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520A - 3d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3d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520A
KR20140035520A KR1020147003568A KR20147003568A KR20140035520A KR 20140035520 A KR20140035520 A KR 20140035520A KR 1020147003568 A KR1020147003568 A KR 1020147003568A KR 20147003568 A KR20147003568 A KR 20147003568A KR 20140035520 A KR20140035520 A KR 20140035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viewer
displayed
individu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킴 매튜스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4003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2D/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3차원 깊이의 입체감을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 장치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3개 이상의 이미지 시퀀스가 시분할 방식으로 표시되고, 3개의 이미지 시퀀스는 각각 동일한 대상에 대해서 서로 다른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 셔터 안경을 통해서 표시되는 이미지를 보는 시청자는, 3개의 이미지 중 시청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제공될 2개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구조{3D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STRUCTURES}
본 개시물은, 3차원(3D) 깊이의 입체감을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 장치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3D 디스플레이 및 시스템은 3D 깊이의 입체감을 시청자에게 전달한다. 3D 디스플레이 및 시스템의 기본적인 동작 특성은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오프셋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오프셋 이미지는 시청자의 뇌에서 결합되어서 3D 깊이의 인식을 제공한다.
3D 디스플레이 및 시스템은 소망의 시각적인 속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영화, 텔레비젼 및 컴퓨터 산업에서 인기가 높다. 그러나, 알려진 바와 같이, 3D 디스플레이 및 시스템, 그리고 생성된 이미지는 어떤 사람에게는 매력적이겠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을 것이다. 3D 디스플레이 및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에 대한 인간의 허용 범위도 사람마다 다르다. 구체적으로, 3D 디스플레이 상의 이미지를 시청할 때, 어떤 사람은 방향감을 잃을 수도 있고, 및/또는 물리적인 불편함을 경험할 수도 있지만, 어떤 사람은 어떤 부작용도 경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현재의 3D 디스플레이 및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특성은 그 장소의 물리적인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예컨대, 보여지는 시차(parallax)의 정도는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혹은 시청자가 스크린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위치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
구조 및 방법과 관련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술은, 3D 디스플레이의 개개의 시청자가, 시청자 개개인의 기호에 따라서, 표시되는 3D 특성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표시되는 이미지가 사용자-선택 가능한 3D 특성의 정도를 보여줄 수 있는, 동영상(영화) 및/또는 다른 방송 기법의 표시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는, 다수의 이미지 시퀀스를 포함하는 시각 매체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는 적어도 3개의 개별 이미지의 세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개별 이미지는 시점(viewpoint)이 서로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시각 매체는 자기형, 광학형, 전자형, 전자기형 및 화학형 중 임의의 것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시퀀스의 수는, 영화의 전체 길이 혹은 이미지의 연속 스트림이 포함될 수 있는 복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는, 복수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는 적어도 3개의 이미지의 세트를 포함하고, 개별 이미지 각각은 시점이 서로 상이하다. 이미지 시퀀스는 적절한 저장 매체로부터 검색되어서, 전송 및/또는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소망의 2D/3DF 효과에 대한 통지를 수신 및/또는 생성하는 단계와, 이 후에 이미지 시퀀스 중 특정 통지에 대응하는 개별 이미지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는 표시되는 이미지의 시청자가 연속 모션을 보는 속도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시청자 입력을 수신해서, 이미지의 시퀀스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되는 이미지는 시청자 입력에 의해 통지되는 소망의 정도의 2D/3D 특성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더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점이 서로 상이한 이미지, 안경류 및 이 이미지의 시청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2b, 2c 및 2d는 시점이 서로 상이한 이미지 및, 이를 시청자의 눈과 동기화시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2D/3D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일련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시퀀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시청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경이 컴퓨터 디스플레이에 유선으로 동기화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예시적인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예시적인 장치의 운영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더 완전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원리를 단지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여기에 명확하게 설명 혹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안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실시예 및 조건부 표현은 분명히, 본 발명자가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한 본 발명의 원리 및 개념을 독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설명의 목적일 뿐, 이러한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 및 조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측면 및 실시예, 그리고 그 특정한 예에 대한 모든 설명은, 그 구조적인 등가물 및 기능적인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했다. 나아가, 이러한 등가물은 현재 공지되어 있는 등가물 및 향후 개발될 등가물 즉, 그 구조에 관계없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된 임의의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하도록 했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제시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하는 예시적인 구조의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을 영화, 텔레비전, 컴퓨터 디스플레이, 비디오 게임 및 다른 오디오/비디오 기법, 즉 원격 회의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배경 기술을 더 추가하면, 먼저 좌우 시점(perspective views)을 별개로 생성함으로써 3D 깊이감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한다. 3D 환경에서 깊이를 지각할 수 있는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는 것은, 좌우 시점 사이의 점진적인 차이 - 시차(parallax)라고 함 - 이다. 3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목적은, 시청자의 우안에 제공되는 우안 이미지와는 분리되어 있는, 좌안 이미지를 시청자의 좌안에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시청자의 시각계(중추신경계, 뇌 등)는, 2개의 이미지를 병합해서 깊이, 즉 스테레옵시스(stereopsis)을 지각할 수 있다.
3D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존의 방법 - 및 대중적에게는, 일반적으로 입체시(stereoscopy)와 관련되어 있는 방법 - 은 애너글리프(anaglyph) 이미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애너글리프가 대중에게 친밀한 이유 중 일부는 - 부분적으로 - , 만화책 및 텔레비전 방송과 같은, 극장용이 아닌 3D 매체에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이 때에는 각각의 눈에 적색 및 시안 컬러 필터가 장착된 생태학적인 3D 안경을 이용했기 때문이며, 편광은 불가능했다.
애너글리프에서는, 2개의 이미지는 적색과 시안의 2개의 필터를 이용해서 가산 방식으로 중첩된다.
3D 입체시 영화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2개의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직교 선편광 필터를 거쳐서 동일한 스크린에 중첩된다. 투사된 이미지를 보는 시청자는, 좌우 눈 용의, 한 쌍의 직교 선편광 필터를 가진 안경을 착용한다. 각각의 선편광 필터는 유사하게 편광된 광만을 투과시키고, 직교 편광된 광은 차단시키기 때문에, 시청자의 각각의 눈은 이미지 중 하나만을 보게 되고, 이들은 이후에 시청자의 뇌에서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선편광된 필터를 이용할 때에는 시청자는 자신의 머리를 일정 레벨로 유지해야 하며, 이는 시청 필터가 기울어지면 이미지가 서로 '브리드(bleed)'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른 방안으로, 2개의 이미지는, 서로 반대의 나선성을 보이는 원편광 필터를 거쳐서 동일 스크린에 중첩 투사될 수 있다. 시청자는, 각각의 눈마다 하나씩의, 한 쌍의 원편광 렌즈가 반대로 장착된 안경을 착용하고 있다. 따라서, 좌원형 편광된 광은 오른손(right-handed) 원편광 렌즈에 의해 소멸되고, 반면에 우원형 편광된 광은 왼손 원편광 렌즈에 의해 소멸된다. 시청자가 자신의 머리를 기울일 수 있고, 만족스러운 좌우 분리 및 3D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그 결과는 선 편광 안경으로 선편광된 투사 영상을 시청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최근, 멀티크롬 필터를 이용해서 입체시 이미지를 컬러로 기록하고 시청하는 방법이 미국 특허 제 6,687,00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컬러 코드 3-D)은 앰버(amber) 및 청색 필터를 이용해서, 이전의 애너글리프 시스템과는 달리, 기존의 텔레비전 매체에 거의 풀 컬러의 시청을 제공한다. 시청자의 한쪽 눈(좌안, 앰버 필터)는 크로스 스펙트럼 컬러 정보를 수신하고, 다른 눈(우안, 청색 필터)는 흑백 이미지를 수신한다. 양쪽 이미지는 시청자의 뇌에서 '결합'된다.
이러한 배경 기술을 고려할 때, 당업자라면 이러한 3D 시스템 및 방법의 시청자/사용자가 그 시스템을 개인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3D 영화와 관련해서, 영화 관객은 3D 효과를 제어할 수 없는 특정 3D 영화를 시청하는게 좋을지, 동일한 영화의 2D 영상을 시청하는게 좋을지 결정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선택은, 극장 운영자가 상당한 운영 비용을 지불하면서 2개의 다른 영상을 제공한다는 가정하에서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한가지 해법은 3D 효과를 경험하지 않고 3D 표현을 볼 수 있는 안경을 영화 관객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영화 관객의 개인적인 부작용을 방지한다.
이러한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서, 수동형 편광 안경이 이용된다. 상세하게, 3D 영화를 제작하는데 선편광된 광이 사용된 경우에는, 편광된 안경은, 시청자의 각각의 눈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편광 렌즈(필름, 필터 등)를 포함할 것이다. 유사하게, 원편광된 3D 영화의 경우에는, 이 안경의 각 렌즈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편광 렌즈(필터, 필름 등)를 가질 것이다. 이와 같이, 3D 영화의 시청자는 하나의 편광 방향만을 가질 것이며, 따라서 영화를 3D로 시청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는, 3D 시청과 관련된 어떤 부작용도 경험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다른 방안으로, 액정 렌즈를 구비한 능동형 안경(셔터 안경)이, 표시되는 이미지에 동기해서 광을 차단 혹은 투과시키는 3D 프로젝션/디스플레이와 함께 이용되었다. 상세하게, 교대-프레임(alternate-frame) 시퀀싱 방법이 이용되며, 여기서 안경은, 표시되는 이미지에 동기해서 그 착용자의 한쪽 눈을 각각 교대로 셔터(어둡게 함)한다. 표시되는 이미지는 각각의 눈에 상이한 시점을 교대로 묘사함으로써 3D 효과를 낸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서, 교대 셔터링은 좌우 눈 모두에 대해 하나의 시점으로 동기화되어서, 모든 3D 효과를 제거한다. 대신, 시청자가 보는 것은 2D 이미지가 되고, 그 결과 3D 시청에 의한 어떤 부작용도 경험하지 않게 된다.
동작시에는, 액정 렌즈를 가진 안경이, 사용자가 교대 셔터 모드 혹은 동기화 셔터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안경이 교대 셔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안경 착용자는 적절하게 표시되는(혹은 투사되는) 이미지에 대한 3D 효과를 시청할 것이다. 이와 달리, 안경이 동기화 셔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한 2D 효과를 시청할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기술을 통해서, 3D 효과 및 이로 인해 시청자에게 발생할 물리적인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는 있지만, 시청자가 경험하는 3D 효과의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불가능하다는 점에 주의한다.
이를 고려해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시청자가 3D 효과의 정도나, 혹은 전혀 없애도록 선택할 수 있는 능동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3개 이상의 다른 시점을 나타내고 있는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능동형 안경은, 그 착용자가 표시되는 이미지의 4개의 상이한 조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되게 된다.
도 1, 2a, 2b, 2c 및 2d를 함께 참조하면, 이미지(100)의 시청자(도 1), 및 각각이 상이한 시점을 나타내고 있는 일련의 이미지 A, B, C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서, 각각의 이미지의 시점 간격은 서로 상이하다는 점에 주의한다. 즉, 개개의 이미지 A, B, C가 구성되는 기초가 되는 시점은 서로 상이하다. 이러한 차이는 시점 간격으로 측정된다. 예컨대, 이미지 A와 이미지 B의 시점 간격이 x인 반면, 이미지 B와 이미지 C의 시점 간격은 2x이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A와 이미지 C의 시점 간격은 3x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미지의 '표준' 스테레오 쌍은 ~7㎝(대략 인간 눈 사이의 간격)만큼 이격된 렌즈를 가진 2렌즈 카메라로 제작된다. 조정 가능한 고정물에 장착된 카메라로 렌즈 간격이 더 큰 이미지를 작성할 수 있으며, 이로써 소망의 각도 혹은 정도의 시점 간격을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A, B, C는 연속해서 반사형 스크린 혹은 다른 능동형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시청자(100)는 능동형-셔터 안경(120)을 착용하고 있다.
안경(120)의 2개의 개별 렌즈(121, 122) - 이는 LCD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 - 는 각각 표시되는 이미지 중 각각의 이미지와 동기화되어 있다. 착용자는, 스위치(125)나 다른 선택 가능한 소자를 통해서 이미지 A, B, C 중 개개의 렌즈가 동기화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안경 렌즈(121, 122) 각각은 그 안경(120) 착용자의 각각의 눈(좌안 혹은 우안)에 대응한다. 따라서, 표 1을 참조하면, 렌즈(121, 122)가 모두 이미지 B와 동기화되는 경우에는, 이 안경(120)의 착용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이미지를 시청할 것이다.
Figure pct00001
그러나, 양쪽 렌즈가 모두 동일한 이미지에 동기화되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눈이 보는 상이한 이미지의 시점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셔터-안경의 착용자는 3D 효과를 경험할 것이다. 이 때, 렌즈는 각각의 눈이 특정 이미지만을 보도록, 즉 이미지의 특정 시점만을 보도록 셔터된다. 따라서, 우안 셔터가 이미지 A에 동기화되어 있고, 좌안 셔터가 이미지 C에 동기화되어 있다면, 착용자의 좌안은 이미지 C만을 보고, 착용자의 우안은 이미지 A만을 보게 될 것이므로, 착용자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한 3D 효과의 이미지를 '시청'할 것이다.
유사하게, 착용자의 우안이 이미지 B만을 보고, 착용자의 좌안이 이미지 C만을 보도록 렌즈가 셔터되는 경우에는, 착용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중간의 3D 효과의 이미지를 시청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착용자의 우안이 이미지 A만을 보고, 착용자의 좌안이 이미지 B만을 보도록 렌즈가 셔터되는 경우에는, 착용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약한 3D 효과의 이미지를 시청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다수의 프레임 시퀀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미지는 필름의 일부 즉 영화로 도시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필름, 무비, 즉 영화가 간단히 일련의 스틸(혹은 무빙) 이미지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카메라로 사진 이미지를 기록함으로써, 혹은 애니매이션 효과나 시각 효과를 이용해서 이미지를 작성하거나, 컴퓨터 생성함으로써 생성된다. 물론 필름은 일련의 개개의 이미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이미지(프레임)가 연속해서 표시되면, 시청자는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는 착각을 하게 된다. 부분적으로, 이미지의 소스가 사라진 이후에 일정 기간 동안 시각 이미지가 눈에 남아있는, 시각 잔상 효과라고 알려진 효과로 의해서, 시청자는 프레임 사이의 깜박거림을 볼 수 없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예는 필름이지만, 당업자라면 물론, 본 발명 및 그 실시예가 필름, 디스크, 테이프, DVD, CD나, 화학형, 전자형, 광학형, 자기형, 전자형/전자기형 전송, 혹은 임의의 공지된 이미지 저장/재생/전송, 시스템 등과 같은, 일련의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매체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서, 도시된 필름은 시퀀스 1, 시퀀스 2 ... 시퀀스 n으로 표시된 일련의 이미지 시퀀스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시퀀스는 또한, 이미지 A, 이미지 B 및 이미지 C라고 표시된 일련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각각의 시퀀스(예컨대, 시퀀스 1) 내의 이미지는, 3D 시점 즉 시점 간격만 상이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각 시퀀스에서 이미지 A와 이미지 B 및/또는 이미지 C 사이의 이론적인 차이는, 각각의 이미지가 전체적으로 상이한 시점 간격을 보이고 있는 시퀀스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 2a, b, c 및 d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청자의 눈이 각각 어느 이미지를 보고 있는지에 따라서, 시청자는 서로 다른 정도의 3D 효과(혹은 3D 효과가 없음)를 시청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대 배치/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서, 상술한 가변형 셔텨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시청자에게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 안경은 컴퓨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연결 즉 유선 접속되어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각각의 렌즈의 셔터가 제어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안경이 컴퓨터 시스템에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무선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널리 알려진 블루투스, 와이파이 혹은 다른 무선 포맷/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안경과 컴퓨터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컴퓨터 디스플레이의 시청자는, 안경(스위치 등)을 통해서 2D/3D 이미지 표시에 대한 자신의 기호를 통지하고, 이 기호는 컴퓨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통지되어서, 안경은 표시되는 이미지와 동기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셔터 안경의 적절한 렌즈가 표시되는 적절한 이미지와 동기화되어서, 시청자는 2D/3D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이미지의 스트림은 연속해서 수행되며, 이 때 각각의 시퀀스는 일련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이미지의 시점 간격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안경을 사용하면, 셔터 안경의 개별적으로 셔터되는 렌즈는, 시청자의 각각의 눈이 어느 이미지를 볼지 조절/결정한다. 이 때, 3개 이상의 이미지가 개개의 시퀀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시퀀스의 모든 이미지가 특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수는 있겠지만, 안경 셔터를 통해서 대응하는 눈은 대응하는 이미지만을 보게 된다.
이를 고려해서, 도 4에 도시된 컴퓨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연결/유선 접속 혹은 무선 셔텨 안경과 조합되었을 때, 바람직하게는 셔터 안경(혹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통지된 2D/3D 간격의 정도를 묘사하고 있는 이미지만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상세하게, 단지 예시적으로, 시청자가 '일반' 3D 이미지를 보고자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3D를 보고자 한다면, 시청자의 우안과 좌안은 각각 이미지 A 및 B만을 보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표시시에는, 영화의 일부로서 예컨대, 전체 필름의 일부로서, 개개의 시퀀스의 3개의 이미지 모두가 즉, 이미지 A, 이미지 B 및 이미지 C가 표시/투사된다. 셔터 안경이 특정 이미지를 시청자의 특정 눈과 동기화시켜서, 소망의 정도의 2D/3D가 인지되게 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면, 특정 시청자가 선택해서 요청한 이미지만 컴퓨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정에 이어서, 일반 혹은 약한 3D 효과가 요구된다고 가정하면, 시청자는 셔터 안경의 스위치를 통해서, 혹은 예컨대, 키보드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메커니즘을 통해서, 이와 같은 선택을 수행한다. 그 결과, 컴퓨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요구되는 3D의 정보를 통지받고, 따라서 셔터 안경과 관련된 효과를 내는데 필요한 이미지(이미지 A 및 이미지 B)만을 연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파일 혹은 매체는 일련의 이미지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시퀀스는 서로 다른 시점 간격을 나타내는 개개의 이미지를 다수 갖고 있으며, 소망의 시각 효과를 내는데 필요한 개개의 이미지만이 표시되어야 한다.
여기서, 전반적으로 이미지의 시청자가 이들 이미지의 소스와 함께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의한다. 예컨대, 도 4를 계속해서 참조하면, 컴퓨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전송되어 오는 이미지의 시퀀스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예컨대, 케이블 TV 혹은 위성을 통해서), 컴퓨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시청자가 수행한 2D/3D 선택에 관해서 일련의 이미지의 소스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선택된 2D/3D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개개의 이미지만이 송수신되어서 시청자에게 국부적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흐름도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는 임의의 다양한 공지된 매체에 저장되어서, 검색될 수도 있고, 혹은 액세스 가능하거나 수신 가능하며, 여기서 각각의 시퀀스는 적어도 3개의 개별 이미지의 세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개개의 이미지는 각각이 서로 다른 시점을 갖고 있다.
이 시퀀스를 액세스하기 전에, 소망의 2D/3D 효과의 통지가 수신될 수 있으며(블록 500), 이후에 시퀀스가 액세스된다(블록 510). 이후에, 이 통지에 대응하는 시퀀스 내의 이미지가 요청에 따라서, 표시 및/또는 전송된다(블록 520). 통지의 변경이 체크될 수 있으며(블록 530), 통지에서의 이러한 변경에 대응하는 후속 이미지가 엑세스되고, 이후에 표시 및/또는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예시적인 장치(600)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 이 예시적인 장치(600)는 처리 유닛(605)(즉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610), 입출력 구조(620), 및/또는 제어부(60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607)는 하나 이상의 상호 접속부(BUS)를 통해서, 예컨대, 저장 장치(630)(즉 디스크)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40)를 포함한 입출력 장치에 접속된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아키텍쳐 및 물품이 어떤 한정의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이러한 장치는 임의의 다양한 공지된 구성 요소/구조/방법으로 구성하고, 이렇게 구성된 장치가 프로그래밍된 제어(소프트웨어/펌웨어)를 통해서 실행 및 동작 가능하고, 컴퓨터, 지능형 장치 및/또는 '셋톱 박스'라고 공지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장치(600)가 제공하는 입출력 제어 기능은, 디스플레이(650, 660)를 포함하며, 이는 독립형(즉, 텔레비전이나 다른 디스플레이)이 될 수도 있고, 컴퓨터 방식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능은 시청자가 착용하는 디스플레이, 즉 디스플레이 안경(680)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시청자의 기호(즉 2D/3D 효과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의 입력은 안경(680)의 스위치, 키보드(690) 혹은 다른 '원격' 제어부(67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시청자의 기호를 장치에 통지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임의의 다양한 무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치(600)는 독립형 장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장치가 650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에 통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구내 장치가, 대형 네트워크(710)(즉 인터넷, 인트라넷 등)에 통합되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공급자(710)에 의해 컨텐츠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있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운영 방식에서는, 사용자의 기호가 컨텐츠 공급자에게 제공되어서 소망의 2D/3D 효과를 구내의 시청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일부 특정예를 사용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교시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다.

Claims (9)

  1. 복수의 이미지 시퀀스를 포함하되,
    각각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는 적어도 3개의 개별 이미지의 세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개별 이미지는 시점(viewpoint)이 서로 상이한
    시각 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매체는, 자기형 시각 매체, 광학형 시각 매체, 전자형 시각 매체, 전자기형 시각 매체 및 화학형 시각 매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시각 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의 개수는 복수인
    시각 매체.
  4. 복수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각각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는 적어도 3개의 개별 이미지의 세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개별 이미지는 시점이 서로 상이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를 적절한 저장 매체로부터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원하는 2D/3D 효과에 대한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를 적절한 저장 매체로부터 검색하는 단계와,
    이미지 시퀀스 중 상기 통지에 대응하는 개별 이미지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별 이미지 시퀀스는, 표시되는 이미지의 시청자가 연속 모션을 시청하는 속도로 표시되는
    방법.
KR1020147003568A 2011-08-12 2012-08-07 3d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구조 KR20140035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09,126 US20130038685A1 (en) 2011-08-12 2011-08-12 3d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structures
US13/209,126 2011-08-12
PCT/US2012/049808 WO2013025396A1 (en) 2011-08-12 2012-08-07 3d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struct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520A true KR20140035520A (ko) 2014-03-21

Family

ID=4675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568A KR20140035520A (ko) 2011-08-12 2012-08-07 3d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38685A1 (ko)
EP (1) EP2742697A1 (ko)
JP (1) JP2014529225A (ko)
KR (1) KR20140035520A (ko)
CN (1) CN103718550A (ko)
WO (1) WO2013025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6694B2 (en) * 2011-04-04 2013-10-22 Xerox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documents for parallel content display on a single screen for multiple viewers
US20130050183A1 (en) * 2011-08-25 2013-02-28 Himax Technologies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Rendering Stereoscopic Images
CN111406412B (zh) * 2017-04-11 2021-09-03 杜比实验室特许公司 分层的增强型娱乐体验
CN110456517B (zh) * 2019-08-20 2021-11-02 杭州海藻科技服务有限公司 3d显示屏及其3d显示方法
CN113014902B (zh) * 2021-02-08 2022-04-01 中国科学院信息工程研究所 3d-2d同步显示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9650B1 (en) * 1996-09-11 2003-04-15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ing of image obtained by multi-eye camera
US6687003B1 (en) 1998-10-20 2004-02-03 Svend Erik Borre Sorensen Method for recording and viewing stereoscopic images in color using multichrome filters
FI117146B (fi) * 2001-06-18 2006-06-30 Karri Tapani Palovuori Suljintoimintoon perustuva laitteisto stereo- tai monikanavakuvan projisoimiseksi
JP4677175B2 (ja) * 2003-03-24 2011-04-2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撮像システム、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撮像表示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269822B2 (en) * 2007-04-03 2012-09-1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isplay viewing system and methods for optimizing display view based on active tracking
DE202007010389U1 (de) * 2007-07-24 2007-09-27 Maier, Florian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Positionierung von gekoppelten Kameras zur plastischen Bilddarstellung
CN102027749B (zh) * 2008-11-18 2014-02-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考虑特殊再现的再现装置、集成电路、再现方法
CN102293005B (zh) * 2009-01-22 2015-01-14 日本电气株式会社 三维影像鉴赏系统、显示系统、光学快门和三维影像鉴赏方法
US20110012993A1 (en) * 2009-07-14 2011-01-20 Panasonic Corporatio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US20120113232A1 (en) * 2010-11-10 2012-05-10 Sony Pictures Technologies Inc. Multiple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selectable interaxial s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5396A1 (en) 2013-02-21
EP2742697A1 (en) 2014-06-18
CN103718550A (zh) 2014-04-09
US20130038685A1 (en) 2013-02-14
JP2014529225A (ja)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7996B2 (en) 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flexible rendering for multiple simultaneous observers
CN101523924B (zh) 3d菜单显示
US89885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time-multiplexed shared display
US8646917B2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with multiplane image display elements
US78084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channel viewing applications
JP5427035B2 (ja) 複数の個別設定を用いた画像観察
US20070085903A1 (en) 3-d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US20100225576A1 (en)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US20100225734A1 (en)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US20110285828A1 (en) Using 3d technology to provide multiple perspectives in shows and movies
US20110096069A1 (en) Display of two-dimensional content during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
US20110286093A1 (en) Using 3d eyewear technology to view one series of images from multiple series of images
KR20140035520A (ko) 3d 디스플레이 장치, 방법 및 구조
WO2008021857A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channel viewing applications
US20110285820A1 (en) Using 3d technology to provide secure data viewing on a display
Kunić et al. 3D television
Hecht 3-D TV and movies: exploring the hangover effect
Kara et al. The couch, the sofa, and everything in between: discussion on the use case scenarios for light field video streaming services
JP2004279743A (ja) 三次元表示装置
US20110320941A1 (en) Stereoscopic 3d content auto-format-adapter middleware for streaming consumption from internet
KR101978790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구동 방법
Chinnock The Many Ways to Create a 3-D Image
KR20120071296A (ko) 원통형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Bayatpour The Evaluation of Selected Parameters that Affect Motion Artifacts in Stereoscopic Video
Mantinband et al. Autostereoscopic field-sequential display with full freedom of movement or Let the display wear the shutter 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