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614A -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614A
KR20140034614A KR1020120101168A KR20120101168A KR20140034614A KR 20140034614 A KR20140034614 A KR 20140034614A KR 1020120101168 A KR1020120101168 A KR 1020120101168A KR 20120101168 A KR20120101168 A KR 20120101168A KR 20140034614 A KR20140034614 A KR 20140034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information
user
configuring
feasi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위덕
양승국
이동욱
황용현
김양원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4614A/ko
Publication of KR20140034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일정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정 구성 방법은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일정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제공자로부터 수집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일정으로서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성 및 일정의 실현 가능성에 따라 분석하여 일정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반영시킨 일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a schedule to user}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일정을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반영시킨 일정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은 정보의 분석에 있어 사용자의 구조화된 일정 정보를 기반으로 간단한 규칙을 통하여 스케줄링을 진행하거나, SMS나 이메일에서 일정정보를 단순히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에 머물렀다. 이는 사용자가 의식하지 못했던 일정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데 미숙함을 보였으며, 중복되는 일정이나 실현 가능성이 부족한 일정, 일정의 중요도를 처리해주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혼란을 야기하였으며, 일정에 대한 판단력을 흐리게 만들었다.
최근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컴퓨팅 레벨에서 자유롭게 수집하고, 가공할 수 있는 진보된 기술에 이르러 사용자가 직접 일정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작업은 매우 비효율적인 작업이 되었다.
선행특허(가입자 이동패턴에 따른 생활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생활정보 서비스 방법, 출원번호1020090100193 (2009.10.21))의 경우 IPTV 환경에서 사용자가 지역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했던 것을 개선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이동 패턴까지 고려하여 생활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하나, 전체적인 서비스 시스템의 플로우를 설명하고 있을 뿐, 사용자의 주요 위치, 주요 이동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은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경로를 통한 정보를 입력 받아 분석하고 사용자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이를 일정에 반영하여 일정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컴퓨팅 레벨에서 자유롭게 입력 받고, 가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일정을 생성할 필요 없이 사용자에게 적합한 일정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은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일정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제공자로부터 수집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일정으로서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성 및/또는 일정의 실현 가능성에 따라 분석하여 일정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일정 관련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부가 정보로서 사용자에 대한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및/또는 일정 수행과 관련된 상황정보를 입력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입력 받은 상기 일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일정 속성에 대한 값으로 구조화된 일정 생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시간 및/또는 공간적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배치하여 일정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간의 시간적인 전체 또는 일부의 중복 여부를 통하여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서 위치 정보와 상황 정보에 따라 일정의 공간적인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일정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성에 따라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 및/또는 공간적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는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일정의 시간 및/또는 공간적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가 개인용 또는 범용 일정인지를 정의하는 타입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에 대하여 선 정의된 우선 순위,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파악되는 관련성 또는 학습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시간에 따라 재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배치 정보를 저장하여 일정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을 구성하는 단계는 차후 일정의 구성 시 상기 배치 정보를 반영하여 일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받고 추출하여 추론된 일정을 배열하고, 중복 일정을 파악하며, 위치, 날씨, 교통정보 등을 활용하여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일정을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사용자 정의 기준과 우선순위 등을 기반으로 일정을 동적으로 구성하여, 일정의 대상자 본인과 연관자들에게 일정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부가적으로 사용자 일정 및 행동을 예측하고 이와 연관된 다양한 서비스를 알려주거나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정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정 구성 방법에서의 정보 입력 단계의 전 과정으로 정보 수집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보 수집 중 단말 기반 정보 수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보 수집 중 서버 기반 정보 수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은 도 2의 정보 수집 중 벤더 기반 정보 수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일정 제공 방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세부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정 구성 방법 중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 및 일정 구성 단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세부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정 구성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정 구성 장치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세부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정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정 구성 방법은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S100), 일정 구성 단계(S200)를 포함한다.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S100)는 수집 서버에서 수집한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로서,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일정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제공자로부터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다.
일정 구성 정보 수집은 일정에 관련이 있는 일정 관련 정보와 일정과 직접 적인 관련은 없으나 일정의 구성에 있어 이용 될 수 있는 부가 정보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의 수집은 일정관리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MS(Short Message Service), 채팅 및 기타 다른 경로를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일정 관련 정보는 일정 구성 요소로서 일정의 시간, 장소, 목적 및 관련 주체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며, 부가 정보는 정보 제공자로부터 수집 또는 상기 일정 관련 정보에 피기백(piggyback)되는 정보로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정보 제공자로부터 추출되는 IP 주소, 현재 사용 환경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정보 수집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주소와 같은 위치 정보, IP(Internet Protocol) 주소, 시각, 날씨, 사용기기, 현재 행동 (정지, 이동 등) 등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함께 피기백(piggyback)하여 수집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정보를 입력 받는 방법은 단말 기반 수집 (Terminal-based Context Gathering), 서버 기반 수집 (Server-based Context Gathering), 벤더 기반 수집 (Vendor-based Context Gathering)의 세 가지 방법으로 수행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정 구성 정보 수집 단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써, 정보 제공자가 정보 중계자를 통해 정보 소비자에게 일정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는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고자 하는 정보소비자가 정보 제공자가 관리하는 일정 관련 정보 또는 부가 정보를, 정보제공자에 대한 정보중계자를 통해 수집된 일정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다. 즉, 일정 구성 정보 수집은 정보제공자(Info. Provider)와 정보소비자(Info. Consumer) 및 이들 사이를 중계해주는 정보중계자(Info. Broker)를 통해 이루어진다. 기존의 경우는 이들에 대한 개념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으며, 정보제공자가 한정적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정보제공자를 사용자단말, 단말내의 서비스, 벤더기반의 서비스로 구분하고 있다. 정보 소비자는 수집 서버로서 본 실시예에서 정보 소비자는 상황 정보 인지 컴퓨팅 패러다임(Context Aware Computing Paradigm)에서의 상황 정보(Context)에 관련된 정보를 함께 입력 받는 수집 서버이며, 정보중계자는 개별 단말에서의 에이전트, 정보수집 서버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벤더의 서비스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세가지 정보 수집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단말 기반 수집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기반 수집은 정보소비자로서 수집 서버가 상기 정보제공자로서 사용자 단말에서 관리하는 상기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정보중계자로서 각 단말에 설치된 에이전트를 통해 수집한다. 즉, 단말 기반 수집은 사용자 소유의 장비에서 발생하는 일정 구성 정보를 입력 받는 방식으로서, 각 단말에 에이전트(Agent)를 설치하고, 각 에이전트에 등록된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MS, 일정관리 등)에 새로운 데이터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수집서버로 전송한다. 전송시에는 부가 정보로서, 시각, 위치정보, 날씨, 행동 등을 함께 피기백하여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서버 기반 수집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서버 기반 수집은 정보소비자로서 수집 서버가 상기 정보제공자로서 일 서버에 등록된 컴퓨팅 장치에서 관리하는 상기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정보중계자로서 상기 서버의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한다. 즉, 서버 기반 수집은 일정 구성 정보 수집을 위한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서버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컴퓨팅 장치들을 모니터링하여 데이터 발생시 수집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시에는 부가 정보로서, 시각, 위치정보, 날씨, 행동 등을 함께 피기백하여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 기반 수집은 중앙 집중(Centralized) 방식과 분산(Distributed)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집중 방식은 중앙 집중형 서버 기반 망을 통하여 복수의 물리적 영역에 대한 관리하는 각각의 서버(홈서버, 라인서버, 셋탑 컴퓨터)를 제어하는 서버를 이용하여 일정 구성 정보를 입력 받는 것이며, 분산 방식은 네트워크 내의 각 컴퓨터에 서버 기능을 분산시켜 놓은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방식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일정 구성 정보를 수집한다.
즉 사용자의 일정 구성 정보 수집을 위해서는 입력 받는 서버가 존재하고, 수집되는 정보가 개인적인 정보이므로 이를 개인 기기에서 수집해야 하는데, 개인 기기의 경우 항시 켜져 있기 어려우므로, 각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수집 서버가 폰이나 데스크탑, 랩탑 등의 기기를 이동하면서 일정 구성 정보를 수집한다.
도 5는 벤더 기반 수집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벤더 기반 수집은 정보소비자로서 수집 서버가 상기 정보제공자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더에서 관리하는 상기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정보 중계자로서 상기 벤더의 서비스 모듈을 통해 수집한다. 즉 벤더 기반 수집은 각 벤더(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별로 정보 수집을 위한 모듈(어플리케이션 또는 메타스트링)을 등록하고, 데이터가 발생시 수집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시에는 부가 정보로서, 시각, 위치정보, 날씨, 행동 등을 함께 피기백하여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S100)는 상기 일정 관련 정보로부터 키워드 기반의 일정 관련 온톨로지(Ontology)를 구축하여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세가지 방법에 의해 정보를 전달할 시, 일정 관련 정보인지 일반 정보인지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하며, 일정 관련 정보라면 시간, 장소, 의도, 관련 인물 등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자연어처리, 구문분석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키워드 기반의 일정 관련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일정 관련 정보를 추출한다. 이에 대한 처리는 정보를 수집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에서 수행하거나, 수집 서버에서 정보를 수신한 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일정 구성 단계(S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일정 구성 단계(S200)는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일정으로서의 실현 가능성을 포함하는 일정 속성에 따라 분석하여 일정으로 구성한다.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S100)에서 수집된 일정 관련 정보를 배열하고, 중복 일정/물리적 불가능 일정(피기백 되어 온 상황 정보 활용)을 확인하며, 의미분석 엔진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 연동(교통/날씨/물리적 거리/특수 이벤트)에 의해 일정을 검증한다.
이후, 충돌 일정 및 불가능한 일정에 대해 일정 시각 변경/취소 등의 일정 동적 재구성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 확인(사용자 설정에 따라서는 생략)을 통하여 일정 구성을 완료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일정 구성 단계(S200)는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일정으로서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성 및 일정의 실현 가능성에 따라 분석하여 일정으로 구성하는데,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S100)에서 입력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일정 생성 요소를 이용하여 일정을 구성한다. 일정의 구성을 위한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S100)는 수집 서버로부터 수집되는 일정 구성 정보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S100)는 일정 생성 요소를 생성하기 위한 일정 관련 정보 입력 단계(S110), 사용자 정보 입력 단계(S120), 상황 정보 입력 단계(S130)로 구분 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상술한 일정 관련 정보 입력 단계(S110), 사용자 정보 입력 단계(S120), 상황 정보 입력 단계(S130)가 순차적으로 진행 되는 것으로 도식화 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순서와 무관하게 수집된 일정 구성 정보의 분류에 따라 동시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관련 정보 입력 단계(S110)는 수집 서버가 수집한 정보 중 캘린더 정보, 소셜 정보와 같이 생활 속에서 사용자가 기록을 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 부분에서 입력 되는 정보들은 일정 요소 생성 단계를 거쳐 하나의 독립적인 일정 생성 요소로 가공된다.
사용자 정보 입력 단계(S120)는 수집 서버가 수집한 정보 중 부가 정보로서 사용자에 대한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것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직업, 성별, 나이와 같은 신상정보를 뿐만 아니라 위치, 성향, 활동에 대하여도 같이 입력받는다. 개인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일정 구성 단계(S200)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생성 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하게 된다.
상황 정보 입력 단계(S130)는 수집 서버가 수집한 정보 중 일정 수행과 관련된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입력 받는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날씨, 교통상황과 같은 정보를 통하여 개인의 스케줄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상하지 못하였던 이벤트를 검출해 낸다. 본 실시예에서 일정 구성 단계(S200)는 상황 정보를 통하여 일정 생성 요소의 공간적 실현 가능성을 판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된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는 RCU(Raw Context Unit) = {subject, type, object}의 구조체로 정의될 수 있다. 입력된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는 위와 같은 형태로 저장되며, 여기에서 subject는 일정 구성 정보의 분류 카테고리이며, 다음으로 type에서는 입력된 컨텍스트가 참조된 제공 타입에 대하여 구분한다. 마지막으로 object에서는 입력된 정보들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날씨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황 정보, 날씨, 맑음}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 된다. 아니면 위치에 따른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사용자 정보, 위치, (35.064575, 127.741573)}과 같은 형태로 표현된다.
이하 일정 요소 생성 단계(S14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일정 요소 생성 단계는 일정 관련 정보 입력 단계(S110)에서 입력된 일정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정의된 일정 속성에 대한 값으로 구조화된 일정 생성 요소를 생성한다. 즉, 일정 요소 생성 단계(S140)에서는 일정 관련 정보 중에서 일정에 관련된 기록을 담은 정보들을 자연어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분류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우선 언어 처리 엔진을 통하여 일반적인 구문에서 일정에 관련된 문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일정과 관련된 문장이 확인되면 이를 일정이 되기 위한 기본 구조체 형태로 저장하고 이를 구조화된 데이터와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구조화되지 않은 구조체는 추가적으로 시간, 장소, 목적과 같은 정보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패턴이나 사전 등으로 미리 정의해둔 데이터로 추출하고, 학습모델을 통하여 인식률을 높이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일정에 관련된 정보들이 독립된 형태들로 나뉘어져 하나의 일정에 대한 단위로 생성되게 된다.
일정 생성 요소 SU(Schedule Unit)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SU = {label, title, start-time, end-time, location, type, users, description, status}
상기 SU에서는 일정에서 필요한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일정 관련 정보는 구조화된 정보와 구조화되지 않은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서 캘린더 정보는 일정에 있어서 위 형태의 구조에 맞추어 각 요소들이 구분되어 있지만 소셜 정보들은 일반적인 구문에 각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 구조이기에 별도의 처리 과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label이라는 항목이 SU에서는 포함되었다. 만약 구조화되지 않은 정보들이 입력되면 label에서 구분하고 언어처리엔진을 통하여 구문에서 일정에 관련된 문장을 확인되면, 1차로 패턴이나 사전 등으로 미리 정의해둔 데이터로 추출하는 방식이 들어간다. 이 부분에서는 ‘내일’, ‘오전’, ‘다음주’, ‘집’, ‘회의’ 등과 같은 데이터들이 추출 된다. 하지만 개인 사용자가 작성하는 문장 속에서는 ‘방과 후’, ‘사당역’ 과 같이 사전이나 패턴으로 등록 되는데 한계가 있는 정보들도 존재하기에 이를 위하여 2차적으로는 학습모델을 통하여 인식률을 높이는 과정이 진행된다. 또한 개인 정보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 일정이 생성되었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서 범용적인 일정인지, 개인적인 일정인지에 대하여 구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회의’, ‘워크샵’등과 같은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일정은 많은 다른 사람이 참여하여 유동성이 떨어지게 되는 범용적인 일정이고, ‘식사’, ‘운동’등과 같은 개인만의 일정이 있어서 이를 구분해 주어야 한다.
이하 생성된 일정 생성 요소를 이용하여 일정을 구성하는 단계(S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일정 구성 단계(S200)는 가중치 부여 단계(S210) 또는 일정 검증 단계(S220) 및 일정 조정 단계(S230)를 포함한다.
가중치 부여 단계(S210)는 우선성에 따라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는 일정 요소 생성 단계(S140)에서 생성된 일정 생성 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 요소 생성 단계(S140)에서 생성된 일정 정보는 중요도에 따라서 가중치를 부여 받게 되는데, 가중치를 부여하는데 있어서 고려되는 요소는 예를 들어, a. 타입: 개인, 범용, 참여, b. 선 정의된 우선순위, c. 관련성: 직업, 참여인, 등을 통한 관련성 체크, d. 사용자 선호도의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타입은 개인, 범용, 참여가 있으며 우선순위는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S100)에서 입력된 일정 관련 정보의 성질을 바탕으로 정한다. 다음으로 선 정의된 우선순위는 일정 관련 정보에서 이미 중요하다고 표시가 되진 일정을 나타낸다. 세 번째로는 사용자 정보 입력 단계(S120)에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가지고 일정 관련 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관련성을 찾아내어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선호도에서는 학습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적인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한다.
일정 검증 단계(S220)는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 또는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시간 및/또는 공간적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한다. 일정 검증 단계(S220)는 생성된 일정이 과연 올바른 정보이며, 실현가능한지 판단하는 검증과정으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일정 검증 단계에서는 물리적으로 시간에 따라서 일정이 실현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시간 인지적 검증과정(S222)과 실시간으로 받아올 수 있는 외부 정보 상황에 따라서 공간적으로 실현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공간 인지적 검증과정(S224)이 포함된다.
검증과정은 사용자가 몰랐던 자신의 일정 속의 혹시 모르는 오류를 검출해 낸다. 이는 일정의 생성부터 배치까지가 컴퓨팅 환경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의 요소도 포함된다. 즉, 예를 들면 중복되는 일정이 있을 때, 사용자가 알아채지 못할 경우가 발생되는 한편, 기록상의 약속을 존재하지만 약속의 실행이 어려워 취소할 생각이 있거나 해야 할 경우를 검출해 낸다. 또한 실시간 상황이 검토되었을 때 일정의 실현이 힘들 경우도 검출해 낸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간으로 일정의 실현의 가능성과 공간으로 일정의 실현의 가능성을 고려한다.
가중치가 부여된 일정 단위에는 독립적인 시퀀스가 부여되며 이와 일정의 시간 시간, 종료 시간, 진행시간, 위치 을 따로 추출하여 Job이라는 형태의 단위를 생성한다. Job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Job_t와 Job_s로 구분되며, Job_t는 시간 인지적 검증에 사용되고 Job_s는 공간 인지적 검증에 활용된다. Job_t = {seq(WSU), start-time, end-time, execution time, verification}, Job_s = {seq(WSU), execution time, location, verification}.
즉, 시간적 검증 단계(S222)는 일정간의 시간적인 전체 또는 일부의 중복 여부를 통하여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로서, 시간에 따라서 중복된 일정은 없는지 판단한다. 여기에는 일정간의 시간적 모순을 검증하는데 이를 위하여 현재 시간과 일정의 시작 시간과 종료시간을 보고 다음 일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중복된 일정을 검출하여 시간적으로 일정이 실현 가능한지 판단한다.
시간 인지적 검증과정에는 시간에 따라서 중복된 일정은 없는지 판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현재시간에 진행되고 있는 일정을 확인하여 이 일정의 다음 일정을 확인하여 만약에 다음 일정의 시작 시간이 현재 일정의 진행시간에 포함될 경우를 확인한다. 즉, 현재 일정의 종료시간보다 다음일정의 시간시간이 이르면 시간 인지적 검증에서는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에 검증부분에 표기를 하게 된다.
시간적 검증 과정은 다음과 같은 조건 식을 통하여 가능 또는 불가능을 판단한다.
[조건식]
가능(Possible): 현재 Job_t end time ≤ 다음 Job_t start time
불가능(Impossible): 현재 Job_t end time ≥ 다음 Job_t start time
시간 인지적 검증은 사용자가 기록을 할 수 있는 매체들이 많아짐에 따라서 산재되어 있는 일정을 개인이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간적 검증 단계(S224)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서 위치 정보와 상황 정보에 따라 일정의 공간적인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로서, 상황에 따라 공간에 따른 일정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는 공간 인지적 검증과정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제공받아서 다음일정과의 이동거리, 이동수단, 이동시간 등을 판단하여 실제로 일정의 수행에 문제가 없는지 판단한다. 추가로 교통상황이나 날씨정보와 같은 외부 이벤트를 반영하여 가능성 여부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검증과정은 일정에 대한 유효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불가능한 일정 정보를 제공해 주어서 계획성 있는 스케줄을 제공한다. 이하 검증된 일정을 조정 하는 일정 조정 단계(S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정 조정 단계(S230)는 검증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배치하여 일정을 조정한다. 가중치 부여 단계(S210)와 일정 검증 단계(S330)를 거쳐서 도출되는 일정은 입력될 때 사용자가 기록을 하는 순서가 실제 순서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재배치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출되는 각각의 일정을 리스트 형태로 만들고 시간에 따라서 배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리스트는 시퀀스 번호와 시간인자를 검토하여 재배치를 진행한다. 또한 조정된 기록은 임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서 사용자의 프로파일에 반영하게 된다. 이는 다음 일정 조정에 반영하여 일정 스케줄링의 정확도 향상에 도움을 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정 조정 단계(S230)는 일정 배치 단계(S232)와 일정 설정 단계(S234)를 포함한다. 일정 배치 단계(S232)는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시간에 따라 재배치한다. 즉,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스케줄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생성된 일정들의 배치를 위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시간, 위치, 가중치, 선호도가 동시에 고려되어 부여된 순서 번호에 따라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배치한다. 즉 그 동안의 가중치 부여, 검증을 통과한 일정들을 리스트 형태로 담아내어 이들을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여기에서는 물리적으로 일정들 사이에서 중복이 되지 않아야 하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정들만 추출되어야 한다. 이렇게 추출되어 스케줄링까지 마친 일정들은 개인 사용자가 업무와 같은 일상생활에서 고민 없이 자신의 역량 내에 일정을 진행하게 도와준다.
나아가 일정 설정 단계(S234)는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배치 정보를 저장하여 일정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일정 구성 단계(S200)는 일정의 재구성 시 저장된 배치 정보를 반영하여 일정을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일정 구성 단계(S200)는 동적으로 수행 될 수 있다. 일정의 구성이 동적으로 수행된다는 것은 같은 시간에 중복 생성되는 스케줄에 있어서, 스케줄 그룹에 우선순위(중요도)를 부여하고, 만나는 사람의 주소록(그룹, 관계 등) 정보로 자동 대인관계 순위 생성하여 스케줄 그룹 정보와 대인관계 순위 정보를 토대로 동적으로 스케줄 시간 설정. 자동 스케줄 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초기에 일정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을 받고, 지속적인 선택의 피드백 정보를 학습하여 자동으로 스케줄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일정 구성 방법을 수행하는 일정 구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정 구성 장치(100)는 정보 입력부(110), 일정 구성부(120)를 포함한다.
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일정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제공자(단말(10), 서버(20), 벤더(30))로부터 수집 서버가 수집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일정 구성 정보 입력 단계(S100)를 수행한다.
일정 구성부(120)는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일정으로서의 실현 가능성을 포함하는 일정 속성에 따라 분석하여 일정으로 구성하는 일정 구성단계(S200)를 수행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정보 입력부(110)는 수집 서버가 수집한 일정 관련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부가 정보로서 사용자에 대한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및 일정 수행과 관련된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입력 받고, 일정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미리 정의된 구조의 일정 생성 요소를 생성한다.
일정 구성부(120)는 가중치 부여부(122), 일정 검증부(124), 일정 조정부(126)를 통해 일정을 구성한다. 가중치 부여부(122)는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로서 정보 입력부에서 생성된 일정 생성 요소에 일정의 우선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S210)하고, 일정 검증부(124)는 가중치가 부여된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시간 및/또는 공간적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S220)한다. 일정 조정부(126)는 검증된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배치하여 일정을 조정(230)한다.
일정 검증부(124)는 상기 일정간의 시간적인 전체 또는 일부의 중복 여부를 통하여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S222)하는 시간적 검증부(124a)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서 위치 정보와 상황 정보에 따라 일정의 공간적인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S224)하는 공간적 검증부(124b)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일정 조정부(126)는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시간에 따라 재배치(S232)하는 일정 배치부(126a)와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배치 정보를 저장하여 일정으로 설정(S234)하는 일정 설정부(126b)를 더 포함하고, 일정 구성부(120)는 차후 또는 동적 일정의 구성 시 상기 배치 정보를 반영하여 일정을 구성한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따른 일정 구성 장치(100)의 각 부분들은 상술한 일정 구성 방법의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중복되는바 이하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일정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제공자로부터 수집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일정으로서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성 및/또는 일정의 실현 가능성에 따라 분석하여 일정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일정 관련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부가 정보로서 사용자에 대한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및/또는 일정 수행과 관련된 상황정보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입력 받은 상기 일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일정 속성에 대한 값으로 구조화된 일정 생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시간 및/또는 공간적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배치하여 일정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간의 시간적인 전체 또는 일부의 중복 여부를 통하여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서 위치 정보와 상황 정보에 따라 일정의 공간적인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으로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성에 따라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 및/또는 공간적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는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일정의 시간 및/또는 공간적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가 개인용 또는 범용 일정인지를 정의하는 타입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에 대하여 선 정의된 우선 순위,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파악되는 관련성 또는 학습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시간에 따라 재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배치 정보를 저장하여 일정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을 구성하는 단계는 차후 일정의 구성 시 상기 배치 정보를 반영하여 일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10.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일정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제공자로부터 수집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정보 입력부; 및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일정으로서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성 및 일정의 실현 가능성에 따라 분석하여 일정으로 구성하는 일정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부는
    상기 일정 관련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부가 정보로서 사용자에 대한 신상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및/또는 일정 수행과 관련된 상황정보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부는
    입력 받은 상기 일정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일정 속성에 대한 값으로 구조화된 일정 생성 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구성부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시간 및/또는 공간적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일정 검증부; 및
    상기 검증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배치하여 일정을 조정하는 일정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검증부는,
    상기 일정간의 시간적인 전체 또는 일부의 중복 여부를 통하여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시간적 검증부; 및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서 위치 정보와 상황 정보에 따라 일정의 공간적인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공간적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구성부는
    상기 우선성에 따라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 검증부는 가중치가 부여된 상기 일정의 시간 및/또는 공간적 실현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부여부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가 개인용 또는 범용 일정인지를 정의하는 타입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부여부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에 대하여 선 정의된 우선 순위,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파악되는 관련성 또는 학습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조정부는,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시간에 따라 재배치하는 일정 배치부; 및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의 배치 정보를 저장하여 일정으로 설정하는 일정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을 구성부는 차후 일정의 구성 시 상기 배치 정보를 반영하여 일정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구성 장치.
  19.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일정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제공자로부터 수집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일정으로서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성 및 일정의 실현 가능성에 따라 분석하여 일정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0. 사용자의 일정과 관련된 일정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일정의 구성에 이용되는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제공자로부터 수집된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일정의 구성을 위한 정보를 일정으로서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성 및/또는 일정의 실현 가능성에 따라 분석하여 일정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일정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일정 제공 방법.
KR1020120101168A 2012-09-12 2012-09-12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40034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68A KR20140034614A (ko) 2012-09-12 2012-09-12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68A KR20140034614A (ko) 2012-09-12 2012-09-12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614A true KR20140034614A (ko) 2014-03-20

Family

ID=5064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168A KR20140034614A (ko) 2012-09-12 2012-09-12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46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654A (ko) * 2017-03-09 201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스케줄 ui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654A (ko) * 2017-03-09 201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스케줄 ui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76176B (zh) 用户目标辅助技术
CN107683486B (zh) 用户事件的具有个人影响性的改变
CN111615712B (zh) 多日历协调
US20190087787A1 (en)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scheduling data
Ingolfsson et al. Simulation of single start station for Edmonton EMS
WO2019133264A1 (en) Enhanced computer experience from personal activity pattern
US9712576B1 (en) Crowd-sourced project and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for human- and device-adaptive requester-provider networks
KR101421599B1 (ko) 사용자 일정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8711030A (zh) 带有人工智能整合的端到端项目管理平台
WO2018183019A1 (en) Distinguishing events of users for efficient service content distribution
WO2012048163A2 (en) Automated analysis and mechanization of scheduling
CN102165470A (zh) 建议在时间表中的时隙期间待办的事项
JP7228699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20270021A1 (en) User-centric system for dynamic scheduling of personalised work plans
Schneider et al. Feedback in context: Supporting the evolution of IT-ecosystems
Liu et al. New scheduling algorithms and digital tool for dynamic permutation flowshop with newly arrived order
Avanes et al. Adaptive workflow scheduling under resource allocation constraints and network dynamics
Moamen et al. An actor-based middleware for crowd-sourced services
Chen et al. Are you killing time? Predicting smartphone users’ time-killing moments via fusion of smartphone sensor data and screenshots
JP6545115B2 (ja) ユーザの将来期間の生活パターンを予測する生活パターン予測装置、携帯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opp et al. Evaluation of patient transport service in hospitals using process mining methods: Patients' perspective
KR20140034614A (ko) 사용자 일정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90004526A (ko) 회의 스케줄링 방법, 전자장치 및 시스템
CN103460665A (zh) 用于个性化消息传递的方法和系统
CN110235158B (zh) 日历上的经分类的时间指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