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265A -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265A
KR20140034265A KR1020140012144A KR20140012144A KR20140034265A KR 20140034265 A KR20140034265 A KR 20140034265A KR 1020140012144 A KR1020140012144 A KR 1020140012144A KR 20140012144 A KR20140012144 A KR 20140012144A KR 20140034265 A KR20140034265 A KR 20140034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port
multimedia data
holder
re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준
고재호
김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두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두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두잇
Priority to KR102014001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4265A/ko
Publication of KR20140034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단말기로부터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포트, 상기 포트를 통해서 입력받은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해상도를, 다른 해상도로 시키는 스케일러, 및 상기 스케일러에 의해 해상도가 변환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멀티 미디어 디스플레이를 위한 차량용 잭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FIXING DEVICE OF MOBILE DIVICE FOR PLAYING OF MULTI MDEIA DATA}
본 발명은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에서 다양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음성이나 영화의 재생 뿐만 아니라 Tmap 과 같이 길을 안내하는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도 지원될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길을 안내 받을 수도 있지만,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시청하거나, Tmap과 같이 유용한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 복잡하지 않고 간편하게, 모바일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네비게이션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되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동시에 재생되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를 고정하는 거치부; 거치부에 고정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포트; 상기 포트를 통해서 입력받은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해상도를, 다른 해상도로 시키는 스케일러; 및 상기 스케일러에 의해 해상도가 변환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되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시에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예시적 구성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도1의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다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와 연결(결합)다고 언급될 때,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다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이하, '모바일 기기 거치대'라고 함)를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는, 차량의 소정의 영역에 위치되어, 모바일 기기(20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모바일 기기(200)에서 표시되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네비게이션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의 외형은 종래 널리 알려진 거치대들의 외형을 가지거나, 또는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가, 모바일 기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가진 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의 외형은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는, 차량에 구비된 전력 공급용 소켓(예를 들면, 시거 잭이 삽입되는 소켓)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모바일 기기(200)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200)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 PDA, 또는 테블릿 PC와 같이 이동성을 가진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200)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는 모바일 기기(200)에서 표시되는 영상 및/또는 음성을 케이블을 통해서 받아서 소정의 동작(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표시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케이블(19)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케이블(19)의 일단은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에 구비된 단자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케이블(19)의 타단은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연결된 단자(예를 들면, AV 단자)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9)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로부터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는, 또한,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를 병렬의 비트열로 전환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해상도로 전환하고, 해상도가 전환된 데이터를 다시 직렬의 비트열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병렬의 비트열로 전환하거나, 또는 직렬의 비트열로 전환하는 동작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 발명이 이러한 전송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는, 차량에 구비된 전력 제공용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력을 제공받으며, 이때 제공받은 전력은 모바일 기기(200)로 제공되거나 데이터 전송방식을 전환하거나 해상도를 전환하는 동작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에 구비된 소켓은, 예를 들면 통상 시거 잭이라고 불리우는 장치가 장착되는 소켓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의 예시적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는 컨버터(1), 인터페이스부(3), 스케일러(5), 엔코더(7), 제1포트(9), 접속 단자(11), 제2 포트(13), 접속구(15), 및 거치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구(15)가 차량에 마련된 소켓(미도시)에 결합되면, 컨버터(1)는 접속구(15)를 통해서 제공되는 전력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제2 포트(13)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포트(13)는 전기 기구 및/또는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포트(13)는 USB 포트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방식의 포트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터페이스부(3)는, 컨버터(1)에 의해 변환된 전력을 제1 포트(9)를 통해서 거치부(21)에 위치된 모바일 기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포트(9)와 모바일 기기(200)는 착탈 가능한 케이블(23)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는, 또한, 제1 포트(9)를 통해서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제공받은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소정 전송방식(예를 들면, 병렬 전송방식)의 비트열로 변환한 후, 스케일러(5)로 제공할 수 있다.
스케일러(5)는 인터페이스부(5)를 통해서 제공받은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소정의 해상도로 변환한 후, 엔코더(7)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변환된 해상도는,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예를 들면, 모니터)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변환된 것이다.
엔코더(7)는 스케일러(5)에 의해 해상도가 변환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소정 전송방식으로 비트열로 변환한 후, 접속 단자(11)를 통해서 출력한다. 여기서, 소정 전송방식은 직렬 전송방식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직렬 전송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V 단자는 차량 자체에 구비된 것으로서, 케이블(19)에 의해서 접속단자(11)와 연결될 수 있다. 접속단자(11)를 통해서 출력되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는 케이블(19)을 통해서 AV 단자로 제공된다.
AV 단자는 네비게이션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신 및/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AV 단자로 제공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거치부(15)는 모바일 기기(20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거치부(15)는 예를 들면 물리적 또는 자기적으로 모바일 기기(200)를 고정할 수 있으며, 종래 또는 장래의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가 모바일 기기 거치대(100)에 장착되면, 모바일 기기(200)에게 전력을 공급하고, 모바일 기기(200)에서 재생되는 멀티 미디어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도 동일하게 재생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케이블(19)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마다 구비된 AV 단자는 복수의 핀으로 구성되는데,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복수의 핀이 입력받은 신호들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19)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200)가 거치대(10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거치대(100)가 모바일 기기(200)와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모바일 기기 거치대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속 단자(11), 제2 포트(13), 접속구(15), 거치부(21), 및 바디부(23)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거치대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바디부(23)에는, 컨버터(1), 인터페이스부(3), 스케일러(5), 엔코더(7)가 내장되며, 접속구(15)는 전력 제공용 소켓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기능은 상술한 바가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2 포트(13)는 외부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접속 단자(11)는 케이블(19)을 통해서 AV 단자와 연결된다.
또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는, 방향전환을 위한 방향전환부(A, B, C, S1, S2, S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향전환부에 의해 모바일 기기 거치대가 적절한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방향전환부(A, B, C, S1, S2, S3)들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모바일 기기 거치대
200: 모바일 기기
3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6)

  1. 모바일 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를 고정하는 거치부;
    거치부에 고정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포트;
    상기 포트를 통해서 입력받은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해상도를, 다른 해상도로 변환시키는 스케일러; 및
    상기 스케일러에 의해 해상도가 변환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를 통해서 입력받은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병렬의 비트열로 변환하여 상기 스케일러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에 의해 해상도가 변환된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직렬의 비트열로 변환하여 상기 단자에게 제공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것인,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가 변환시키는 해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한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해상도인 것인,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고, 또한 전력을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제공하는 것인,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USB 포트 또는 마이크로 USB 포트인 것인,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1020140012144A 2014-02-03 2014-02-03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140034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144A KR20140034265A (ko) 2014-02-03 2014-02-03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144A KR20140034265A (ko) 2014-02-03 2014-02-03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122A Division KR20140012387A (ko) 2012-07-20 2012-07-20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265A true KR20140034265A (ko) 2014-03-19

Family

ID=5064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144A KR20140034265A (ko) 2014-02-03 2014-02-03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42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380A1 (ko) * 2015-03-04 2016-09-09 임창수 셀피 스틱을 이용한 고음질 녹화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380A1 (ko) * 2015-03-04 2016-09-09 임창수 셀피 스틱을 이용한 고음질 녹화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9031B2 (en) Wireless video/audio signal transmitter/receiver
US9544640B2 (en) Wireless theater system
US201002165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iving an External Display Device Using a Mobile Phone Device
US20080084834A1 (en) Multiplexed connection interface for multimedia serial data transmission
US201303466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bile device docking
KR101458093B1 (ko) 멀티 미디어 재생이 가능한 차량용 잭과 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되는 미러링 디바이스
US10491851B2 (en) Media stick for controlling wireless speakers
WO2015133249A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20120114307A (ko) 다수의 링크로의 데이터 스트림의 역캡슐화
US10356224B2 (en) Plug-on networked audio adapter
KR2016013204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992998A (zh) 无线多媒体软件狗及系统、计算机软件狗及操作方法
KR20140034265A (ko)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140012387A (ko)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101384689B1 (ko)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차량용 잭
KR101236299B1 (ko) Usb 허브 겸용 hdmi 어댑터
JP2009017105A (ja) ホストpcとプロジェクタ装置またはモニタ装置間のワイヤレスuwb通信システム
KR200494578Y1 (ko) 차량 내비게이션을 위한 영상변환장치
KR101390949B1 (ko)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JP2011138783A (ja) ケーブル
KR101346637B1 (ko) 젠더
US20080295143A1 (en) Multimedia television system
JP2015023326A (ja) 給電機能付ケーブル
KR20130051711A (ko) Mhl 복합 장치 및 모드 전환을 위한 방법
TW201427400A (zh) 多媒體訊號控制裝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