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294A -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294A
KR20140035294A KR1020130110707A KR20130110707A KR20140035294A KR 20140035294 A KR20140035294 A KR 20140035294A KR 1020130110707 A KR1020130110707 A KR 1020130110707A KR 20130110707 A KR20130110707 A KR 20130110707A KR 20140035294 A KR20140035294 A KR 2014003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needle
image
sectio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기
Original Assignee
(주)알에프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에프메디컬 filed Critical (주)알에프메디컬
Publication of KR2014003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61B2010/045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흡 측정값 표시부와 CT 영상 표시부, 바늘 기울기 표시부를 구비하여 환자의 병부에 정확하게 바늘이 안내되도록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바늘의 기울기나 바늘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고, 지속적으로 호흡을 측정하며 환자의 호흡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로 바늘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시술자의 수 및 시술 시간을 줄이고, 그에 따라 환자나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고, 합병증을 대폭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시술비용이 절감됨에 따라서 경제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Needle Guiding System And CT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흡 측정값 표시부와 CT 영상 표시부, 바늘 기울기 표시부를 구비하여 환자의 병부에 정확하게 바늘이 안내되도록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의 엑스레이 상으로 폐암 등의 소견이 발견되면, 생검용 바늘을 찔러넣고 폐 조직을 일부 채취하여 생검을 하였다. 이때 폐의 경우 초음파 측정이 불가능하여 엑스레이나 CT에 의존하여 생검 위치를 파악하여야 한다. 그러나 엑스레이나 CT를 수차례 촬영하게 되면 환자나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CT나 엑스레이 촬영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로 바늘을 찔러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시술 어시스턴트가 각도계를 이용하여 생검용 바늘의 x축, z축 방향 각도를 시술자에게 알려주어 최대한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바늘이 삽입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어시스턴트의 시야각에 따라 생검용 바늘의 보이는 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각도가 부정확한 경우가 있고, 또한 반드시 어시스턴트가 있어야 하며 시술자만으로는 생검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T 기기 앞에 레이저를 이용한 가이드 시스템을 구비하거나, 바늘에 전자석을 이용한 가이드 시스템을 구비하는 경우, 적외선을 이용한 가이드 시스템, 카메라를 이용한 가이드 시스템, 환자의 몸에 그리드 타입 장치를 부착하여 가이드하는 시스템, 자이로스코프타입의 각도계를 구비하여 바늘을 가이드하는 시스템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상당히 고가이며, 환자가 지속적으로 숨을 쉬는 상태에서 병소의 위치도 달라지기 때문에 안내된 위치로 정확히 삽입한다 하여도 바늘이 병소가 아닌 정상 세포를 찔러 들어갈 염려가 있었다.
폐는 사람이 숨을 들이쉬고 내쉼에 따라 수축, 팽창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서 폐 내의 암세포의 위치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폐의 크기가 암세포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촬영된 때와 유사한 때에 생검용 바늘을 삽입하여야 정확한 암세포의 위치로 바늘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술자가 바늘의 기울기나 바늘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표시하여 주는 기울기 표시부 및 환자의 호흡 상태를 알 수 있게 표시하여 주는 호흡값 표시부를 구비하여 정확한 위치로 바늘이 삽입되어 용이하게 신체 장기의 생검이나 고주파 치료, 저주파 치료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호흡 정도를 수치화한 호흡 측정값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환자의 특정 단면에 대한 CT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 외부로부터 환자의 특정 단면 내부로 찔러지는 바늘의 삽입 각도를 표시하는 제3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표시부, 제2 표시부, 제3 표시부는 모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꺼번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제2 표시부, 제3 표시부는 모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꺼번에 표시되고 제1 표시부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제3 표시부는 바늘의 삽입 각도에 부가하여, CT 촬영한 환자의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좌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제2 표시부는 환자의 특정 단면에 대한 CT 이미지 상에 바늘의 삽입 각도 및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생성한 가상의 바늘 이미지를 정합하여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바늘은 센서 부재로서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 부재는 추가로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바늘은 센서의 센싱 값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제2 표시부는 환자의 제1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촬영한 제1 CT 이미지와, 제1 호흡 상태와는 다른 환자의 제2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촬영한 제2 CT 이미지와 각 호흡 상태에서의 호흡 측정값을 바탕으로 환자의 호흡 전반에 걸친 환자의 특정 단면의 가상 CT 이미지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바늘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제2 표시부는 환자의 호흡 전반에 걸친 환자의 특정 단면의 가상 CT 이미지 상에 삽입 각도 및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생성한 가상의 바늘 이미지를 정합하여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CT 이미지 표시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제1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촬영한 제1 CT 이미지와, 제1 호흡 상태와는 다른 환자의 제2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촬영한 제2 CT 이미지와 각 호흡 상태에서의 환자의 호흡 정도를 수치화한 호흡 측정값을 바탕으로 환자의 호흡 전반에 걸친 환자의 특정 단면의 가상 CT 이미지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CT 이미지 표시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호흡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호흡값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CT 이미지 표시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환자의 특정 단면 내부로 찔러지며 기울기 센서와 위치 센서가 부착된 바늘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환자의 호흡 전반에 걸친 환자의 특정 단면의 가상 CT 이미지 상에 바늘의 삽입 각도 및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생성한 가상의 바늘 이미지를 정합하여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는 바늘의 기울기나 바늘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고, 지속적으로 호흡을 측정하며 환자의 호흡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로 바늘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시술자의 수 및 시술 시간을 줄이고, 그에 따라 환자나 시술자의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고, 합병증을 대폭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시술비용이 절감됨에 따라서 경제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늘 안내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늘(400)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바늘(400)의 센싱 부재(410)가 센싱하는 기울기 축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5는 각 표시부(10, 20, 30)가 컴퓨터(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실시되는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개념도,
도6a와 도6b는 각 표시부(10, 20, 30)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실시될 수 있는 일부 경우를 간략히 나타낸 개념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늘 안내 시스템의 실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늘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술자가 바늘 안내를 받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9는 각 표시부(10, 20, 30)가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모습을 상세히 나타낸 개념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환자의 호흡 전반에 걸친 환자의 특정 단면의 가상 CT 이미지를 표시하여 주어 바늘(400)의 삽입을 안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11a, 도11b는 각 호흡 상태에서의 병소의 이동 모습을 상세히 나타낸 개념도,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술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의 가독성을 위하여 도면상 대응되는 구조이거나 동일한 구성임이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는 경우 및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에는 일부 도면상의 부호를 생략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 연결 및 간접적 연결을 모두 의미할 수 있으며 유선적 연결 및 무선적 연결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늘 안내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바늘 안내 시스템(1)은 제1 표시부(10), 제2 표시부(20), 제3 표시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표시부(10)는 환자의 호흡 정도를 수치화한 값인 호흡 측정값을 표시한다. 제2 표시부(20)는 환자의 특정 단면, 즉 병부나, 검사 부위를 포함하는 환자 신체의 특정 단면에 대한 CT 이미지를 표시하여 준다. 제3 표시부(30)는 검사 등을 위하여 환자의 특정 단면 내부, 즉 신체 내부로 찔러지는 바늘의 삽입 각도를 표시하여 준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늘 안내 시스템(1)은 컴퓨터(100)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300)는 검사가 필요한 환자의 병부를 촬영하여 병부의 횡단면상을 획득한다. CT 촬영기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고 영상으로 표시하는데 본 발명에서의 CT 촬영기(300) 역시 컴퓨터(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컴퓨터(100)는 CT 촬영기(300)의 영상을 처리하고 제2 표시부(20)를 통하여 표시하여 주며 CT 촬영기(300)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시술자는 제2 표시부(20)에 표시된 환자의 횡단면상으로 검사 대상인 병소를 볼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병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바늘(400)은 환자의 병부에 삽입되어 그 말단이 병소까지 도달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병소의 조직 샘플을 채취하는 역할을 한다. 바늘(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신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부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모듈(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술 시에 있어 센서 부재(410)가 바늘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통신 모듈(420)을 통하여 컴퓨터(100)로 전송을 하면 컴퓨터(100)는 이 정보를 제3 표시부(30)로 보내어 그 기울기, 즉 바늘(400)의 삽입 각도를 표시하게 된다.
호흡 측정 장치(200)는 주로 대상 환자의 몸에 착용하는 형태로 사용되며 환자의 호흡의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여 주는 장치이다. 호흡 측정 장치(200)로는 현재 의료계에서 널리 쓰이는 어느 장치를 써도 무방할 것이며 특정 환자에 대한 상대적인 값을 측정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예를 들면, 흉부 압박형 호흡 측정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흉부 압박형 호흡 측정 장치는 벨트의 형태로 환자의 흉부에 둘러 착용하며 혈압계와 동일한 원리로, 벨트를 압박하는 정도를 수치로 표현해준다. 즉 벨트 내에 압력 센서 등을 구비하여, 환자가 숨을 들이쉬어 흉부가 팽창할 때는 팽창 압력에 의해 압력 센서가 가압되고, 숨을 내쉬며 흉부가 수축할 때는 팽창 압력이 줄어들어 압력 센서를 가압하는 정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 때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호흡 측정 장치(200)는 예를 들어 환자의 호흡 정도를 0~99까지의 수치로 나타내어 줄 수 있다. 호흡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방식 뿐만 아니라 호흡에 따라 횡경막의 둘레가 늘었다 줄었다 하는 정도를 전도성고무를 벨트로 만들어서 저항값이 바뀌는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 할 수도 있고 RF 방식을 이용하여 호흡 측정을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전자석을 가슴에 부착하여 측정할 수도 있고, 광학센서를 이용하여 측정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능의 장치들은 모두 호흡 측정 장치(200)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늘(400)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바늘(400)은 바늘부(430)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생검이나 치료 등을 위하여 환자의 몸에 직접 삽입되는 부위이다. 바늘부는 그 삽입 목적에 따라 고주파 치료용 바늘일 수 있으며 냉각 치료용 바늘일 수도 있는 등 현재 의료계에서 쓰이는 삽입 도구를 의미하며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바늘(400)은 통신 모듈(420)을 구비하고 있는데 통신 모듈(420)은 컴퓨터(100)와 연결되어 추후 설명할 센서 부재(41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들을 컴퓨터(1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즉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케이블,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또는 Zig bee 등 유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바늘(400)은 시술자에 의하여 자유롭게 조작될 것이 요구되므로 통신 모듈(420)은 무선으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늘(400)은 센싱 부재(410)를 구비하고 있는데 센싱 부재(410)는 기울기 센서가 구성되어 있어 바늘(40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시술자가 바늘(400)을 잡고 시술하기 위한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간에서의 기울기는 공간상의 3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정도로 나타낼 수 있는데 도4에서 표시하였듯이 본 발명에서의 경우 누워있는 환자를 기준으로 머리 쪽 방향(x축), 수직 상단 방향(y축), 마지막으로 CT 촬영기(300)의 스캔 영역 방향(z축)을 기준으로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한편 센싱 부재(410)는, 바늘을 안내하기 위한 센서로 기울기 센서 이외에 별도로 전자기 센서 등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위치 감지 센서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면 결국 바늘(400)의 기울기는 물론 특정 지점으로부터의 상대적 위치, 바람직하게는 CT 촬영한 환자의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까지 센싱할 수 있다. 이렇게 센싱된 수치들은 모두 통신 모듈(420)을 통하여 컴퓨터(100)로 전송되며 컴퓨터(100)는 이를 제3 표시부(3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3 표시부(30)를 보며 시술자는 바늘(400)의 기울기 및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보며 병소에 바늘(400)을 정확히 삽입시킬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제3 표시부(30)에 표시되는 기울기는 x축 기울기, 즉 바늘의 끝단에서 도4의 x축과 평행하게 선을 그어 그 평행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바늘(400)이 얼마 각도로 회전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만으로도 충분히 시술자에게 삽입 각도로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더하여 z축 기울기, 즉 즉 바늘의 끝단에서 도4의 z축과 평행하게 선을 그어 그 평행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바늘(400)이 얼마 각도로 회전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도 바늘의 삽입 각도로 표시될 수 있다.
도5는 제1 표시부(10), 제2 표시부(20), 제3 표시부(30)가 컴퓨터(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실시되는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1 표시부(10)에는 환자의 호흡 측정값이 표시되어 있으며 제2 표시부(20)에는 환자의 특정 단면에 대한 CT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다. 제3 표시부(30)에는 바늘(400)의 삽입 각도(기울기)가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측정되어 표시되어 있다. 환자에 대한 바늘 삽입 시술이 필요한 경우, 시술자는 각 표시부(10, 20, 30)를 보고 바늘 삽입 지점 및 각도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호흡 측정값이 표시되는 제1 표시부(10)의 역할 및 효과는 추후 설명한다.
도6a는 제1 표시부(10), 제2 표시부(20), 제3 표시부(30)가 모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6b는 제2 표시부(20)와 제3 표시부(30)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처럼 각 표시부(10, 20, 30)는 하나의 장치에 모두 한꺼번에 표시될 수도 있고 임의의 집합으로 묶여 따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늘 안내 시스템의 실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1 표시부(10)는 호흡 측정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10)는 CT 촬영기(300)에 누워 있는 환자가 볼 수 있도록 환자의 인근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도시된 바와는 다르나, 시술자도 호흡 측정값을 볼 수 있도록 컴퓨터(100)에 제1 표시부(10)가 중복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컴퓨터(100)의 제2 표시부(20)는 CT 촬영기(300)와 연결되어 환자의 특정 단면을 표시하고 있으며 제3 표시부(30)는 통신 모듈(미도시)에 의해 바늘(40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센싱 값을 무선으로 전송받아 표시하고 있다. 시술자는 제2 표시부(20) 및 제3 표시부(30)를 보고, 또는 추가적으로 제1 표시부(10)도 함께 보며 시술을 진행하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어진다.
도8은 본 발명의 현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늘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술자가 바늘 안내를 받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위치 파악 단계에서는 시술자는 환자의 병부나 관심 부위에 대한 CT 촬영을 실시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촬영시의 호흡 측정값인데 이는 호흡 측정기(200) 및 제1 표시부(10)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환자에게 편안한 시점에서 숨을 멈추라고 지시한 후 숨을 멈추면 이 때 제1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호흡 측정값을 시술자가 기록함과 동시에 CT 촬영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제1 표시부(10)를 이용하지 않고, 즉 호흡 측정기(200)와 CT 촬영기(300)를 컴퓨터(100)에 연결하는 것으로 촬영시의 호흡 측정값을 컴퓨터(100)가 자동으로 기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표시부(20)는 이렇게 CT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여 주므로 시술자는 이 영상을 보고 병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데 이는 종래 기술에 따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CT 이미지 상의 기준점, 즉 CT 이미지로 촬영한 환자의 특정 단면의 정중앙 최상단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도4에서 표시한 y축 및 z축의 좌표를 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환자의 신체 중 어느 지점에서 어떤 삽입 각도로 바늘(400)을 삽입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늘 삽입 단계에서는 먼저 환자에게 전 단계에서 기록한 호흡 측정값에서 숨을 멈추라고 지시한다. 환자의 현재 호흡 측정값은 제1 표시부(10)에서 표시되고 있으므로 환자를 이를 보고 전 단계에서 기록한 호흡 측정값에서 비교적 정확히 숨을 멈출 수 있다. 환자가 숨을 멈추면 그 즉시 시술자는 환자의 병소를 향하여 바늘(400)을 삽입하는데, 이 때 제3 표시부(30)는 바늘(400)에 부착된 센서 부재(410)에서 보내 준 기울기 값, 즉 삽입 각도를 표시하여 주므로 전 단계에서 파악한 삽입 각도에 맞추어 높은 정확도로 바늘(400)을 환자의 특정 단면의 병소에 삽입할 수 있다.
가슴 부위의 병소는 환자가 호흡을 하면서 그 위치가 지속적으로 바뀌므로 CT 촬영한 시점의 호흡 측정값과 동일한 호흡 측정값에서 환자의 호흡을 멈추게 하고 바늘(400)을 삽입하는 경우 더욱 정확한 위치에 바늘(400)을 삽입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바늘(400)의 센서 부재(410)가 위치 센서를 포함할 경우, 제3 표시부(30)는 바늘(400)의 삽입 각도에 부가하여, CT 촬영한 환자의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좌표로 표시하여 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시술자는 제3 표시부(30)를 보는 것으로 바늘(400)의 삽입 각도는 물론 바늘(400)의 현재 위치가 CT 이미지의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어디인지 손쉽게 파악이 되므로 전 단계에서 파악한 삽입 지점에 정확한 각도로 찔러 넣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 표시부는 환자의 특정 단면에 대한 CT 이미지 상에 삽입 각도 및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생성한 가상의 바늘 이미지를 정합하여 표시하여 준다. 도9는 제1 표시부(10), 제2 표시부(20), 제3 표시부(30)가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특히 제2 표시부(20)는 환자의 특정 단면에 대한 CT 이미지(920) 및 바늘(400)의 센서 부재(410)가 보내 준 정보를 토대로 합성한 바늘(400)의 가상 이미지(910)를 표시하고 있다. 센서 부재(410)는 실시 예에 따라 바늘(400)의 기울기 및 환자의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을 통해 얻은 바늘(400)의 현재 좌표 및 기울기를 실시간으로 CT 촬영을 통해 얻은 CT 이미지(920)와 정합하여 바늘(400)의 가상 이미지(910)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렇게 제2 표시부(20)가 CT 이미지(920)와 정합된 바늘(400)의 가상 이미지(910)를 표시하여 시술자를 제2 표시부(20)에 표시되는 영상을 토대로 해당 영상의 호흡 측정값에 환자의 호흡을 멈추게 하고 병소를 향하여 정확히 바늘(400)을 찔러 넣을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바늘은 긴 선형의 물체인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2 표시부(20)는 가상의 바늘 이미지에 연장선을 추가로 표시하여 직선으로 계속 삽입할 경우의 예상 경로도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 표시부가 환자의 제1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촬영한 제1 CT 이미지와, 제1 호흡 상태와는 다른 환자의 제2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촬영한 제2 CT 이미지와 각 호흡 상태에서의 호흡 측정값을 바탕으로 환자의 호흡 전반에 걸친 환자의 특정 단면의 가상 CT 이미지를 표시하여 주어 바늘(400)의 삽입을 안내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즉 시술자는 환자의 병부를 두 번 CT 촬영을 하고 각각 그 촬영시에 제1 표시부(10)가 표시하여 주는 호흡 측정값을 기록하여 제1 호흡 상태에서의 CT 이미지와, 제2 호흡 상태에서의 CT 이미지를 얻는다. 이 두 이미지를 바탕으로 가상의 CT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이는 컴퓨터(100)가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컴퓨터(100)가 생성한 가상의 CT 이미지는 제2 표시부(20)가 표시하여 주어 시술자의 바늘(400) 삽입을 안내하게 된다.
가상의 CT 이미지 생성 과정은 다음과 같이 예시할 수 있다. 먼저 도11a는 제1 호흡 상태에서 촬영한 CT 이미지(921)를 나타내며, 도11b는 제2 호흡 상태에서 촬영한 CT 이미지(922)를 나타낸다. 도11b를 보면 제1 호흡 상태에서의 병소(k1)의 위치와 비교하여 제2 호흡 상태에서의 병소(k2)의 위치는 좌상단으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1 호흡 상태에서의 호흡 측정값이 20이고 제2 호흡 상태에서의 호흡 측정값이 60이고 병소의 이동 거리가 40mm이었으며, 병소의 이동이 선형적이라는 것을 가정한다면 호흡 측정값 1당 약 1mm가 이동한다는 것을 유추해 낼 수 있다. 컴퓨터(100)는 이러한 원칙을 바탕으로 호흡 측정값 20에서 60 사이의 병소의 위치는 물론 그 미만 및 초과값에서의 병소의 위치까지 선형성을 바탕으로 계산해 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컴퓨터(100)가 가상 CT 이미지를 생성해 내면 환자가 편한 시점에서 호흡을 멈추라고 지시한 후 환자가 호흡을 멈추면 그 때 제1 표시부(10)에 표시되는 호흡 측정값을 시술자가 컴퓨터(100)에 입력하거나 혹은 호흡 측정기(200)가 컴퓨터(100)와 연결된 경우에는 호흡 측정기(200)로부터 호흡 측정값을 컴퓨터(100)가 전달받아 그 호흡 측정값에 해당하는 시점의 가상 CT 이미지를 컴퓨터(100)에 의하여 제2 표시부가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 경우, 환자가 편한 시점에서 숨을 멈추어도 되므로 환자의 시술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제2 표시부는 그 때의 가상의 병소의 위치를 생성하여 표시하여 주므로 이를 바탕으로 시술자는 병소의 위치를 파악하고 제3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바늘(400)의 기울기나 위치를 보고 정확한 환자의 신체 위치에 바늘(400)을 삽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 표시부는 가상 CT 이미지 상에 바늘의 삽입 각도 및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생성한 가상의 바늘 이미지를 정합하여 표시하여 준다. 도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술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즉 전술한 바 대로, 제1 호흡 상태 및 제1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CT 촬영을 하고 그 때의 호흡 측정값을 기록을 하며 이를 바탕으로 가상의 병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CT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환자가 편한 시점에서 숨을 멈추도록 한 다음 제1 표시부에 표시되는 환자의 호흡 측정값에 해당하는 병소의 가상 CT 영상을 제3 표시부가 표시하여 주면, 예를 들어, 컴퓨터(100)는 해당 영상에 바늘(400)의 센서 부재(410)에서 얻을 수 있는 위치 정보 및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바늘 이미지를 생성하고, 정합하여 제2 표시부에 표시하여 줄 수 있다. 가상의 바늘 이미지 생성 및 정합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CT를 촬영한 시점의 호흡값에 환자의 호흡을 멈추게 하고 바늘의 기울기 및 위치를 바탕으로 환자의 신체에 바늘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바늘 삽입의 정확도를 높이고 특히 영상 정합을 통하여 바늘의 가상 영상을 CT 영상과 정합하여 표시하여 주므로 시술자는 영상을 보며 더욱 바늘 삽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1: 바늘 안내 시스템 10: 제1 표시부
20: 제2 표시부 30: 제3 표시부
100: 컴퓨터 200: 호흡 측정 장치
300: CT 촬영기 400: 바늘
410: 센서 부재 420: 통신 모듈
5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13)

  1. 환자의 호흡 정도를 수치화한 호흡 측정값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
    환자의 특정 단면에 대한 CT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부,
    외부로부터 환자의 특정 단면 내부로 찔러지는 바늘의 삽입 각도를 표시하는 제3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표시부, 제2 표시부, 제3 표시부는 모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꺼번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2 표시부, 제3 표시부는 모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꺼번에 표시되고 제1 표시부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3 표시부는 바늘의 삽입 각도에 부가하여, CT 촬영한 환자의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좌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제2 표시부는 환자의 특정 단면에 대한 CT 이미지 상에 바늘의 삽입 각도 및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생성한 가상의 바늘 이미지를 정합하여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바늘은 센서 부재로서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센서 부재는 추가로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늘은 센서의 센싱 값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제2 표시부는 환자의 제1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촬영한 제1 CT 이미지와, 제1 호흡 상태와는 다른 환자의 제2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촬영한 제2 CT 이미지와 각 호흡 상태에서의 호흡 측정값을 바탕으로 환자의 호흡 전반에 걸친 환자의 특정 단면의 가상 CT 이미지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표시부는 환자의 호흡 전반에 걸친 환자의 특정 단면의 가상 CT 이미지 상에 삽입 각도 및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생성한 가상의 바늘 이미지를 정합하여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안내 시스템.
  11. 환자의 제1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촬영한 제1 CT 이미지와, 제1 호흡 상태와는 다른 환자의 제2 호흡 상태에서 환자의 특정 단면을 촬영한 제2 CT 이미지와 각 호흡 상태에서의 환자의 호흡 정도를 수치화한 호흡 측정값을 바탕으로 환자의 호흡 전반에 걸친 환자의 특정 단면의 가상 CT 이미지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이미지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환자의 호흡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호흡값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이미지 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환자의 특정 단면 내부로 찔러지며 기울기 센서와 위치 센서가 부착된 바늘을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환자의 호흡 전반에 걸친 환자의 특정 단면의 가상 CT 이미지 상에 바늘의 삽입 각도 및 특정 단면을 기준으로의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생성한 가상의 바늘 이미지를 정합하여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 이미지 표시장치.
KR1020130110707A 2012-09-13 2013-09-13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 KR201400352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401 2012-09-13
KR20120101401 2012-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294A true KR20140035294A (ko) 2014-03-21

Family

ID=5064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707A KR20140035294A (ko) 2012-09-13 2013-09-13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529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0468A (zh) * 2014-12-12 2015-04-08 韩树高 二维角度数显针及其显示角度的方法
WO2017043926A1 (ko) * 2015-09-09 2017-03-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영상을 사용하는 중재시술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중재시술 시스템
WO2017043924A1 (ko) * 2015-09-09 2017-03-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영상을 사용하는 중재시술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중재시술 시스템
KR101726800B1 (ko) * 2015-12-31 2017-04-13 (주)힐닉스 정형외과 수술용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술 정량화방법
KR20170129995A (ko) * 2016-05-17 2017-11-28 큐렉소 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하는 중재시술 로봇의 엔드이펙터 및 중재시술 방법
WO2022035137A1 (ko) * 2020-08-13 2022-02-17 주식회사 메디픽셀 시술도구 제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0468A (zh) * 2014-12-12 2015-04-08 韩树高 二维角度数显针及其显示角度的方法
WO2017043926A1 (ko) * 2015-09-09 2017-03-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영상을 사용하는 중재시술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중재시술 시스템
WO2017043924A1 (ko) * 2015-09-09 2017-03-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영상을 사용하는 중재시술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위한 중재시술 시스템
KR101726800B1 (ko) * 2015-12-31 2017-04-13 (주)힐닉스 정형외과 수술용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술 정량화방법
KR20170129995A (ko) * 2016-05-17 2017-11-28 큐렉소 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하는 중재시술 로봇의 엔드이펙터 및 중재시술 방법
WO2022035137A1 (ko) * 2020-08-13 2022-02-17 주식회사 메디픽셀 시술도구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8063B2 (en) Motion monitor system for use with imaging systems
US107653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in a medical procedure
JP6987893B2 (ja) 診断試験をリアルタイムの治療に統合する汎用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6580938B1 (en) Image-guided thoracic therapy and apparatus therefor
US8298135B2 (en) Medical device with endoscope and insertable instrument
KR20140035294A (ko)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
US20070238986A1 (en) Medical apparatus with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combined in the medical apparatus
CN106108951B (zh) 一种医用实时三维定位追踪系统及方法
CN105813563B (zh) 利用用于呼吸监测的磁跟踪器来进行电磁跟踪的方法和系统
EP2233099B1 (en) Computer-assisted system for guiding a surgical instrument during percutaneous diagnostic or therapeutic operations
ES2731655T3 (es) Identificar y mostrar posibles cambios de mapa
JP2008253765A (ja) 被検体の呼吸周期を追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6122086A (ja) 生体光計測装置
ES2247685T3 (es) Aparato de terapia de torax guiado por imagen.
EP3500159B1 (en) System for the use of soft-point features to predict respiratory cycles and improve end registration
KR20160131635A (ko) 바늘 안내 시스템 및 ct 이미지 표시 장치
JP2017189616A (ja) 患者の身体上の電極位置を判別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1925500B2 (en) Synchronis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stant of the respiratory cycle of a patient, and assembly comprising a medical robot
JP2000070259A (ja) バイオプシ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22505955A (ja) 画像装置のための空間的位置合わせ方法
KR20160138780A (ko) 바늘 가이드형 중재시술 로봇시스템
EP4309610A1 (en) Handling respiration during navigational bronchoscopy
WO2023213915A1 (en) Optical fiber based 3d positioning and tracking of patient body part during x-ray
AU773122B2 (en) Image-guided thoracic therapy and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