 구동풀리
35 : 전동벨트 36 : 핸들
40 : 양식수로부 41 : 양식수로통
42 : 물막이판가이드 43 : 물막이판
44 : 유도홈 45 : 상단물받이
46 : 하단물받이 50 : 생물성장용기
51 : 용기몸체 52 : 지지돌부
53 : 상부구멍 54 : 하부구멍
55 : 바닥면구멍 56 : 커버
57 : 고정커버부 58 : 개폐커버부
59 : 통기구멍 60,63 : 결합고리
61,64 : 원형링 62,65 : 걸침돌부
66 : 치게용기걸침부 70 : 탈피도움깔판
71 : 받침테두리 72 : 상판
73 : 구멍 74 : 상부돌기
75 : 하부돌기 80 : 거름망
90 : 이송대차 91 : 안내바퀴

Claims (23)

  1. 갑각류, 무척추류를 양식 및 증식하기 위한 설치공간(1) 내에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서 설치되고, 배열된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프레임(10);
    설치공간(1)의 바닥면과 이송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이송프레임(10)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송부(20)(30);
    이송프레임(10)에 복수개 적층되어서 구비되고, 양식 및 증식용 양식수가 저장되거나 흐르도록 유도하며 투입된 갑각류 또는 무척추류가 양식 또는 증식되는 양식수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2. 갑각류, 무척추류를 양식 및 증식하기 위한 설치공간(1) 내에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되어서 설치되고, 배열된 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프레임(10);
    설치공간(1)의 바닥면과 이송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이송프레임(10)이 배열된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는 이송부(20)(30);
    이송프레임(10)에 복수개 적층되어서 구비되고, 양식 및 증식용 양식수가 저장되거나 흐르도록 유도하며, 투입된 갑각류 또는 무척추류가 양식 또는 증식되는 양식수로부(40);
    양식수로부(40) 내에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양식수로부(40)에 착탈되며, 양식수로부(40) 내에 별도의 독립된 공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독립된 각각의 공간에 갑각류,무척추류가 각각 저장되어서 양식 및 증식되도록 하는 생물성장용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송프레임(10)은,
    이송프레임(10)의 하부 둘레를 이루는 하단가로프레임(11)과,
    이송프레임(10)의 상부 둘레를 이루는 상단가로프레임(12)과,
    하단가로프레임(11) 및 상단가로프레임(12)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송프레임(10)의 내부공간을 수직방향으로 분할하는 층분할가로프레임(13)들과,
    이송프레임(10)의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되어서 상단가로프레임(12), 하단가로프레임(11), 층분할가로프레임(13)들을 지지하는 세로보강프레임(14)과,
    하단가로프레임(11)의 둘레에 설치되는 하단보호판넬(15)과,
    이송프레임(10)의 네 모서리에 결합되는 측면보호판넬(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층분할가로프레임(13)은,
    층분할가로프레임(13)에 안착된 양식수로부(40)가 기울어지게 안착되도록 하여서 양식수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송부(20)는,
    설치공간(1)의 바닥에 설치되고 다수의 이송프레임(10)이 안착되는 레일(21)과,
    이송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레일(21)에 안착되어서 이송프레임(10)이 레일(21)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송부(30)는,
    설치공간(1)의 바닥에 설치되고 다수의 이송프레임(10)이 안착되는 래크(31)와,
    이송프레임(10)에 연결되고 래크(31)에 치합되어서 이송프레임(10)이 래크(31)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피니언(32)과,
    피니언(32)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어서 피니언(32)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동풀리(33)와,
    이송프레임(10)에 설치되고 전동풀리(33)에 연결되어서 전동풀리(33)를 회전시키는 구동풀리(34)와,
    구동풀리(34) 및 전동풀리(33)에 연결되는 전동벨트(35)와,
    구동풀리(34)의 중심축 상에 설치되고 구동풀리(34)를 회전시켜서 피니언(32)이 래크(31)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핸들(3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양식수로부(40)는,
    이송프레임(10) 내에 다층으로 적재되어서 구비되고 양식수가 내부 통로를 따라 흐르거나 저장되는 양식수로통(41)과,
    양식수로통(41)의 내부 양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물막이판가이드(42)와,
    양측이 물막이판가이드(42)에 착탈되고 양식수로통(41)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물막이판(4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양식수로통(41)은,
    양단을 막아서 담수 기능을 하거나, 양식수가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흐르도록 횡단면이 ㄷ자 형태인 채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물막이판(43)은,
    양식수로통(41)의 내부공간을 다수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양식수로통(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되고,
    구획된 인접한 단위공간끼리 물흐름이 이루어지도록 물막이판(43)에 유도홈(4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물막이판(43)들은,
    양식수가 양식수로통(4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는 동안 양식수로통(41) 하층부와 상층부의 양식수가 뒤섞이면서 흐르도록, 인접한 두 물막이판(43) 유도홈(44)들이 서로 반대방향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생물성장용기(50)는,
    양식수로부(40) 내에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갑각류나 무척추 생물이 각각 투입되어서 양식 및 증식되는 용기몸체(51)와,
    용기몸체(51)의 상단부에 개폐되는 커버(56)와,
    양식수로부(40)의 상부 양단에 결합되고 양식수로부(40)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며 용기몸체(51)가 안착되는 결합고리(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용기몸체(51)는,
    상단부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고 결합고리(6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서 용기몸체(51)가 결합고리(60)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돌부(52)와,
    용기몸체(51)의 상부 둘레에 다수 형성되어서 양식수로부(40)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상부구멍(53)들과,
    용기몸체(51)의 하부 둘레에 다수 형성되어서 양식수로부(40)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하부구멍(54)들과,
    용기몸체(51)의 바닥면에 다수 형성되어서 용기몸체(51) 내부의 생물 분비물과 사료 찌꺼기가 양식수로부(40)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바닥면구멍(55)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커버(56)는,
    용기몸체(51)의 상단 둘레 중 일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커버부(57)와,
    일측이 고정커버부(57)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몸체(51)의 상단 둘레 중 고정커버부(57)를 제외한 용기몸체(51)의 나머지 부분을 개폐하며 다수의 통기구멍(59)들이 형성된 개폐커버부(5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결합고리(60)는,
    용기몸체(51)가 삽입되고 상부면에 용기몸체(51)의 지지돌부(52)가 안착되는 원형링(61)과,
    원형링(61)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고 양식수로부(40)의 양측 상단부에 결합되어서 원형링(61)이 양식수로부(40)에 지지되도록 하는 걸침돌부(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결합고리(63)는,
    양식수로부(4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원형링(64)과,
    원형링(64)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고 양식수로부(40)의 양측 상단부에 결합되어서 원형링(64)이 양식수로부(40)의 상단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걸침돌부(65)와,
    원형링(64)의 내부에 복수개 고정되어 있고 치게성장용기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는 치게용기걸침부(6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생물성장용기(50)는,
    양식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도록 생물성장용기(50)의 하부가 양식수로부(4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생물성장용기(50)의 바닥에는,
    갑각류 껍질과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켜서 갑각류의 탈피를 돕는 탈피도움깔판(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탈피도움깔판(70)은,
    생물성장용기(50)의 바닥 둘레에 지지되는 링형태의 받침테두리(71)와,
    받침테두리(7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탈피도움깔판(70)의 상부면을 이루며 다수의 구멍(73)들이 격자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상판(72)과,
    구멍(73)들 사이의 상판(72) 상부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갑각류의 껍질에 접촉되어서 갑각류와의 접촉 저항을 증대시키는 상부돌기(74)들과,
    구멍(73)들 사이의 상판(72) 저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용기몸체(51)의 바닥면구멍(55)들에 삽입되는 하부돌기(75)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19. 청구항 7에 있어서, 양식수로통(41)은,
    이송프레임(10)에 복수로 적층되어서 구비되고,
    양식수로통(41)의 일단에는 상측의 양식수로통(41)에서 낙하되는 양식수를 받아서 양식수로통(41)의 내부로 유도하도록 상단물받이(45)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식수로통(41)의 타단에는 상단물받이(45)를 통해 양식수로통(41)으로 유도된 양식수가 양식수로통(41)의 타측으로 흐른 후 하측의 양식수로통(41)으로 낙하되도록 하단물받이(46)가 설치되어서, 상하로 적층된 양식수로통(41)들 사이에 물길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20. 청구항 8에 있어서, 물막이판가이드(42)에는,
    물막이판(43)의 유도홈(44)을 통해 흐르는 양식수에서 생물의 분비물과 사료의 찌꺼기가 걸러지도록 거름망(8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2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설치공간(1)의 중앙통로(2)를 중심으로 그 양측 바닥에 중앙통로(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송부(30)가 설치되어 있고, 양측의 이송부(30)에는 다수의 이송프레임(10)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이송프레임(10)들의 수평폭의 합에 비해 이송부(30)의 길이가 더 길게 구비되되, 이송부(30) 길이와 이송프레임(10)들 전체폭의 차는, 한개의 이송프레임(10)의 수평폭의 2∼1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22. 청구항 2에 있어서,
    양식수로부(40)에는 다수의 생물성장용기(50)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양식수로부(40)의 타측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양식수 배출 유도홈(44)이 형성된 물막이판(43)이 결합되어서, 물막이판(43)에 의해 양식수로부(40)를 따라 흐르는 양식수의 유량 및 속도가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2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이송프레임(10)의 하부에는, 이송대차(90)의 양측에 설치된 안내바퀴(91)가 진입되어서 이송대차(90)를 이송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이송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가이드홈(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송대차(90)가 이송프레임(10)들 사이의 이송공간으로 진입되면 안내바퀴(91)가 가이드홈(17)에 진입된 후 가이드홈(17)을 따라 이송되면서 이송대차(9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KR1020120101283A 2012-09-13 2012-09-13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KR101426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283A KR101426228B1 (ko) 2012-09-13 2012-09-13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283A KR101426228B1 (ko) 2012-09-13 2012-09-13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387A true KR20140036387A (ko) 2014-03-26
KR101426228B1 KR101426228B1 (ko) 2014-08-07

Family

ID=5064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283A KR101426228B1 (ko) 2012-09-13 2012-09-13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2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898B1 (ko) * 2016-08-26 2017-02-23 황병길 개별배양이 가능한 게의 유생배양장치
US20210000090A1 (en) * 2017-12-22 2021-01-07 Protix B.V. Insect tray with cover, rack for said tray, use of an assembly of said rack with at least one tray
KR20210126529A (ko) * 2021-10-01 2021-10-20 최정기 큰징거미새우의 다칸 다단 양식 장치
KR102436478B1 (ko) * 2022-03-29 2022-08-26 강원도 대서양 연어(Salmo salar) 수정란 및 부화어 관리방법
KR102436481B1 (ko) * 2022-03-29 2022-08-29 강원도 대서양 연어(Salmo salar) 폐사 개체 선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3357B2 (ja) 2001-10-29 2004-02-03 中塚建設株式会社 貝類の陸上養殖装置
KR101130174B1 (ko) * 2009-09-23 2012-04-12 김학남 천적곤충의 대량 생산 시설
KR101196469B1 (ko) * 2010-04-26 2012-11-01 정병재 두족류 양식장치
KR101066178B1 (ko) * 2011-01-17 2011-09-20 김성락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898B1 (ko) * 2016-08-26 2017-02-23 황병길 개별배양이 가능한 게의 유생배양장치
US20210000090A1 (en) * 2017-12-22 2021-01-07 Protix B.V. Insect tray with cover, rack for said tray, use of an assembly of said rack with at least one tray
KR20210126529A (ko) * 2021-10-01 2021-10-20 최정기 큰징거미새우의 다칸 다단 양식 장치
KR102436478B1 (ko) * 2022-03-29 2022-08-26 강원도 대서양 연어(Salmo salar) 수정란 및 부화어 관리방법
KR102436481B1 (ko) * 2022-03-29 2022-08-29 강원도 대서양 연어(Salmo salar) 폐사 개체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228B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0736B1 (en) Shrimp aquaculture raceway, system and method
JP5610296B2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Davis et al. The design, management and production of a recirculating raceway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marine shrimp
KR101426228B1 (ko)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KR101408850B1 (ko)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
EP24292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intensive shrimp production
CA2981912A1 (en) Vertical indoor eco-system
US9380766B2 (en) Aquaculture system
KR101330705B1 (ko)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아파트형 공장식 양식빌딩
US4036176A (en) System for culturing aquatic animals
JP5150972B2 (ja) 甲殻類の飼育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飼育された甲殻類
KR101773291B1 (ko) 피쉬펌프를 이용한 양식생물 수확 및 배급시스템
EP3097779B1 (en) Multi-level apartment type three-dimensional water tank
KR101555134B1 (ko) 순환여과식 사육조
KR20160133274A (ko) 사료통이 장착된 해삼 양식용 쉘터
CN111134075A (zh) 一种养殖池和船舶
JP7170253B2 (ja) 貝類の養殖装置
JP2000069879A (ja) 海産動物養殖用水槽システム
CN106561535A (zh) 一种保持水产养殖池塘清洁的方法
CN215648836U (zh) 一种增氧效果好的水产养殖箱
CN204499092U (zh) 一种鱼类单体养殖系统
CN214015549U (zh) 一种鮡科鱼类养殖装置
CN115053853A (zh) 一种新型高效生态漂浮水产苗种流水培育养殖系统
JPH07322788A (ja) 海水魚の飼育方法及びその装置
CN113711961A (zh) 一种用于虾类分级养殖的养殖箱及其养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