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502A -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502A
KR20140034502A KR1020120100889A KR20120100889A KR20140034502A KR 20140034502 A KR20140034502 A KR 20140034502A KR 1020120100889 A KR1020120100889 A KR 1020120100889A KR 20120100889 A KR20120100889 A KR 20120100889A KR 20140034502 A KR20140034502 A KR 20140034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window
exchange module
wheel member
typ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록
Original Assignee
(주)굿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굿플 filed Critical (주)굿플
Priority to KR1020120100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4502A/ko
Publication of KR20140034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4Heat exchange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는,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 및 내기와 외기가 열교환하도록 설치되는 열교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열교환모듈의 사이에 두고 분리벽이 형성되어 내기 유동공간과 외기 유동공간으로 분리되어 내기와 외기의 혼합을 차단하면서 내기와 외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모듈은 휠부재의 내측에 각각 다수의 매트가 끼워질 수 있는 상부분리대와 하부분리대가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면서 중심의 축보스를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휠부재와 타임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휠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열교환모듈을 다층구조로 설치하므로서 전체적인 환기장치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열교환모듈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의 이중구조를 이룸에 따라 전열면적이 증대되어 환기시 열교환효율이 증대되고, 이로인해 환기동작시 실내의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창틀에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Description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WINDOW TYPE VENTILATION APPARATUS HAVING ROTATIONAL HEAT EXCHANGE MODULE}
본 발명은,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은나노 입자가 상단에 증착된 상,하부매트를 휠부재의 내측에 복층으로 설치한 열교환모듈을 제공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 증대로 열교환효율이 증대되도록 하고, 환기동작시 실내 열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되어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창틀에 장착 가능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킨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주택의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한 수단들은 주로 환풍기 등과 같이 공기를 직접 배출 또는 유입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위와 같은 환기수단들은 여름철 또는 겨울철 실내의 찬공기나 더운공기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서 열효율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한 열교환방식의 환기장치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으나 대부분 규모가 커서 공간 점유율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소형의 창문설치용 또한 설치와 관련하여 창문등에 직접 매입설치하려면 건물의 개조가 불가피하고 설치장소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기존 열교환방식 환기장치에 사용되는 전열매트 수단들은 대부분 폴리에스테르, 섬유, 직물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재질들은 열적 특성을 어느정도 만족시키기는 하지만 환기작용시 파티클 형태로 공기흐름에 함께 섞여서 부유하기 때문에 공기의 정화측면에서 볼 때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의 스크린, 실링수단 등을 추가로 설치하고 있으나 이로인해 전열매트 수단 및 그 주변의 부재들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어셈블리의 구조가 복잡해져 교환 등의 유지 및 보수와 관련한 관리적인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모듈을 다층구조로 설치하므로서 전체적인 환기장치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열교환모듈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의 이중구조를 이룸에 따라 전열면적이 증대되어 환기시 열교환효율이 증대되고, 이로인해 환기동작시 실내의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창틀에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 및 내기와 외기가 열교환하도록 설치되는 열교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열교환모듈의 사이에 두고 분리벽이 형성되어 내기 유동공간과 외기 유동공간으로 분리되어 내기와 외기의 혼합을 차단하면서 내기와 외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모듈은 휠부재의 내측에 각각 다수의 매트가 끼워질 수 있는 상부분리대와 하부분리대가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면서 중심의 축보스를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휠부재와 타임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휠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창틀에 설치 가능하며, 상기 모터는 스테핑 모터일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싱과 상기 내부 케이싱에는 각각, 상기 창틀의 실외를 향하는 외면 및 실외를 향하는 내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기입구는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측면 및 좌우측면 중 적어도 한군데에 마련되고, 상기 내기입구는 상기 내부 케이싱의 하측면 및 좌우측면 중 적어도 한군데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단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에 따르면, 열교환모듈을 다층구조로 설치하므로서 전체적인 환기장치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열교환모듈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의 이중구조를 이룸에 따라 전열면적이 증대되어 환기시 열교환효율이 증대되고, 이로인해 환기동작시 실내의 급격한 온도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창틀에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일측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열교환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열교환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열교환모듈을 나타내는 단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열교환모듈에 적용된 매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에 적용된 커버부재를 보인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를 나타내는 일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타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열교환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열교환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열교환모듈을 나타내는 단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의 열교환모듈에 적용된 매트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에 적용된 커버부재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는,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1)와 케이스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모듈(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실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케이싱(1a)과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케이싱(1b)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부 케이싱(1a)에는 외기입구(5) 및 내기출구(4)가 마련되고 내부 케이싱(1b)에는 외기출구(6) 및 내기입구(3)가 마련되며, 내부 공간에 상기 외기입구(5), 상기 외기출구(6)가 형성된 위치와 상기 내기입구(3), 상기 내기출구(4)가 형성된 위치를 분리하도록 격벽(미도시)이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는 기존 창틀에 설치 가능하다. 도면에는 창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체적으로, 창틀을 사이에 두고 외부 케이싱(1a)이 실외측에 배치되고, 내부 케이싱(1b)이 실내측에 배치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싱(1a)과 상기 내부 케이싱(1b)에는 각각, 상기 창틀의 실외를 향하는 외면 및 실외를 향하는 내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플랜지(1c)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가 창틀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한편, 외기입구(5)는 외부 케이싱(1a)의 하측면 및 좌우측면 중 적어도 한군데에 마련되고, 내기입구(3)는 상기 내부 케이싱(1b)의 하측면 및 좌우측면 중 적어도 한군데에 마련된다. 일 예로, 내부 및 외부 케이싱(1a,1b)은 각각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내기입구(3)는 실내 공간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내부 케이싱(1b)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미관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의하면, 열교환모듈(20)은 휠부재(21)의 내부에 상부매트(30)와 하부매트(31)를 방사상으로 설치하면서 2층구조로 설치한 것이다.
상기 휠부재(21)의 내측 상단에는 다수의 상부분리대(22)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휠부재(21)의 내측 하단에는 다수의 하부분리대(2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분리대(22)와 하부분리대(23)가 소정의 위상차를 갖도록 한다.
상기 상,하부 분리대(22)(23)의 사이사이에 각각 매트(30)(31)가 끼워져 조립되는데, 상기 매트(30)(31)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소재, 예를들면 스폰지, 매트와 같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폼(Form) 재질로 이루고, 이 매트(30)(31)의 상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은나노 입자를 증착시켜 공기와의 접촉시 공기가 갖고 있는 열을 효율적으로 흡수토록 한다.
상기 열교환모듈(20)을 구성함에 있어 휠부재(21)에 상부매트(30)와 하부매트(31)를 2층구조로 설치함에 따라 공기가 상,하부 매트(30)(31)를 통과할때 각각의 매트(30)(31)에 증착된 은나노 입자가 2차적으로 공기중의 열을 흡수하게 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매트(30)와 하부매트(31)의 사이에 1mm~3mm의 갭(G)이 형성되도록 하여 열전도가 상,하부 매트(30)(31)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매트(30)(31)에 증착되는 은나노 입자의 증착도(밀도)에 따라 열전도율을 차별화 할 수 있게되므로, 환기장치가 설치되는 실내 공간에 따라 은나노 입자의 증착도를 차별화하여 환기량에 따라 적절한 열전도특성을 갖는 매트(30)(31)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휠부재(21)의 중심에는 축보스(24)가 형성되고, 휠부재(21)의 외주면 상단에는 타임기어(25)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결합돌부(26)가 외향 돌출 형성된다.
상기 구성된 열교환모듈(20)을 이용한 창문형 열교환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크게 케이스(1)와 열교환/송풍수단(100)으로 대별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는 격벽(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러한 격벽은, 외기입구, 외기출구가 형성된 위치와 내기입구, 내기출구가 형성된 위치(영역)를 분리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실내 및 실외 공기의 출입에 의한 열교환시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격벽은 단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기출구(4)와 외기출구(6)에는 내기와 외기의 강제 순환을 위한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기 입구측과 외기 입구측에는 미세 먼지 및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를 격벽(미도시)을 중심으로 좌측공간과 우측공간으로 구획한다고 가정할 때, 우측공간은 내기입구(3) 및 내기출구(4)와 연통되는 내기 유동통로로 사용되고, 좌측공간은 외기입구(5) 및 외기출구(6)와 연통되는 외기 유동통로로 사용된다.
한편, 열교환모듈(20)이 다층구조를 이루도록 커버부재(40) 내부에 수직 설치되고, 내기와 외기의 혼합을 차단하면서 내기와 외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송풍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커버부재(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결합되어 한몸체의 커버부재(40)를 이루는 제 1 몸체(41)와 제 2 몸체(42)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재(40)의 내측 상하단에는 열교환모듈(20)이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도록 안내하는 상부안내홈(43)과 하부안내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안내홈(43) 또는 하부안내홈(44)에는 외측과 연통되는 인출홀(45)을 형성하여 열교환모듈(20)의 휠부재(21)의 타임기어(25)에 체결된 타임벨트(48)가 인출홀(45)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커버부재(40)의 외측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의 구동기어(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모터는 열교환모듈을 일정 속도로 회전하기 위해 스테핑모터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의 내측에 2개의 열교환모듈(20)을 설치할 때에는 열교환모듈(20)의 사이에 분리벽(60)이 개재되도록 하고, 분리벽(60)의 중심부에 열교환모듈(20)의 축보스(24)에 끼워지기 위한 중심축(61)을 상하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다.
이에따라, 중심축(61)이 축보스(24)에 끼워진 2개의 열교환모듈(20)이 분리벽(60)에 의해 상하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재(40)의 상부안내홈(43)과 하부안내홈(44)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며,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중심축(61)에 별도의 결속핀을 형성하고, 축보스(24)에 결속핀이 끼워지는 핀홈을 요입 형성하여 2개의 열교환모듈(20) 중 어느 하나만을 회전시키면 나머지 열교환모듈이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분리벽(60)은 격벽(미도시)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커버부재(40)의 내부 공간 또한 우측은 내기 유동통로, 좌측은 외기 유동통로로 활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부재(40)를 이루는 2개의 몸체 중 제 1 몸체(41)(필요에 따라 제 2 몸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함)의 상하단에 각각 차단커버(51)를 형성하여 커버(2)가 닫혔을때 상측의 차단커버(51)가 커버(2)와 밀착되면서 밀폐되고, 하측의 차단커버(51)는 케이스(1)의 바닥부와 밀착되면서 밀폐되도록 하며, 상기 제 1 몸체(41)의 중간부 양측에 각각 제 1 유동홀(49)과 제 2 유동홀(50)을 형성하여 외기 및 내기가 상기 제 1 및 제 2 유동홀(49)(50)을 통해 유동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몸체(41)와 제 2 몸체(42)가 결합되어 커버부재(40)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4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부브라켓(62)과 하부브라켓(63)을 결합하되, 중심축(61)의 상,하측 끝단이 상기 상,하부 브라켓(62)(63)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끼워져 축지되도록 하고, 커버부재(40)의 외측에는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측면브라켓(64)을 나사 조립하여 이 측면브라켓(64)을 이용하여 커버부재(40)를 세로격벽(7)과 가로격벽(8)에 결합한다.
그리고, 커버부재(40)의 상,하부 안내홈(43)(44)의 중간부에 밀폐부(미도시)를 돌출 형성하여 밀폐부(미도시)가 휠부재(21)의 타임기어(25)와 결합돌부(26)의 사이로 끼워져 공기의 유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밀폐부(미도시)는 털실, 섬유와 같이 유연하면서도 공기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기장치가 동작하여 송풍기(미도시)와 모터(미도시)가 구동하면,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내기입구(3)로 유입된 내기는 열교환/송풍수단(100)을 이루는 커버부재(40)의 우측공간을 통과하여 내기출구(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또한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외기입구(5)로 유입된 외기가 커버부재(40)의 좌측공간을 통과하여 외기출구(6)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미도시)에 걸려있는 타임벨트가 열교환모듈(20)의 휠부재(21)를 회전시킴에 따라 열교환/송풍수단(100)의 커버부재(40)에 설치된 2개의 열교환모듈(20)이 동시에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동작을 여름철 실내에 냉방장치가 작동되어 실내 공기가 차고 실외 공기가 더운 상태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내공기(내기)가 내기입구(3)와 필터부재(미도시)를 통과하여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면, 내기는 커버부재(40)의 제 2 몸체(42) 상하부 공간을 통해 커버부재(40) 내부로 유동되는데, 이때 내기는 2개의 열교환모듈(20)의 상하측으로 관통하여 제 1 유동홀(49)을 통해 배출되어 내기출구(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 내기가 갖고 있던 냉기(열에너지)는 열교환모듈(20)을 구성하는 상하부 매트(30)(31)에 증착된 은나노입자에 의해 흡수되고, 은나노입자에 의해 흡수된 냉기는 열교환모듈(20)이 회전하여 커버부재(40)의 좌측공간, 즉, 외기유동공간으로 이동하였을때 실내로 공급되는 외기와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외기에 전달되어 다시 실내로 재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실외공기(외기)가 외기입구(5)와 필터부재(미도시)를 통과하여 케이스(1)의 좌측공간 내부로 유입되면, 외기는 커버부재(40)의 제 1 몸체(41) 중간부에 구비된 제 2 유동홀(50)을 통해 커버부재(40)의 좌측공간 내부로 유입된 후 커버부재(40)의 상,하측으로 유동되면서 열교환모듈(20)의 상,하부매트(30)를 통과하면서 냉기를 갖고있는 은나노입자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낮아진 상태로 커버부재(40)의 제 2 몸체(42) 상,하부 틈새를 빠져나가 외기출구(6)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즉, 여름철 실내의 내기가 갖는 차가운 냉기(열에너지)는 열교환/송풍수단(100)의 열교환모듈(20)에 의해 실외로부터 실내로 공급되기 위해 커버부재(40)의 좌측공간을 통과하는 외기와 함께 다시 실내로 재공급되고, 냉기를 잃어버린 환기용 내기는 내기출구(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고, 여름철 실외의 외기가 갖는 더운 온기(열에너지)는 열교환모듈(20)에 의해 실내로부터 실외로 버려지기 위해 커버부재(40)의 우측공간을 통과하는 내기와 함께 다시 실외로 배출되는 것이므로, 여름철 환기가 이루어져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더라도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갖고 있는 냉기가 실외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함께 실내로 유입되게되어 실내 온도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커버부재(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모듈(20)은 필요에 따라 2층, 3층, 4층으로 타워형 다층식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열교환모듈(20)를 타워형으로 설치할 수 있게되므로 환기장치의 크기를 현저히 줄여줄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3: 내기입구, 4: 내기출구,
5: 외기입구, 6: 외기출구,
20: 열교환모듈, 21: 휠부재,
22: 상부분리대, 23: 하부분리대,
26; 결합돌부, 30,31: 매트,
40: 커버부재, 41,42: 몸체,
43,44: 안내홈, 49,50: 유동홀,
51: 차단커버, 60: 분리벽,
61: 중심축, 62: 상부브라켓,
63: 하부브라켓, 64: 측면브라켓,

Claims (5)

  1. 창문에 장착되는 케이스; 및
    내기와 외기가 열교환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열교환모듈의 사이에 두고 분리벽이 형성되어 내기 유동공간과 외기 유동공간으로 분리되어 내기와 외기의 혼합을 차단하면서 내기와 외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모듈은 휠부재의 내측에 각각 다수의 매트가 끼워질 수 있는 상부분리대와 하부분리대가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면서 중심의 축보스를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휠부재와 타임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휠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창틀에 설치 가능하며, 상기 모터는 스테핑 모터인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싱과 상기 내부 케이싱에는 각각, 상기 창틀의 실외를 향하는 외면 및 실외를 향하는 내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는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입구는 상기 외부 케이싱의 하측면 및 좌우측면 중 적어도 한군데에 마련되고, 상기 내기입구는 상기 내부 케이싱의 하측면 및 좌우측면 중 적어도 한군데에 마련되는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단열 재질로 이루어지는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KR1020120100889A 2012-09-12 2012-09-12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KR20140034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889A KR20140034502A (ko) 2012-09-12 2012-09-12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889A KR20140034502A (ko) 2012-09-12 2012-09-12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502A true KR20140034502A (ko) 2014-03-20

Family

ID=5064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889A KR20140034502A (ko) 2012-09-12 2012-09-12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4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709B1 (ko) * 2014-10-24 2016-03-08 (주)일우정밀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709B1 (ko) * 2014-10-24 2016-03-08 (주)일우정밀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570B1 (ko) 기상정보를 연동한 공기청정형 환기시스템
US7309062B2 (en) Fixed wet type dehumidification and energy recovery device
CN102245975B (zh) 天花板埋入型空调室内机
CN100383464C (zh) 通风系统
KR101611603B1 (ko) 창문형 환기 및 공기정화장치
KR102106702B1 (ko) 전열교환기
JP6530722B2 (ja) 換気空調ユニット
US20100193165A1 (en) Highly efficient environment-friendly air type heat exchanger
CN113418242A (zh) 无水加湿装置、空调器
KR101126788B1 (ko) 태양광으로 구동이 가능한 창틀장착형 전열환기장치
KR20140034502A (ko) 회전형 열교환 모듈을 장착한 창호형 환기장치
CN111928355A (zh) 用于湿度调节的装置
KR101155253B1 (ko) 열교환식 환기장치
KR101555199B1 (ko) 공기조화기
CN112714846A (zh) 通风装置用热交换单元
KR20200089399A (ko) 미세먼지 유입 방지를 위한 창호형 공기청정시스템
KR102282408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0748138B1 (ko) 모듈형 공기조화시스템
CN111928356A (zh) 用于湿度调节的装置
KR20200041496A (ko) 환기용 열교환장치
KR102445464B1 (ko) 공기정화 시스템
JP2017009221A (ja) 除湿吸排気ユニット、ダブルスキンシステム及び除湿吸排気方法
KR20230160436A (ko) 창문형 공기순환장치
JP2020148386A (ja)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US20240142135A1 (en) Damper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