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696A -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및 인공 해저 산맥 - Google Patents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및 인공 해저 산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696A
KR20140034696A KR1020130107956A KR20130107956A KR20140034696A KR 20140034696 A KR20140034696 A KR 20140034696A KR 1020130107956 A KR1020130107956 A KR 1020130107956A KR 20130107956 A KR20130107956 A KR 20130107956A KR 20140034696 A KR20140034696 A KR 20140034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block
mountain range
artificial
sea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즈키 타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진코카이테이산먀쿠켄큐우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990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175994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99034A external-priority patent/JP5270028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진코카이테이산먀쿠켄큐우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진코카이테이산먀쿠켄큐우죠
Publication of KR20140034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복수의 블록체(10)를 관통공을 삽입 통과하는 로프/와이어에 의해 환상으로 연결하여 복수의 블록 군을 제작한다. 각 블록체 간의 로프/와이어의 길이의 평균이 블록체 한 변의 길이의 0.1 내지 4.0배가 되도록 로프/와이어의 길이가 설정된다. 설정 길이의 로프/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블록 군을 해수면 상에서 낙하시켜 해저면에 쌓아올려, 대략 원추체 형상의 인공 해저 산맥의 적어도 일부를 구축한다.
복수의 원추체 구축물을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중복하여 배열한 인공 해저 산맥은 해수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인공 해저 산맥의 투영 면적(S1)이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인공 해저 산맥의 투영 면적(S2)의 1.6 내지 8배로 설정된다.

Description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및 인공 해저 산맥{Construction method of artificial submarine ridge and artificial submarine ridge}
본 발명은 해저에 블록체를 쌓아 올려 구축하는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및 인공 해저 산맥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저에서 인공 해저 산맥을 구축하고 조류나 해류 등의 흐름을 이용하여 보상 심도보다 깊은 해수에 풍부히 함유되는 영양 염류를, 식물 플랑크톤이 태양광을 이용하여 증식할 수 있는 바다 표층에 첨가함으로써, 먹이 사슬의 근원이 되는 식물 플랑크톤을 증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 해저 산맥에서는, 해수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 즉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인공 해저 산맥은, 예를 들면 해면 상의 저개식(바닥이 열리는) 바지선에서 해저의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석재나 블록체를 착상하기 위해, 해당 해역의 해류 상황을 고려하면서 석재나 블록체를 반복하여 투하하는 방법으로 시공되어 왔다. 해저의 소정 위치를 중심으로 착상하도록 석재나 블록체를 투하하면, 석재나 블록체는 바다 속을 낙하 중에 자연스럽게 산란(확산)하여 해저에서 원을 형성하고, 원의 중심을 정점으로 하여 차츰 쌓인다. 이렇게 해저에 쌓아 올려진 해저 산맥은 산 꼭대기가 가장 높고 주변이 서서히 낮아지는 원추체 형상으로 구축된다.
그러나, 수심이 깊어질수록 석재나 블록체의 낙하 시간이 길어지면서, 낙하 중의 산란에 더해 조류 등의 해수 흐름의 영향을 보다 장시간 받아 산란 영역(산란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대수심 구역에서는 인공 해저 산맥의 밑면적은 확대되어 총 체적도 증대된다. 원추체의 정점을 목표로 투하된 석재나 블록체는 해저면의 원 안에서 사면의 경사각이 안식각으로 될 때까지 높이를 더한다. 즉, 원추체 형상으로 광범위하게 산란되어 착상된 석재나 블록체는 사면 상을 굴러 떨어져 해저면에 이르러 바닥 면적을 넓힌다. 그 후, 확대된 저면 상으로 사면을 피복하면서 쌓여서 안식각에 이를 때까지 높이를 더한다. 이와 같이 해면 상에서 석재나 블록체를 투하하여 형성되는 인공 해저 산맥의 저면 형상은 자연 산란에 의해 평면상으로는 원형이 되고 입체적으로는 원추체가 되는 것이 종래의 경험으로 실증되고 있다.
인공 해저 산맥의 블록체 효율(석재나 블록체 수에 대한 인공 해저 산맥의 높이)을 향상시키려면, 설계 높이를 확보하면서 총 체적을 삭감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석재나 블록체의 산란 영역을 저감하여 원추체의 밑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저개식 바지선에서 석재나 블록체를 투하할 때 동시에 투하하는 수량을 줄이면서 낙하 개시점에서의 해상으로의 범위를 좁히는 것이 행해졌다. 또한 배 밑바닥을 여는 속도를 조절하거나 개구 폭을 단계적으로 넓히거나 하여, 해저면에서의 산란 영역을 저감하는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량의 석재나 블록 체의 낙하 시 자연스러운 산란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종래의 인공 해저 산맥은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원추체를 중복하여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할 필요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특개평 04-304829(문헌 1)처럼 산 꼭대기의 봉우리 부분을 수평으로 연속시키거나, 특개평 05-123076(문헌 2)처럼 봉우리 양끝에 봉우리보다 약간 높은 원추체를 배치하였다. 또한, 미국 특허 제8,186,909(문헌 3)처럼 3개 이상의 원추체를 중복하여 직선 배치하였다. 더욱이, 블록체의 낙하를 제어하여 해저에 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특개평 2006-125059호(문헌 4)처럼 2개의 블록체를 로프나 와이어를 이용하여 단순히 느슨하게 연결하여 낙하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인공 해저 산맥으로서, 전부 혹은 기초 부분이 천연 석재로 구축되는 인공 해저 산맥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석재로 구축된 인공 해저 산맥의 표면은 석재 상호 간에 생기는 공간이 작고, 어패류가 외부의 적으로부터 숨거나 휴식할 공간이 적기 때문에 어초 효과가 떨어진다고 한다. 또한, 대량의 석재의 이용은 천연 자원의 난개발로 연결되어, 채석에 따른 식물의 벌목으로 인한 육상 생태계의 파괴나 탄산 가스 흡수원의 상실 우려가 있고,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석재의 사용이 억제되고 있다.
한편, 석탄 재 등에서 만들어지는 인공 블록체는 재활용을 촉진하고, 해저에 다양한 크기의 공간을 만들어 양호한 암초성 생태계를 창출하는 어초 효과가 높은 것이 실증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블록체로 인공 해저 산맥을 구축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문헌 1, 2, 3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은 소망하는 용승 효과, 어초 효과를 얻기 위해, 복수의 원추체를 배열하여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을 크게 하기 때문에, 대량의 블록체가 필요해서 경제적이지 않았다. 그래서, 인공 해저 산맥의 대규모화에 따라, 더 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용승 기능, 어초 기능이 얻어지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문헌 4에 따른 해저 구조체의 구축 방법에 따르면, 해저에서의 블록체의 착상 폭을 좁히는 데에 한계가 있고, 슬림형의 해저 구축물을 정밀하게 구축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수의 블록체로 해수의 용승 효과와 어초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및 인공 해저 산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저에서 블록체의 착상 폭을 좁혀 원하는 형상의 해저 구조물을 정밀하게 구축할 수 있는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및 인공 해저 산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대략 입방체 형상의 복수의 블록체를, 관통공을 삽입 통과하는 로프/와이어에 의해 환상으로 연결하여 복수의 블록 군을 제작하고, 각 블록체 간의 로프/와이어의 길이의 평균이 블록체 한 변의 길이의 0.1 내지 4.0배로 되도록 로프/와이어의 전체 길이를 설정하고, 설정 길이의 로프/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블록 군을 해면 상에서 낙하시켜 해저면에 쌓아 올려, 대략 원추체 형상의 인공 해저 산맥의 적어도 일부를 구축하는 각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은 해저에 다수의 석재/블록체를 거의 원추체 형상으로 쌓아 올려 구축된 복수의 제1원추체 구축물을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중복하여 배열한 인공 해저 산맥이며, 다수의 블록체의 적어도 일부는 로프/와이어에 의해 환상으로 복수 개가 느슨하게 연결되어, 해수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인공 해저 산맥의 투영 면적(S1)이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인공 해저 산맥의 투영 면적(S2)의 1.6 내지 8배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에 따르면, 블록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체는 바다 속에서 적당한 면간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낙하하기 때문에, 각 블록체는 해수에서 받는 압력이 균등해진다. 블록 군은 해수의 흐름에 따라 평균적으로 이동하면서 낙하하고, 목표로 하는 범위로 높은 정밀도로 착상한다. 이에 따라, 블록체를 높은 정밀도로 해저에 쌓아 올려 원하는 형상으로 인공 해저 산맥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 해저 산맥에 따르면, 복수의 블록체를 환상으로 느슨하게 연결한 블록 군을 사용함으로써, 해수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이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보다 큰 인공 해저 산맥이 구축된다. 구축된 인공 해저 산맥에서는, 해수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이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보다 1.6 내지 8배 커서, 해수의 용승 효과와 어초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해수의 흐름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이 해수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보다 작아지도록 슬림화되었으므로, 적은 수의 블록체로 구성할 수 있으며, 블록체의 쌓기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에 따른 원추체 구조물의 개요를 설명하는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인공 해저 산맥에 이용되는 블록 군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블록 군을 4개의 블록체로 구성한 경우에서의 면간 거리와 평균 산란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블록 군을 2개의 블록체로 구성한 경우에서의 면간 거리와 평균 산란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해수면 상에서 바다 속으로 블록 군을 낙하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을 구성하는 원추체 구조물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을 구성하는 원추체 구조물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이다.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원추체 구조물을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인공 해저 산맥을 구성하는 원추체 구조물(1)은 다수의 블록체를 해수면 상에서 투하하여 해저에 단일의 타원추체로서 쌓아 올려 구축된다. 해수의 용승 효과 및 어초 효과를 보다 높게 하기 위해, 해류나 조류 등의 해수의 흐름에 따른 방향(흐름에 거의 평행한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이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흐름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S1>S2)보다 큰 대략 원추체로서 구축된다. 인공 해저 산맥(1)의 평면 형상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의 흐름(이하, 흐름)에 따른 방향으로 단축을 갖고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 형상, 혹은 이것에 가까운 긴 원 형상으로 구축된다. 투영 면적(S1)은 흐름에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원추체 구조물(1)의 단면적을 의미하고, 투영 면적(S2)은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원추체 구조물(1)의 단면적을 의미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21)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21)은 해저 상에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원추체 구조물(1)을 직선적으로 4개 배열하여 구성되고, 인접하는 각 원추체 구조물(1)끼리는 산 중턱에서 산 기슭에 걸쳐 일부 중복하여 배치된다. 도 2A 내지 2C에서 H를 원추체 구조물(1)의 산 꼭대기까지의 높이, r를 원추체 구조물(1)의 장축 방향에서의 반경으로 한 경우, 인접하는 원추체 구조물(1)의 산 꼭대기간의 간격은 2.5H, 원추체 구조물(1)의 단축 방향에서의 반경은 1.5H, 원추체 구조물(1)의 장축 방향에서의 반경 r은 2.0H로 각각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21)에서, 도 2B에 나타나는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은, 도 2C에 나타나는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의 1.6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배로 설정된다. S1/S2를 1.6 내지 8배로 설정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또한, L1은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인공 해저 산맥(21)의 길이(전장), L2는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인공 해저 산맥의 길이(폭)를 나타낸다.
해수 표면에서 해저까지 해수 밀도가 일정한 흐름에서는, 인공 해저 산맥 위를 넘는 흐름은 산 꼭대기에서 분리되어 수평축을 갖는 소용돌이를 만든다. 또한, 인공 해저 산맥의 좌우 양단을 우회하는 흐름은 측면에서 분리되어 수직 내지 경사진 축을 갖는 소용돌이를 만든다. 이 수평축과 연직축을 갖는 소용돌이 군은 인공 해저 산맥의 배후에 생기는 부압의 반류 영역으로 도입되어, 반류 영역 내에서 합체되는 에너지를 축적한다. 에너지가 어느 정도 커지면 간헐적으로 상승력을 갖는 큰 소용돌이(이하, 용승 소용돌이라고 부름)를 방출하여 저층의 해수를 끌어들이면서 상승한다. 수리 실험에서 용승 소용돌이의 도달 높이는 인공 해저 산맥(21)의 높이(H)와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의 길이(L1)의 3차원적인 관계가 있다. 용승 소용돌이의 도달 높이는 L1이 높이(H)의 4배 이상에서 높아지다가 8배에서 최고가 되고, 그 이상에서는 저하되므로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은 2H2에서 4H2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은 용승 소용돌이의 높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낙하하는 블록의 산란을 제어하고,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단면의 저변 길이(L2)를 감소시키면, 인공 해저 산맥(21)의 체적을 감소시켜 효율적으로 용승 소용돌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해저면으로부터 쌓인 인공 해저 산맥(21)의 사면의 안식각을 고려하면, 사면 구배는 최대 45도 정도이고 통상적으로는 22도 정도이다. 따라서,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길이(L2)는 이전 실제 치수에서 최단 2H로 안정되고, 통상적으로는 5H까지이므로,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은 1H2에서 2.5H2가 된다. 따라서, S1/S2는 1.6배에서 8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해양 표층에서는 수온이 높아 염분 농도가 낮기 때문에 밀도가 낮고, 표층보다 낮은 층에서는 해수 온도가 점점 낮아져서 염분 농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밀도가 높아지는 일이 많다. 이처럼 표층에서 밀도가 낮고, 저층에 내려갈수록 밀도가 높아 복수 층상으로 되는 상태를 밀도 성층이라 한다. 밀도 성층 흐름을 밀도 성층류라고 하는데, 밀도가 높은 저층에서 인공 해저 산맥에 의해 발생하는 용승 소용돌이는 저밀도의 층을 뚫고 상승하기 어렵다. 그러나, 밀도 성층류가 인공 해저 산맥(21)에 닿으면 밀도가 높은 해수가 산 꼭대기를 넘어 하강할 때 등밀도 면에 내부파라고 불리는 큰 파도를 만든다. 이 내부파의 에너지는 위쪽으로 전해져 쇄파하는 것 등으로 각 층이 혼합되어 저층의 영양 염류가 표층으로 용승한다. 고도의 수치 해석의 결과, 밀도 성층류에서도 인공 해저 산맥(21)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과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의 비율이 중요하며, 성층이 없는 경우와 같이 S1/S2는 1.6배에서 8배의 범위에서 인공 해저 산맥의 체적 당 영양 염류의 용승 효과가 높아진다.
이와 같이, 인공 해저 산맥(21)을 구성하는 각 원추체 구축물(1)을 S1>S2이도록 구축함으로써, 정원추체의 구축물과 비교해서 블록체 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는 원추체의 저면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길이(폭)이 짧아진 만큼 인공 해저 산맥(1)을 쌓는데 필요로 하는 블록체 수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말하면, 같은 블록체 수로 구성했던 원추체 구축물(1)에서는 정원추체보다도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흐름에 따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원추체 구축물(1)을 직선적으로 중복 배열하여 인공 해저 산맥(21)을 구축하는 경우에도, 블록체의 총수를 저감하여 재료비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블록체의 투하 작업에 필요한 연료비의 저감과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대수심 해역의 표층과 저층(표층보다 깊은 하층)의 밀도 성층류 중에서는 복수의 원추체 구조물(1)로 이루어진 인공 해저 산맥(21)에 의해 내부파가 발생한다. 이 경우, 흐름을 가로막는 인공 해저 산맥(21)의 높이가 높을수록, 또한 흐름에 대한 사면의 구배가 가파를수록 내부파의 파고는 높아진다. 또한, 흐름을 가로막는 인공 해저 산맥(21)의 길이가 클수록 내부파의 폭도 넓어지고 커진다. 이렇게 투영 면적(S1)이 클수록 내부파의 파고, 파장도 커지고 용승 효과가 증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내부파의 파장을 결정하는데에는 자연의 유속이 지배적이다.
한편, 인공 해저 산맥(21)의 흐름에 따른 방향의 너비는 내부파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이를 굳이 길게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영양 염류를 표층으로 끌어올리는데 중요한 해수의 연직 혼합 작용에는 내부파의 쇄파가 크게 기여한다. 이 내부파의 쇄파에는 파형 구배나 상하층의 유속 차이가 큰 영향을 미친다. 내부파의 파고를 높이려면, 인공 해저 산맥(21)의 높이와 흐름에 대한 사면의 구배가 가파른 것이 크게 영향을 주지만, 흐름에 따른 방향의 너비는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투영 면적(S1)이 클수록 반류 영역도 커지므로 어초의 효과 범위도 증대한다. 이 반류 영역의 내측 및 경계 근처에서는 유속이 변화하여 다양한 흐름 환경이 형성된다. 구조물의 배후에는 유속, 흐름 방향이 다른 다양한 흐름장이 생겨, 다양한 생물이 모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저면에서는 수평 방향의 유속이 크면 입경이 작고 가벼운 입자는 날리고, 입경이 크고 무거운 입자가 해저에 남는다. 반대로 유속이 작으면, 작고 가벼운 점토 입자 등이 퇴적된다. 반류 영역 내 및 주변에서는 유속에 따라 해저 물질 분포가 다양해져, 각각의 해저 물질 환경을 좋아하는 벤토스(저서 생물)의 서식을 촉진하여 생물의 다양성을 촉진한다.
또한, 해저면과 마찬가지로 구조물 뒤에 생기는 반류 영역 내에서도 입체적으로 다양한 유황 영역이 형성되어, 복잡한 형상의 구조물 뒤에는 복잡한 흐름 환경이 만들어진다. 유속이 작은 곳에서는 유영 능력이 없는 어패류의 알, 새끼, 플랑크톤이나 작은 물고기가 체류한다. 좋은 어장은 해저 지형의 변화가 있는 해역에 형성되고, 그 중요한 요인으로서 용승류, 침강류, 박리, 내부파 교란을 들 수 있다. 거기에서는 혼합에 의한 수온의 평균화, 영양염류의 용승에 의한 기초 생산의 증대, 표류, 현탁물의 집적 등, 주변 해역과 상이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공 해저 산맥(21)에서는 그런 환경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어, 조석류가 활발한 해역에서는 왕복하는 다양한 방향의 흐름에 대해서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블록체를 다수 쌓아올려 구축되는 인공 해저 산맥(21)에서는, 각 블록체 사이에 생기는 다양한 간극은 대부분의 어패류에 바람직한 사냥터, 서식처, 은신처를 제공한다. 이 다양한 크기와 방향을 갖는 공극은 해수 교환이 좋고, 다양한 광 환경을 만들어 많은 부착 생물의 서식을 가능하게 한다. 인공 해저 산맥(21)의 표층 해역에서 증식한 식물 플랑크톤의 사체, 운집한 어류의 변 등이 디트리터스(detritus)로 침강하여 미끼로 공급되므로, 저층의 부착 생물이나 벤토스의 증식이 기대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 표면의 부착 생물이나 포복 동물은 암반성 생태계를 형성하는 암반성 어패류의 미끼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층 어류의 증식이 촉진됨으로써 인공 해저 산맥(21)의 어초 효과를 증대시킨다. 이상의 효과는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의 크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인공 해저 산맥(21)에서는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인공 해저 산맥(21)의 제조 방법으로서, 해상에 있는 저개식 바지선(도시하지 않음)에서 블록체를 투하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블록체의 투하 시에는, 원추체 구축물(1)의 영역(4개소)에 대응하여 목표 위치로 이동한 저개식 바지선의 배 밑바닥을 열고, 선체에 단단히 고정한 블록체의 결박을 풀어서 복수의 블록체를 자유 낙하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블록체를 로프 또는 와이어로 느슨하게 연결한 복수의 블록체들로 이루어진 블록 군이 해수면 상에서 목표 위치에 투하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저개식 바지선에 블록체(10)를 적재하기 전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입방체의 4개의 블록체(10)를 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각 관통공(10a)이 동일 수평 방향으로 향하도록 2×2의 행렬 상태로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관통공(10a)에 로프 또는 와이어(11)를 통과시켜, 4개의 블록체(10)를 환상으로 느슨하게 연결해서 블록 군(10A)을 제작한다. 다음에, 서로 연결된 블록 군(10A)을 저개식 바지선의 선창 위에 수평으로 재치하고 목표 위치까지 운반하며, 그대로의 자세로 선창에서 미끄러지게 떨어뜨려 투하한다.
블록 군(10A)을 구성하는 4개의 블록(10)은 계산된 소정 길이의 로프 또는 와이어(11)에 의해 서로 느슨하게 구속되고, 흔들림이나 회전이 억제되어 블록 군(10A) 전체의 회전이나 수평 방향의 흔들림도 없이 거의 연직 하방으로 낙하한다. 이에 따라 블록 군(10A)은 해저에서도 산란 폭이 비약적으로 감소하여, 목표로 하는 범위로 착상시킬 수 있다. 이때 블록 군(10A)은 낙하할 때 투영 면적이 큰 쪽을 아래로 향하게 하는 것이 안정하므로, 관통공(10a)을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관통공(10a)이 없는 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낙하시킨다.
4개의 블록체(10)로 블록 군(10A)을 구성했을 때의 로프 또는 와이어(11)의 전체 길이(X)의 최적 값을 구하는 모형 실험을 실시했다. 모형 실험에 이용한 수조(도시하지 않음)는 길이 90 cm, 너비 45 cm, 수심 45 cm의 유리 재질이고 수돗물을 거의 만수의 정수 상태로 하였다. 관측 조건으로서, 너비 45 cm의 측면 배경에 메시(mesh)를 두고, 가로 수평 방향에서 초고속 카메라에 의해 비디오 촬영하여, 낙하 운동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또한, 수조 저면에도 메시를 두고, 수조 바로 위에서 블록 낙하 후의 산란 상태를 사진 촬영하여 계측하도록 하였다. 축척은 1/200으로 하여 실제 해역의 수심 90 m인 경우를 상정하고, 2 m 모서리의 대략 입방체 블록의 모형 치수를 0.2 mm의 관통공을 갖고 1변이 1 cm인 입방체로 하였다. 또한, 블록체(10)의 비중은 실물 블록체의 비중에 맞추어 2.0로 조정하였다.
정방형의 각 각부에 배치한 4개의 블록체(10)의 각 관통공에 0.8 호의 실(표준 직경 0.148 mm)을 통과시키고, 실의 단부를 접착제로 접착하여 결속하였다. 또한, 인접하는 4개의 블록체(10)의 상호간 거리로서, 서로 대향하는 면의 간격인 면간 거리(d)(= 블록체 간의 로프/와이어의 길이)를 채용하고, 면간 거리(d)를 서로 다르게 한 복수의 블록 군(10A)을 준비하였다. 면간 거리(d)는 블록체(10)의 1변의 길이(L)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d=0.0L에서 무한대 d=∞을 상정하였다. d=0.0L은 4개의 블록체(10)를 접착제로 빈틈없이 고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d=∞은 구속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렇게 구성한 블록 군(10A)을 이용하고, 수조 저면에 설치한 메시의 중앙에 블록 군의 낙하 중심점을 마크하며, 그 연직 상방에 설치한 수조 위의 판유리의 정점에 블록 군을 배치하고, 수평으로 슬라이드시켜 투하하였다. 각 블록 군(10A)에 대해 각각 20번 투하하고, 수조 저면의 중심점에서 착저한 4개의 블록체(10)의 중심 위치까지의 거리를 실측하고, 평균치를 산란 거리(D)로 하였다. 실험 결과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를 위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블록체(10)를 느슨하게 연결한 블록 군(10C)(도 3C)의 경우도 측정하였다. 도 4A, 4B에서 횡축은 면간 거리(d), 종축은 평균 산란 거리(D)를 나타낸다.
도 4A에 있어서, d=0.0L에서는 블록 군(10A)이 1장의 판처럼 정방향의 면이 아래로 향하는 미끄럼 운동, 경사 운동, 회전 운동하면서 낙하하고, 결과적으로 산란 거리(D)는 3.6L이 되었다. 이때, 블록 군(10A)을 횡방향으로 낙하시키면 직후에 정방형 면이 아래로 향하지만, 이 사이의 옆으로 미끄러짐은 커진다. 반대로, 구속 없는 d=∞의 경우에는, 4개의 블록체(10)가 각각 독립된 블록체(10)로서 미끄럼 운동, 경사 운동, 회전 운동하면서 수조 저면까지 자유롭게 운동하므로, 수조의 중심점에서 블록체(10)까지의 평균 산란 거리(D)는 6.7L이 되었다. 또한, d=∞의 경우, 낙하 개시 전의 관통공의 방향을 연직(종)으로 배치하여 낙하를 개시한 경우에는 평균 산란 거리(D)가 8.4L로 확대되었다. 또한, 블록이 관통공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밀)의 평균 산란 거리(D)는 6.3L로 감소하였다.
이에 대해, d=0.1L 내지 5.0L에서는, 평균 산란 거리(D)가 2.0L에서 4.0L의 범위로 억제되었다. 예를 들어, d=0.1L의 경우에는, 접착한 0.0L의 경우보다 산란 평균 거리가 작아지지만 구속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중심점에서의 평균 산란 거리(D)는 3.6L이 되었다. d=0.2L 내지 0.9L에서는, 실의 느슨한 구속에 의해 각각의 블록체(10)는 미끄럼 운동, 경사 운동, 회전 운동이 적당히 구속되어 낙하 자세가 안정되었다. 이 때문에, 상하 좌우의 간격은 균등화되고, 4개의 블록체(10)는 거의 수평 상태가 유지되어 산란이 작아졌다.
또한, d=0.5L이 되도록 구속했을 때, 산란 거리(D)는 2.14L로 최저가 되었다. d=0.9L보다 긴 d=2.0L 내지 4.0L에서도, 산란 거리(D)는 0.9L의 경우와 특히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d=5.0L 이상으로 하면, 4개의 블록의 구속 효과를 얻을 수 없어서, 평균 산란 거리(D)는 점차 증대하였다. 면간 거리(d)가 더욱 증대함에 따라, d=∞일 때의 산란 거리(D)로 서서히 근접하였다. 이상에서, 면간 거리(d)를 0.1L 내지 4.0L로 설정함으로써 평균 산란 거리(D)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서, 구속하지 않을 때와 비교하여 평균 산란 거리(D)가 25 내지 40%로 감소하였다.
한편, 2개의 블록체(10)로 블록 군(10C)을 구성한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간 거리(d)를 1L 내지 7L의 넓은 범위에 걸쳐 변화시켜도, 평균 확산 거리(D)는 3.2L 내지 3.5L 정도로 거의 균일하였다. 따라서, 구축물의 목적에 맞추어, 평균 산란 거리(D)가 비교적 커도 허용될 경우에는, 2개의 블록체(10)로 구성되는 블록 군(10C)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평균 확산 거리(D)가 3.2L 내지 3.5L 이하임이 요구될 경우에는, 4개의 블록체(10)로 구성되는 블록 군(10A)을 사용하고, 면간 거리(d)를 0.1L 내지 4.0L로 설정하면 된다. 더욱 심한 평균 산란 거리(D)가 요구될 경우에는, 4개의 블록체(10)로 구성되는 블록 군(10A)을 사용하고, 면간 거리(d)를 0.2L 내지 0.9L로 설정하면 된다.
면간 거리(d)를 0.1L 내지 4.0L로 설정하고 4개의 블록체(10)를 로프 또는 와이어(11)로 환상으로 느슨하게 연결해서 블록 군(10A)을 제작한 경우, 로프 또는 와이어(11)의 전체 길이(X)는, X = 6L+4×0.1L 내지 6L+4×4.0L로 표시된다.
이렇게 준비된 블록 군(10A)에 있어서, 바다 속으로 투하 후에 각 블록체(10)는 개별적으로 운동하려고 하지만, 연결된 로프나 와이어(11)에 의해 서로 영향을 받아 투하 직후에 평균적인 거리를 두고 낙하하기 시작한다. 각각의 블록체(10)는 해수에서 받는 압력이 균등해지고, 블록 군(10A)은 해수의 흐름에 따라 평균적으로 이동되면서 낙하하고, 목표로 하는 범위로 높은 정밀도로 착상한다. 따라서, 해저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블록체(10)를 높은 정밀도로 쌓아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타원 형상을 갖고, 또한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이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보다도 큰 단일의 원추체 구축물을 흐름에 따른 방향으로 슬림하고 정밀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블록 군(10A)의 투하 작업을 복수의 목표 위치에서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원추체를 일부 중복하여 직선적으로 배열시킨 인공 해저 산맥(21)을 흐름에 따른 방향으로 슬림하고 정밀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공정(전 공정)에서 구축한 정원추체를 복수로 연결한 인공 해저 산맥(또는 이미 설치한 인공 해저 산맥)의 원하는 영역에만 제2공정(후 공정)에서 블록 군(10A)을 거듭 쌓아, 필요한 형상으로 증축할 수 있다.
이렇게 4개의 블록(10)을 느슨하게 연결하는 방법에서는 로프나 와이어(11)에 걸리는 힘이 작기 때문에, 로프나 와이어(11)에 필요한 강도는 작아도 된다. 게다가, 로프나 와이어(11)는 낙하 제어시에만 사용되므로 해저에 착상한 후에 남겨 둘 필요는 없다. 따라서, 로프 또는 와이어(11)의 소재로는 장기간 잔존하지 않는 소재, 예를 들면 녹슬어도 좋은 강제 와이어나, 면, 마 등 생분해성 섬유 등의 로프를 사용하는 것이 환경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체(10A)의 간격에서 산정되는 소정 길이의 로프나 와이어(11)에 의해 4개의 블록체(10)를 느슨하게 연결하여 1개의 블록 군(10A)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문헌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2개의 블록체를 단지 연결해서 블록 군을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블록체(10)의 낙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정밀도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축 정밀도를 중시하는 것이 아니면,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블록체(10)를 소정의 면간 거리에 따라 설정된 길이의 로프나 와이어(11)에 의해 느슨하게 연결해서 블록 군(10C)(도 3C)을 제작해도 좋다.
또한, 3개의 블록체(10)에 의해 소정의 조건으로 길이가 설정된 로프나 와이어(11)를 이용해서 블록 군(10B)(도 3B)을 동일하게 구성해도 좋고, 혹은 5개 이상의 블록체(10)를 연결해서 블록 군을 구성해도 좋다. 3개 또는 5개 이상의 블록체(10)로 구성한 경우, 1개의 블록체(10)가 로프나 와이어에 따라 이동했을 때, 양측에 존재하는 블록체(10)와 간섭해서 이동한 블록체(10)의 자유가 구속된다. 이 때문에, 면간 거리(d)를 0.1L 내지 4.0L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2, 3개 및 5개 이상의 경우에도 4개의 경우와 거의 동등한 평균 산란 거리(D)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태선(100)을 사용하여 해상에서 블록을 적하(매달아 내림)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크레인 태선(100)에 미리 복수의 블록체(10)를 연결한 블록 군(10A)(10B, 10C)을 적재한 후, 목표 해역에 크레인 태선(100)을 이동시킨다. 위치 결정 후, 위치를 유지하면서 크레인의 후크(101)로 블록 군(10A)을 매달아 올려 투하 위치를 확인하고 해방하여 낙하시킨다. 이 경우, 해저의 목표점의 바로 위의 소정 수심까지 블록 군(10A)을 적하한 다음 후크(101)를 분리하여 투하해도 좋다. 혹은, 착상 위치를 확인할 때까지 적하한 후, 블록 군(10A)을 후크(101)에서 분리함으로써 더욱 정확히 목표점의 목표 지점에 블록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후크(101)로 한번에 착상시키는 블록 군(10A)을 매달아 올릴 경우, 블록 군(10A)을 적하하기 전에 미리 목표점에 블록 군(10A)의 중심 부근에 안내된 가이드 와이어(102)의 하단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가이드로 블록 군(10A)을 투하 또는 적하하도록 해도 좋다. 가이드 와이어(102)의 하단의 중추에는 초음파 발신기나 수중 텔레비전을 부착함으로써 선상에서 목표점 부근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원추체 구축물(1) 및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인공 해저 산맥(21)을 구축할 경우, 원추체 구축물(1) 및 인공 해저 산맥(21)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바닥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블록체(10)를 어느 정도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낙하의 초기에 원추체 구축물(1) 및 인공 해저 산맥(21)의 저변 부분에 블록체(10)를 쌓아올릴 때에는, 모든 블록체(10)를 블록 군(10A)(10B, 10C)으로 연결해서 착상 범위를 좁힐 필요는 없다. 원추체 구축물(1) 및 인공 해저 산맥(21)의 상부를 쌓아올릴 경우, 즉 블록체(10)가 자연스럽게 낙하하는 경우의 산란 폭보다 좁은 범위로 착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만 로프 또는 와이어(11)로 느슨하게 연결된 블록 군을 투하하면 된다.
블록 군(10A)을 구성하는 블록체(10)는 로프나 와이어(11)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10a)이 적어도 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관통공(10a)과 교차하지 않거나 혹은 교차하는 별도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블록체(10)로 구성되는 어초를 고려한 경우, 관통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은신처, 해수 교환, 부착 생물에 대한 면적이 넓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6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을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1개의 원추체 구축물(2A)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해저에 제1공정에서 구축된 정원 형상의 원추체 구축물(2A)을 더욱 증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도 6B,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정(전 공정)에서 구축된 정원 형상의 원추체 구축물(2A)의 상층을 중심으로 하여, 제2공정(후 공정)에서 원추체의 정점을 지나는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원추체 저면보다 좁은 폭의 영역에 복수의 블록체(10)가 느슨하게 연결된 블록 군(10A)을 쌓아 올린다. 이때, 추가 투하된 블록 군(10A)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축선을 갖는 방추부(2a)(증축부)가 원추체 구축물(2A) 위에 쌓여 인공 해저 산맥(2)을 구축한다.
이와 같이, 블록 군(10A)을 쌓아올려 방추부(2a)를 쌓음으로써, 제1공정에서 구축된 원추체 구축물(2A)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이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보다도 큰(예를 들면, 1.6 내지 8배) 인공 해저 산맥(2)으로 개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 나타낸 인공 해저 산맥(1)에서 설명한 용승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어초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미 설치한 원추체 구축물(2A)의 필요한 범위에만 블록 군(10A)을 중점적으로 쌓아 방추부(2a)를 형성함으로써, 이미 설치한 원추체 구축물(2A)을 재이용하여 흐름에 따른 방향으로 슬림한 인공 해저 산맥(2)을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축된 인공 해저 산맥(2)에서는, 블록 군(10A)의 착상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원추체 구축물(2A)의 원하는 영역에 원하는 형상의 구조물을 추가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느슨하게 연결된 블록 군(10A)은 단일의 블록체(10)와는 달리 사면을 굴러 떨어져서 확립이 격감한다. 이에 따라, 인공 해저 산맥(2)을 구축하기 위한 블록 군(10A)을 높은 정밀도로 가파른 사면 각도에서도 쌓아 올릴 수 있다.
다음에, 도 7A 내지 7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공 해저 산맥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공정에서 구축된 정원 형상의 원추체 구조물(3A)의 정점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벽 모양의 복수의 돌출부(3a, 3b)(증축부)를 형성하도록 느슨하게 연결된 블록 군(10A)을 정밀하게 쌓아올린다(제2공정). 이에 따라, 흐름에 따른 방향으로 슬림한 인공 해저 산맥(3)이 구축된다. 이 경우, 돌출부(3a, 3b) 중 돌출부(3a)는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는 원추체(3A)의 능선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고, 흐름에 따른 방향으로는 능선의 좁은 폭의 영역에만 형성된다. 또한, 다른 돌출부(3b)는 원추체(3A)의 사면 중 흐름에 대한 정면 영역과 배면 영역에서, 저면을 향해서는 넓고 정점을 향해서는 좁은 유로(원추체의 사면)를 구성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3a)를 설치함으로써 이미 설치되어 있는 원추체 구축물(3A)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이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보다도 큰(예를 들면 1.6 내지 8배) 인공 해저 산맥(3)으로 개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승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어초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개축함으로써, 이미 설치된 원추체 구축물(3A)의 전체 표면을 블록 군(10A)으로 피복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범위에서만 블록 군(10A)을 중점적으로 피복한다(쌓아올린다). 따라서, 이미 설치된 원추체 형상의 인공 해저 산맥의 유효 이용을 도모하고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더욱이, 이 인공 해저 산맥(3)에서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투영 면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 돌출부(3b)에 의해 흐름에 대향하는 측(전면 측)의 사면 상에 넓고 저면에서 정점을 향해 좁아지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석류 같은 다양한 방향의 흐름에 대해 저층 흐름을 협착하여 위쪽으로 끌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저층의 디트리터스(미세한 유기물 입자)를 인공 해저 산맥의 중층에 서식하는 부착 생물이나 어류에 공급하고, 동시에 다양한 흐름이나 빛의 환경을 만들어 다양한 어종에 섭취 장소, 은신처, 산란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한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0a)을 갖는 대략 입방체 형상의 복수의 블록체(10)를, 관통공을 삽입 통과하는 로프/와이어(11)에 의해 환상으로 연결하여 복수의 블록 군(10A)을 제작하는 단계;
    각 블록체 간의 로프/와이어의 길이의 평균이 블록체 한 변의 길이의 0.1 내지 4.0배가 되도록 로프/와이어의 전체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 길이의 로프/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블록 군을 해수면 상에서 낙하시켜 해저면에 쌓아올려, 인공 해저 산맥(21)의 적어도 일부를 구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쌓아 올리는 단계는 해수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상기 인공 해저 산맥의 투영 면적(S1)을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보다 1.6 내지 8배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블록체 각각의 한 변의 길이를 L, 상기 복수의 블록체를 서로 면끼리 대향하여 배치시켰을 때의 면간 거리를 d=0.1L 내지 4.0L로 했을 때에, 로프/와이어의 전체 길이(X)를,
    X=6L+4×0.1L 내지 6L+4×4.0L로 구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해저에 적어도 1개의 원추체 구조물(2A, 3A)을 미리 구축하는 단계;
    해수의 흐름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원추체 구조물의 정점을 지나 는 능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원추체 구조물의 저면보다도 좁은 폭의 영역에, 설정 길이의 로프/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기 복수의 블록 군을 쌓아올려 상기 원추체 구조물 위에 증축물(2a; 3a, 3b)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5. 해저에 다수의 석재/블록체(10)를 거의 원추체 형상으로 쌓아올려 구축된 복수의 제1원추체 구축물(1)을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일부 중복하여 직선적으로 배열한 인공 해저 산맥(21)으로서,
    상기 블록체의 적어도 일부는 로프/와이어(11)에 의해 복수 개가 환상으로 느슨하게 연결되고,
    해수의 흐름에 따른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1)이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에서의 투영 면적(S2)의 1.6 내지 8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저 산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와이어의 전체 길이는 상기 복수의 블록체 간의 로프/와이어의 길이의 평균이 블록체 한 변의 길이의 0.1 내지 4.0배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저 산맥.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원추체 구축물의 각 저면 형상은 해수의 흐름에 따른 방향으로 단축을 갖고, 해수의 흐름을 가로막는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타원 또는 장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저 산맥.
  8. 제5항에 있어서,
    해저에 다수의 석재/블록체를 거의 정원추 형상으로 쌓아올려 직선상으로 중복하여 배치된 복수의 제2원추체 구축물(2A; 3A)과,
    해수의 흐름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2원추체 구조물의 정점을 지나는 능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제2원추체 구조물의 저면보다도 좁은 폭의 영역에 로프/와이어에 의해 느슨하게 연결된 복수의 석재/블록체를 쌓아올려 형성된 증축부(2a; 3a, 3b)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1원추체 구조물(2; 3)은 상기 복수의 제2원추체 구조물 및 상기 증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해저 산맥.
KR1020130107956A 2012-09-11 2013-09-09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및 인공 해저 산맥 KR201400346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9033A JP5175994B1 (ja) 2012-09-11 2012-09-11 人工海底山脈
JP2012199034A JP5270028B1 (ja) 2012-09-11 2012-09-11 人工海底山脈の製造方法
JPJP-P-2012-199033 2012-09-11
JPJP-P-2012-199034 2012-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696A true KR20140034696A (ko) 2014-03-20

Family

ID=5030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956A KR20140034696A (ko) 2012-09-11 2013-09-09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및 인공 해저 산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34696A (ko)
CN (1) CN103669280A (ko)
TW (1) TW2014109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7564B (zh) * 2018-08-30 2019-01-04 山东富瀚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人工鱼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2848A (ja) * 2000-06-14 2001-12-25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藻場増殖礁及びその形成方法
CN1389104A (zh) * 2001-06-06 2003-01-08 山正自然环境株式会社 水底沉设构件及人造鱼礁、人造河床、鱼道和护岸构件
JP3897309B2 (ja) * 2004-10-29 2007-03-22 五洋建設株式会社 ブロック状物の水中投入方法
JP4633848B1 (ja) * 2009-09-24 2011-02-23 株式会社人工海底山脈研究所 人工海底山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69280A (zh) 2014-03-26
TW201410945A (zh) 201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897B1 (ko) 해조류 부착용 요철 홈을 갖는 사다리꼴 요철형 인공어초 및 제작방법
CN102669019A (zh) 一种藻类鱼类混合型立体生态鱼礁及其投放方法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CN103461241A (zh) 一种安全生态的多层养殖网箱
AU2012201758A1 (en) Artificial Reef for Seaweed
KR101213624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KR101375558B1 (ko) 다단 대형 파이프형 인공어초
KR20140034696A (ko) 인공 해저 산맥의 구축 방법 및 인공 해저 산맥
JP5270028B1 (ja) 人工海底山脈の製造方法
KR100996879B1 (ko) 패류 부착구조를 갖는 강재골조 인공어초
KR101337947B1 (ko) 바다숲 조성겸 수산생물의 산란 및 서식을 위한 블록구조
KR101427538B1 (ko) 도루묵 산란 및 보육을 위한 어소
KR101711348B1 (ko) 다목적 인공어초
JP5175994B1 (ja) 人工海底山脈
JP2011144589A (ja) 水中設置構造物およびこれを備える水中設置構造物群
JP4633848B1 (ja) 人工海底山脈
KR101728143B1 (ko) 교체용 황토블럭 인공어초
KR200442652Y1 (ko) 친환경 중층 부유식 파야오형 해양 구조물
KR200392536Y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CN103782927A (zh) 一种新型的人工鱼礁
KR101011766B1 (ko) 다면체 인공어초
GB2594351A (en) Trawlable artificial reef element
CN215074823U (zh) 一种鲍鱼增养殖装置
KR200477377Y1 (ko) 바다숲 조성용 상자형 해중림초
KR200471100Y1 (ko) 돌하르방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